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883B1 -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883B1
KR102143883B1 KR1020180163783A KR20180163783A KR102143883B1 KR 102143883 B1 KR102143883 B1 KR 102143883B1 KR 1020180163783 A KR1020180163783 A KR 1020180163783A KR 20180163783 A KR20180163783 A KR 20180163783A KR 102143883 B1 KR102143883 B1 KR 10214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ather
down feather
nonwoven fabric
house
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5948A (ko
Inventor
백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성부직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성부직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성부직포
Priority to KR1020180163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8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D04H17/10Felting apparatus for felting between rollers, e.g. heated rollers
    • D04H17/12Multi-rolle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우모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의 제조가 가능하고, 배출구로 배출되는 우모의 포설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우모가 포설범위에 제대로 포설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모를 해리하여 펼치는 우모포설장치; 우모포설장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우모가 부직포에 배치되고, 부직포에 외피를 부착하는 외피부착장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우모의 포설범위를 조절하는 배출구조절장치; 및 배출구조절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FEATHER MULTI LAYER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HOUSE MANUFACTURING MACHINE AND OUTLET ADJUSTING DEVIDE THEREFOR}
본 발명은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우모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의 제조가 가능하고, 배출구로 배출되는 우모의 포설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우모가 포설범위에 제대로 포설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온실의 일종으로서,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농작물의 재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은 그 종류에 따라서 생육에 적합한 온도를 맞추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으며, 특히 야간이나 동절기에는 비닐하우스 내부를 난방하기 위해 보일러나 온풍기와 같은 별도의 난방 수단을 설치하여 가동하기도 한다.
그러나 별도의 난방 수단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많은 난방비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농가의 수익과 직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닐하우스 내부의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 중에 하나가 비닐하우스에 보온덮개를 덮어 농작물을 보온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보온덮개들은 대부분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외부덮개의 경우 두꺼운 짚, 여러층의 부직포, 또는 두꺼운 솜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 사용자가 다루기가 쉽지 않으며, 비닐하우스에 개폐시 큰 구동력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에는 비가 오는 경우에 습기에 의해 보온덮개 내부에 결로현상이 발생되어 농작물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무게가 더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모를 이용하여 보온덮개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우모를 이용한 보온덮개의 제조 시, 우모를 감싸는 부직포의 폭이 다양하여 선작업으로 부직포 상에 우모를 포설하고, 후작업으로 부직포의 폭에 맞게 우모를 균일하게 배치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모가 부직포를 벗어나게 포설되거나 불균일하게 포설되는 경우 보온덮개의 성능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60293
본 발명의 목적은 우모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보온덮개의 제조가 가능하고, 배출구로 배출되는 우모의 포설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우모가 포설범위에 제대로 포설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우모를 해리하여 펼치는 우모포설장치; 우모포설장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우모가 부직포에 배치되고, 부직포에 외피를 부착하는 외피부착장치; 배출구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고, 기설정된 값 또는 부직포의 폭에 기초하여 배출구의 폭을 변경하여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우모의 포설범위를 조절하는 가변부로 이루어진 배출구조절장치; 및 배출구조절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직포의 폭을 측정하는 길이측정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길이측정센서의 측정값 또는 기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가변부를 조절한다.
삭제
본 발명은 포설범위를 촬영하여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화상데이터를 기초하여 우모가 포설범위로부터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은 포설범위에 배치되는 우모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무게감지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우모가 포설범위에 균일하게 배치됐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는 비닐하우스 보온 덮개 맞춤 제작이 가능하여 농가 소득 증대 및 전기나 기름 사용을 줄여 환경오염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뛰어난 복원력과 원상 회복력을 가지고 있어 오래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이다.
또한, 우모 보온 덮개의 단열을 위한 공기층을 두텁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효과가 뛰어나고 부직포의 난연성이 뛰어나고, 우모는 다른 소재보다 가볍고 공기층을 많이 함유해서 보온성이 우수하며, 물을 흡수하지 않으므로 비가오는 경우에도 무게 차이가 많이 발생하지 않아 가볍고 사용하기 편리하므로 다양한 산업 자재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 재료 사용, 폐기되는 우모 재활용, 그리고 에너지 절약 등이 가능한 제품으로, 환경오염과 공해를 방지함과 동시에 폐기물 재활용 산업 등 광범위한 영역으로의 기술 확대가 가능하다.
또한, 저온 작물과 같은 가온을 통한 보온을 않을 시 덮개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고기능과 경량화로 기존제품을 뛰어 넘어 새로운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우모를 감싸는 부직포의 폭에 따라 우모의 포설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포설되는 우모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그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보온덮개의 성능 및 생산을 균일하게 하여 신뢰도를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출구조절장치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어기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외피부착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컨베이어 상에 우모의 포설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상부"의 상(上)은 도 1에 도시된 2차 호퍼(150)를 기준하여 1차 호퍼(110)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1차 호퍼(110)를 기준하여 2차 호퍼(150)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우모라 함은 조류의 깃털(feather)을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오리털 또는 거위털 등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이하, 제조장치라 함)는 우모포설장치(100), 외피부착장치(200), 배출구조절장치(300)를 포함한다.
우모포설장치(100)는 원재료인 우모가 표면에 형성된 기름층에 의해 덩어리로 뭉쳐있는 것을 해리하여 부직포(10) 상에 펼치는 장치이다.
그리고 외피부착장치(200)는 우모포설장치의 배출구(180)로부터 배출되는 우모가 부직포(10)에 배치되고, 부직포(10)에 외피를 부착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배출구조절장치(300)는 배출구(180)로부터 배출되는 우모의 포설범위(이하, '포설범위'라 함)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포설범위는 부직포(10) 상에 우모가 포설되는 폭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보호덮개를 제조하기 위해 부직포(10)에서 외피가 부착되는 폭을 제외한 범위 또는 제조장치에 임의로 기설정된 값이 해당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출구조절장치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배출구조절장치(300)는 배출구(180)에 설치되고, 배출구(180)의 폭(w)을 변경하여 포설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배출구(180)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배출구조절장치(300)는 배출구(180)의 폭(w)을 변경하여 포설범위를 조절하는 가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변부는 판(plate)형, 전체 또는 일부가 절곡되거나 굴곡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실시예
일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배출구조절장치(300a)는 배출구(180)에 형성되는 힌지부(311)를 더 포함하고, 가변부(310)는 힌지부(311)에 설치되어 일정각도만큼 회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힌지부(311)는 배출구의 일측(181) 또는 타측(182)에 형성되거나, 양측(181,182) 모두에 형성될 수 있고, 가변부(310)는 힌지부(311)에 설치되는 모터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즉, 가변부(310)가 배출구(180)의 내측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함으로써 배출구(180)의 폭(w)이 변경되어 포설범위가 조절된다.
제2실시예
다른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배출구조절장치(300b)는 배출구(180)의 폭방향을 따라 배출구(180)에 설치되는 샤프트(321)를 더 포함하고, 가변부(320)는 샤프트(321)에 설치되어 샤프트(321)를 따라 선형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21)의 일측이 배출구의 일측(181)에 설치되고, 가변부(320)는 샤프트(321)가 관통되어 배출구의 타측(182)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가변부(320)가 배출구(18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샤프트(321)를 따라 선형이동함으로써 배출구(180)의 폭(w)이 변경되어 포설범위가 조절된다.
가변부(320)는 샤프트(321)에 설치되는 모터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샤프트(321)의 외주면과 가변부(32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고, 샤프트(321)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의 회전을 의해 가변부(320)가 샤프트(321)를 따라 선형이동한다.
여기서, 샤프트(321)의 회전에 의해 가변부(320)가 동조하여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기 위해, 배출구조절장치(300b)는 회전방지부(323)를 더 포함한다.
회전방지부(323)는 샤프트(321)와 평행하며, 회전방지부(323)의 일측 단부는 배출구의 일측(181)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가변부(320)를 관통한다.
즉, 회전방지부(323)에 의해 가변부(320)의 회전이 구속되며, 회전방지부(323)가 샤프트(321)와 평행하므로 가변부(320)가 샤프트(321)와 회전방지부(323)를 따라 선형이동한다.
여기서, 가변부(320)의 선형이동 시, 가변부(320)가 샤프트(321) 또는 회전방지부(32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321) 또는 회전방지부(323)의 타측에 스토퍼(322)가 설치된다.
스토퍼(322)가 샤프트(321)에 설치되는 것을 기준하여, 스토퍼(322)는 샤프트(321)의 타측 단부가 절곡된 형태이거나, 또는 샤프트(321)의 단면보다 넓은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또 다른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배출구조절장치(300c)는 배출구(180)의 내측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사부(331)를 더 포함하고, 가변부(330)는 경사부(331)에 설치되고, 경사부(331)로부터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사부(331)는 배출구의 일측(181) 또는 타측(182)에 형성되거나 양측(181,182)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가변부(330)가 경사부(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부(331)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슬라이드 이동하여 연장됨으로써 배출구(180)의 폭(w)이 변경되어 포설범위가 조절된다.
가변부(330)가 경사부(331)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해서, 가변부(330) 또는 경사부(331)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단부가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은 치가 형성된 레일이 설치되고, 중공에 삽입되는 단부는 레일에 치합되는 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를 통해 기어가 회전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가변부(330)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는, 경사부(331) 또는 가변부(330)에 경사부(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T'형태의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돌기와 맞물리는 'U'형태의 홈이 경사부(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에 레일이 설치되고, 홈에 맞물리는 돌기에 기어가 설치되며, 전술된 바와 같이 모터를 통해 기어가 회전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가변부(330)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4실시예
또 다른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배출구조절장치(300d)는 상단이 배출구(180)에 설치되는 주름부(341)를 더 포함하고, 가변부(340)는 주름부(3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부직포(10)의 폭방향을 따라 선형이동하며 순차적으로 우모를 포설한다.
가변부(340)의 단면은 전술된 배출구(180)의 단면과 같이 사각형, 원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가변부(310,320,330)는 배출구(180)의 폭(w)을 변경하여 포설범위를 조절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5실시예는 배출구(180)가 아닌 부직포(10)의 폭방향을 따라 가변부(340)가 왕복 선형이동하며 순차적으로 우모가 포설됨에 따라 포설범위가 조절된다.
즉, 주름부(341)의 수축 또는 이완을 통해 가변부(340)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출구(180)와 가변부(340)간 틈이 메워져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부직포(10)의 영역 외에 우모가 포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변부(340)의 폭(w1)은 부직포(10)의 폭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부(340)는 전술된 레일, 기어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레일이 배출구조절장치(300)의 외부에 부직포(10)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레일에 치합되는 기어에 가변부(340)가 축결합된다.
그리고 모터를 통해 기어가 회전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가변부(340)가 선형이동한다.
전술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가변부(310,320,330)의 회전 또는 선형이동 시, 배출구(180)와 가변부(310,320,330)간에 틈이 형성되어 우모가 포설범위 외로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4실시예와 같이 배출구(180)와 가변부(310,320,330)간에 주름막을 설치하여 가변부(310,320,330)의 자유도를 확보하고, 틈을 메울 수 있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어기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조장치는 길이측정센서(20), 제어기(400)를 더 포함한다.
길이측정센서(20)는 부직포(10)의 폭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된 가변부에 설치되고, 레이저센서와 같은 공지의 길이측정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우모가 부직포(10)에 포설되기 전에 선행으로 부직포(10)의 폭방향을 따라 가변부(340)를 회전 또는 선형이동시켜 길이측정센서(20)가 부직포(10)의 폭을 측정한다.
제어기(400)는 길이측정센서(20)의 측정값 또는 기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가변부(340)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00)는 분석부(410), 작동부(420), 통신부(430), 디스플레이부(440)를 포함한다.
즉, 분석부(410)가 길이측정센서(20)의 측정값 또는 기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가변부의 변동량을 산출하고, 작동부(420)가 분석부(410)의 산출값에 기초하여 작동신호를 발생함으로써 가변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통신부(163)는 제조장치와 사용자의 단말기간 연결을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는 랩탑, 데스크탑,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휴대 단말기(PDA),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또는 다른 적절한 컴퓨터들과 같이 다양한 디지털 컴퓨터뿐만 아니라,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IPTV 등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로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즉, 통신부(163)가 사용자의 단말기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전술된 기설정된 값을 입력할 수 있고, 전술된 제조장치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가 단말기 상에 도시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단말기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상에서 동작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 또는 타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특정기능을 직접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상기 통신부(163)는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같은 공지의 무선방식을 통해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제조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40)는 단말기와 같이 제조장치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가 도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440)는 LED를 비롯한 공지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터치패드 방식이 적용될 경우, 이를 통해 전술된 기설정된 값을 입력하여 제조장치의 관리 또는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어기(400)는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440)에 도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우모포설장치(100)는 1차 호퍼(110), 2차 호퍼(150), 균일화장치(170)를 포함한다.
1차 호퍼(110)는 우모를 1차 해리하고, 2차 호퍼(150)는 1차 해리된 우모를 2차 해리하며, 균일화장치(170)는 2차 해리된 우모를 균일하게 펼친다.
보다 구체적으로, 1차 호퍼(110)는 1차 해리부(120), 연통구(130)를 포함하며, 1차 해리부(120)는 3개의 2중 날 롤러(121, 122, 123)를 통해 우모를 1차 해리한다.
또한, 연통구(130)는 1차 해리된 우모를 1개의 4중 날 롤러(131)를 통해 2차 호퍼(150)로 전달한다.
이때, 3개의 2중 날 롤러(121, 122, 123) 중, 상부의 2개의 롤러(121, 122)는 우모를 1차 해리하고, 하부의 1개의 롤러(123)는 1차 해리된 우모를 하부로 이송한다.
연통구(130)는 4중 날 롤러(131)가 설치되어 1차 해리된 우모를 2차 호퍼(150)로 전달할 수 있다.
2차 호퍼(150)는 1차 호퍼(110)에서 1차 해리된 우모를 2차로 해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2차 해리부(160), 배출구(180)를 포함한다.
2차 해리부(160)는 다수의 2중 날 롤러(161, 162, 163, 164, 165)를 통해 1차 호퍼(110)로부터 전달된 우모를 2차 해리한다.
2차 해리부(160)는 상단에 배치되는 3개의 2중 날 롤러(161, 162, 163)와, 균일화장치(170) 측에 배치되는 2중 날 롤러(164)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2차 해리부(160)의 상단에 배치되는 3개의 2중 날 롤러(161, 162, 163)의 하측에 배치되는 2중 날 롤러(165)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2차 해리부(160)의 상단에 배치되는 3개의 2중 날 롤러(161, 162, 163)에서 해리된 우모가 다시 뭉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구(180)는 4중 날 롤러(183)가 설치되며, 2차 해리된 우모가 전술된 배출구조절장치(300)에 의해 조절된 포설범위에 포설된다.
배출구(180) 측에는 2차 해리된 우모를 균일하게 펼치는 균일화장치(170)가 설치된다.
균일화장치(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롤러 사이를 벨트로 연결하여 2차 해리부(160)의 2중날 롤러(161, 162, 163, 164, 165) 보다는 가는 바늘형의 돌기를 부착하여 우모의 이송 시, 우모가 벨트 상에 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균일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외피부착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컨베이어 상에 우모의 포설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외피부착장치(200)는 컨베이어(210), 외피접합부(220), 외주접합부(23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210)는 부직포(10)를 이송하기 위한 구성이며, 컨베이어(210)의 상부에 부직포(10)가 배치된다.
그리고, 부직포(10)를 일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배출구조절장치(300)를 통해서 배출되는 우모가 이송되는 부직포(10) 상에 순차적으로 포설된다.
여기서, 제조장치는 촬영부(30, 도 1 도시)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400)는 경고등(450), 스피커(460)를 더 포함한다.
촬영부(30)는 부직포(10) 상에 포설되는 우모가 포설범위(S)를 벗어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촬영부(30)는 스냅(snap) 또는 실시간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공지의 영상장치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배출구(180)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배출구(180) 인근에 배치되어 포설범위(S, 도 8 도시)를 촬영할 수 있다.
우모의 포설을 확인하기 위해, 촬영부(30)는 포설범위(S)의 전체를 촬영하고, 제어기(400)는 촬영부(30)의 화상데이터를 기초하여 우모가 포설범위(S)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부(410)가 화상데이터를 기초하여 우모가 포설범위(S)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산출한다.
여기서, 분석부(410)의 분석범위(A, 도 8도시)는 상기 포설범위(S)의 폭방향을 기준하여, 포설범위(S)의 양측 단부에 해당한다.
즉, 우모가 포설범위(S)를 벗어날 경우, 경고의 결과값을 산출하고, 포설범위(S) 이내인 경우, 양호의 결과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작동부(420)가 분석부(410)의 산출값에 기초하여, 경고의 결과값인 경우 경고등(450) 또는 스피커(460)의 작동신호를 발생함으로써 경고등(450)이 점등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작동부(420)는 경고의 결과값인 경우, 제조장치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우모의 포설을 보완한 후 다시 제조장치를 작동시킴으로서 장치의 신뢰도를 높여줄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410)의 산출값은 통신부(43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40) 또는 단말기에 도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줄 수도 있다.
분석부(410)의 분석범위(A)는 포설범위(S)의 단부에 해당함으로써, 촬영부(30)는 포설범위(S)의 전체가 아닌 분석범위(A)에 한정하여 촬영을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화상데이터의 용량을 줄여줄 수 있고 분석에 있어 장치 상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조장치는 무게감지센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40)는 부직포(10)에 우모가 균일하게 포설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무게감지센서(40)는 로드셀과 같이 공지의 무게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210)의 벨트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우모가 포설범위(S) 상에 균일하게 포설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무게감지센서(4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포설범위(S)의 폭방향을 따라 포설범위(S)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벨트에 설치될 수 있다.
분석부(410)는 무게감지센서(40)의 측정값을 기초하여, 우모가 포설범위(S) 상에 균일하게 포설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과값을 산출한다.
즉, 측정된 우모의 무게가 상호 불균일할 경우, 경고의 결과값을 산출하고, 균일할 경우 양호의 결과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작동부(420)가 분석부(410)의 산출값에 기초하여, 경고의 결과값인 경우 경고등(450) 또는 스피커(460)의 작동신호를 발생함으로써 경고등(450)이 점등되거나 스피커(460)를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작동부(420)는 경고의 결과값인 경우, 제조장치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우모의 포설을 보완한 후 다시 제조장치를 작동시킴으로서 장치의 신뢰도를 높여줄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410)의 산출값은 통신부(43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40) 또는 단말기에 도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줄 수도 있다.
우모가 포설범위(S)에 포설되며 컨베이어(210)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면, 우모의 상부에 부직포(10)가 배치되고. 외피접합부(220)는 일정 간격으로 부직포(10)와 외피를 접합시켜 우모가 포설된 우모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외주접합부(230)는 우모층이 형성되는 부직포(10)와 외피의 외주테두리를 접합시킴으로써 보온덮개의 제조가 완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는 비닐하우스 보온 덮개 맞춤 제작이 가능하여 농가 소득 증대 및 전기나 기름 사용을 줄여 환경오염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뛰어난 복원력과 원상 회복력을 가지고 있어 오래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이다.
또한, 우모 보온 덮개의 단열을 위한 공기층을 두텁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효과가 뛰어나고 부직포의 난연성이 뛰어나고, 우모는 다른 소재보다 가볍고 공기층을 많이 함유해서 보온성이 우수하며, 물을 흡수하지 않으므로 비가오는 경우에도 무게 차이가 많이 발생하지 않아 가볍고 사용하기 편리하므로 다양한 산업 자재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 재료 사용, 폐기되는 우모 재활용, 그리고 에너지 절약 등이 가능한 제품으로, 환경오염과 공해를 방지함과 동시에 폐기물 재활용 산업 등 광범위한 영역으로의 기술 확대가 가능하다.
또한, 저온 작물과 같은 가온을 통한 보온을 않을 시 덮개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고기능과 경량화로 기존제품을 뛰어 넘어 새로운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우모를 감싸는 부직포의 폭에 따라 우모의 포설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우모포설장치 200 : 외피부착장치
300 : 배출구조절장치 400 : 제어기

Claims (6)

  1. 우모를 해리하여 펼치는 우모포설장치;
    상기 우모포설장치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우모가 부직포에 배치되고, 상기 부직포에 외피를 부착하는 외피부착장치;
    상기 배출구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고, 기설정된 값 또는 상기 부직포의 폭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구의 폭을 변경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우모의 포설범위를 조절하는 가변부로 이루어진 배출구조절장치; 및
    상기 배출구조절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폭을 측정하는 길이측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길이측정센서의 측정값 또는 기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가변부를 조절하는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설범위를 촬영하여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기초하여 상기 우모가 상기 포설범위로부터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설범위에 배치되는 상기 우모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우모가 상기 포설범위에 균일하게 배치됐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6. 삭제
KR1020180163783A 2018-12-18 2018-12-18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 KR10214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783A KR102143883B1 (ko) 2018-12-18 2018-12-18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783A KR102143883B1 (ko) 2018-12-18 2018-12-18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948A KR20200075948A (ko) 2020-06-29
KR102143883B1 true KR102143883B1 (ko) 2020-08-13

Family

ID=7140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783A KR102143883B1 (ko) 2018-12-18 2018-12-18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284B1 (ko) * 2001-06-12 2004-04-27 김진술 콘크리트용 레벨봉
KR100428285B1 (ko) * 2001-06-12 2004-04-27 김진술 미장용 레벨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5634A (ja) * 2005-12-08 2007-06-21 Masahiro Ko 布団内部の品質確認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646A (ko) * 2008-07-07 2010-01-15 김태일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0460293Y1 (ko) 2010-05-28 2012-05-15 김삼희 우모공급장치
KR20120119435A (ko) * 2011-04-21 2012-10-31 주식회사 한국에코텍 화이버시트 사이에의 우모층 형성을 위한 우모 자동 분사장치
KR101508999B1 (ko) * 2013-09-16 2015-04-08 주식회사 현성부직포 우모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온덮개 제조장치
KR101939770B1 (ko) * 2017-01-18 2019-01-21 주식회사 현성부직포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5634A (ja) * 2005-12-08 2007-06-21 Masahiro Ko 布団内部の品質確認方法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284B1 (ko) * 2001-06-12 2004-04-27 김진술 콘크리트용 레벨봉
KR100428285B1 (ko) * 2001-06-12 2004-04-27 김진술 미장용 레벨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948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883B1 (ko)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
BR102015020479B1 (pt) Sistema compreendendo dispositivo para a mediqao de temperaturas para a detecqao repetida de valores de temperaturas de superficie de um pavimento colocado por uma pavimentadora, pavimentadora, metodo e midia de armazenagem de leitura por computador, com instruqoes executaveis por computador que, quando executadas, realizam o metodo de controle
CN104896668B (zh) 一种室内空调器智能调节系统及其调节方法
CN104049623B (zh) 一种基于物联网的谷物烘干机组远程实时监控管理系统
DE112015000363T5 (de) Asphaltiermaschien-Temperaturwarnsystem für Bediener eines Asphaltverdichters
CN205637375U (zh) 一种数字化多功能防水卷材摊铺一体机
CA29946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mentitious boards with on-line void detection
CN106770289A (zh) 一种用于分布式叶面积指数半球图像采集的节点
WO2023035685A1 (zh) 用于控制空调器的方法及装置、空调器
KR20210071172A (ko) 하우스 보온덮개용 우모해리 및 포설장치
KR102140534B1 (ko) 하우스용 우모 다겹 보온덮개 제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구조절장치
CN205062628U (zh) 一种沥青路面养护控制系统
CN205279345U (zh) 智能空调
WO2017140089A1 (zh) 清扫机器人系统和清扫机器人
CN108965467A (zh) 一种基于路灯的智慧城市物联网系统
CN202614685U (zh) 用于水稻冠层鱼眼摄像的调节垂直高度的自平衡装置
CN104924511A (zh) 用于塑料薄膜加工设备的压延辊温度补偿装置
CN107491017A (zh) 一种环境参数监测方法、装置及系统
CN205641820U (zh) 玻璃纤维干燥处理装置
CN208683816U (zh) 一种降低输送带异常磨损的热矿料输送装置
CN203965887U (zh) 具有无线测温功能的变电站智能巡检机器人
CN207163921U (zh) 变速箱控制单元外观检测装置
CN206483412U (zh) 一种化妆品用分散设备及分散系统
TW202125132A (zh) 用於判定建築結構覆蓋物之接近度之系統及方法
CN107401910A (zh) 一种可移动焊条托盘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