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723B1 -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 Google Patents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723B1
KR102133723B1 KR1020180078646A KR20180078646A KR102133723B1 KR 102133723 B1 KR102133723 B1 KR 102133723B1 KR 1020180078646 A KR1020180078646 A KR 1020180078646A KR 20180078646 A KR20180078646 A KR 20180078646A KR 102133723 B1 KR102133723 B1 KR 102133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oncrete
rod
fitting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209A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to KR102018007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7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 직립으로 세워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간편하며 견고한 설치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캡부와, 상기 캡부가 상단에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봉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철근이 끼워지는 끼움공간이 형성된 철근끼움부와, 상기 철근끼움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탄성압축되는 지지스프링부를 포함함으로써, 철근끼움부에 철근이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스프링부가 철근과 바닥면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LEVELING ROD HAVING SUPPORT SPRING PART FOR CONCRETE PLACING}
본 발명은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타설현장에서 철근과 바닥면 사이에 지지스프링부를 압축상태로 끼워넣음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직립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바닥이나 층간 슬라브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구성한 후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높이, 즉 타설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막대형태의 타설용 레벨봉을 복수의 위치에 설치한 후, 레벨봉이 지시하는 높이까지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도 1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3144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레벨봉에는 철근(1)에 클립과 같이 끼워 결합되는 원통형의 철근결합부(3)와, 철근결합부(3)에 형성되어 표시부(5)를 파지하는 파지부(4)와,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부(5)가 설치된다.
철근(1)에 설치시 원통형의 철근결합부(3)가 탄성이 있어 클립과 같이 철근에 착탈할 수 있고, 철근결합부(3)와 일체로 제작되는 파지부(4)에 표시부(5)를 끼울 수 있는 끼움공간이 마련되어 표시부(5)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등록특허공보 제10-0428284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종래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타설높이를 표시하는 캡부재(7)의 하측에 캡부재(7)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7a)가 설치되고, 높이조절구(7a)의 하측에 스프링(6)이 설치된다.
스프링(6)은 작업자가 접촉하는 외력 등으로 캡부재(7)가 옆으로 쓰러지더라도 직립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스프링의 하측에는 고정판(8)이 설치되어 접착제(9)에 의해 바닥면에 부착되고, 접착제(9)의 부착구조에 의해 콘크리트의 타설현장에서 레벨봉이 직립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의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철근결합부(3)과 파지부(4)를 일체로 제작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으로 결합시키고 표시부(5)의 스프링 부분을 끼워 결합시키는 구조이므로, 철근결합부(3)과 결합부(4)를 일체로 제작하고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재작하여야 하므로 복잡한 구조의 사출금형이 마련되어야 하고, 철근결합부(3)과 결합부(4)를 별도의 결합수단으로 결합시키는 구조이더라도 제작부품 및 공수가 늘어나 제작과정에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도 2의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하면에 접촉제를 사용하여 바닥면에 접착 및 고정시키고 있으나, 철근이 얽혀 있는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 접착제를 바닥면에 도포하고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다수 접착시키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이며, 바닥의 모래 입자가 분포하는 등 바닥면의 상태가 좋지 못한 경우, 접착제(9)에 의해 고정판(8)이 견고하게 접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 직립으로 세워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간편하며, 견고한 설치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캡부와, 상기 캡부가 상단에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봉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철근이 끼워지는 끼움공간이 형성된 철근끼움부와, 상기 철근끼움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탄성압축되는 지지스프링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철근끼움부에 콘크리트 타설영역에 배근된 철근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스프링부가 상기 철근과 바닥면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서, 상기 몸체부는 수직방향을 따라 와이어가 코일형상으로 감김으로써 봉형상을 이루고, 상기 철근끼움부와 상기 지지스프링부는 하나의 강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철근끼움부는 측방향을 향해 개방된 ㄷ자형으로 상기 강선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서, 상기 지지스프링부는 하단에 결합되고 바닥면과 접촉하는 착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착지판은 상기 지지스프링부가 상기 철근을 중심으로 선회시, 바닥면과 가장 먼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들어올려진 접촉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서, 상기 착지판은 하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돌기는 강재인 상기 착지판을 ㄷ자형으로 절개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굽혀 형성한 것으로서, 그 경사진 방향이 상기 접촉가이드부가 설치된 측의 반대측 방향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서, 상기 하나의 강선은 철근끼움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로드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코일형상의 내부에 상기 삽입로드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몸체부와 상기 철근끼움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몸체부의 하측에 철근끼움부가 설치되고 철근끼움부의 하측에 탄성압축되는 지지스프링부가 설치되어 철근과 바닥면 사이에 압축상태로 끼워 넣은 지지스프링부가 탄성력에 의해 철근과 바닥면에 밀착하여,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직립상태를 유지하는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견고한 설치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 설치하는 작업도 매우 단순하여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지지스프링부의 하단에 착지판이 부착되고 그 착지판의 일단부에 라운드진 접촉가이드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철근끼움부에 철근을 끼운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선회시킴으로써 지지스프링부가 철근과 바닥판 사이로 원활히 진입될 수 있는 바, 철근과 바닥판 사이로 지지스프링부를 끼워넣기 위해 사전에 힘을 가해 압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는 종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설치구성을 도시한 구성설명도
도 2는 종래 다른 종류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설치구성을 도시한 구성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설명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에 착지판이 부착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구서도
도 7은 도 6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철근에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기울인 상태에서 철근끼움부에 철근을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도 6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 7과 같이 철근에 끼운 상태에서 철근을 중심으로 선회시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직립상태로 세우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서 착지판의 탄성돌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의 (a) 및 (b)는 도 9의 착지판이 설치된 상태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단면구성도 및 바닥에 차지한 상태에 관한 설치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콘크리트(63)의 타설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캡부(10)와, 상기 캡부(10)가 상단에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봉형상의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철근(61)이 끼워지는 끼움공간(32)이 형성된 철근끼움부(30)와, 상기 철근끼움부(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탄성압축되는 지지스프링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캡부(10)는 몸체부(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콘크리트(63)가 타설되는 높이를 표시한다. 즉, 캡부(10)는 수평의 디스크(12)와, 그 디스크(12)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단돌기(11)를 포함하고, 디스크(12)의 위치가 콘크리트(63)가 타설되는 높이가 된다.
콘크리트(63)가 디스크(12)의 위치까지 타설 후 양생이 완료되면, 도 5와 같이 콘크리트(63)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상단돌기(11)는 작업자가 발로 타격하여 부러뜨려 제거된다.
캡부(10)를 몸체부(20)에 결합시키기 위해 디스크(12)의 하면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그 결합돌기가 코일형상의 몸체부(20)에 억지끼움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것이 제작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20)는 캡부(10)가 상단에 결합되어 캡부(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봉형상을 가진다.
몸체부(20)의 봉형상은 수직방향을 따라 와이어가 코일형상으로 감김으로써 봉형상을 이루고, 강재의 와이어가 작은 직경(외경이 약 2~8mm)의 코일형상으로 감김에 따라 탄성을 가져 측방향으로 굽어지더라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몸체부(20)가 와이어에 의해 코일형상으로 감겨 봉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므로 상단에서 캡부(10)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고, 하단에서는 철근끼움부(30) 및 지지스프링부(40)와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로드(50)가 끼워져 몸체부(20)와 철근끼움부(3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철근끼움부(30)는 몸체부(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철근(61)이 끼워지는 끼움공간(32)이 형성된다.
철근끼움부(30)는 상측에 삽입로드(50)가 위치하고 하측에 지지스프링부(40)가 위치하되 삽입로드(50)와 철근끼움부(30)와 지지스프링부(40)가 하나의 강선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므로 서로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강선은 지지스프링부(40)의 탄성력을 높일 수 있도록 2~3mm 직경의 강선이 바람직하다.
2mm 직경의 강선이 사용되는 경우, 몸체부(20)의 코일형상의 내경이 대략 2mm가 되도록 형성하여 삽입로드(50)가 몸체부(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철근끼움부(30)는 측방향을 향해 개방된 ㄷ자형으로 강선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ㄷ자형으로 둘러싸인 내측이 끼움공간(32)이 되고, ㄷ자형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철근(61)이 끼움공간(32)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철근끼움부(30)의 ㄷ자형은 개방된 입구가 측방향을 향하는 세워진 ㄷ자형이다.
상기 ㄷ자형은 측방향으로 개방된 입구를 가지고 끼움공간(32)의 3면을 둘러싼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 ⊃형상도 모두 본 발명의 ㄷ자형에 포함된다.
상기 지지스프링부(40)는 철근끼움부(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탄성압축되는 코일스프링의 형태이다.
철근끼움부(30)에 콘크리트(63) 타설영역에 배근된 철근(61)이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스프링부(40)가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서 압축되고, 그 압축력에 의해 지지스프링부(40)가 철근(61)과 바닥에 견고히 밀착(철근에 밀착되는 것은 제작상태에 따라 실질적으로는 철근끼움부(30)의 하부가 될 수도 있다)하여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전체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가지게 된다.
지지스프링부(40)의 코일형상의 외경은 25~40mm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높이는 작업장의 상태에 따라 대략 30~100mm 등으로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지지스프링부(40)를 약간 압축시켜, 최하측에 위치하는 수평의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 지지스프링부(40)를 밀어 넣어 설치한다.
이에 따라, 압축된 지지스프링부(40)는 탄성력에 의해 철근(61)과 바닥면(80)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를 유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철근(61)과 바닥면(80)에 견고히 밀착되므로 쉽게 위치를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지지스프링부(40)가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서 견고히 착지한 상태에서 지지스프링부(40)와 일체화된 철근끼움부(30), 삽입로드(50), 몸체부(20), 캡부(10) 등이 서로 결합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체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이후, 도 4와 같이 콘크리트(63)가 유동해 오더라도 압축된 지지스프링부(40)의 밀착상태에 의해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몸체부(20)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몸체부(20)는 금속 와이어가 코일형태로 감긴 형상으로서 자체로 탄성력을 가지므로 콘크리트(63)의 유동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측방향으로 굽어지더라도 콘크리트(63)의 공급이 멈춘상태에서 유동성 있는 콘크리트(63) 내에서는 직립인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콘크리트(63)의 타설높이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63)는 캡부(10)의 디스크(12)의 위치까지 콘크리트(63)가 공급된 후 양생이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최후까지 콘크리트(63) 표면에서 노출되어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던 캡부(10)의 상단돌기(11)는 양생 후 작업자가 발로 타격하여 부러뜨려 제거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스프링부(40)는 하단에 결합되어 바닥면(80)과 접촉하는 착지판(70)이 설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서 지지스프링부(40)를 압축시켜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높은 탄성력의 지지스프링부(40)를 압축시켜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 끼워넣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지스프링부(40)를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 용이하고 원활하게 끼워넣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착지판(70)이 설치된다.
착지판(70)은 지지스프링부(40)의 하단에 용접되거나 별도 체결수단으로 서로 고정된다.
상기 착지판(70)은 일단부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들어 올려진 접촉가이드부(71)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가이드부(71)는 착지판(70)이 바닥면(80)과 먼저 접촉하는 부분에서 착지판(70)이 바닥면(80)과 마찰하는 상태에서도 쉽게 슬라이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하여 곡면을 통해 착지판(70)의 하면이 바닥면(80)에 완전히 밀착하는 과정에서 바닥면(80)에 걸릴 수 있는 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철근끼움부(30)에 철근(61)이 끼워진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철근(61)을 중심으로 선회시, 접촉가이드부(71)가 바닥면(80)과 가장 먼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접촉가이드부(71)는 일단부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들어 올려진 형상을 이루기 위해, 도 6의 (a)와 같이 착지판(70)의 일단부를 들어올려 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도 6의 (b)와 같이 착지판(70)의 일단부를 둥글게 말아 라운드진 상기 접촉가이드부(71)를 형성할 수 있다.
착지판(70)에서 접촉가이드부(71)가 형성되는 상기 일단부는 착지판(70)의 양 단부 중 철근끼움부(30)의 ㄷ자형상의 개방된 입구가 향하는 측으로 위치한 착지판(70)의 단부가 되도록 한다.
다만, ㄷ자형상의 개방된 입구가 향하는 측의 반대측으로 위치한 착지판(70)의 단부에 접촉가이드부(71)가 설치될 수 있으나, 도 8과 같이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선회시켜 설치하는 작업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착지판(70)의 양 단부 중 철근끼움부(30)의 ㄷ자형상의 개방된 입구가 향하는 측으로 위치한 착지판(70)의 단부에 접촉가이드부(71)가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지지스프링부(40)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 끼워넣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지지스프링부(40)를 먼저 압축시키지 않고,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기울인 후 바닥면(80)에 인접한 철근(61)에 철근끼움부(30)를 접근시켜 철근(61)을 철근끼움부(30)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 때, 지지스프링부(40)는 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 바닥면(80)에 의해 아직 영향받지 않는 상태이다.
철근끼움부(30)에 철근(61)을 끼운 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몸체부(20)와 지지스프링부(40)를 잡아 철근(61)을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지지스프링부(40)가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 끼이도록 진입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지지스프링부(40) 하단에 부착된 착지판(70)의 접촉가이드부(71)가 먼저 바닥면(80)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직립상태로 선회하면서 착지판(70)과 바닥면(80)과의 접촉점이 접촉가이드부(71)의 곡면에서 착지판(70)의 하면으로 점차 옮겨가게 되고, 최종적으로 착지판(70)의 하면이 완전히 바닥면(80)과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접촉가이드부(71)의 곡면이 바닥면(80)과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바닥면(80)과 부딪히는 턱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착지판(70)이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서 바닥면(80)과 접촉한 상태로 원활히 진입한다.
또한, 착지판(70)의 진입과정에서 지지스프링부(40)는 점차적으로 압축되고, 최종적으로는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압축된 지지스프링부(40)에 의해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 끼이면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도 9는 착지판(70)에 탄성돌기(73)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탄성돌기(73)는 착지판(7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강재인 착지판(70)을 복수의 위치에서 도면부호 74와 같이 ㄷ자형으로 각각 절개한 후 하측으로 경사지게 굽혀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탄성돌기(73)는 도 10의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지판(70)의 하면에서 더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탄성돌기(73)가 하측으로 굽혀져 경사진 방향은 상기 접촉가이드부(71)가 설치된 측의 반대측 방향을 향한다.
이와 같이 탄성돌기(73)의 경사방향이 접촉가이드부(71)가 설치된 측의 반대측으로 한 것은, 접촉가이드부(71)가 바닥면(80)과 먼저 접촉하면서 착지판(70)이 진입하므로 탄성돌기(73)가 바닥면(80)과 마찰하여 착지판(70)이 역방향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착지판(70)은 강판재이다.
도 10의 (b)는 착지판(70)이 바닥면(80)에 완전히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탄성돌기(73)는 바닥면(80)에 밀려 탄성변형되어 착지판(70)에 함몰된 상태가 되나, 탄성력에 의해 탄성돌기(73)가 바닥면(80)에 미세하게 말착하고 있으므로 바닥면(80)을 물어 마찰력을 높이는 스파이크(spike)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설치위치가 잘못되거나 재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스프링부(40)를 강제로 압축시키면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지지스프링부(40)가 빠져나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캡부 11; 상단돌기
12; 디스크 20; 몸체부
30; 철근끼움부 32; 끼움공간
40; 지지스프링부 50; 삽입로드
61; 철근 62; 철근
63; 콘크리트 70; 착지판
71; 접촉가이드부 73; 탄성돌기
80; 바닥면

Claims (5)

  1. 콘크리트(63)의 타설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캡부(10)와,
    상기 캡부(10)가 상단에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봉형상의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철근(61)이 끼워지는 끼움공간(32)이 형성된 철근끼움부(30)와,
    상기 철근끼움부(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탄성압축되는 지지스프링부(40)를 포함함으로써,
    콘크리트(63) 타설영역에 배근된 철근(61)이 상기 철근끼움부(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스프링부(40)가 상기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가 되고,
    상기 몸체부(20)는 수직방향을 따라 와이어가 코일형상으로 감김으로써 봉형상을 이루고,
    상기 철근끼움부(30)와 상기 지지스프링부(40)는 하나의 강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철근끼움부(30)는 측방향을 향해 개방된 ㄷ자형으로 상기 강선이 절곡되어 상기 끼움공간(32)이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프링부(40)는 하단에 결합되고 바닥면(80)과 접촉하는 착지판(70)이 설치되고,
    상기 착지판(70)은 상기 지지스프링부(40)가 상기 철근(61)을 중심으로 선회시, 바닥면(80)과 가장 먼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들어올려진 접촉가이드부(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지판(70)은 하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73)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돌기(73)는 강재인 상기 착지판(70)을 ㄷ자형으로 절개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굽혀 형성한 것으로서, 그 경사진 방향이 상기 접촉가이드부(71)가 설치된 측의 반대측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강선은 철근끼움부(3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로드(50)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0)의 코일형상의 내부에 상기 삽입로드(50)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몸체부(20)와 상기 철근끼움부(3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5. 콘크리트(63)의 타설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캡부(10)와,
    상기 캡부(10)가 상단에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봉형상의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철근(61)이 끼워지는 끼움공간(32)이 형성된 철근끼움부(30)와,
    상기 철근끼움부(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탄성압축되는 지지스프링부(4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과;
    콘크리트(63) 타설영역에 배근된 것으로서 상기 철근끼움부(30)의 끼움공간(32)에 끼워진 철근(61);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철근(61)이 상기 철근끼움부(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스프링부(40)가 상기 철근(61)과 바닥면(8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가 되고,
    상기 몸체부(20)는 수직방향을 따라 와이어가 코일형상으로 감김으로써 봉형상을 이루며,
    상기 철근끼움부(30)와 상기 지지스프링부(40)는 하나의 강선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철근끼움부(30)는 측방향을 향해 개방된 ㄷ자형으로 상기 강선이 절곡되어 상기 끼움공간(32)이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설치구조
KR1020180078646A 2018-07-06 2018-07-06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102133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46A KR102133723B1 (ko) 2018-07-06 2018-07-06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46A KR102133723B1 (ko) 2018-07-06 2018-07-06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209A KR20200005209A (ko) 2020-01-15
KR102133723B1 true KR102133723B1 (ko) 2020-07-14

Family

ID=6915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646A KR102133723B1 (ko) 2018-07-06 2018-07-06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289B1 (ko) 2020-11-12 2021-05-07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391A (ja) * 2000-08-18 2002-02-28 Takumi Ueda コンクリート天端スペーサー
JP2003097049A (ja) * 2001-09-20 2003-04-03 Yorio Kurashima 天端出し補助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391A (ja) * 2000-08-18 2002-02-28 Takumi Ueda コンクリート天端スペーサー
JP2003097049A (ja) * 2001-09-20 2003-04-03 Yorio Kurashima 天端出し補助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289B1 (ko) 2020-11-12 2021-05-07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209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2460B2 (en) Cover for a concrete construction
US6571526B2 (en) Concrete masonry unit (CMU) vertical reinforcement and anchor bolt positioning device
KR101789320B1 (ko) 콘크리트 타설 이동 칸막이폼
KR100795437B1 (ko) 항두막이 장치
KR102133723B1 (ko)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102149511B1 (ko) 상부 철근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190143702A (ko) 지수판 지지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지수판 설치구조
KR20090088104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20210001188U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180116058A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KR102133376B1 (ko) 거푸집 고정용 십자 조인트
KR100988270B1 (ko) 슬래브용 레벨러에 방미장용 레벨러를 연결 사용하여 공사단계별 바탕면 마감높이를 표시한 레벨 스페이서 장치
KR200448246Y1 (ko) 콘크리트용 레벨봉
CN112659329A (zh) 预制构件的模板装置
KR20190000714A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KR20210000749U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101392832B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구조
KR200418000Y1 (ko)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JP5534593B2 (ja) 鏝およびこの鏝を用いる法面補強工法ならびに法面補強構造
KR101182201B1 (ko) 도로경계석 시공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
KR200445586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KR20190002319U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1825489B1 (ko) 철근 고정장치
KR200345059Y1 (ko) 슬래브 거푸집용 멍에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