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386Y1 -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 Google Patents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386Y1
KR200364386Y1 KR20-2004-0019256U KR20040019256U KR200364386Y1 KR 200364386 Y1 KR200364386 Y1 KR 200364386Y1 KR 20040019256 U KR20040019256 U KR 20040019256U KR 200364386 Y1 KR200364386 Y1 KR 200364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insert
body portion
concrete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일
Original Assignee
조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중일 filed Critical 조중일
Priority to KR20-2004-0019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3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4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을 포함하는 공사 중에 못으로 고정되지 않아도 안정성이 있는 인서트 겸용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바닥면(39)에 인서트용 구멍(43)이 형성된 하체부와; 철근이 안착되는 상체부와; 상기 상체부와 하체부 사이에 인서트의 암나사부(41)를 포함하는 중간 몸체부를 포함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30)에 있어서, 상기 하체부의 인서트용 구멍(43)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에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하체부의 바닥면(39)에 스폰지 부직포식 양면 테이프(44)가 더 붙여지는 것에 있다.

Description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Steel Rest including Insert Part}
본 고안은 인서트 겸용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을 포함하는 공사 중에 못으로 고정되지 않아도 안정성이 있는 인서트 겸용 철근받침대(IPC분류로는, E04 C 5)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 형식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공법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공법이다. 이 공업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철근간의 간격이 적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철근 받침대가 사용된다. 한편, 건물 층의 천장에서 천장 마감재, 배관 등을 지지하기 위한 달대(행거)를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가 층 슬래브에 매설된다.
선행 출원 중에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2322호와, 제99-6294호에 기재된 기술은 다음과 같다. 철근받침대의 하측에 역사다리꼴 형태의 인서트삽입 걸림홈을 형성하고, 이 인서트삽입 걸림홈에는 천장판을 설치하기 위한 못머리나, 천장판 설치구의 나사부가 체결될 천장판 설치구 삽입구멍을 각각 형성한 인서트를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는 못머리를 삽입시키기 위한 인서트와, 나사부가 체결될 수 있는 인서트를 각각 별도로 제작해야 하고, 철근받침대 몸체 또한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그 후, 인서트와 철근받침대를 일체로 형성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08686호(1999년 6월 4일 출원)에서,몸체의 내측에 나사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너트가 삽입되어, 천정판을 설치하기 위한 천장판 설치구의 수나사부가 상기 나사구멍이나 너트의 암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된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의 머리부 상측에 철근받침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측에는 못 삽입구멍을 형성한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철근받침부를 구비한 인서트가 제시되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실1999-0033841호(1999년 8월 16일 공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슬라브와 같은 수평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할 경우에 그 구조물 내측에 매설되는 철근받침대가 제시되었다.
이것은, 철근받침대의 하측에 천장판 설치를 위한 인서트 나사구멍을 철근받침대에 일체로 형성하면서, 철근받침대의 소정위치에는 철근받침대를 거푸집에 고정시키기 위한 못 삽입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이것을 나타낸 도 1은, 인서트 나사구멍을 철근받침대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나타낸 일 예이다.
도 1을 보면, 철근받침대(1) 몸체의 일측에 철근을 일시적으로 안착 지지하는 1차 안착부(2)가 형성되고, 이 1차 안착부(2)의 일측에는 1차 안착부보다 대폭 높은 철근받침홈부(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철근 받침대의 하측 중앙부에는 선단부에 나사부를 구비한 천장판 설치구를 체결하기 위한 인서트 나사구멍(5)이 하향 형성되고, 철근받침대(1)의 소정위치에 철근받침대를 거푸집에 못으로 고정하기 위한 못삽입구멍(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철근 받침대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살빼기홈부(7)를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시 살빼기홈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될 수 있고, 철근받침대의 무게를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래서, 상기 살빼기홈부는 다수 개가 있거나, 크기가 크게 제작되어야, 무거운 천장 구조물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형상이 복작하여 제작이 다소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 중에서,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172586호(1999년 9월 22일 출원)에 기재된, 인서트 겸용 철근받침대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보면 너트 분리형 바-체어 인서트(10)가, 그 중심부에 관통홀(14)이 형성되는 본체(11), 본체(11)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리부(22), 본체(11)의 내상부에 체결 가능하게 장착되는 너트(15), 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는 상부캡(19), 및 본체(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11)를 고정하는 하부캡(17)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다리부(22)는, 본체(11)의 외주면으로부터 사방으로 소정길이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날개(12), 및 각각의 날개(12)의 단부에 수직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리(21)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다리부(22)는 날개(12)가 소정 면적을 가지므로써, 기존 인서트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지지력이 증대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다리(21)의 하단부(21a)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게 하여, 거푸집과의 접촉이 최소가 되도록 하였다. 즉, 이 종래기술에서는 철근받침대(10)를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역할은 다리부(22)가 아니다.
상기 하부캡(17)은 그 중심부(18a)가 상향으로 돌출된 모자형상이며, 중심부에는 못 등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멍(18)이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었다. 거푸집의 정위치에 하부캡(17)을 위치시키고 못을 구멍(18)을 통하여 거푸집에 박음으로써, 하부캡(17)을 고정시키게 된다. 즉, 못으로 거푸집에 고정시킨다.
상기 종래기술은 공통적으로 철근받침대에 못 삽입구멍을 형성하였고, 거푸집의 상면에 못을 박아서 고정되도록 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특히 진동기로 진동을 주면서 타설하는 경우에 철근 받침대의 저면이 거푸집의 상면에 붙어 있지 않고 소정의 틈새가 생기면, 콘크리트물이 인서트용 구멍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못으로 강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그런데, 철근을 상부 및 하부로 이중 삼중으로 쌓는 경우에는 철근받침대를추가로 설치할 경우가 생기는데, 못을 박는 공정을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건축 시설 기준이 안전성과 쾌적성을 목적으로 더 많은 철근을 매설시키는 방향으로 가므로, 특히 이러한 문제는 더 가중된다.
또한, 거푸집 형성에 쓰는 합판에 못을 많이 박게 되면,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합판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합판 교체 비용이 증액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철근을 이중 이상으로 쌓기 위하여, 보조 철근받침대(혹은 2단 받침대, 상부철근용 받침대로 부르기도 함.)를 사용한다. 종래 기술에서, 1차 철근받침대 위에 놓이는 보조 철근받침대의 형상은 복잡한 구조를 띠고 있다.
그 일 예를 보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2301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부철근 안치홈과 삽입돌기 및 행거걸림편이 형성되는 하부철근받침대와, 상부철근 안치홈과 하부철근 안치홈과 삽입홈과 거푸집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철근받침대에 결합되는 상부 철근받침대와, 걸림편과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행거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삽입을 위해 돌기와 홈의 형상이 서로 짝이 되도록 제작하였는데, 이것은 제작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 공사 중에 못을 박아서 위치 고정을 하지 않으면서도, 거푸집 합판에 잘 붙어있을 수 있는 인서트 겸용이 가능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살빼기홈부나, 4개의 다리부 형상이 아닌 더 단순한 형상이면서도, 무거운 천장 구조물이 매달려도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빠지지 않을 수 있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인서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철근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못 구멍 7 : 살빼기 홈
17 : 하부 캡 18 : 못 삽입구멍
19 : 상부 캡 22 : 다리부
31 : 하체부 판 32 : 중간 몸체부의 오목 부분
33 : 상체부 아래단 34 : 철근 안착홈
36, 37 : 돌출 섬 39 : 바닥면
41 : 암나사 구멍 43 : 수나사 인서트용 구멍
44 : 양면 테이프 50 : 보조받침대 바닥
52, 53 : 보조받침대의 테두리 및 철근 안착 홈
55 : 보조받침대의 철근안착홈
상기 목적을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바닥면(39)에 인서트용 구멍(43)이 형성된 하체부와; 철근이 안착되는 상체부와; 상기 상체부와 하체부 사이에 인서트의 암나사부(41)를 포함하는 중간 몸체부를 포함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30)에 있어서, 상기 하체부의 인서트용 구멍(43)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에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하체부의 바닥면(39)에 스폰지 부직포식 양면 테이프(44)가 더 붙여지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특징은,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30)의 상기 중간 몸체부에서, 상기 상체부 아래(33)부터 상기 하체부까지(31)의 중간 몸체의 둘레가 적어도 일부분이 오목하게(32) 형성된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중간 몸체부의 암나사부는, 그 몸체부 둘레(32) 중 적어도 한 곳으로 암나사(42)를 옆으로 삽입할 수 있는 암나사 삽입 구멍(41)이 형성되는데, 상기 암나사 삽입 구멍(41)은 상기 하체부의 상기 인서트용 구멍(43)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추가적인 특징은, 상기 상체부는 돌출 섬(36, 37) 형상구조로 하며, 상기 상체부 위에 얹혀지는 보조 철근받침대를 포함하는데, 보조 철근받침대의 밑부분(50)은 상기 상체부의 돌출 섬(36, 37)의 위에 닿아서 평행으로 얹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보조 철근받침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그 밑부분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상체부 돌출 섬(36, 37)의 바깥 부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데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겸용 철근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30)는 하체부(31)와, 상체부(33 등)와, 중간 몸체부(32), 및 양면 테이프(4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체부는, 도 3의 아래에 있는 그림을 참조하면, 그 바닥면(39)에 인서트용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의 형상으로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인데, 다른 도형도 가능하다. 정방형, 직사각형, 타원형 등 높이를 갖는 물체가 안정될 수 있는 형상이면 되는데, 철근이 가로 세로로 높이므로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3cm, 4cm)이 바람직하다.
바닥면(39)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처럼 울퉁불퉁하여도, 양면 테이프(44)가 잘 붙을 수만 있다면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 하체부의 바닥면(39)에 스폰지 부직포식 양면 테이프(44)를 더 붙이는 것이다. 스폰지 부직포식이란 수직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섬유 소재를 말한다. 양면 테이프의 스폰지 부직포가 색깔있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공사용 기름을 입힌 거푸집 합판을 사용함에도, 거푸집 해체 후에도 색깔있는 부직포를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양면 테이프의 거푸집 합판 쪽 이면지를 색깔있는 것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철근의 중량으로 양면 테이프가 있는 철근받침대가 강하게 눌리므로, 콘크리트 타설 시에 철근받침대가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거푸집을 해체하면, 양면 테이프의 색깔있는 이면지를 쉽게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양면 테이프(44)의 한쪽면은 상기 바닥면(39)에 붙이고, 다른 쪽면은 거푸집의 합판에 붙이는 것이다. 철근이 놓이면, 자체 중량 때문에 약간 휘게 마련이다. 또한, 작업 중에 철근 받침대에 의해 받쳐지는 철근을 작업자들이 밟아서 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강체인 철근받침대(30)도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힘을 받는다. 스폰지는 이러한 힘에 완충역할을 하며, 철근받침대의 바닥면(39) 전체를 합판전체에 부착시키므로, 콘크리트 타설 전후에 합판과의 밀착이 유지될 수 있다.
부직포식 양면 테이프(44)의 역할은 콘크리트가 수나사 인서트용 구멍(43)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마개 역할도 하면서, 철근받침대(30)를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양면 테이프의 부직포는, 수나사를 인서트할 때에, 못보다는 손쉽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서 양면 테이프(44)의 역할은 매우 크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양면 테이프(44)가 없는, 단단한 재질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를 생산하여 공사 현장까지 유통시킨 후, 공사 현장에서 양면 테이프(44)를 철근 받침대의 바닥면(43)에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양면 테이프(44)를 제외한 철근 받침대(30)의 경우도 본 고안에 속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철근 받침대(30)의 상기 상체부에는 철근이 안착될 수 있는 돌출 형상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돌출 형상 구조는 종래에 있던 다양한 형상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4개의 돌출 섬(36, 37 등)의 형상 구조를 개시되었다. 상체부의 아래단(33)은 하체부(31)의 형상에 대응될 필요가 있어서,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체부의 아래단(33)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한데, 다만 아래의 중간 몸체부의 오목한 홈을 형성할 수 있는 모양이면 된다.
상기 상체부의 아래단(33)에서부터 상기 하체부(31) 사이의 중간 몸체부는 그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한다. 콘크리트가 굳으면, 약간 수축하게 되므로, 종래의 수직형 철근받침대 옆면이 아닌, 오목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중간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볼록하게 형성하여도, 거푸집 해체 후에 인서트 겸용 철근받침대가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또한, 중간 몸체부 둘레 중 일부분에서만 오목하게 형성하여도, 거푸집 해체 후 철근받침대(30)가 천장 아래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철근 받침대(30)의 중량 감소를 위해서는 둘레 전체를 오목하게 형성(32)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중간 몸체부의 수직 길이(바람직하게는 3-4cm)에 따라 철근 받침대의 사용 길이가 좌우되는데, 건축 관련 규정에 따라 다양하게 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철근받침대(30)의 재질을 플라스틱이 아닌 알루미늄 재질로 하면, 산화 부식이나 화재시에도 천장이 처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중간 몸체부의 둘레 중 적어도 한 곳으로 암나사(42)를 옆으로 삽입할 수 있는 암나사 삽입 구멍(41)이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 삽입 구멍(41)은 상기 하체부의 상기 인서트용 구멍(43)과 만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인서트용 구멍(43)의 크기는 암나사(4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한다. 암나사가 중간 몸체부 안에 위치한 후에, 콘크리트가 암나사 삽입 구멍(41)을 막게 된다.
그래서, 암나사(42)가 철근받침대의 설치 전에 철근받침대의 중심부에 빠지지 않고 놓일 수 있게 되고, 거푸집 해체 후에 수나사가 인서트용 구멍(43)을 통하여 암나사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암나사(42)는 겸용 철근받침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설치된 후 작업장으로 유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철근받침대를 포함한 철근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철근 설치의 높이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상부철근용의 보조 철근받침대는 1차(하부철근용) 철근받침대(30)의 위에 얹혀지도록 사용된다. 도 4는 1차 철근받침대와 보조 받침대의 사시도 및, 1차 철근받침대의 아래방향에서의 사시도를 함께 나타낸 것인데, 철근을 상하 및 직각으로 즉, 4중으로 설치할 수 있음도 나타내었다.
본 고안의 일 예에서, 상기 1차 철근받침대(30)의 상체부 형상은 돌출 섬(36, 37) 형상구조로 되어 있다. 즉, 하부철근 중 제 1 철근이 놓이는 방향으로 철근이 안착되도록 반원기둥 모양의 제 1 홈(34)이 형성되고, 안착된 철근이 굴러 나가지 않도록 상기 제 1 홈의 양쪽을 따라 걸림 둑(36; 37)이 형성된다.
도 3과 도 4를 함께 참고하면, 제 2 철근이 상기 제 1 철근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 둑의 중간 부위에 제 2 홈(35)이 형성된다. 제 2 홈의 단면은 철근(점선으로 표시함.)의 모양을 따라 반원형이다. 그래서, 제 1 홈의 양쪽에 있는 각각의 걸림 둑은 양분되어, 모두 4개의 돌출 섬이 형성된다.
상기 4개의 돌출 섬(36, 37)의 윗면은 평평함이 바람직한데, 그 곳에 보조 철근받침대의 밑면 부분(50)이 얹혀지기 때문이다. 보조 철근받침대의 밑부분(50)은 상기 상체부의 돌출 섬(36, 37)의 위에 닿아서 평행으로 얹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돌출 섬(36 등)의 윗면이 평평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평면이 된다.
또한, 보조 철근받침대가 1차 철근받침대(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보조 철근받침대의 밑부분의 테두리(52, 53 등)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상체부 돌출 섬(36, 37)의 바깥 부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4의 오른쪽 위에 그러한 모양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었는데, 돌출 섬의 바깥 부위에서 철근이 놓여지나가는 부위에서는 홈(아래에 설명)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보조 철근받침대 밑부분의 바람직한 예로서, 테두리 중 마주보는 한쌍의 돌출면에 반원 형상(철근의 형상)의 홈(52, 5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철근의 배치는 직각으로 교차시키므로, 2쌍의 반원 형상의 홈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1차 철근받침대에도 철근을 놓은 후, 그 위에 보조 철근받침대를 놓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철근을 상하로 동시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면, 보조 받침대의 제작을 간단히 하기 위해, 반원 형상의 홈을 만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보조 받침대의 높이는 1cm, 2cm, 3cm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보조 받침대의 상체부 형상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데, 도 4에서는 일 예로 1차 철근받침대(30)와 비슷하게 4개의 돌출 섬의 형상을 도시하였다. 돌출 섬의 윗면이 평면인 경우가 비교적 제작이 간단함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를 사용하면, 못의 설치 및 제거 공정이 절감되어, 작업시간 단축과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색깔있는 양면 테이프를 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쉽게 인서트용 구멍을 찾을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더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닥 합판에 못을 이용한 겸용 철근받침대는, 거푸집 해체 과정에서 더 많은 작업량이 필요하게 되고, 거푸집 합판의 파손 가능성이 더 높다. 통계적으로, 못을 사용한 경우에는 합판을 5회 정도만 사용할 수 있는데 비해, 본 고안에 따른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겸용 철근받침대를 사용하면 거푸집 합판을 10회 정도까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철근 배치 작업 후에, 추가적으로 철근을 더 배치하거나 추가적으로 철근받침대를 설치하려 할 때, 종래의 못을 사용하는 받침대가 공간 상의 협소함으로 인해 할 수 없는 곳에서도, 본 고안의 철근받침대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간 몸체부 둘레를 따라 오목한 홈을 형성하고, 철근받침대의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만들면, 더 무거워지는 천장 설치물에 대해서도 콘크리트로부터 빠지지 않게, 견고성이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철근받침대의 바닥면을 바람직하게 정방형으로 만들므로, 안정적으로 철근을 받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보조 철근받침대도 사용 가능하므로 2중, 3중으로 철근을 배치할 수도 있다. 특히, 보다 간단한 형상의 보조 철근받침대를 제공하므로, 제작이 더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바닥에 인서트용 구멍이 형성된 하체부와; 철근이 안착되는 상체부와; 상기 상체부와 하체부 사이에 인서트의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중간 몸체부를 포함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하체부의 인서트용 구멍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에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하체부의 바닥면에 부직포식 양면 테이프가 더 붙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몸체부는,
    상기 상체부 아래부터 상기 하체부까지의 중간 몸체의 둘레가 적어도 일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몸체부의 암나사부는,
    몸체부 둘레 중 적어도 한 곳으로 암나사를 옆으로 삽입할 수 있는 암나사 삽입 구멍이 형성되는데, 상기 암나사 삽입 구멍은 상기 하체부의 상기 인서트용구멍과 만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는 돌출 섬 형상구조이며,
    상기 상체부 위에 얹혀지는 보조 철근받침대로서, 보조 철근받침대의 밑부분은 상기 상체부의 돌출 섬의 위에 닿아서 평행으로 얹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보조 철근받침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그 밑부분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상체부 돌출 섬의 바깥 부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조 철근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2004-0019256U 2004-07-07 2004-07-07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364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256U KR200364386Y1 (ko) 2004-07-07 2004-07-07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256U KR200364386Y1 (ko) 2004-07-07 2004-07-07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056A Division KR100609928B1 (ko) 2004-06-25 2004-06-25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386Y1 true KR200364386Y1 (ko) 2004-10-08

Family

ID=4935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256U KR200364386Y1 (ko) 2004-07-07 2004-07-07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3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39061A (zh) 现浇混凝土圆弧外墙体单侧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US20150013255A1 (en) Hybrid cementitious buildings for a multi-level habitat
KR100989771B1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10091730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060992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364386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US3390500A (en) Screed support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20200044405A (ko) 가변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KR100988270B1 (ko) 슬래브용 레벨러에 방미장용 레벨러를 연결 사용하여 공사단계별 바탕면 마감높이를 표시한 레벨 스페이서 장치
KR200246028Y1 (ko) 콘크리트용 레벨봉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19980021188U (ko) 천정 콘크리트 거푸집의 지지장치
KR200231221Y1 (ko) 철근 배근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철근 받침대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200281867Y1 (ko) 철근받침대
KR200183468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200234872Y1 (ko) 철근받침대
KR100428284B1 (ko) 콘크리트용 레벨봉
KR200238510Y1 (ko) 건설용 철근의 이격구
KR20170036438A (ko) 콘크리트 매립형 인서트
JPH0125127Y2 (ko)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20180124434A (ko) 콘크리트 몰탈 타설량을 줄여주는 철근과 단열재가 일체화된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