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599Y1 -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 Google Patents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599Y1
KR200408599Y1 KR2020050031819U KR20050031819U KR200408599Y1 KR 200408599 Y1 KR200408599 Y1 KR 200408599Y1 KR 2020050031819 U KR2020050031819 U KR 2020050031819U KR 20050031819 U KR20050031819 U KR 20050031819U KR 200408599 Y1 KR200408599 Y1 KR 200408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corrugated
smooth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열
조추희
Original Assignee
김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열 filed Critical 김세열
Priority to KR2020050031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5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등의 콘크리트 골조 시공시 옥내 전기배선을 위해 매립되는 평활관과 주름관을 90도 각도로 수직하게 연결시키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에 매장되는 2개의 관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옥내 전기배관 연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관이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90도로 굽은 형태의 원통형으로 일체화된 곡선관부(20)와; 상기 곡선관부(20)의 수직된 일단과 수평된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2개의 주름관(2)을 조임마개(30)를 통해 수직 및 수평하게 체결하는 주름관체결부(10)와; 상기 곡선관부(20)에서 하단으로 소정길이로 수직하게 형성된 보강부(80)와; 상기 보강부(80)의 저부에 소정의 넓이로 수평하게 형성된 베이스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는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골조 성형시 옥내 전기배선관(평활관이나 주름관)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골조가 견고하고, 주름관을 억지로 구부릴 필요가 없기에 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연결커넥터, 주름관체결부, 평활관체결부, 철근고정부

Description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A Coupling Connector for Electric Pipe Arrangement}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골조 내에서 옥내 전기배관이 찌그러지는 현상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평활관과 주름관의 연결부위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인 평활관과 주름관의 연결부위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수직된 평활관이 지지철근에 지지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과 2개의 주름관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과 2개의 주름관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연결커넥터에 형성된 철근지지부에 지지철근이 삽입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연결커넥터에 형성된 철근지지부에 지지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철근지지부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활관과 주름관을 연결하는 연결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연결커넥터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가 콘크리트 골조 내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평활관 2 : 주름관
10 : 주름관체결부 20 : 곡선관부
30 : 조임마개 40 : 평활관삽입부
41 : 삽입홀 50 : 연결커넥터
70 : 철골조 80 : 보강부
90 : 베이스부
본 고안은 건축물 등의 콘크리트 골조 시공시 옥내 전기배선을 위해 매립되는 평활관과 주름관을 90도 각도로 수직하게 연결시키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에 전기 배선을 위해서 사용되는 방법은 콘크리트 매립시 전기 배선을 위한 관을 넣은 상태로 매립하고, 후일 전선을 관의 내부로 집어넣어 각각의 방에 전류를 공급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 경우 수직골조와 수평골조가 만나는 부위에는 전기 배선을 위한 평활관과 주름관의 연결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수단은 건축물이 건축되는 과정에서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 올라서기 위해서는 지면에 기초공사를 하고, 철근으로 건축물의 프레임을 짜게되고, 이렇게 철근으로 프레임이 짜여지게 되면, 전기배선이 옥내부에서 지저분하게 배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철근 내부로 관체들을 삽입하게 된다.
이는 주로 주름관의 형태가 많이 사용되는데, 차후에 발생되는 공정인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 과정에서 관체가 압력에 의해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의 전기배관이 삽입되면, 벽면의 틀을 형성시키기 위해 폼 등의 형틀을 이용하여 칸막이를 치는 공정이 필요하다.
상기의 공정이 있은 후 형틀 내부에 유체상의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콘크리트 골조를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철근 내부에 관체들을 삽입하는 단계에서 주름관을 직접 휘어 평활관에 억지 끼움의 형식으로 배열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또한 도 1 및 도2와 같이 주름관(2)을 꺽어 체결하는 방식과, 도 3과 같이 평활관(1)을 열로 굽힌 후에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결시키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문 제점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을 꺼어 체결하는 방식은 수직으로 내려오는 평활관(1)에 그 일단을 끼우고, 타측단에는 주름관(2)의 끝단을 꺽어 억지로 끼워 맞춰 체결하는 것이다. 이 경우 그 결합의 견고성을 위해 그 내부에 본드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시키고 있는데, 주름관(2)을 꺽게 되면 그 자체의 복원성(탄성력)을 가지고 있기에 작업이 힘들고, 철근(8)의 내부 중심부에 적정히 위치하지 못하다.
더욱이 유체상의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에는 그 힘이 상당하여 주름관(2)과 평활관(1)은 철근(8) 프레임의 내부 중심부에서 벗어나 어느 일측으로 삐져 나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콘크리트 골조(9) 자체의 내구성에 문제점을 가져올 소지도 있다. 즉, 골조(9)는 어느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은 고른 밀도를 가지며 경화되어야 가장 내구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또한 요즘의 폼을 이용한 벽면의 매끈한 형성은 별도의 미장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런데, 일부측면으로 검게 돌출된 평활관(1)이나 주름관(2)을 감추기 위해 별도의 미장작업을 발생시킬 소지도 있다. 더불어 이러한 커플링을 통한 관체들의 연결은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작업시 서로 해체될 소지도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평활관(1)을 불꽃(F)을 이용하여 꺽어 사용하는 방식은 수직으로 내려선 평활관(1)을 90도 각도록 꺽어 커플링(55)을 체결하고, 이 커플링(55)에 주름관(2)을 끼워 채결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가 작업하기 손쉽지 않고, 작업시간이 많이 발생되고, 또한 일단 한번 잘못 꺽여진 평활관을 다시 가열하여 꺽는 작업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4는 종래의 수직된 평활관이 지지철근에 지지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이 꺽인 평활관(1)은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지지철근(3)에 결속밴드(3)에 의해 묶여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지지철근(3)은 그 자체적으로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밑부분을 "??"자 형상 등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 지지철근은 대부분이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그 규격이 정확하지 못하고 정밀하게 만들어지지 못하여 정확한 수직상태가 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 등의 콘크리트 골조 시공시 옥내 전기배선을 위해 매립되는 2개의 관을 90도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곡선관부의 저면에 형성된 보강부에 의해 콘크리트 골조의 내부에서 콘크리트와 함께 결련된 상태로 양생되어 그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에 매장되는 2개의 관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옥내 전기배관 연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관이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90도로 굽은 형태의 원통형으로 일체화된 곡선관부와; 상기 곡선관부의 수직된 일단과 수평된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2개의 주름관을 조임마개를 통해 수직 및 수평하게 체결하는 주름관체결부와; 상기 곡선관부에서 하단으로 소정길이로 수직하게 형성된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저부에 소정의 넓이로 수평하게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선관부의 수직된 일단에 형성되는 주름관체결부는 그 내부에 평활관이 수용되어 설치되도록 그 내부의 내주면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된 수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선관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일단에는 평활관이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평활관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는 그 양측면에 상기 콘크리트가 결련되어 양생되도록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그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 어느 한쪽은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은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며 지지철근이 삽입되는 상부홀이 형성된 상부고정부와,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홀을 관통한 지지철근이 삽입되는 하부홀이 형 성된 하부고정부로 이루어진 철근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부의 상부홀과 하부고정부의 하부홀은 그 직경이 약10mm 이상이고, 상기 하부고정부의 높이는 약5~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과 2개의 주름관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과 2개의 주름관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연결커넥터에 형성된 철근지지부에 지지철근이 삽입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연결커넥터에 형성된 철근지지부에 지지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철근지지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활관과 주름관을 연결하는 연결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연결커넥터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가 콘크리트 골조 내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50)는 2개의 관이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90도로 굽은 형태의 원통형으로 일체화된 곡선관부(20)의 수직된 일단과 수평된 일단에는 2개의 주름관(2)을 조임마개(30)를 통해 수직 및 수평하게 체결하는 주름관체결부(10)가 각가 구비되고, 곡선관부(20)에서 하단으로 소정길이로 수직하게 보강부(80)가 형성되며, 보강부(80)의 저부에는 소정의 넓이로 수평하게 베이스부(90)가 형성된다.
주름관체결부(10)는 그 세부적인 구성으로 내부로 주름관(2)을 삽입시키는 삽입공(11)이 형성되고, 삽입공(11)은 외주면에 성형된 나사부(12)를 가지며, 나사부(12)의 끝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임마개(30)의 전진을 제어하는 스톱링부(13)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임마개(3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이며 상기 주름관체결부(10)와 대응하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류부(31)와 타측단부 내주면으로 돌출된 걸림단턱부(32)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름관체결부(10)에 주름관(2)을 끼워 넣을 때에는 전술된 평활관(1)과 동일하게 어느 일측의 주름관체결부 삽입공(11)에 주름관(2)을 밀어 넣고, 조임마개(30)를 밀어 넣어 단단한 체결을 이룬다.
따라서, 주름관체결부(10)의 나사부(12)와 조임마개(30)의 스크류부(31)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주게 되면, 주름관(2)의 굴곡부위를 조임마개(30)의 걸림단턱(32)이 잡아 더 이상의 후퇴를 차단하며 견고히 체결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 보강부(80)는 그 양측면에 상기 콘크리트가 스며든 상태로 결련되어 그 구조가 튼튼히 양생되도록 주름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90)는 그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체결홀(91)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 어느 한쪽은 결합돌기(93)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은 결합홈(95)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커넥 터(50)의 일측에는 지지철근(6)을 고정시킬 수 있는 철근고정부가 더 구비된다. 이 철근고정부는 지지철근(6)이 관통되는 상부홀(24)이 형성된 상부고정부(22)가 곡선관부(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베이스부(90)에는 하부홀(94)이 형성된 하부고정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철근(6)이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상부고정부(22)와 하부고정부(92)가 일직선이 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철근(6)은 보통 그 직경이 10mm이므로, 상부홀(24)과 하부홀(94)의 지름은 10mm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지철근(6)을 더욱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 하부고정부(92)의 높이를 약5~20mm 정도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9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다리(97)를 설치하여 하부고정부(92)의 높이를 수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곡선관부(20)는 그 수직된 일단에는 평활관(1)이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그 내부의 내주면을 따라 걸림턱(23)이 형성된 수용부(21)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조임마개(30)를 분리시킨 후, 평활관(1)을 삽입시키면 평활관(1)은 쉽게 설치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하부고정부(92)를 베이스부(9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다리(97)는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하부고정부(92)의 하부홀(94)이 형성되는 상부면을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지지철근(6)이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커넥터(50)는 90도로 절곡된 곡선관부(20) 일단의 수평한 부분의 일단에는 주름관(2)이 조임마개(30)를 통해 수평하게 끼워져 체결될 수 있게 주름관체결부(10)가 형성되어 있고, 곡선관부(20) 타단의 수직한 부분의 일단에는 평활관(1)이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평활관삽입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활관삽입부(40)는 그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41)에 평활관(1)이 수직하게 삽입되므로 평활관(1)은 평활관삽입부(4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평활관(1)의 보다 확실한 체결을 위해 평활관(1)의 외주면에 접착제나 본드 등을 도포하여 끼워 넣으면 웬만한 충격에도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재(92)의 양측에서 어느 한쪽은 결합돌기(93)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은 결합홈(9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수만큼 다수개의 연결커넥터(50)를 나란히 정렬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연결커넥터(50)는 나란히 정렬되므로 그 공간을 적개 차지하고 서로 지지된 상태이므로 그 구조를 더욱 튼튼히 하여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50)를 통해 2개의 관이 90도로 골조(9) 내부에 콘크리트 매장시킬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90)는 베이스판재(92)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다리(97)를 거푸집(미도시)에 수평하게 지지시켜 연결커넥터(50)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주름관(2) 또는 평활관(1)과 주름관(2)을 90도로 견고히 연결시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주름관(2)이 절곡되어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보강부(80)의 앞뒤 길이를 최소화시켜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50)를 철근(73)의 사이에 안정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주름관(2)을 연결할 때는 각각의 조임마개(30)를 이용하여 곡선관부(20)의 수직된 일단과 수평된 타단에 2개의 주름관(2)을 수직 및 수평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수직된 주름관(2)은 상부고정부(22)와 하부고정부(92)에 끼워지는 지지철근(6)에 철사 또는 밴드(4)를 묶어 수직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베이스부(90)를 거푸집 판넬의 상부에 고정시켜 연결커넥터(50)는 유체 상태의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도 흔들림이 없이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는 보강부(80)의 주름부(81)에 침투하여 양생되므로 연결커넥터(50)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곡선관부(20)의 수평된 일단에 주름관(2)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수 직된 타단에 평활관(1)을 결합시킬 수 있는 평활관삽입부(40)가 형성된 때에는 수직으로 내려선 평활관(1)을 곡선관부(20)의 평활관삽입부(40)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끼워 넣는다.
그리고, 베이스부(90)의 고정 및 콘크리트 타설은 위에 언급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는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골조 성형시 옥내 전기배선관(평활관이나 주름관)을 90도 각도로 설치시킨 후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콘크리트 골조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 사용으로 주름관을 억지로 구부릴 필요가 없기에 작업이 편리하다. 특히, 본 고안의 연결커넥터를 사용하면 부드럽게 굽어진 곡선관을 따라 전선의 배열과 인입이 쉽기에 전선 배선에도 유용하다.

Claims (7)

  1. 건축물의 콘크리트에 매장되는 2개의 관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옥내 전기배관 연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관이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90도로 굽은 형태의 원통형으로 일체화된 곡선관부(20)와;
    상기 곡선관부(20)의 수직된 일단과 수평된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2개의 주름관(2)을 조임마개(30)를 통해 수직 및 수평하게 체결하는 주름관체결부(10)와;
    상기 곡선관부(20)에서 하단으로 소정길이로 수직하게 형성된 보강부(80)와;
    상기 보강부(80)의 저부에 소정의 넓이로 수평하게 형성된 베이스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관부(20)의 수직된 일단에 형성되는 주름관체결부(10)는 그 내부에 평활관(1)이 수용되어 설치되도록 그 내부의 내주면을 따라 걸림턱(23)이 형성된 수용부(21)가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관부(20)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일단에는 평활관(1)이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평활관삽입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80)는 그 양측면에 상기 콘크리트가 결련되어 양생되도록 주름부(8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90)는 그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체결홀(91)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 어느 한쪽은 결합돌기(93)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은 결합홈(9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관부(20)에 형성되며 지지철근(6)이 삽입되는 상부홀(24)이 형성된 상부고정부(22)와, 베이스부(9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홀(24)을 관통한 지지철근(6)이 삽입되는 하부홀(94)이 형성된 하부고정부(92)로 이루어진 철근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22)의 상부홀(24)과 하부고정부(92)의 하부홀(94)은 그 직경이 약10mm 이상이고, 상기 하부고정부(92)의 높이는 약5~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KR2020050031819U 2005-11-09 2005-11-09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KR200408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819U KR200408599Y1 (ko) 2005-11-09 2005-11-09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819U KR200408599Y1 (ko) 2005-11-09 2005-11-09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599Y1 true KR200408599Y1 (ko) 2006-02-13

Family

ID=4175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819U KR200408599Y1 (ko) 2005-11-09 2005-11-09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5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00B1 (ko) * 2013-10-30 2015-06-05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KR102079806B1 (ko) * 2019-08-06 2020-02-20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WO2020184788A1 (ko) * 2019-03-11 2020-09-17 주식회사 한양오씨에스 커넥터 일체형 전선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00B1 (ko) * 2013-10-30 2015-06-05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WO2020184788A1 (ko) * 2019-03-11 2020-09-17 주식회사 한양오씨에스 커넥터 일체형 전선관
KR102079806B1 (ko) * 2019-08-06 2020-02-20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5468B2 (en) Stay-in-place footing 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0654781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200408599Y1 (ko)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KR100945461B1 (ko)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가설방음벽
CN112663804A (zh) 真空绝热材料设置组件
KR101766810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0790019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CN115162507B (zh) 一种装配式框架梁柱连接节点及施工方法
KR102143876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350167Y1 (ko)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관
JP2004190350A (ja) 鉄筋籠並びに鉄筋籠組込鋼管及び充填型鋼管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施工方法
KR200196694Y1 (ko) 거푸집 휨방지 파이프 결합구
KR101536352B1 (ko) 단열패널 고정철물 및 그를 이용한 단열패널 시공방법
KR20170044240A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CN215484690U (zh) 一种装拆便捷式斜撑基座
KR102110597B1 (ko) 옹벽 설치 구조
KR102113869B1 (ko) 안전발판 설치구조
KR101623728B1 (ko)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KR20090061327A (ko) 호형구조물용 내/외장재 패널 조립시스템
KR102069445B1 (ko) 다중 록킹존 형성을 통한 벽돌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치장벽체의 시공 방법
KR101526200B1 (ko)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KR20080005708A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200426159Y1 (ko) 슬래브 매입형 배관 연결장치
KR102634525B1 (ko) 배선박스용 가이드 유닛
KR1003446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