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336B1 -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7336B1 KR102017336B1 KR1020170080046A KR20170080046A KR102017336B1 KR 102017336 B1 KR102017336 B1 KR 102017336B1 KR 1020170080046 A KR1020170080046 A KR 1020170080046A KR 20170080046 A KR20170080046 A KR 20170080046A KR 102017336 B1 KR102017336 B1 KR 1020173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bar
- concrete
- height
- level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시공시 슬래브 구축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그의 두께를 정확하게 가늠하여 몰탈을 타설할 수 있도록 하며 슬래브 앵커로서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배근되는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철근에 걸리는 걸고리 형태의 하부고리; 상부철근에 휘감기되 상부철근을 감싼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고리; 일단은 상기 하부고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고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상기 상부고리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높이표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시공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건축시공시 슬래브 구축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그의 두께를 정확하게 가늠하여 몰탈을 타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구조물 시공시 바닥슬래브에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하여 건물의 층바닥을 구축하게 된다.
슬래브를 구축시 그의 두께는 건물의 설계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공장의 경우 그 두께가 두껍게 설계될 것이며, 주거용 아파트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슬래브의 두께가 얇게 설계될 것이다. 시공자는 현장의 설계기준에 따라 슬래브의 두께를 맞추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높이를 세밀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고 작업자로 하여금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 표시기구가 필요하다.
관련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81394호가 있다. 이는 하측으로 철근이 끼워져서 측방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밑면과 측면이 개구된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의 하측으로는 탄력을 가지는 훅크부가 마주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홈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홈에 선단을 꽂을 수 있는 나사축과, 일단이 측방으로 확장된 기준 표시부를 가지고 상기 나사축에 나사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표시구를 포함하고 있는 표시기구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면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타설높이 표시구가 직선 형태의 철근이나 십자형태의 철근 구조물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구조가 복잡하고 타설 후 제품을 콘크리트 몰탈 속에 매몰시켜야 하므로 일회성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그래서 경제적 손실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높이 세팅과정시 세팅작업이 쉽지 않아 작업시간이 연장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55549호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지시하는 기준기에 관한 것으로, 하측이 길이 방향으로 개구되어 철근에 끼워 고정되게 하는 원통형의 철근결합부와, 철근결합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고, 철근결합부가 자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근결합부의 상부에 상위철근 밑에 받쳐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방지부를 포함하되, 회동방지부의 선단 상부에 지렛목을 설치하여서 되는 기준기를 제공한다. 본 종래기술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부위를 작업자가 밟고 지나다니거나 수레가 지나간다 하더라도 파손의 염려가 적게 하면서도, 철근에 철근결합부를 끼워 넣는 작업이 용이하게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높이차이에 대하여 미세한 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목적과는 관계가 없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시공시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할 때 그의 높이를 일정하고도 신속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 속에 파묻히더라도 다시금 오뚜기처럼 일어설 수 있음으로써 설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며, 높이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배근되는 상부철근(3)과 하부철근(2)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은 하부철근(2)에 걸리는 걸고리(12) 형태로 구비되고, 상단(41b)은 링 형태로 되어 있는 하부고리(10);
상부철근(3)에 휘감기되 상부철근(3)을 감싼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고리(31);
상기 상부고리(31)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태의 레벨봉(30);
상기 레벨봉(30)에 설치되고, 레벨봉(3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표시구(33);
탄성소재로 상기 표시구(33)가 레벨봉(3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표시구(33)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스토퍼(34, 35);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일단은 상기 하부고리(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고리(31) 하단(32)에 연결되는 탄성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은 하부철근(2)에 걸리는 걸고리(12) 형태로 구비되고, 상단(41b)은 링 형태로 되어 있는 하부고리(10);
상부철근(3)에 휘감기되 상부철근(3)을 감싼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고리(31);
상기 상부고리(31)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태의 레벨봉(30);
상기 레벨봉(30)에 설치되고, 레벨봉(3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표시구(33);
탄성소재로 상기 표시구(33)가 레벨봉(3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표시구(33)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스토퍼(34, 35);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일단은 상기 하부고리(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고리(31) 하단(32)에 연결되는 탄성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벨봉(30)의 상단은 콘크리트 타설을 마치고 빼낼 때 손이나 도구를 끼워 걸수 있도록 "C"형 또는 "O"형으로 구비되는 고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축시공시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할 때 그의 높이를 일정하고도 신속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가 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레벨봉과 레벨봉 설치수단은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함으로써 묻히거나 발로 밟아 쓰러지는 경우에도 쉽게 다시 원상태로 일으켜세울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구가 레벨봉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음으로써 표시구의 높이를 미세하고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설치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설치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설치상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먼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기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설치상태도이며, 도 3은 설치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표시구는, 직선 형태로 연장된 구간을 포함하는 레벨봉(30)과, 이 레벨봉(30)을 바닥면(1)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하기 위한 레벨봉 설치수단을 포함한다. 눈에 잘 띄도록 되어 있는 표시구(33)가 레벨봉(30)에 설치된다. 레벨봉(30)은 철사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표시구(33)는 여기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간에 끼움홈이 마련되어 있다. 작업자는 표시구(33)를 잡고 레벨봉(30)을 따라 상하방향(K)으로 움직일 수 있다. 레벨봉(30)은 쉽게 절곡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구(33)는 예를 들어 노란색이나 흰색과 같이 콘크리트와 잘 대비되어 눈에 잘 띄도록 되어 있는 원판 형태의 합성수지로 되어 있다. 표시구(33)는 야간 식별력 향상을 위해 형광페인트로 도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표시구(33)와 바닥면(F) 사이의 높이(H)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준이 된다.
표시구고정수단은 표시구(33)로 하여금 레벨봉(30)의 직선부위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 의할 때 표시구고정수단은 레벨봉(30)을 탄성으로 감쌀 수 있도록 된 스토퍼(34,35)일 수 있다.
스토퍼(34,35)는 링형상의 탄성소재로 되어 있으며 표시구(3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표시구(33)가 스토퍼(34,35)를 넘어서까지 유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물론 스토퍼(34,35)는 레벨봉(30)을 따라 화살표(K) 방향으로 쉽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만 스토퍼(34,35)는 소재 특성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스스로 또는 작은 힘에 의해서는 흘러내리거나 유동하지 못한다. 스토퍼(34,35)를 표시구(33) 상하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표시구(33)는 그 자리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레벨봉(30)의 상단은 "C"형 또는 "O"형으로 되어 있는 고리(36)가 설치될 수 있다. 이것은 레벨봉(3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마치고 빼낼 때 손이나 도구를 끼워 걸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뾰족한 것이 바닥에 거꾸로 세워져 있으면 부상을 입을 우려도 있는데 고리(36)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도 한다. 작업자는 손가락이나 철근 등을 고리에 끼워 몰탈에 묻힌 레벨봉(30)을 용이하게 들어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높이표시기구를 슬래브 앵커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벨봉 설치수단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레벨봉 설치수단은 상부고리(31), 하부고리(10)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레벨봉(30')은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배근되는 상부철근(3)과 하부철근(2)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하단이 걸고리(12) 형태로 된 하부고리(10)가 하부철근(2)에 걸린다. 하부고리의 하단은 철근을 감쌀 수 있도록 "C"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단(41b)은 탄성부재(42)을 끼울 수 있는 링형태로 되어 있다.
상부고리(31)가 상부철근(3)에 휘감기되 상부철근(3)을 감싼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벨봉(30')은 상부고리(31)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레벨봉(30)은 이 상부고리(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 제작후 용접 등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20)가 일단은 하부고리(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고리(31)에 연결된다 이 탄성부재(20)는 상부고리(31)의 하단(32)을 수직하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레벨봉(30)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부고리(31)는 상부철근(3)을 1 ~ 2회 휘감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부철근(3)의 외주면을 압박하지 않아 그의 주변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레벨봉(30)을 바닥면(1)을 의지하지 않고서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높이표시기구는 거푸집을 설치할 때 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한 인장선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래브 앵커로써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벨봉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레벨봉(30')이 직사각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표시구(33)는 그 중 어느 일측 직선봉(301)에 설치된다 상부고리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하부고리(10)는 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2 : 하부철근 3 : 상부철근
10 : 하부고리 20 : 탄성부재
30,30' : 레벨봉 31 : 상부고리
33 : 표시구 34,35 : 스토퍼
36 : 고리 F : 바닥면
10 : 하부고리 20 : 탄성부재
30,30' : 레벨봉 31 : 상부고리
33 : 표시구 34,35 : 스토퍼
36 : 고리 F : 바닥면
Claims (4)
-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배근되는 상부철근(3)과 하부철근(2)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은 하부철근(2)에 걸리는 걸고리(12) 형태로 구비되고, 상단(41b)은 링 형태로 되어 있는 하부고리(10);
상부철근(3)에 휘감기되 상부철근(3)을 감싼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고리(31);
상기 상부고리(31)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태의 레벨봉(30);
상기 레벨봉(30)에 설치되고, 레벨봉(3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표시구(33);
탄성소재로 상기 표시구(33)가 레벨봉(3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표시구(33)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스토퍼(34, 35);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일단은 상기 하부고리(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고리(31) 하단(32)에 연결되는 탄성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봉(30)의 상단은 콘크리트 타설을 마치고 빼낼 때 손이나 도구를 끼워 걸수 있도록 "C"형 또는 "O"형으로 구비되는 고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0046A KR102017336B1 (ko) | 2017-06-23 | 2017-06-23 |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0046A KR102017336B1 (ko) | 2017-06-23 | 2017-06-23 |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714A KR20190000714A (ko) | 2019-01-03 |
KR102017336B1 true KR102017336B1 (ko) | 2019-09-02 |
Family
ID=6502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0046A KR102017336B1 (ko) | 2017-06-23 | 2017-06-23 |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733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9289B1 (ko) | 2020-11-12 | 2021-05-07 |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표시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9924B2 (ja) * | 1994-11-07 | 2000-08-21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用室外機のグリル取付構造 |
JP2000336934A (ja) * | 1999-06-01 | 2000-12-05 | Akemasa Kurotani | コンクリート天端表示材 |
KR200234940Y1 (ko) * | 2001-03-23 | 2001-10-0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아파트 천장슬라브시공용 레벨봉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9924U (ja) * | 2000-10-18 | 2001-09-07 | 巧 上田 | コンクリート天端スペーサー |
KR20060081394A (ko) | 2006-06-23 | 2006-07-12 | 함석훈 | 장갑형 키보드 |
KR20090055549A (ko) | 2009-01-21 | 2009-06-02 |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 커패시턴스 측정 장치 및 방법과 신호 획득 및 커패시턴스 측정 방법 |
-
2017
- 2017-06-23 KR KR1020170080046A patent/KR1020173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9924B2 (ja) * | 1994-11-07 | 2000-08-21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用室外機のグリル取付構造 |
JP2000336934A (ja) * | 1999-06-01 | 2000-12-05 | Akemasa Kurotani | コンクリート天端表示材 |
KR200234940Y1 (ko) * | 2001-03-23 | 2001-10-0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아파트 천장슬라브시공용 레벨봉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9289B1 (ko) | 2020-11-12 | 2021-05-07 |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표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714A (ko) | 2019-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64115B2 (en) | Levelling rod for building construction | |
JPS6370774A (ja) | コンクリート製建材のコンクリート打ち時にアンカーを保持するための成形体 | |
US9238155B2 (en) | Concrete deck tie-off anchor point and system | |
KR102017336B1 (ko) |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 |
US9359779B2 (en) | Space saving anchor point for a concrete structure | |
JP6176408B2 (ja) | 柱状構造物のたわみ量測定方法、及び柱状構造物の性能判定方法 | |
KR20180116058A (ko) |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 |
CA2623419C (en) | Self supporting string line tool | |
KR20190001615U (ko) |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 |
KR20080018978A (ko) |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 |
KR102149511B1 (ko) | 상부 철근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 |
KR20210001188U (ko) |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 |
KR200246028Y1 (ko) | 콘크리트용 레벨봉 | |
KR20190002305U (ko) |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 |
KR200445586Y1 (ko) |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 |
KR102395438B1 (ko) | 건축용 레벨표시장치 | |
KR20150000376U (ko) | 휴대용 기울기 측정장치 | |
CN205421640U (zh) | 一种连接件及外墙板安装节点 | |
KR100428284B1 (ko) | 콘크리트용 레벨봉 | |
KR102133723B1 (ko) |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 |
KR102079806B1 (ko) |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단자박스 | |
KR20190002319U (ko) |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 |
CN210659680U (zh) | 一种人防设备分体式吊环结构 | |
KR200331410Y1 (ko) | 콘크리트 슬라브 마감용 레벨봉 장치 | |
JP2007113267A (ja) | 床面コンクリートのレベル施工方法及びレベル表示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