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284B1 - 콘크리트용 레벨봉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용 레벨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284B1
KR100428284B1 KR10-2001-0032985A KR20010032985A KR100428284B1 KR 100428284 B1 KR100428284 B1 KR 100428284B1 KR 20010032985 A KR20010032985 A KR 20010032985A KR 100428284 B1 KR100428284 B1 KR 100428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height
level
bar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643A (ko
Inventor
김진술
Original Assignee
김진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088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282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술 filed Critical 김진술
Priority to KR10-2001-003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284B1/ko
Publication of KR2002009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레벨봉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접하여 고정되며, 몸체 상부 일측으로는 철근(70)을 안착시키는 안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11)의 타측으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내측으로는 끼움부(12)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몸체외측으로는 나사산(21)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구(20)와;
상기 높이조절구(20)의 하측에 위치되어 높이조절구(20)의 높이조절 및 셋팅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구(30)와;
상기 높이조절구(20)의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직립되게 위치되며,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콘크리트 공급호스와의 접촉시에도 원위치로 복원가능한 탄성부재(40)와;
이 탄성부재(40)의 상부 내측으로 설치되는 너트체(42)에 나사 결합되며, 몸체 상부로는 콘크리트 타설시 레벨점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는 확인점(51)이 위치되고, 상기 확인점(51)의 하부로는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마감점(52)이 구비되는 캡부재(50)로 구성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으며, 공급호스와의 접촉시에도 레벨점을 정확히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높이 조절구(20)은 ±50mm이내에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정밀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용 레벨봉{Concrete leveling rod}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레벨봉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수평을 일정하게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면적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주로 거푸집의 상부측으로 철근을 종,횡방향으로 배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통상적인 콘크리트 타설작업은 철근 골조 후 건축물의 바닥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변목이나 레벨끈을 철근에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레벨끈의 수위까지 타설한 후 평판작업(밀대질)을 하여 완성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재물마감을 하는 현장에서는 철근배근 후 별도의 철근을 수직으로 설치한 후 레벨끈을 묶어 사용하고 있으나 작업자가 콘크리트를 타설작업중 콘크리트호스를 이끌고 이동할 경우 이 콘크리트호스에 걸려 쓰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은 각종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의 수평작업을 작업자의 시각에 의해 수평정도와 슬라브 두께를 맞추므로 심한편차(보통 4 ∼ 50mm, 심할경우에는 8 ∼ 90mm)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브의 레벨차가 심할 경우에는 건축물의 총높이가 설계도면보다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여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었고, 모든 작업공정에 자재비와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며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본 출원인이 선출원 하여 등록된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99 - 221038호)에서 제안된 바가 있으나 철근 배근후 레벨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레벨을 확인할 경우 탄성부재(40)인 스프링(41)속에 볼트가 상하이동을하였다.
즉, 콘크리트호스등과 같은 무거운 물체가 이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를 지나가면 상기 스프링(41) 작동을 방해하여 파손이 발생되고, 수평 높낮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었으며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두께가 150mm이상일 경우에는 사용하기에 미흡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건축물의 바닥면 콘크리트 타설작업은 작업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전체적인 수평정도과 두께를 맞추고 있으나, 이는 바닥면 상태가 불량하고, 많은 인력과 레미콘이 과소비되는 결과로 건축비 상승의 큰 원인이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은 건축물의 슬라브 레벨부터 정확하게 시공하여 해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건축물을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부실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공기가 단축되고 건설원가를 절감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레벨봉뿐이다.
즉, 탄성부재인 코일 스프링이 100% 작동하여 볼트가 베이스부재내에서 상하이동하므로 ±50mm의 범위내에서 레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재를 높이고 수평조정 볼트 및 스프링을 길게하여 200 ∼ 400mm의 두꺼운 슬라브층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그 수평을 일정하게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호스등과 같은 무거운 물체가 지나갈 경우 접혀졌다 다시 일어나 정상위치를 표시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용 레벨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콘크리트의 공급압력에도 불구하고 정상 높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용 레벨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본 바닥 및 거푸집등이 수작업으로 이루어 지므로 레벨의 편차가 심하나 ±50mm이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철근배근 후 콘크리트 타설직전 레벨봉을 설치하고 레벨을 확인하여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수 있는 콘크리트용 레벨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용 레벨봉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인 레벨봉의 높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레벨봉의 캡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4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6은 도 5의 걸림구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의 (A)는 도 5의 (A)를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7의 (B)는 도 5의 (B)를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7의 (C)는 도 5의 (C)를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8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부재 11 - 철근고임턱
12 - 끼움부 13 - 고정부
14 - 고정홈 15 - 철판부재
16 - 베이스부재 파이프 17 - 고정판
18 - 암나사부 19 - 돌출나사부
20 - 높이조절구 21 - 나사산
22 - 스프링 연결나사 30 - 위치제어구
31 - 돌기부 40 - 탄성부재
41 - 코일스프링 42 - 캡연결나사
50 - 캡부재 51 - 확인점
52 - 마감점 53 - 캡고정나사
54 - 리브 55 - 스프링걸림턱
56 - 피복층 57 - 캡체결부
60 - 철근지지수단 61 - 철근지지편
62 - 철근안착구 63 - 이동홈
64 - 접지면 65 - 철근 고정판
66 - 고정너트 70 - 철근
80 - 못 90 - 접착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접하여 고정되며, 몸체 상부 일측으로는 철근(70)을 안착시키는 철근고임턱(11)이 구비되고, 상기 철근고임턱(11)의 타측으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내측으로는 끼움부(12)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몸체외측으로는 나사산(21)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구(20)와;
상기 높이 조절구(20)의 하측에 위치되어 수평조정볼트(20)의 높이조절 및 셋팅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구(30)와;
상기 높이조절구(20)의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직립되게 위치되며,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콘크리트 공급호스와의 접촉시에도 원위치로 복원가능한 탄성부재(40)와;
이 탄성부재(40)의 상부 내측으로 설치되는 캡연결나사(42)에 나사 결합되며, 몸체 상부로는 콘크리트 타설시 레벨점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는 확인점(51)이 위치되고, 상기 확인점(51)의 하부로는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마감점(52)이 구비되는 캡부재(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콘크리트용 레벨봉은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 상부로 캡부재(50)의 셋팅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구(20)가 장착되고, 높이조절구(20)의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공급호스와의 접촉시에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부재(40)가 설치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으며, 공급호스와의 접촉시에도 레벨점을 정확히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전 ±50mm내에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정밀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용 레벨봉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인 레벨봉의 높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레벨봉의 캡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 ∼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걸림구 형상을 요부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 ∼ (C)는 도 5의 철근지지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데크플레이트용 레벨봉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콘크리트용 레벨봉의 베이스부재(1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접하여 고정되며, 몸체 상부 일측으로는 철근(70)을 안착시키는 철근고임턱(11)이 구비된다.
상기 철근고임턱(11)은 형틀(거푸집)설치와 철근 배근 후 콘크리트 타설직전 하부철근에 끼워져 철근 중량에 의해서 간단하게 베이스부재(10)를 설치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베이스부재(10)의 몸체 하부 외측부에는 고정부(13)를 형성하여 못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브 두께가 150mm 미만의 경우 직경이 작은 철근을 사용할 경우에는 철근이 가벼워 상기 베이스부재(10)에 가해지는 압력이 낮아져 고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3)는 U자형으로 내측에 고정홈(14)이 형성되어 베이스부재(10)의 하부 외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못을 박을 수 있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10)를 천정바닥에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켜 콘크리트가 주위에 삽입되어 양생후 형틀을 제거하면 천정바닥에 베이스부재(10)가 노출되지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철근을 사용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휨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경우 탄성부재(40)를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에 먼저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몸체 상부일측으로 형성되는 철근고임턱(11)은 철근(70) 안착후 스페이서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또,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철근고임턱(11) 타측으로 형성되는 끼움부(12)는 후술될 높이조절구(20)를 몸체 내측으로 설치하여 높이를 상,하로 조절시킬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암나사부(1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를 형성하는 몸체는 종래에 비해 상부로 소정의 높이를 갖고 형성되므로, 높이조절구(20)를 지지하는 지지력과 고정력, 등이 상승되어 베이스부재(10)의 파손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탄성부재(40)인 스프링이 100% 작동하고, 상기 높이 조절구(20)는 ±50mm이내에서 여유있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 상부에 끼워지는 높이조절구(20)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몸체외측으로는 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구(20)는 건축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몸체 외측으로는 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어 끼움부(12)의 암나사부(18)와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조립생산을 할 경우에는 상기 끼움부(12)에는 후술될 높이조절구(20)가 베이스부재(10) 중간위치에 삽입되어있어 레벨봉 설치후 수평(레벨)을 확인할경우 높이에 따라 상하로 균일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즉,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 내측으로는 암나사부(18)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18)의 중앙에 높이조절구(20)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만약 베이스부재(10)의 높이가 100mm이면 상하로 균일하게 50mm범위내에서 높이조절구(20)를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 시키면서 타설기준 높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예로서, 형틀에서 약 30mm정도의 편차가 발생할 경우 콘크리트 타설 마감시 약 30mm의 편차가 난다면 60 ∼ 70mm사이의 누적된 편차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부실시공이 시작되고, 건축물의 높이가 설계도면보다 높은 요인이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은 매우 주요한 역할을 한다.
즉, 설계도면에 의해 정해진 기준점과 슬라브 수평이 정확하게 일치하면 고층건물에도 설계도면의 높이와 건물높이가 일정한 정밀시공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구(20)의 몸체 하부에는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에 설치된 후 셋팅위치에서 높이의 변화 없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위치제어구(30)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제어구(30)는 높이조절구(20)의 몸체 하부에 끼워져 위치되면서 역시 나사결합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높이조절구(20)의 높이 조절시나 셋팅위치 확정 후에는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 상부에서 면접촉 되면서 높이조절구(20)의 셋팅위치를 단속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제어구(30)의 몸체 외측부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위치제어구(30)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돌기부(31)가 형성되어 별도의 공구없이 용이하게 회전시킬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구(20)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공급호스의 접촉시에도 셋팅위치로 복원가능하도록, 탄성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40)역시 제품의 성격과 건축현장의 특성에 따라 그 길이와 직경은 상황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타설하는 현장을 보면 상부 철근 배근위에서 작업자 3 ∼ 4명이 콘크리트 공급호스를 끌고다니면서 콘크리트를 공급하는데, 이때에 상부 철근위에 노출되어 있는 물체는 파손된다.
콘크리트 레벨봉은 상부부위가 상부 철근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발이나 콘크리트 공급호스에 걸리면 옆으로 휘어지고 지나간뒤에는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일어서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부재(10) 및 높이조절구(20)는 상부 철근 밑 위치에 있으므로 보호가 되고, 상기 탄성부재(40)는 상부 철근 주위에 있으므로 콘크리트 공급호스와 접촉할 경우에도 레벨을 정확하게 유지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40)로 사용되는 코일스프링(4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력 및 복원력이 우수하고, 콘크리트와의 융화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결국, 상기 높이조절구(20)의 상부로 탄성부재(40)가 위치되어 후술될 캡부재(50)의 셋팅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경우 탄성부재(40)가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보다 공급호스와 접촉에 대한 복원력이 향상될 수 있므며, 이로 인한 베이스부재(10)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0)의 상부로는 몸체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레벨점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는 확인점(51)이 위치되고, 상기 확인점(51)의 하부로는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마감점(52)이 구비되는 캡부재(5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캡부재(50)는 하단부에 캡고정나사(53)가 상기한 마감점(52)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0)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캡부재(50)는 캡고정나사(53)가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음새가 제거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부재(50)의 마감점(52)과 캡고정나사(53)사이의 간격에는 리브(54)가 형성되어 밀대질의 턱이 지나갈 경우 상기 밀대질의 턱이 리브(54)를 타고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고정나사(53) 상부에는 스프링걸림턱(55)이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50)가 탄성부재(40)에 결합될 경우 이 탄성부재(40)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캡부재(50)는 재물마감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양생 후 작업자의 발에 의한 타격에 마감점(52)의 윗부분이 쉽게 파손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점(51)의 몸체 하부에는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마감점(5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쉽게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마감점(52)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레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감점(52)의 외측으로는 소정의 간격만큼 외부로 돌출되게 캡레벨 돌출부(53)를 형성하여 레벨작업시 레벨을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캡부재(50)의 마감점(52) 하부로는 탄성부재(40)의 캡연결나사(42)와 고정될 수 있도록 캡고정나사(54)가 형성되고, 마감점(52)과 캡연결나사(42)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 만큼 거리를 두어 재물 마감시 캡부재(50)를 분리하면, 약 15mm 피복층(56)이 형성되어 미장칼날(훼니샤)이 닿지 않고 재물로 매꿔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고루기(밀대질)작업을 할 경우 마감점(52) 부위가 노출되어 있다면 콘크리트가 부족한 것이므로 콘크리트를 마감점(52)까지 밀어 균일하게 타설하고, 반대로 마감점(52)이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많다는 증거 이므로 마감점(52)이 보일때까지 긁어 내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3m 간격으로 레벨봉을 설치하여도 반경 1.5m 가 되므로 기준점이 1.5m 에 하나씩 있는 셈이 된다.
또한, 재물 마감 미장 작업을 할 경우에는 캡부재(50) 및 확인점(51)이 미장 칼날에 걸리므로 해체한다.
또, 캡부재(50)를 해체하면 마감점(52)과 캡고정나사(53) 사이 피복층(56)높이 15mm가 구멍이 뚫리고 캡고정나사(53) 부위는 콘크리트 15mm 밑에 위치하며, 미장 작업중 주위 콘크리트로 메꿔지게된다.
반면에 재물마감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슬라브 바닥에 캡부재(50) 및 확인점(51) 부위가 노출되며 콘크리트 양생후 작업자의 발길에 마감점(52) 위가 파손되고, 캡레벨 돌출부에 수평을 맞출때 레벨점이 돌출되어 수평작업시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마감점(52)이 중간에 있으므로 콘크리트양이 많고 적음을 눈으로 보는 순간 식별이 가능하여 고루기 작업을 할 경우 콘크리트 수평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능인 것이다.
한편, 재물 마감이란 콘크리트 타설 후 3 ∼ 4시간 후에 콘크리트 물이 빠져 작업자가 들어가도 발자국만 남는 시기에 미장기구나 기계(훼니샤)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시멘트의 표면을 매끈하게 하는 작업이며, 이경우 캡부재(50) 및 확인점(51)이 슬라브위에 노출되어 미장칼에 걸리게 되므로 왼쪽으로 회전하면 용이하게 분리되어 피복층(56)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콘크리트용 레벨봉은 건축현장의 규모 및 건축 특성 등에 따라 베이스부재(10)와 높이조절구(20) 그리고, 캡부재(50)의 크기 및 높이 등을 건축현장의 특성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역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된다.
한편, 도 4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건축 현장의 특성에 따라 직경이 큰 철근(70)을 사용하는 건축현장에서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0)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압력의 한계가 있으므로 슬라브두께 300mm이상일 경우에는 베이스부재(10)를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부재(15)의 양측을 절곡시켜 사용한다.
즉,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철판부재(15)를 양측으로 절곡시켜자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콘크리트용 레벨봉 설치시 하부철근에 결합하여 철근 중량에 의해 설치가 되며,자 형상 홈사이에 콘크리트가 삽입되어 양생후 형틀을 제거하여도 천장슬라브에 노출되지않게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캡부재(50)와 탄성부재(40) 그리고, 높이조절구(20)의 구성을 동일하게 설정하며, 높이조절구(20)의 하측 베이스부재(10)를 지지력 및 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철판부재(15)를 절곡시켜 사용하며, 상기 철판부재(15)와 높이조절구(20)의 연결역시 금속재질의 베이스부재 파이프(16)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부재 파이프(16)의 길이는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비교적 건축현장의 슬라브층이 두꺼운 경우 즉, 슬라브 두께가 500mm이상 2m 까지 고속도로 교량공사, 원자력 발전소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직경이 큰 철근(70)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5 ∼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구(20)의 일측방향으로 철근지지수단(60)을 별도로 형성한 후 철근(70)을 고정시켜 사용한다.
상기 철근지지수단(60)은 높이조절구(20)의 일측방향에 대하여 철근지지편(61)을 절곡되게 형성한 후 몸체 타측 상부에 철근안착구(62)를 별도로 구비하여 철근(70)를 위치 고정시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안착구(62)로는 U자형 볼트를 사용한다.
즉, 두꺼운 슬라브에는 바닥부터 레벨봉이 올라올 수 없으므로, 상부 철근에 U자형 볼트로 형성된 철근 안착구를 끼우고 철근 고정판(65)을 상기 철근안착구(62)의 양단에 결합한 다음 고정너트(66)를 체결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지지편(61)은 타측부 몸체 상부에는 배근 되어 있는 옆철근에 걸릴경우 철근안착구(62)의 위치를 횡방향에 대하여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홈(63)을 장홈으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철근안착구(62)의 형상 역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도 원형이고 상기 철근안착구(62)의 내측면도 원형일 경우 설치시 수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철근안착구(62)의 내측면에는 평면으로 단조된 접지면(64)을 형성하여 철근(70) 안착후 철근(7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형성된 철근안착구(62)를 이용한 레벨봉은 슬라브두께도 두꺼우며 철근 직경도 최하 25mm이상의 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콘크리트 공급호스가 지나가면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므로 상부철근 우마(상부철근을 지지하는 자재)의 주위에 설치한다.
또한, 오피스텔 상가 빌딩등과 같은 철빔골조신축공사에는 도 8 ∼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현장의 바닥면이 데크 프레이트(철판)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레벨봉의 고정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높이조절구(20)의 하측으로 데크 프레이트에 접착제(9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판(17)을 형성하여 사용한다.
이것은 슬라브에 형틀을 설치하지 않고 대체로 굴곡이된 철판을 배치한 후 철근 배근후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후 철판을 해체하지 않는다.
따라서, 철근 배근은 상,하부근의 위치개념이 없어지고, 철근을 싱글로 배근하여 보통 직경 10mm의 철근이므로 가볍고 슬라브의 두께도 비교적 얇기 때문에 별개의 데크 플레이트용 레벨봉을 사용해야한다.
또한, 이경우 있어서도, 건축현장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탄성부재(40)의 하측으로 높이조절구(20)를 제거한 상태에서 탄성부재(40) 하부로 고정판(17)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데크 플레이트용 레벨봉의 한 예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7)의 상면에는 돌출나사부(19)가 형성되어 탄소강 코일스프링(41)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7)은 철근이 가늘고 가볍기 때문에 철근의 중량으로 레벨봉의 고정력을 유지시키기에는 미흡하므로 요부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90)를 사용하여 고정판(17)을 철판바닥에 부착하며, 콘크리트 슬라브 자체가 얇고 철근이 싱글이기 때문에 탄소강 코일스프링(41)의 작동이 하부에서 일어나 레벨을 상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나사부(19)에 체결되는 탄소강 코일스프링(41)은 상기에서 언급한 여러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휘어질 경우 다시 복원되어 일어서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위치제어구(30)는 너트를 사용하여 레벨을 확인한 후 단속수단으로사용되며, 높이조절구(20)는 코일스프링(41) 내에서 상하 이동하면서 수평을 유지하며 철빔자체가 수평이 대체로 양호하기 때문에 ±15mm만큼 이동 가능하다.
또, 캡체결부(57)는 재물마감시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용이하게 해체되며 마감점(52)과 상기 캡체결부(57) 사이에는 피복층(56)이 15mm정도 형성되고 캡부재(50), 확인점(51), 마감점(52)은 상기 도 1 ∼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한편, 데크 플레이트 콘크리트 슬라브의 두께는 대체로 얇지만 150 ∼ 250mm 정도의 두꺼운 슬라브에서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레벨봉을 사용한다.
콘크리트 슬라브층이 상대적으로 두꺼우므로 상하 부근 철근 배근의 중량으로 철판부재(15) 및 베이스부재 파이프(16)가 보호되며 레벨도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치방법은 데크플레이트 바닥(철판)에 못을 박을 수도 없으므로 상기한 데크플레이트 레벨봉의 일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90)를 사용하여 부착시키며, 높이조절구(20)와 고정판(17) 사이에 지지력 및 하중에 의한 내구성을 위하여 베이스부재파이프(16)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 파이프(16)는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높이가 결정되며, 나머지 구성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콘크리트용 레벨봉은 건축현장의 특성(스라브층의 두께, 철근의 직경차)에 따라 레벨봉을 형상 및 크기 등을 상황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콘크리트 타설시 정밀한 수평작업이 가능하므로,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고, 레미콘이 절약할 수 있다.
둘째, 수평이 정확하면 각종 바닥 마감시 자재비, 인건비, 공기단축 등으로 정밀시공하면서 엄청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셋째, 각종 건축현장의 슬라브층의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어 부실시공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건축현장의 특성 및 규모 그리고 상황에 따라 레벨봉을 각각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종류로 발명되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3)

  1.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접하여 고정되며, 몸체 상부 일측으로는 철근(70)을 안착시키는 철근고임턱(11)이 구비되고, 상기 철근고임턱(11)의 타측으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내측으로는 끼움부(12)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몸체외측으로는 나사산(21)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구(20)와;
    상기 높이조절구(20)의 하측에 위치되어 높이조절구(20)의 높이조절 및 셋팅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구(30)와;
    상기 높이조절구(20)의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직립되게 위치되며,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콘크리트 공급호스와의 접촉시에도 원위치로 복원가능한 탄성부재(40)와;
    이 탄성부재(40)의 상부 내측으로 설치되는 캡연결나사(42)에 나사 결합되며, 몸체 상부로는 콘크리트 타설시 레벨점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는 확인점(51)이 위치되고, 상기 확인점(51)의 하부로는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마감점(52)이 구비되는 캡부재(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몸체 하측부에는 철근(70)의 자체중량으로 고정이 용이치 않은 경우 못(80) 등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1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3.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의 내측으로는 판넬 해체후 천장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홈(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구(30)의 몸체 외측으로는 작업자의 조작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돌기부(3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40)로는 복원력 및 콘크리트와 융화력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코일스프링(41)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6.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50)의 확인점(51)은 작업자가 쉽게식별이 가능하고, 분리시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7.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건축 현장의 특성에 따라 직경이 큰 철근(70)을 사용할 경우 상기 베이스부재(10)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부재(15)를 절곡시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8. 청구항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부재(15)와 높이조절구(20) 사이에는 지지력 및 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베이스부재 파이프(16)로 상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9.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현장의 바닥면이 데크 프레이트으로 형성되는 경우 레벨봉의 고정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높이조절구(20)의 하측으로 데크 프레이트에 접착제(9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판(17)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10.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건축현장의 스라브층이 두께울 경우 직경이 큰 철근(70)을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구(20)의 일측 방향으로는 철근지지수단(6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11. 청구항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지지수단(60)은 높이조절구(20)의 일측방향에 대하여 절곡되게 천근지지편(61)을 형성한 후 몸체 타측 상부에 철근안착구(62)가 구비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12. 청구항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지지편(61)의 타측부 몸체 상부에는 철근안착구(62)의 위치를 횡방향에 대하여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홈(6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13. 청구항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안착구(62)의 내측으로는 철근(70) 안착후 철근(7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지면(6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레벨봉.
KR10-2001-0032985A 2001-06-12 2001-06-12 콘크리트용 레벨봉 KR100428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985A KR100428284B1 (ko) 2001-06-12 2001-06-12 콘크리트용 레벨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985A KR100428284B1 (ko) 2001-06-12 2001-06-12 콘크리트용 레벨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498U Division KR200246028Y1 (ko) 2001-06-12 2001-06-12 콘크리트용 레벨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643A KR20020094643A (ko) 2002-12-18
KR100428284B1 true KR100428284B1 (ko) 2004-04-27

Family

ID=2770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985A KR100428284B1 (ko) 2001-06-12 2001-06-12 콘크리트용 레벨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289B1 (ko) 2020-11-12 2021-05-07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7091A (zh) * 2019-06-18 2019-08-09 陈武豪 一种可调节式楼地面控制装置及使用方法
US11306482B1 (en) * 2021-03-29 2022-04-19 Brent Bennett Field-resizable slab anchor that uses cut-to-length pip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79A (ko) * 1993-08-27 1995-03-20 이내흔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위치 고정구
JPH07331879A (ja) * 1994-06-02 1995-12-19 Tetsuya Matsushima フロアレベル
KR960008251U (ko) * 1994-08-24 1996-03-15 김진술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
JPH08120931A (ja) * 1994-10-20 1996-05-14 Tetsuya Matsushima フロアレベル
KR970015979A (ko) * 1995-09-07 1997-04-28 김진술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
JP2001140469A (ja) * 1999-11-17 2001-05-22 Nippon Industry Co Ltd 天端表示具
KR200234940Y1 (ko) * 2001-03-23 2001-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아파트 천장슬라브시공용 레벨봉
KR102143883B1 (ko) * 2018-12-18 2020-08-13 주식회사 현성부직포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79A (ko) * 1993-08-27 1995-03-20 이내흔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위치 고정구
JPH07331879A (ja) * 1994-06-02 1995-12-19 Tetsuya Matsushima フロアレベル
KR960008251U (ko) * 1994-08-24 1996-03-15 김진술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
JPH08120931A (ja) * 1994-10-20 1996-05-14 Tetsuya Matsushima フロアレベル
KR970015979A (ko) * 1995-09-07 1997-04-28 김진술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
JP2001140469A (ja) * 1999-11-17 2001-05-22 Nippon Industry Co Ltd 天端表示具
KR200234940Y1 (ko) * 2001-03-23 2001-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아파트 천장슬라브시공용 레벨봉
KR102143883B1 (ko) * 2018-12-18 2020-08-13 주식회사 현성부직포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289B1 (ko) 2020-11-12 2021-05-07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643A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3982B2 (en) Stay-in-place fascia forms and methods and equipment for installation thereof
US4982538A (en) Concrete panels, concrete decks, parts thereof,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and use
US200300890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elevated concrete floors
KR200246028Y1 (ko) 콘크리트용 레벨봉
KR100428284B1 (ko) 콘크리트용 레벨봉
US10280619B2 (en) Adjustable dap assembly
JP4220872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立上げ壁の取付構造
KR100221038B1 (ko)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
AU2009297184B2 (en) Hanger system for cementitious building units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CN106013568A (zh) 基于可拆卸式定位控制件现浇楼板结构及施工方法
KR102017336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JP5534593B2 (ja) 鏝およびこの鏝を用いる法面補強工法ならびに法面補強構造
KR100338653B1 (ko)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의 시공 공법
JP2001159240A (ja) コンクリート直仕上げ工法と治具
KR200281867Y1 (ko) 철근받침대
KR10060992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JPH0572503B2 (ko)
KR20190002305U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CN212357988U (zh) 一种低收缩的免模板桥面接缝构造
US20210123251A1 (en) Floor height gauge
KR200364386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497116Y1 (ko) 무해체 거푸집용 철근 안전고정장치
KR200234872Y1 (ko) 철근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