KR100790019B1 - 조적벽체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조적벽체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019B1
KR100790019B1 KR1020070027587A KR20070027587A KR100790019B1 KR 100790019 B1 KR100790019 B1 KR 100790019B1 KR 1020070027587 A KR1020070027587 A KR 1020070027587A KR 20070027587 A KR20070027587 A KR 20070027587A KR 100790019 B1 KR100790019 B1 KR 10079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
cross
deformed
brick
ir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섭
Original Assignee
이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섭 filed Critical 이완섭
Priority to KR102007002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019B1/ko
Priority to US12/227,588 priority patent/US20090260312A1/en
Priority to GB0821279A priority patent/GB2451787B/en
Priority to PCT/KR2007/002524 priority patent/WO200713623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Abstract

본 발명은 내벽에 픽스를 압입하고 상기 픽스에 픽스홀더를 체결하며 픽스홀더를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형철선으로 연결하여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시행이 매우 간편한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은, 상하방향으로 뻗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과, 좌우방향으로 뻗는 기본형 이형철선을 연결하고 몰탈로 매립하는 상하-좌우 연결과정; 내벽 방향으로 배치되는 픽스홀더와, 상하방향으로 뻗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을 연결하고 몰탈로 매립하는 상하-전후 연결과정; 벽돌을 조적하는 과정; 내벽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기 픽스홀더를 통해 내벽으로 픽스를 압입하면서 픽스와 픽스홀더가 연결되도록 하는 픽스압입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인방 보강을 위해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인방 벽돌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이형철선을 배치하는 과정; 상기 인방 벽돌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뻗도록 이형철선을 배치하는 과정; 상기 두 이형철선을 연결하고 몰탈에 매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적벽체 보강 공법{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픽스의 일실시예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픽스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의 실시예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이형철선의 실시예들의 형상도 및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캡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삼각투상도;
도 5는 도 1의 픽스가 도 2의 픽스홀더에 의해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의 이형철선이 도 2의 픽스홀더에 의해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픽스와 도 3의 이형철선이 도 2의 픽스홀더에 의해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내벽에 압입된 픽스와 그 뒤에 체결된 픽스홀더가 이형철선에 의해 상하-좌우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b 및 도 8c는 두 이형철선이 이형철 선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2의 픽스홀더의 후단부에 도 4의 캡이 체결된 상태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강공법이 적용된 조적벽체와 그 내부에 설치된 픽스, 픽스홀더, 이형철선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벽돌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벽돌을 사용하여 보강공법을 행한 조적벽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공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공법에서 인방보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공법에서 기존 건물의 벽돌을 철거한 후 인방보강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픽스 11 : 심축
12 : 날개
2 : 픽스홀더 2' : 고정용 픽스홀더
21 : 오목부 22 : 날개수용부
4 : 캡 41 : 기저부
42 : 측벽부 43 : 삽입부
45 : 통기구멍
5 : 기본형 이형철선 5' :교차연결형 이형철선
5'' : 인방고리형 이형철선 5'''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
51, 51a, 51b : 교차연결부 52 : 인방고리부
8 : 벽돌 81 : 중앙구멍
82 : 측면홈 83, 84 : 측구멍
C : 내벽 M : 몰탈
G : 갭 S : 이격공간
본 발명은 내벽에 압입된 픽스와 체결된 픽스홀더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형철선으로 연결하여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차연결부 또는 인방고리가 형성되어 별도의 부품 없이 픽스홀더나 다른 이형철선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 가능한 이형철선을 사용한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조적 벽체는 돌, 벽돌, 콘크리트블록(concrete block) 등을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구조로서,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은 벽돌구조, 석조(石造), 콘크리트블록 구조를 순조적구조(純組積構造)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하고, 특히 석조는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던 구조이다. 구조적으로도 지진이 적은 서유럽 등에서는 각종 구조법이 사용되고 의장적(意匠的)으로도 뛰어난 아치(arch) 나 돔(dome) 등이 오래 전부터 완성되어, 현재도 벽돌구조 등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벽돌구조는 단순히 벽돌만을 쌓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내벽의 외면에 벽돌을 쌓아올리는 것으로, 이 내벽과 벽돌간의 결합력이 매우 중요하다. 내벽과 벽돌벽 사이에 결합력이 떨어지는 경우 지진이나 충격 또는 풍압에 의해 조적하였던 벽돌이 무너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들 조적된 벽돌을 내벽과 긴밀히 결합하도록 하여 벽돌이 무너져버리거나 하여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들 벽돌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심축과 나선형의 날개를 구비하는 픽스를 내벽에 박아 벽돌벽과 내벽의 결합력을 강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픽스를 내벽에 박은 후, 픽스와 벽돌벽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품이 많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벽에 압입된 픽스와 체결된 픽스홀더를 별도의 부품 없이 이형철선만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조적벽체 보강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뻗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과, 좌우방향으로 뻗는 기본형 이형철선을 연결하고 몰탈로 매립하는 상하-좌 우 연결과정과; 내벽 방향으로 배치되는 픽스홀더와, 상하방향으로 뻗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을 연결하고 몰탈로 매립하는 상하-전후 연결과정과; 벽돌을 조적하는 과정과; 내벽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기 픽스홀더를 통해 내벽으로 픽스를 압입하면서 픽스와 픽스홀더가 연결되도록 하는 픽스압입과정;을 통하여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것이다. 이는 별도의 부품 없이 교차연결형 이형철선만으로 픽스홀더와 다른 이형철선을 서로 연결해줌으로써 내벽에 대해 조적벽체가 상하좌우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스홀더는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6개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는 소정 피치로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고, 상기 픽스는 중심을 이루는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심축 둘레의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에 수용 가능한 2개 또는 3개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는 심축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날개수용부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고, 상기 이형철선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삼각형 또는 정육각형을 이루며,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픽스와 이형철선이 별도의 부품 없이 픽스홀더만으로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은 몰탈에 매립되었을 때 픽스, 픽스홀더 또는 이형철선과 몰탈과의 접착력을 극대화하여 몰탈과 매우 단단하게 일체화되도록 해준다.
여기서 상기 상하방향으로 뻗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 또는 좌우방향으로 뻗 는 기본형 이형철선의 바닥면, 천장 또는 측벽면 근방의 단부가 바닥면, 천장 또는 측벽면에 압입된 픽스와 픽스홀더에 의해 연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건물의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이형철선이 바닥면, 천장 또는 측벽면을통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해 준다.
여기서 상기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은 1개 또는 2개의 교차연결부를 구비한다. 이 교차연결부는 이형철선과, 교차연결부에 연결되는 픽스홀더 또는 다른 이형철선를 별도의 부품 없이 간편하게 서로 수직으로 연결시켜주어 매우 편리하다.
여기서 상기 픽스홀더와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의 교차연결부의 연결은, 교차연결부에 픽스홀더를 끼운 후, 상기 픽스홀더와 동일한 피치를 하고 직경은 더 크며 길이는 더 짧은 고정용 픽스홀더를 다시 상기 픽스홀더의 양측으로 더 끼워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는 고정용 픽스홀더가 교차연결부에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픽스홀더가 교차연결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차연결부는 이형철선을 측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픽스홀더나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는 간편한 공정만으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을 제작할 수 있게 해주며 보강 공법 시공도 매우 편리하게 해준다.
상기 교차연결부의 입구는 이형철선의 두께보다는 넓고 픽스홀더의 두께보다는 좁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개의 교차연결부를 가지는 이형철선에서 제1교차연결부와 제2교차연결부는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두 교차연결부가 벽돌 1개의 높이 간격만큼 이격하여 위치한다. 이는 하나의 이형철선에 대해 픽스홀더와 다른 이형철선이 서로 수직을 이루고, 픽스홀더와 다른 이형철선도 서로 수직을 이루면서 연결되게 할 수 있고, 그 연결부위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연결 부위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픽스홀더의 후단에는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캡을 더 사용함으로써 몰탈에 매립된 픽스홀더의 위치를 확인하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벽돌은 중앙구멍과 측면홈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구멍의 형상과 상기 측면홈 2개를 줄눈 간격만큼 이격시켜 마주한 형상은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벽돌 조적시 상기 상하방향으로 뻗는 이형철선이 상기 벽돌의 중앙구멍과 마주하는 2개의 측면홈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벽돌을 조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구멍과, 두 측면홈을 줄눈 간격만큼 이격시켜 맞댄 형상은 라운드진 직사각 형상인 것이 작업공간 확보와 몰탈의 접착력 확보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벽돌의 측면홈은 벽돌의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있거나 벽돌의 양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벽돌은 중앙구멍의 양측으로 제1측구멍과 제2측구멍을 더 구비하며, 그 형상이 라운드진 직사각 형상이어서, 몰탈의 접착력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의 상단에 배치되는 벽돌의 인방 보강을 위한 조적벽체 보강 공법으로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인방 벽돌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이형철선을 배치하는 과정과; 상기 인방 벽돌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뻗도록 이형철선을 배치하는 과정과; 상기 두 이형철선을 연결하고 몰탈에 매립하는 과 정;을 거치도록 하여, 조적벽체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인방보강도 한꺼번에 할 수 있다.
기존 건물의 인방 보강시에는 상기 과정에 앞서 창문의 상단에 배치된 인방 벽돌을 포함하여 그 상부로 복수 단의 벽돌을 철거해내고 임시지지구로 지지하는 과정을 먼저 행함으로써 보강 공법을 시행할 수 있다.
상기 두 이형철선의 연결은, 하단부에 인방고리부가 형성되고 그 인방고리부와 소정 간격 이격 위치하는 교차연결부가 형성된 인방고리형 이형철선, 또는 하단부에 인방고리부가 형성되고 소정 간격 이격 위치하는 상단부에 교차연결부가 형성된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방 벽돌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해줄 수 있다.
상기 인방고리부는 이형철선의 하단을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그 입구는 대략 측상방향으로 트여진 형상이고, 상기 교차연결부는 상기 교차연결부는 이형철선을 측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픽스홀더나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간편하게 인방 보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인방 보강 후에는, 상기 인방 벽돌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 이형철선이 상하방향으로 뻗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과 연결되고 몰탈로 매립되는 과정을 더 하거나, 상기 인방고리형 이형철선이나 그 상부에 더 연결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이, 인방 벽돌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 이형철선 외의 좌우방향으로 뻗는 기본형 이형철선 또는 내벽 방향으로 배치되는 픽스홀더와 연결되는 과정을 더 하여, 조적벽체의 전체적인 보강과 함께 인방벽돌까지도 완벽하게 보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 공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픽스(1)의 일실시예의 형상도이고, 도 1b는 그 단면도이다.
픽스(1)는 습기 등에 부식되지 아니하며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서, 중심을 이루는 심축(11)과 심축 둘레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12)로 이루어져 있으며, 날개(12)는 심축(11)을 중심으로 픽스(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날개(12)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정도의 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강도와 구조의 단순화를 동시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한 면이 있다.
도 2a는 도 1의 픽스(1)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2)의 형상도, 도 2b는 그 단면도이다.
픽스홀더(2)는 습기 등에 부식되는 않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황동 등의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픽스홀더(2)의 원통 형상의 둘레방향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수용부(22)가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픽스(1)의 날개(12)에 의한 피치(P)와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의한 피치(P)는 일치한다. 날개수용부(22)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로 이루어져 있 으면, 픽스홀더(2)는 2개 또는 3개의 날개를 가지는 픽스와도 체결 가능하고 후술할 정삼각형 또는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이형철선(5)과도 체결 가능하다.
도 2c는 픽스홀더(2)의 외경에 끼울 수 있는 고정용 픽스홀더(2')의 사시도, 도 2d는 픽스홀더(2)의 외경에 고정용 픽스홀더(2')를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e는 픽스홀더(2)의 외경에 고정용 픽스홀더(2')가 끼워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고정용 픽스홀더(2')는 픽스홀더(2)와 동일한 피치를 가지며 길이가 짧고 직경이 큰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어서, 픽스홀더(2)의 외경으로 끼워 넣을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이형철선의 교차연결부와 픽스홀더를 체결할 때 픽스홀더가 교차연결부에 고정되어 빠지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2의 픽스홀더(2)와 함께 사용되는 이형철선(5)의 형상도(도 3a) 및 단면도(도 3b, 도 3c), 그리고 이러한 이형철선의 여러 실시예들이다.
본 발명의 공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5)은 대략 정삼각형 또는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철선을 길이방향으로 나사 형태로 일정 피치(P)를 가지고 꼬아 놓은 형상이다. 이형철선(5)의 피치(P)는 픽스(1) 및 픽스홀더(2)의 피치(P; 도 1a 및 도 2a 참조)와 일치한다.
도 3a는 기본적인 이형철선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변형 형태로서 도 3d에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 도 3e에는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 도 3f에는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5'''), 도 3g에는 인방고리형 이형철선과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이 혼합된 형태의 이형철선(5'''')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은 2개의 교차연결부(51a, 51b)를 구비하고 있으나, 1개의 교차연결부만 있어도 이들 이형철선을 픽스홀더로 연결하면 도 3d에 도시된 이형철선(5')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교차연결부(51)는 이형철선을 측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픽스홀더(2)나 다른 이형철선(5)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교차연결부(51)의 입구의 폭은 픽스홀더(2)의 폭보다는 작고 이형철선(5)의 폭보다는 큰 것이 조립의 편의성과 견고성의 측면에서 모두 유리하다.
상기 교차연결부들(51a, 51b)은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두 교차연결부가 벽돌 1개의 높이 간격만큼 이격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는 조적벽체에서 두 교차연결부(51a, 51b)가 서로 다른 벽돌 단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조립 과정도 단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높이 간격이 반드시 벽돌 1개의 높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미 앞서 설명하였듯이 아예 서로 다른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에 교차연결부가 하나씩만 있다 하더라도 이들을 픽스홀더(2)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면 충분히 도 3d에 도시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도 3e의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은 하단부에 인방고리부(52)가 형성되고, 그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교차연결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인방고리부(52)는 이형철선의 하단을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다른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그 입구는 대략 측상방향으로 트여진 형상이다. 도 3e의 이형철선은 하나의 교차연결부(51)만 형성된 것이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d와 같이 2개의 교차연결부를 구비하여 인방 보강에 사용된 이형철선(5'')이 직접 조적벽체 보강에 바로 사용될 수도 있고, 오직 인방보강부만 구비한 인방고리 형 이형철선의 상부에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을 픽스홀더(2)로 연결하여도 도 3e의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 도 3e의 이형철선은 교차연결부(51)와 인방고리부(52)가 서로 수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서로 다른 두 이형철선을 평행하게 연결하고 있으나, 서로 수직을 이루게 하여 교차연결부(51)가 내벽을 향해 배치된 픽스홀더(2)와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방고리부(52)의 상부에 교차연결부(51a, 51b, 51c)가 배치되고 교차연결부 사이에 벽돌 1단의 높이 간격만큼 차이가 있게 하여 인방보강에 사용된 이형철선(5'''')이 직접 픽스홀더나 다른 이형철선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f는 도 3e의 인방고리형 이형철선에서 교차연결부(51)의 상부가 없는 상태, 즉 하단부에는 인방고리부(5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교차연결부(51)가 형성된 상태의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5''')이다. 인방고리부(52)와 교차연결부(51)간의 거리는 도 3e의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이형철선은, 인방지지는 조적벽체보다 더 조밀하게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조적벽체 보강과 별도로 오직 인방지지만 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만든 이형철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캡(4)의 사시도(도 4a) 및 삼각투상도(도 4b)이다.
캡(4)은,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기저부(41)와, 상기 기저부(41)의 네 둘레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부(42)와, 상기 기저부(41)의 중앙에서 슬릿(24)의 길이와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길이를 하며 픽스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4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캡(4)에는 삽입부(43)의 선단부로부터 기저부(41)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기 구멍(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 구멍(45)의 기저부 쪽 단부의 개구에는 방충망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45)은 캡(4)을 픽스홀더(2)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픽스홀더(2)를 통한 벽체 내외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방충망은 벌레가 통기구멍(45)을 통해 조적벽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측벽부(42)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어서 빗물을 막아주어 빗물이 통기 구멍(45)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a는 도 2의 픽스홀더(2)를 사용한 도 1의 픽스(1)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b는 그 체결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와 픽스(1)는 그 피치(P)가 일치하기 때문에 서로 나사방향으로 돌리면서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픽스홀더(2)의 양단부로 픽스(1)를 끼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두개의 픽스(1)를 연결하는 데에 픽스홀더(2)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6개의 날개수용부(22)가 형성된 픽스홀더(2)에는 3개의 날개(12)를 가진 픽스(1)도 체결 가능하고(도 6b), 2개의 날개를 가진 픽스도 체결 가능하다. 픽스(1)의 날개(12)는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약간의 갭(G)을 유지하며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다. 기하학적으로는 픽스(1)의 중심에서부터 날개(12)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픽스홀더(2)의 중심에서부터 오목부(2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날개(12)가 오목부(21)에 간섭됨으로써, 픽스(1)가 픽스홀더(2)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조적벽체에 픽스홀더(2)가 설치되면 픽스홀 더(2)의 외부는 몰탈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픽스(1)가 움직여 픽스홀더(2)를 가압하더라도 픽스홀더(2)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픽스(1)는 픽스홀더(2)에 의해 더욱 견고히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픽스(1)와 픽스홀더(2)는 각각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가 길이방향으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사 결합하듯이 양 부재에 상대적인 회전만 주면 체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단면 형상으로 보았을 때 픽스(1)와 픽스 홀더(2)에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가 부재의 단면계수를 크게 하여 부재의 휨 강성을 크게 해준다.
또한 픽스(1)와 픽스홀더(2) 체결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G)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보강에 상기 픽스(1) 및 픽스홀더(2)를 사용하였을 때 건축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기 갭(G)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며, 계절의 변화 등에 의한 재질의 열팽창 등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픽스(1)의 심축(11)과 픽스홀더(2)의 오목부(21) 사이의 이격공간(S)은 습기나 공기의 통풍이 가능하게 하여 물고임 등으로 인한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날개(12)를 수용하지 않은 나머지 날개수용부(22)의 내부면적이 이격공간(S)에 가세되어 단면적이 더욱 넓은 통기공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픽스홀더(2)의 외면에 굴곡을 더 많이 주기 때문에 슬릿(24)의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효과를 내고, 특히 픽스(1)와 픽스홀더(2) 체결시 방향을 굳이 맞추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날개(12)가 날개수용부(22)로 유도되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도 6a는 도 2의 픽스홀더(2)를 사용한 도 3의 이형철선(5)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 도 6b 내지 도 6c는 그 체결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픽스홀더(2)를 사용한 도 1의 픽스(1)와 도 3의 이형철선(5)의 길이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형철선(5)의 피치는 픽스홀더(2)의 피치와 일치하므로, 픽스(1)와 픽스홀더(2)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였듯이, 이형철선(5)과 픽스홀더(2)도 도 6a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가 6개인 경우에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삼각형 단면의 이형철선(5)과도 체결 가능하고 정육각형 단면의 이형철선(5)과도 체결 가능하다.
기하학적으로는 이형철선(5)의 중심에서부터 단면 형상의 꼭지점 부분까지의 길이가 픽스홀더(2)의 중심에서부터 오목부(2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이형철선(5)의 단면 형상의 꼭지점 부분이 오목부(21)에 간섭됨으로써, 이형철선(5)이 픽스홀더(2)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조적벽체에 픽스홀더(2)가 설치되면 픽스홀더(2)의 외부는 몰탈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이형철선(5)이 움직여 픽스홀더(2)를 가압하더라도 픽스홀더(2)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이형철선(5)은 픽스홀더(2)에 의해 더욱 견고히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이형철선(5)과 픽스홀더(2) 모두 길이방향으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사 결합하듯이 양 부재에 상대적인 회전만 주면 체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형철선(5)과 픽스홀더(2) 체결시 둘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보강에 이들을 사용하였을 때 건축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이러한 갭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며, 계절의 변화 등에 의한 재질의 열팽창 등에도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세 부품 모두의 피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1)와 이형철선(5)을 픽스홀더(2)로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건물의 좌우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이형철선(5)을 다른 벽이나 지반 바닥면에 고정시킬 때, 예를 들면 픽스(1)를 지반 바닥면에 수직이 되도록 바닥면에 압입하고 픽스홀더(2)를 통해 이형철선(5)에 연결하면 건물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이형철선(5)이 바닥에 매우 견고하게 연결 지지되는 것이다. 즉 건물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이형철선의 바닥면 또는 천장 근방의 단부는 바닥면 또는 천장에 압입된 픽스와 픽스홀더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건물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이형철선의 측벽면 근방의 단부는 측벽면에 압입된 픽스와 픽스홀더에 의해 연결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시공 과정에서 픽스(1)와 이형철선(5)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다면 굳이 세 부품 모두의 피치가 일치해야 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픽스(1)와 결합되는 픽스홀더(2)는 픽스와 피치를 맞추고, 이형철선(5)과 결합되는 픽스홀더(2)는 이형철선과 피치를 맞추는 것으로도 족하다.
도 8은 도 1의 픽스, 도 2의 픽스홀더, 도 3의 이형철선의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콘크리트벽과 같은 내벽(C)에 압입 고정된 픽스(1) 에 체결된 픽스홀더(2)가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과 제1교차연결부(51a)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고 벽돌 한단의 높이길이만큼 하단에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의 제2교차연결부(51b)에 의해 또 다른 이형철선(5)을 상기 픽스홀더(2) 및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 모두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픽스홀더(2)의 외경과 제1교차연결부(51a)를 포함하는 교차연결부(51)의 내경은 거의 일치하고 제1교차연결부(51a)의 입구의 폭은 픽스홀더(2)의 외경보다 작아서 픽스홀더(2)는 교차연결부(51)의 입구를 통해서는 끼워지지 않고 교차연결부(51)의 내경을 통해 끼워지게 된다. 도 8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d에 도시된 것처럼, 픽스홀더(2)가 제1교차연결부(51a)와 연결된 상태에서 픽스홀더(2)의 양측으로 고정용 픽스홀더(2')를 끼워 넣으면 고정용 픽스홀더(2')가 제1교차연결부(51a)와 간섭되기 때문에 픽스홀더(2)가 제1교차연결부(51a)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교차연결부(51b)를 포함하는 교차연결부(51)의 입구의 폭은 이형철선(5)의 직경보다는 커서 이형철선(5)이 교차연결부(51)의 측방에 난 입구를 통해 끼워질 수 있다.
한편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은 상하를 뒤집어도 교차연결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하게 배치되는 구조, 즉 상하의 구분이 특별히 없기 때문에 교차연결부를 제1과 제2로 나눈 순서에는 큰 의미가 없다.
다음으로 도 8b를 참조하면,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은 두개의 이형철선(5)을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하부에 위치하는 이형철선은 인방고리부(52)를 관통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이형철선은 교차연결부(51)를 관통 하게 함으로써 두 이형철선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c도 마찬가지로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5''')에 의해서도 두개의 이형철선(5)을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은 교차연결부(51)의 상부에 또다른 교차연결부를 더 만들 수도 있고 픽스홀더(2)에 의해 그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다른 이형철선(5')을 연결하여 인방 보강에 사용된 부품이 조적벽체의 보강에 연결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픽스홀더(2)와 도 4의 캡(4)의 체결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하였듯이, 픽스홀더(2)의 후단부로 캡(4)을 삽입할 수 있다. 캡(4)을 끼운 픽스홀더(2)를 몰탈에 매립할 때 캡(4)이 노출되도록 하면, 나중에 몰탈에 매립된 픽스홀더(2)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서 설명한 픽스(1), 픽스홀더(2), 이형철선(5, 5', 5'', 5''')를 적용하여 조적벽체를 보강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1a는 도 10의 X-X 단면도, 도 11b는 도 10의 Y-Y 단면도, 도 11c는 도 10의 Z-Z 단면도이다.
도 8a와 관련된 도면은 도 10의 X-X 부분과 도 11a로서, 내벽(C)에 박힌 픽스의 후반부에 체결된 픽스홀더(2)는 벽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이형철선(5')과 제1교차연결부(51a)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고, 그보다 한단 아래 부분에서는 벽체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이형철선(5)이 상기 벽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이형철선(5')과 제2교차연결부(51b)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좌우, 상하로 배치되는 이형철선(5, 5')은 도 6에 도시된 방식처럼 픽스홀더(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반복적으로 조적벽체에 위와 같은 보강 을 행할 수 있다.
도 8b와 관련된 도면은 도 10의 Y-Y 부분과 도 11b로서, 인방벽돌(9)을 관통하여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과, 인방벽돌(9)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을 각각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의 인방고리부(52)와 교차연결부(51)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인방벽돌이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형철선(5'')은 그 상방으로 도 6에 도시된 방식처럼 픽스홀더(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방으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교차연결형 이형철선(5')은 다시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된다.
도 8c와 관련된 도면은 도 10의 Z-Z 부분과 도 11c로서, 인방벽돌(9)을 관통하여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과, 인방벽돌(9)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을 각각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5''')의 인방고리부(52)와 교차연결부(51)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인방벽돌이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형철선(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방벽돌을 관통하여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과, 인방벽돌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형철선(5)을 촘촘하게 연결하여 인방보강을 더욱 확실하게 하며, 특히 인방벽돌의 양측단부에 더 촘촘하게 배치하여 양측단부의 벽돌이 처지는 문제를 확실히 그리고 간단하게 예방할 수 있다. 조적벽체를 보강할 때보다 인방보강할 때 서로 연결되는 개소가 많아야 하는데, 이를 일일이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으로 하면 재료도 낭비되고 벽돌 조적에 더욱 신경을 써야 되므로 불편한 점이 있는바, 인방 지지전용 이형철선(5''')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공법에 사용될 수 있는 벽돌이다. 벽돌(8)에는 중앙구멍(81), 측면홈(82), 제1측구멍(83), 제2측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홈(82)은 벽돌의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들은 모두 라운드진 직사각형상이다. 일측면에만 홈을 준 이유는,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서는 벽돌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데(도 13의 L 부분 참조) 여기에 홈 형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구멍이 사각 형상이면 원형의 구멍보다 상하단의 벽돌이 마주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벽돌 단이 서로 더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고 특히 이형철선 관통과 함께 작업시 작업공간을 더 확보해주며, 동시에 구멍의 사각형상의 꼭지점 부분을 라운드로 처리하여 그 부분에서 발생하는 응력집중을 방지함으로써 벽돌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공법에 의하면 상하로 이형철선(5')이 관통하는 부분에만 마주하는 벽돌 양측 모두에 측면홈(82)이 배치되도록 조적하면 족하고(도 13의 N 참조), 그 외에는 어떻게 쌓아도 상관없기 때문에 굳이 벽돌의 양측에 측면홈(82)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돌(8)의 중앙구멍(81)의 형상과 상기 측면홈(82) 2개를 줄눈 간격(M)만큼 이격시켜 마주한 형상은 라운드진 직사각 형상으로서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도 12b를 참조하여 각 구멍의 크기를 비교하면, 중앙구멍(81)은 벽돌의 정중앙에 형성되며, 그 폭(e)이 제1 및 제2측구멍(83, 84)의 폭(h)보다 작게 하였다. 이는 벽돌을 서로 엇갈려 조적할 때 한 단에서 중앙구멍(81)이 배치된 그 상하 단에서는 벽돌과 벽돌 사이의 몰탈부분(M)이 위치하는데 이 몰탈부분이 벽돌 자체보다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그 몰탈부분이 배치되는 단의 상하단에 중앙구멍(81) 폭(e)의 나머지부분(g)을 제1 및 제2측구멍(83, 84)의 폭(h)의 나머지부분(f)보다 두껍게 하여 몰탈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중앙구멍(81)과 측면홈(82) 사이에 배치된 제1측구멍(83)의 길이(c)는 그 반대편에 배치된 제2측구멍(84)의 길이(d)보다 작도록 하였다. 이는 제1측구멍(83)을 둘러싸고 있는 벽돌부분의 두께(a, a')와 제2측구멍(84)을 둘러싸고 있는 벽돌부분의 두께(b, b')의 편차를 최소화함으로써 벽돌 제작시 소성이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측구멍(83)의 길이(c)와 그 반대편에 배치된 제2측구멍(84)의 길이(d)가 같다면 제1측구멍(83)을 둘러싸고 있는 벽돌부분의 두께(a, a')와 제2측구멍(84)을 둘러싸고 있는 벽돌부분의 두께(b, b')의 편차가 커져 벽돌 가공시 소성 정도의 편차가 존재하고 이것이 벽돌의 강도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벽돌을 사용한 예시도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살펴보면 상하로 연결된 이형철선(5')은 벽돌의 중앙구멍(81)과 측면홈(82)이 마주하는 부위를 번갈아 관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의 하단부에 도시된 인방벽돌(9) 또는 도 13에 도시된 인방벽돌은 원형의 구멍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인방벽돌로서 도 12의 벽돌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특히 조적공들이 벽돌의 종류를 구분하는 불편함을 더는 데에는 오히 려 도 12의 벽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12, 도 13에서는 측면홈(82)이 일측면에만 형성된 벽돌(8)이 개시되어 있으나, 건물의 모서리부분만 아니라면 측면홈이 양측면에 모두 형성된 벽돌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공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a와 같이 내벽(C)의 외부로 벽돌(8)이 일정 높이 조적된 상태에서, 도 14b와 같이 건물의 둘레방향(벽돌의 길이방향)으로 이형철선(5)을 연결 배치하고 벽돌(8)의 중앙구멍(81)으로 건물의 높이방향(상하방향)으로 이형철선(5')을 배치하며, 두 이형철선(5, 5')을 제2교차연결부(51b)로 서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도 14c와 같이 줄눈을 채우며 이형철선(5')이 관통하는 부분에 측면홈(82)이 마주하도록 벽돌을 한단 더 쌓는다. 제2교차연결부(51b)와 제1교차연결부(51a)는 벽돌 1단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현재 벽돌의 상단면 높이에 제1교차연결부(51a)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교차연결부(51b)와 제1교차연결부(51a)는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건물의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교차연결부(51a)에 픽스홀더(2)를 연결할 수 있다. 제1교차연결부(51a)에 픽스홀더(2)를 끼운 상태에서 픽스홀더(2)의 양측으로 고정용 픽스홀더(2')를 끼워 넣으면 픽스홀더(2)가 그 길이방향으로 제1교차연결부(51a)의 내경과 간섭되어 고정된다.
또한 이 때 픽스홀더(2)의 후단에는 앞서 설명한 캡(4)을 끼우고 캡은 줄눈 밖으로 노출되도록 몰탈로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도 14d와 같이 벽돌을 그 위로 조적하며, 앞서 설명한 도 14a 내지 도 14c의 과정을 되풀이하면, 건물의 둘레방향 그리고 높이방향으로 이형철선들(5, 5')이 서로 연결되고, 또 거기에 픽스홀더(2)가 연결되어 조적벽체의 강도를 보강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4e와 같이 픽스홀더(2)의 후단부에서 픽스(1)를 압입하여 픽스(1)가 내벽에 박히며 픽스홀더(2)와 연결되도록 하면 조적벽체 전체가 내벽에 강하게 고정됨을 알 수 있다. 픽스홀더(2)의 후단에 캡(4)을 끼워놓았다면 벽체에서 픽스홀더(2)의 위치를 금방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다음으로 조적벽체 보강시 인방보강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5a와 같이 인방벽돌(9)의 구멍을 통하여 이형철선(5)이 관통되도록 배치하고, 도 15b와 같이 인방벽돌(9)의 상면에 이형철선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15c와 같이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의 인방고리부(52)를 하부에 있는 이형철선(5)에 걸고, 도 15d와 같이 인방고리부(52)와 소정간격(두 이형철선(5)의 간격) 이격 형성된 교차연결부(51)에 상부 이형철선(5)을 걸어넣은 후, 몰탈로 매립하며 벽돌을 조적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인방벽돌은 확실히 지지되며, 상기 인방고리형 이형철선(5'')의 상부에 픽스홀더(2)를 사용하여 다른 이형철선을 계속 연결하여 조적벽체의 보강을 이어서 할 수 있고, 상기 인방벽돌(9)의 상면에 배치된 이형철선(5)의 측방으로 다른 이형철선(5')을 연결하여 조적벽체의 보강을 역시 이어서 할 수 있다.
특히 인방벽돌의 끝부분(도 13의 O 참조)에서 인방벽돌의 상면에 배치된 이 형철선(5)은 벽체로 더 뻗어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이형철선(5)이 끊어지지 않는 한 인방벽돌은 강하게 지지되지 않을 수 없다.
도 16은 기존 건물에서 인방보강을 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도이다. 기존 건물의 인방보강을 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방벽돌(9)의 단을 포함하며 상부로 복수단(실시예에서는 4단)의 벽돌을 철거해내고 임시지지구(미도시)로 철거된 벽돌의 상부의 벽돌이 쏟아져 내리지 않도록 지지한 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인방벽돌(9)을 좌우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하고 그 벽돌 내부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이형철선(5)을 배치한 후 인방벽돌(9)의 측방 높이의 단에 벽돌(8)을 조적하고, 그 상면에 이형철선(5)을 다시 배치한 후 상기 두 이형철선을 이형철선(5'''')의 인방고리부(52)와 교차연결부(51a)로 연결한다.
그리고 벽돌(8)을 한단 쌓은 후, 이형철선(5'''')의 교차연결부(51b)와 연결되도록 픽스홀더(2)를 배치시킨다.
다시 벽돌(8)을 한단 쌓은 후, 이형철선(5'''')의 교차연결부(51c)와 연결되도록 이형철선(5)을 건물의 좌우방향으로 배치시킨다.
그리고 벽돌(8)을 채워 넣어 조적을 완료한 후, 이제 줄눈에 매립된 픽스홀더(2)를 통해 내벽에 픽스(1)를 박아 넣는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하면 기존 건물의 인방보강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 공법은 최소한의 부품개 수만으로 조적벽체를 보강할 수 있고, 인방보강도 별도의 부품 없이 조적벽체에 사용된 것만으로 시행할 수 있어 시공 작업자에게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조적벽체를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상하방향으로 뻗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과, 좌우방향으로 뻗는 기본형 이형철선을 연결하고 몰탈로 매립하는 상하-좌우 연결과정;
    내벽 방향으로 배치되는 픽스홀더와, 상하방향으로 뻗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을 연결하고 몰탈로 매립하는 상하-전후 연결과정;
    벽돌을 조적하는 과정;
    내벽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기 픽스홀더를 통해 내벽으로 픽스를 압입하면서 픽스와 픽스홀더가 연결되도록 하는 픽스압입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는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6개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는 소정 피치로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고,
    상기 픽스는 중심을 이루는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심축 둘레의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에 수용 가능한 2개 또는 3개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는 심축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날개수용부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이고,
    상기 이형철선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삼각형 또는 정육각형을 이루며, 상기 픽스홀더의 날개수용부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으로 뻗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 또는 좌우방향으로 뻗는 기본형 이형철선의 바닥면, 천장 또는 측벽면 근방의 단부가 바닥면, 천장 또는 측벽면에 압입된 픽스와 픽스홀더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은 1개 또는 2개의 교차연결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연결부는 이형철선을 측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픽스홀더나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교차연결부를 가지는 이형철선에서 제1교차연결부와 제2교차연결부는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두 교차연결부가 벽돌 1개의 높이 간격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의 후단에는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캡을 더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공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중앙구멍과 측면홈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구멍의 형상과 상기 측면홈 2개를 줄눈 간격만큼 이격시켜 마주한 형상은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벽돌 조적시 상기 상하방향으로 뻗는 이형철선이 상기 벽돌의 중앙구멍과 마주하는 2개의 측면홈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벽돌을 조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구멍과, 두 측면홈을 줄눈 간격만큼 이격시켜 맞댄 형상은 라운드진 직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의 측면홈은 벽돌의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있거나 벽돌의 양측면에 모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중앙구멍의 양측으로 제1측구멍과 제2측구멍을 더 구비하며, 그 형상이 라운드진 직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와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의 교차연결부의 연결은, 교차연결부에 픽스홀더를 끼운 후, 상기 픽스홀더와 동일한 피치를 하고 직경은 더 크며 길이는 더 짧은 고정용 픽스홀더를 다시 상기 픽스홀더의 양측으로 더 끼워 넣음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연결부의 입구는 이형철선의 두께보다는 넓고 픽스홀더의 두께보다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4. 창문의 상단에 배치되는 벽돌의 인방 보강을 위한 조적벽체 보강 공법으로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인방 벽돌을 조적하고 인방 벽돌의 구멍을 관 통하도록 이형철선을 배치하는 과정;
    상기 인방 벽돌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뻗도록 이형철선을 배치하는 과정;
    상기 두 이형철선을 연결하고 몰탈에 매립하는 과정;
    벽돌을 조적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5. 제 14항에 기재된 과정의 이행에 앞서,
    창문의 상단에 배치된 인방 벽돌을 포함하여 그 상부로 복수 단의 벽돌을 철거해내고 임시지지구로 지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두 이형철선의 연결은, 하단부에 인방고리부가 형성되고 그 인방고리부와 소정 간격 이격 위치하는 교차연결부가 형성된 인방고리형 이형철선, 또는 하단부에 인방고리부가 형성되고 소정 간격 이격 위치하는 상단부에 교차연결부가 형성된 인방지지전용 이형철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인방고리부는 이형철선의 하단을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이형철선 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그 입구는 대략 측상방향으로 트여진 형상이고,
    이형철선을 측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그 내부에 픽스홀더나 이형철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방 벽돌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 이형철선이, 상하방향으로 뻗는 교차연결형 이형철선과 연결되고, 몰탈로 매립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19. 제 14항, 제 15항 또는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방고리형 이형철선이나 그 상부에 더 연결된 교차연결형 이형철선이, 인방 벽돌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 이형철선 외의 좌우방향으로 뻗는 기본형 이형철선 또는 내벽 방향으로 배치되는 픽스홀더와 연결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20070027587A 2006-05-24 2007-03-21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790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587A KR100790019B1 (ko) 2007-03-21 2007-03-21 조적벽체 보강 공법
US12/227,588 US20090260312A1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s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GB0821279A GB2451787B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PCT/KR2007/002524 WO2007136233A1 (en) 2006-05-24 2007-05-23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587A KR100790019B1 (ko) 2007-03-21 2007-03-21 조적벽체 보강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019B1 true KR100790019B1 (ko) 2008-01-02

Family

ID=3921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587A KR100790019B1 (ko) 2006-05-24 2007-03-21 조적벽체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0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797A1 (ko) * 2011-04-19 2012-10-26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조적벽체 단열 및 보강 공법
KR101371098B1 (ko) * 2012-05-02 2014-03-10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조적벽체 보강 구조
KR101891102B1 (ko)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경량인방
KR20180131058A (ko) * 2017-05-31 2018-12-10 윤홍노 띄어 쌓기식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8745A (en) 1978-12-08 1980-06-13 Tsuneo Houjiyou Building of block wall
JPH02120451A (ja) * 1988-10-26 1990-05-08 Mitsuyoshi Watanabe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まぐさ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まぐさの構築方法
US6560938B1 (en) 1999-10-18 2003-05-13 John Powers, Jr. Box lintel
KR20060016212A (ko)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색필터 표시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60034153A (ko) * 2004-10-18 2006-04-21 최연수 외벽보강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8745A (en) 1978-12-08 1980-06-13 Tsuneo Houjiyou Building of block wall
JPH02120451A (ja) * 1988-10-26 1990-05-08 Mitsuyoshi Watanabe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まぐさ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まぐさの構築方法
US6560938B1 (en) 1999-10-18 2003-05-13 John Powers, Jr. Box lintel
KR20060016212A (ko)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색필터 표시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60034153A (ko) * 2004-10-18 2006-04-21 최연수 외벽보강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797A1 (ko) * 2011-04-19 2012-10-26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조적벽체 단열 및 보강 공법
KR101371098B1 (ko) * 2012-05-02 2014-03-10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조적벽체 보강 구조
KR20180131058A (ko) * 2017-05-31 2018-12-10 윤홍노 띄어 쌓기식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98629B1 (ko) * 2017-05-31 2020-04-08 윤홍노 띄어 쌓기식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91102B1 (ko)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경량인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0312A1 (en)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s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US8011637B2 (en) Concrete form system for low-clearance applications
KR100654781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US6266938B1 (en) Steel floor structure
KR101378793B1 (ko) 나사 조립식 마감캡을 갖는 절토부 패널옹벽
KR100790019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948670B1 (ko) 벽돌
KR200415963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JP6625988B2 (ja) メタログ構造物用の補強材
KR102127735B1 (ko) 내진보강형 칸막이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EP0476060A1 (en)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KR200421510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20080005708A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1965754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137915B1 (ko) 내진 보강을 위한 3축 홀더유닛을 이용한 치장벽돌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90018B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철선
KR200408599Y1 (ko)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KR102247640B1 (ko)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KR100595811B1 (ko) 건축물 옥상 벽체 보강구조
KR200419852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100711243B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102364921B1 (ko) 앵커 어셈블리
KR200235131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KR102028961B1 (ko) 강관파일 및 마이크로파일의 상부 정착구조
KR20110002820U (ko) 파이프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