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806B1 -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9806B1 KR102079806B1 KR1020190095772A KR20190095772A KR102079806B1 KR 102079806 B1 KR102079806 B1 KR 102079806B1 KR 1020190095772 A KR1020190095772 A KR 1020190095772A KR 20190095772 A KR20190095772 A KR 20190095772A KR 102079806 B1 KR102079806 B1 KR 1020798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terminal box
- level
- circumferential surface
- level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되고, 개방된 저면이 바닥면에 설치되며, 외측면에 배관이 인입되는 복수의 접속부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 상기 복수의 접속부 각각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접속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접속부로 인입된 상기 배관을 고정 시키는 카프링; 및 일측이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접속부에 인입되어 상기 카프링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에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안내하는 레벨부재가 구비된 레벨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레벨표시부를 단자박스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접속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콘트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등 기타 건축물 공사시 매 층마다 건축 바닥면을 시공하는 단계인 콘크리트 타설전에 상기 건축물 바닥면에 전기, 통신, 소방 분야에서 조명, 전열, 전화, TV, 방송 CCTV, 주차관제, 감지기 등 용으로 다수개의 매입형 단자박스를 매입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자박스는 통상적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고, 조명이나 전열, 전화, TV, 방송 또는 CCTV, 주차관제, 감지기 등을 목적으로 하는 다수개의 접속구가 단자박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단자박스는 콘크리트에 의한 건축물 바닥의 시공 단계 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할 수 있는 거푸집을 눕혀 바닥면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거푸집 바닥면 전체에 전기, 통신 및 소방 등의 분야에서 필요한 단자박스 다수개를 바닥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 하고, 단자박스와 단자박스 사이로 전선 또는 케이블을 입선 시킬 수 있는 배관을 연결 설치 시공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에 의한 건축물 바닥의 시공 단계 전 바닥면에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할 수 있는 레벨봉을 설치하게 된다.
레벨봉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고,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막대나 블록 형태의 표시기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콘크리트가 타설될 바닥면에는 배관이 연결되는 단자박스와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레벨봉 외에도 다수의 철근 및 건축부재들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될 바닥면에 설치된 부재들은 작업자의 이동 중 또는 다른 작업 중에 작업자의 발에 밟히거나 치이는 등의 이유로 기 설치된 위치가 변경되거나 이러한 과정에서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알려주는 레벨봉은 건축물의 바닥면, 즉, 거푸집의 바닥면에 작업자가 못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바닥면에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시간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못과 같은 체결수단 통해 레벨봉을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하기 위해 일정 무게를 가지는 망치를 항상 소지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줄어들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레벨표시부를 단자박스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접속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는 내부가 중공되고, 개방된 저면이 바닥면에 설치되며, 외측면에 전기, 통신, 소방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이 입선된 배관이 결합되는 복수의 접속부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 상기 복수의 접속부 각각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접속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접속부로 인입된 상기 배관을 고정 시키는 카프링; 및 일측이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접속부에 인입되어 상기 카프링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에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안내하는 레벨부재가 구비된 레벨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프링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내주면 하부에 상기 접속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 일측이 상기 몸체의 타측 내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배관의 인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편; 및 상기 걸림편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타측이 상기 카프링의 내주면과 예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연장되어 상기 카프링의 내주면을 향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표시부는, 상기 접속부에 인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카프링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의 높이조절면이 형성된 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부재는 내주면에 상기 높이조절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면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부재는, 중심이 관통된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레벨표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형태의 높이조절면을 따라 승강 및 하강 하는 승강플레이트; 및 일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타측이 상부를 향해 연장된 레벨편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편은, 펼쳐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표시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외주면에, 상기 레벨부재의 높이를 측정하는 제1 측정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표시부는, 상기 제1 측정눈금의 가장 하단의 위치에 권취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을 향해 권출되는 권취측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측정부재는 내주면에 상기 바닥면부터 상기 제1 측정눈금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제2 측정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표시부는, 상기 레벨부재의 표면에 반사부재, 야광부재, 발광부재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벨표시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측정하기 위한 수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선 또는 상기 케이블은, 조명, 전열, 전화, TV, 방송, CCTV, 주차관제, 감지기에 대응하는 전선 또는 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나사 못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접속부에 레벨표시부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레벨표시부가 바닥면에 설치된 하우징의 접속부 중 배관이 결합되지 않은 접속부에 결합됨으로써 레벨표시부를 바닥면에 별도로 고정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의 레벨표시부의 결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의 권취측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의 레벨표시부의 결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의 권취측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레벨표시부(300)를 단자박스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110) 중 배관(101)이 겹합되지 않은 접속부(110)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레벨표시부(300)를 바닥에 별도로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거푸집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이 후, 단자박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접속부(110)의 내부로 전기, 통신, 소방 분야에서 사용되는 조명, 전열, 전화, TV, 방송, CCTV, 주차관제, 감지기 등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선 또는 케이블이 입선된 배관(101)이 접속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의 레벨표시부(300)의 결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는 복수의 접속부(110)가 형성된 하우징(100), 접속부(110) 각각에 결합되는 카프링(200) 및 접속부(110)에 인입되는 레벨표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00)은 콘크리트가 타설될 거푸집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형태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측은 거푸집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의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4각 외에 8각 등 다양한 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측면 하부에는 고정플랜지가 복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바닥면에 위치된 후 고정플랜지에 나사 못과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하우징(100)을 거푸집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체결플랜지가 하우징(100)의 외측에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체결플랜지의 일측은 하우징(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체결플랜지의 타측은 하우징(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체결플랜지의 일측은 거푸집에 콘크리트 매설 후 하우징(100)과 콘크리트의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플랜지의 타측은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는 커버를 체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각 면마다 하나 이상의 접속부(1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10)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의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10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카프링(200)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설치된 접속부(110)에는 건축 공사 시 사용되는 배관(101)이 인입될 수 있으며, 배관(101)을 통해 접속부(110)로 입선된 전선 또는 케이블 등은 접속부(110)를 통과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참고로, 배관(101)은 관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배관(10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배관(101)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홈은, 배관(101)이 휘어질 때, 외측 곡률반경과, 내측곡률 반경을 다르게 함으로써 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101)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홈은 후술하는 카프링(200)의 걸림돌기(230)가 걸림으로써 배관(101)이 접속부(110)에 인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배관(101)에 입선된 전선 또는 케이블은 전기, 통신, 소방 분야에서 사용되는 조명, 전열, 전화, TV, 방송, CCTV, 주차관제, 감지기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우징(100)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110) 각각에는 카프링(200)이 결합될 수 있다. 카프링(200)은 접속부(110) 각각에 결합되고, 접속부(110)로 인입된 배관(10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카프링(200)은 후술하는 레벨표시부(300)가 접속부(110)에 인입될 때 레벨표시부(300)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카프링(200)은 몸체(210), 걸림편(220) 및 걸림돌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프링(200)의 몸체(210)는 하우징(100)의 형성된 접속부(11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을 갖고, 양측이 개구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속부(110)를 향한 몸체(210)의 일측을 몸체(210)의 하부로 정의하여 설명하고, 몸체(210)의 타측을 몸체(210)의 상부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몸체(210)의 하부 내주면에는 접속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210)는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접속부(110)를 감싸도록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몸체(210)의 가장 상부는 접속부(110)와 나사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몸체(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몸체(210)의 하부뿐 아니라 몸체(210)의 상부까지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210)의 상부 내주면에는 접속부(110)에 인입된 배관(101) 또는 레벨표시부(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편(220) 및 걸림돌기(230)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걸림편(220)은 일측이 몸체(21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배관(101)의 인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몸체(210)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걸림편(220)은 몸체(210)의 상부 내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편(220)의 타측은 몸체(210)의 내주면으로부터 예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편(220)은 외력이 가해지면 몸체(210)의 내주면을 향해 압축되고,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구될 수 있다.
걸림편(220)의 타측 단부에는 걸림돌기(23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30)는 걸림편(220)의 타측 단부에서 몸체(210)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걸림돌기(230)는 접속부(110)에 인입된 배관(101)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걸어짐으로써 배관(101)이 접속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230)는 후술할 레벨표시부(300)가 접속부(110)에 인입되면, 레벨표시부(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311)에 걸어짐으로써, 레벨표시부(300)가 접속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프링(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230) 중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230)와, 반대면에 마주보는 걸림돌기(230)의 사이 선폭은 이후에 설명할 레벨표시부(300)의 지지부(31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110) 중 어느 하나의 접속부(110)에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안내하는 레벨표시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레벨표시부(300)는 카프링(200)에 의해 접속부(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레벨표시부(300)는 일측이 접속부(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레벨표시부(300)에 구비된 레벨부재(330)를 통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건축 공정을 설명하면 하우징(100)은 건축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거푸집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공사를 담당하는 공사 책임자가 설계도면을 확인하고, 하우징(100)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110)들 중 배관(101)이 접속될 어느 하나의 접속부(110)를 펜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100)에는 다각의 면 모두에 접속부(110)가 형성되지만, 실제로 복수의 접속부(110)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형성된 접속부(110)에만 배관(101)이 결합될 수 있다.
레벨표시부(30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110)들 중 선택된 접속부(110)에 배관(101)이 결합된 후, 배관(101)이 결합되지 않은 접속부(110)들 중 하나에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레벨표시부(300)는 지지부(310), 기립부(320) 및 레벨표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0)는 단면이 접속부(110)의 단면과 대응하게 형성되어 접속부(110)에 인입될 수 있다. 지지부(310)의 일측은 접속부(110)에 인입되고, 타측은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되도록 절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310)의 절곡된 부위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지지부(310)의 절곡 각도를 조절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10)의 절곡 부위는 내부에 복수의 철심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접속부(110)에 인입되는 지지부(310)의 일측 외주면에는 카프링(200)의 걸림돌기(230)에 대응하는 걸림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310)가 접속부(110)에 인입되면 걸림돌기(230)가 지지부(310)의 걸림홈(311)에 걸림으로서 지지부(310)가 계속해서 접속부(110)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230)는 카프링(20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기 때문에 걸림돌기(230)가 지지부(310)의 걸림홈(311)에 걸린 상태에서는 지지부(310)가 접속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립부(320)는 지지부(310)에 연결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기립부(3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태의 높이조절면이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면에는 후술하는 레벨부재(33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높이조절면은 나사산을 통해 레벨부재(330)의 승강 및 하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립부(320)의 일측에는 수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수평부재는 기립부(320)의 수직 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높이조절면에는 제1 측정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정눈금은 높이조절면의 가장 하단부터 예정된 위치의 레벨부재(330)까지의 높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측정눈금의 단위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측정눈금의 단위는 센티미터 (centimeter) 또는 밀리미터(millimeter) 단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벨부재(33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면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높이조절면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하거나 하강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안내할 수 있다.
레벨부재(3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벨부재(330)는 승강플레이트(331) 및 레벨편(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승강플레이트(331)는 중심이 관통된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플레이트(331)의 관통된 중심의 내주면에는 높이조절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승강플레이트(331)는 높이조절면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높이조절면으로부터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다.
승갈플레이트의 외측 둘레에는 레벨편(332)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벨편(332)의 일측은 승강플레이트(331)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고, 레벨편(332)의 타측은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레벨편(332)은 승강플레이트(33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레벨편(332)은 승강플레이트(331)를 따라 지지부(310)로부터 승강 및 하강하여 작업자에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는 레벨편(332)의 가장 상부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레벨편(332)은 외력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레벨편(332)의 펼쳐지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레벨편(332)은 펼쳐지는 정도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벨부재(330)는 표면에 반사부재, 야광부재 또는 발광부재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벨부재(330)는 먼 위치의 작업자에게도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벨부재(330)는 반사부재 또는 야광부재 또는 발광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인해, 야간에도 작업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레벨부재(330)의 하부에는 고정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승강플레이트(331)와 마찬가지로 중심이 관통된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는 관통된 중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면을 따라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는 레벨부재(330)의 하부와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레벨부재(330)가 의도치 않게 회전됨으로써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의 외측에는 잡업자가 고정부재를 쉽게 회전시키기 위한 파지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의 레벨표시부(300)의 결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
도 4 및 도 5를 통해 레벨표시부(300)와 접속부(11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벨표시부(30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110) 중 배관(101)이 결합된 접속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접속부(1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레벨표시부(300)의 지지부(310)가 접속부(110)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지지부(310)는 카프링(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편(220) 및 걸림돌기(230)를 밀어 내면서 인입될 수 있다. 이 때, 카프링(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편(220)은 카프링(200)의 내주면을 향해 압축될 수 있다.
이어서, 지지부(310)가 계속해서 인입되고, 카프링(200)의 걸림돌기(230)가 지지부(31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311)에 위치되면 압축됐던 걸림편(220)이 팽창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카프링(200)의 걸림돌기(230)는 지지부(310)의 걸림홈(311)에 완전히 끼워지면서 지지부(310)재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는 작업자가 별도의 고정수단(나사 못 등) 없이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레벨표시부(300)를 접속부(1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벨표시부(300)가 바닥면에 설치된 하우징(100)의 접속부(110) 중 배관(101)이 결합되지 않은 접속부(110)에 결합됨으로써 레벨표시부(300)를 바닥면에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의 권취측정부재(35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레벨표시부(300)의 기립부(320)에는 권취측정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권취측정부재(350)는 기립부(320)의 높이조절면에 형성된 제1 측정눈금의 가장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권취측정부재(350)는 초기 상태가 롤 형태로 권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권취측정부재(350)는 작업자가 단부를 잡아당기면 권출되고, 작업자가 권출된 권취측정부재(350)로부터 손을 놓으면 다시 초기의 상태로 권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권취측정부재(350)의 일면에는 제2 측정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정눈금은 하우징(100)이 설치된 바닥면에서부터 높이조절면의 가장 하단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측정눈금의 단위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측정눈금의 단위는 센티미터 (centimeter) 또는 밀리미터(millimeter) 단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닥면에 설치된 하우징(100)의 접속부(110)에 레벨표시부(300)를 결합할 때, 작업자는 권취측정부재(350)를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높이조절면까지의 측정된 값과, 높이조절면의 하단에서부터 레벨부재(330)까지 측정된 값을 합산하여 레벨부재(330)의 전체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는 높이가 서로 다른 하우징(100)에 레벨표시부(300)를 결합시키더라도, 권취측정부재(350)를 통해 바닥면부터 레벨부재(330)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접속부
200: 카프링
210: 몸체
220: 걸림편
230: 걸림돌기
300: 레벨표시부
310: 승강플레이트
320: 레벨편
110: 접속부
200: 카프링
210: 몸체
220: 걸림편
230: 걸림돌기
300: 레벨표시부
310: 승강플레이트
320: 레벨편
Claims (10)
- 내부가 중공되고, 개방된 저면이 바닥면에 설치되며, 외측면에 전기, 통신, 소방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이 입선된 배관이 결합되는 복수의 접속부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
상기 복수의 접속부 각각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접속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접속부로 인입된 상기 배관을 고정 시키는 카프링; 및
일측이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접속부에 인입되어 상기 카프링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에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안내하는 레벨부재가 구비된 레벨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표시부는,
상기 접속부에 인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카프링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의 높이조절면이 형성된 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부재는 내주면에 상기 높이조절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면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프링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내주면 하부에 상기 접속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 및
일측이 상기 몸체의 타측 내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배관의 인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편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타측이 상기 카프링의 내주면과 예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연장되어 상기 카프링의 내주면을 향해 탄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부재는,
중심이 관통된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레벨표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형태의 높이조절면을 따라 승강 및 하강 하는 승강플레이트; 및
일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타측이 상부를 향해 연장된 레벨편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편은, 펼쳐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표시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외주면에, 상기 레벨부재의 높이를 측정하는 제1 측정눈금이 표시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표시부는,
상기 제1 측정눈금의 가장 하단의 위치에 권취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을 향해 권출되는 권취측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측정부재는 내주면에 상기 바닥면부터 상기 제1 측정눈금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제2 측정눈금이 표시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표시부는,
상기 레벨부재의 표면에 반사부재, 야광부재, 발광부재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표시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측정하기 위한 수평부재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또는 상기 케이블은,
조명, 전열, 전화, TV, 방송, CCTV, 주차관제, 감지기에 대응하는 전선 또는 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5772A KR102079806B1 (ko) | 2019-08-06 | 2019-08-06 |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5772A KR102079806B1 (ko) | 2019-08-06 | 2019-08-06 |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9806B1 true KR102079806B1 (ko) | 2020-02-20 |
Family
ID=6964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5772A KR102079806B1 (ko) | 2019-08-06 | 2019-08-06 |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980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755A (ko) * | 2021-02-15 | 2022-08-23 | 김태민 | 전기 배선 공사용 결선 박스 및 공사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0579A (ko) * | 1997-10-01 | 1999-05-06 | 조인권 |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
KR200408599Y1 (ko) * | 2005-11-09 | 2006-02-13 | 김세열 |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
KR20140080604A (ko) * | 2012-12-12 | 2014-07-01 | (주)케이에스피아이피 |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 |
-
2019
- 2019-08-06 KR KR1020190095772A patent/KR1020798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0579A (ko) * | 1997-10-01 | 1999-05-06 | 조인권 |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
KR200408599Y1 (ko) * | 2005-11-09 | 2006-02-13 | 김세열 |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
KR20140080604A (ko) * | 2012-12-12 | 2014-07-01 | (주)케이에스피아이피 |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매립함과 고정구를 함께 고정가능한 고정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755A (ko) * | 2021-02-15 | 2022-08-23 | 김태민 | 전기 배선 공사용 결선 박스 및 공사 방법 |
KR102529538B1 (ko) | 2021-02-15 | 2023-05-04 | 김태민 | 전기 배선 공사용 결선 박스 및 공사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09190B2 (en) | Low profile raceway | |
KR102079806B1 (ko) |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
KR102033485B1 (ko) |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배관 벽체 고정장치 | |
KR20210135954A (ko) |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 |
US8177086B2 (en) | Electrical box and stand and method for using same | |
US20030089818A1 (en) | A reel for paying out elongate elements for interior cabling of buildings | |
KR102410814B1 (ko) | 가요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천장 고정판 | |
KR102007884B1 (ko) | 낙하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기구 | |
KR100639102B1 (ko) | 공동주택 전기설비용 결속행거 | |
US4754947A (en) | Hanger adapter | |
KR20180083564A (ko) |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 |
KR102207747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 |
KR102017336B1 (ko) |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 |
US20090218453A1 (en) | Pipe support block | |
JP2756455B2 (ja) | 空調機における室外機の仮載置具 | |
KR102158084B1 (ko) | 와이어웨이 장치 | |
WO2000074190A1 (fr) | Bâti décoratif | |
KR102423033B1 (ko) | 매립형 전선박스용 벽걸이 거치대의 고정장치 | |
CN111244839A (zh) | 一种电气配管保护装置 | |
KR19990030579A (ko) |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 |
KR102513471B1 (ko) |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 | |
US11901718B1 (en) | Mono-point ceiling suspended device connector with integral plumbing and orientation alignment mechanism | |
CN110573921A (zh) | 光缆连接设备 | |
CN108957667B (zh) | 一种光缆分纤箱 | |
US10941546B2 (en) | Mechanical electrical plumbing tun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