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489B1 - 철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489B1
KR101825489B1 KR1020160078223A KR20160078223A KR101825489B1 KR 101825489 B1 KR101825489 B1 KR 101825489B1 KR 1020160078223 A KR1020160078223 A KR 1020160078223A KR 20160078223 A KR20160078223 A KR 20160078223A KR 101825489 B1 KR101825489 B1 KR 10182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fixing device
insertion por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244A (ko
Inventor
유은식
Original Assignee
유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식 filed Critical 유은식
Priority to KR102016007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4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에 격자형태로 배치된 철근의 교차부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철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삽입부 및 상측삽입부를 포함하여 철근 고정장치가 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배치된 하부 철근구조물을 피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철근구조물의 교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철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근 고정장치는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배치된 철근구조물의 교차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근 지지부가 상하좌우로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되,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한 상기 철근 지지부의 꼭지점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철근 고정 모듈; 상기 철근 지지부의 마주보는 내면 간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철근받침부; 및 한 쌍의 마주보는 상기 철근 지지부의 꼭지점에서 상호 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 고정장치{Support of Steal Reinforcing}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에 격자형태로 배치된 철근의 교차부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철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삽입부 및 상측삽입부를 포함하여 철근 고정장치가 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배치된 하부 철근구조물을 피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철근구조물의 교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철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시공시에는 거푸집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철근을 가로, 세로의 격자형태로 배치한 뒤, 숙련공에 의해 상기 철근의 교차점을 철사로 묶어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고정 작업은 얇은 두께의 철사로 묶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근로자의 숙련도에 따라 철근 고정작업의 균일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최종 콘크리트의 타설 때까지 근로자들이 철근을 밟고 다니거나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기계장비의 진동 등으로 인해 철사가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상황이 발생하곤 하였다.
또한, 스페이서라 칭하는 철근 고정장치는 철근과 거푸집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주로 고정한 철근의 교차점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방에 배치된 철근의 하중을 상부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종래의 철근 고정장치 또한 철근을 고정하는 기능이 부족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전까지 작업자들이 철근을 밟고 다니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철근 고정장치로부터 철근이 쉽게 이탈되며, 심한 경우 고정한 철사가 끊어지거나 풀리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 철근 고정장치가 철근의 지지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중에도 콘크리트의 충격과 압력에 의해 이탈되는 현상이 잦아 본래의 철근 지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철근 고정장치의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8946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철근 고정장치는 일측에 하위철근받침을 형성시키고 역U자 형의 판체로 되는 철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에 형성된 하위철근받침부의 상위 천정부를 제거하여 일측 하위철근받침부를 상측으로 노천(露天)인 노천하위철근받침부로 구성시키고, 노천하위철근받침부의 반대쪽 측벽에 제2하위철근받침부를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철근 고정장치는 하위철근받침부 및 제2하위철근받침부를 이용하여, 상방으로 철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철근 고정장치는 철근교차부로부터 상위철근방향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서 상부로부터 철근 고정장치를 아래로 끼워 넣는 과정 이후에 노천하위철근받침부가 하위철근을 지지하도록 철근 고정장치를 철근교차부를 향하여 강제로 밀어넣어 설치해야 하는 이중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철근 고정을 위한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제10-2010-0098946호 (A) 2010.09.1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측삽입부 및 상측삽입부를 포함하여 철근 고정장치가 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배치된 하부 철근구조물을 피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철근구조물의 교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철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콘크리트 타설 전에 격자형태로 하부 철근구조물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 철근구조물 상방에 상부 철근구조물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철근구조물의 교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근 지지부가 전후좌우로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되,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한 상기 철근 지지부의 꼭지점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철근 고정 모듈; 상기 철근 지지부의 마주보는 내면 간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철근받침부; 및 한 쌍의 마주보는 상기 철근 지지부의 꼭지점에서 상호 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철근 고정 모듈은, 상기 철근 받침부에 의해 상측삽입부 및 하측삽입부로 구획되며, 상기 하측삽입부에 상기 하부 철근구조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삽입부에 상기 상부철근구조물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철근 지지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보조고정돌기가 상기 철근 지지부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근 고정장치를 바닥면에 형성된 하부의 철근구조물을 피해서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의 철근구조물의 교차점을 상측삽입부에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방에 형성된 철근구조물을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도록 함에 따라 비숙련자도 쉽게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 공정 중에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도 상측삽입부에 삽입된 철근은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타설 공정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며, 시공된 건축물의 구조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철근 고정장치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됨에 따라 시공된 건축물의 구조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안정성이 더욱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한 철근 배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고정돌기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의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의 B-B'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근 고정대의 C-C'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철근을 배치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에 격자형태로 배치된 철근(S)의 교차부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철근 고정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삽입부(13) 및 상측삽입부(12)를 포함하여 철근 고정장치(100)가 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배치된 하부 철근구조물(S2)을 피해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철근구조물(S1)의 교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철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고정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고정돌기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철근 고정 모듈(10), 철근 받침부(20), 이탈방지돌기(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철근 고정 모듈(10)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바닥면에 배치된 하부 철근구조물(S2)을 피하면서, 그 상단에 형성된 상부 철근구조물(S1)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철근 고정 모듈(10)은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근 지지부(11)가, 전후좌우 방향에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되,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한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꼭지점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철근 고정 모듈(10)은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상하부가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하방에 배치된 철근구조물의 상부로 또 다른 철근구조물을 배치 및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철근 받침부(20)는 상기 철근 고정 모듈(10)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하고, 상부 및 하부에 철근(S)이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마주보는 내면 간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철근 받침부(20)에 의해 분리된 상부공간을 상측삽입부(12), 하부공간을 하측삽입부(13)라 지칭하기로 하며, 상기 하측삽입부(13)에는 하부 철근구조물(S2)이 삽입 배치되며, 상기 상측삽입부(12)에는 상부 철근구조물(S1)이 삽입 배치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30)는 상기 상측삽입부(12)에 삽입된 상부 철근구조물(S1)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대각선상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철근 지지부(11)의 모서리에서 상호 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최상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돌기(30)는 한 쌍이 상기 철근 고정 모듈(10)의 최상측에서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바, 철근의 삽입시 파손되지 않아야 하며, 삽입 이후 안정적으로 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돌기(30)는 탄성력이 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돌기(30)는 휘어지면서 상부 철근구조물(S1)이 쉽게 삽입되도록 하며, 철근이 완전히 삽입된 이후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돌기(30)가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삽입된 상부 철근구조물(S1)은 상기 철근 지지부(11) 및 이탈방지돌기(30)에 의해 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면서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 하측삽입부(13)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형성된 하부 철근구조물(S2)을 피해서 배치된 상태로, 상부 철근구조물(S1)의 교차점을 상기 상측삽입부(12)에 삽입함으로써, 철근구조물을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하도록 한다.
부연하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철근(S)을 배치하고 고정하여 하부 철근구조물(S2)을 형성한 뒤, 상기 하부 철근구조물(S2)이 상기 하측삽입부(13)로 삽입되도록 철근 고정장치(100)를 배치한다.
이후, 다시 철근을 격자형태로 배치하고 고정하여 상부 철근구조물(S1)을 형성한 뒤, 상기 상부 철근구조물(S1)의 교차부를 상기 상측삽입부(12)로 삽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측삽입부(12)에 삽입된 상부 철근구조물(S1)은 상기 철근 지지부(11)에 의해 전후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30)에 의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철근 지지부(11)는 상기 상측삽입부(12)에 삽입된 상기 상부 철근구조물(S1)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보조고정돌기(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돌기(40)는 상부 철근구조물(S1)의 삽입에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고정돌기(40)는 탄성력이 큰 유연한 소재로 얇게 형성되고,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최상부에서 상기 철근 받침부(20)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고정돌기(40)는 철근 지지부(11)의 내면에서 돌출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 끝단부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측삽입부(12)에 상기 상부 철근구조물(S1)이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철근구조물(S1)에 의해 상기 보조고정돌기(40)는 일정 방향으로 휘게 되며, 휘어진 상기 보조고정돌기(40)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철근구조물(S1)의 외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고정돌기(40)가 탄성력이 있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여러 직경의 철근(S)을 사용하여도 상기 보조고정돌기(40)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고정돌기(40)는 삽입된 상기 상부 철근구조물(S1)과의 마찰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보조고정돌기(40)의 양면에 복수 개의 엠보싱(embossing)(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엠보싱은 반구형, 원뿔형 등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측삽입부(12)에 삽입된 상부 철근구조물(S1)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철근 배치 과정에서 발생된 충격을 지지하도록, 상기 철근 받침부(20)의 외측 끝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보조 고정부(21)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고정부(21)는 상기 상측삽입부(12)에 삽입된 상부 철근구조물(S1)의 하중 및 작업자 등에 의해 상기 철근 지지부(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근구조물의 형성작업은 작업자가 철근(S) 및 철근 고정장치(100)를 밟고 이동하면서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 및 진동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철근 고정 모듈(10)은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인접한 외면 간을 연결하는 하중 보조 지지부(14)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하중 보조 지지부(14)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중 보조 지지부(14)의 좌우끝단부가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양외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후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하중 보조 지지부(14)와 상기 철근 지지부(11) 사이로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으며, 본 발명과 유입된 콘크리트가 빈틈없이 경화됨에 따라 시공될 건축물의 구조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철근 고정장치의 A-A'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철근 고정장치의 B-B'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철근 고정장치의 C-C' 단면도이다.
한편, 철근(S)의 배치가 완료된 이후 콘크리트의 타설시, 타설된 콘크리트는 여러 방향에서 유동되면서 철근 고정장치(100) 및 배치된 철근구조물과 경화되는데, 상기 하측삽입부(13)의 경우, 상기 철근 받침부(20)와 상기 상부 철근구조물(S1)에 의해 하측삽입부(13)측으로의 유동이 방해됨에 따라, 하측삽입부(13)측의 철근(S)과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시공된 건축물의 구조강도가 설계시의 구조강도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여러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측삽입부(13)에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기 하측삽입부(13)측 철근 지지부(11)에는 상기 하측삽입부(13)와 철근 지지부(11)의 외부를 연결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측에서 콘크리트가 유동됨에 따라 하부 철근구조물(S2)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S : 철근
S1 : 상부 철근구조물 S2 : 하부 철근구조물
10 : 철근 고정 모듈
11 : 철근 지지부 12 : 상측삽입부
13 : 하측삽입부 14 : 하중 보조 지지부
20 : 철근 받침부 21 : 보조 고정부
30 : 이탈방지돌기
40 : 보조고정돌기
100 : 철근 고정장치

Claims (4)

  1. 콘크리트 타설 전에 격자형태로 하부 철근구조물(S2)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 철근구조물(S2) 상방에 상부 철근구조물(S1)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철근구조물(S1)의 교차부를 고정하기 위한 철근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철근 지지부(11)가 전후좌우로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되,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한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꼭지점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철근 고정 모듈(10);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마주보는 내면 간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철근 받침부(20); 및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한 쌍의 마주보는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상부 꼭지점에서 상호 간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철근 고정 모듈(1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돌출방향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30);
    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 고정 모듈(10)은,
    상기 철근 받침부(20)에 의해 상측삽입부(12) 및 하측삽입부(13)로 구획되며, 상기 하측삽입부(13)에 상기 하부 철근구조물(S2)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삽입부(12)에 상기 상부 철근구조물(S1)의 교차부가 삽입되며,
    상기 철근 지지부(11)에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돌출방향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면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조고정돌기(40)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고정돌기(40)의 양면에는 복수 개의 엠보싱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최상부에서 상기 철근 받침부(20)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철근 받침부(20)는 외측 끝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조 고정부(21)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 고정 모듈(10)은,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인접한 외면 간을 연결하는 하중 보조 지지부(14)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삽입부(13)측의 철근 지지부(11)에는, 상기 하측삽입부(13)와 상기 철근 지지부(11)의 외부를 연결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철근 지지부(11)와 하중 보조 지지부(14)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과 개방부를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하측삽입부(13)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78223A 2016-06-22 2016-06-22 철근 고정장치 KR10182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223A KR101825489B1 (ko) 2016-06-22 2016-06-22 철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223A KR101825489B1 (ko) 2016-06-22 2016-06-22 철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44A KR20180000244A (ko) 2018-01-02
KR101825489B1 true KR101825489B1 (ko) 2018-03-22

Family

ID=6100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223A KR101825489B1 (ko) 2016-06-22 2016-06-22 철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4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575Y1 (ko) * 1999-08-26 2000-02-15 김영국 건축용 철근 고정구
JP2002146970A (ja) * 2000-11-08 2002-05-22 Zecs Co Ltd 鉄筋保持具
WO2012054959A1 (en) * 2010-10-27 2012-05-03 Luke Aiden Knight Spacer for supporting a reinforcing b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575Y1 (ko) * 1999-08-26 2000-02-15 김영국 건축용 철근 고정구
JP2002146970A (ja) * 2000-11-08 2002-05-22 Zecs Co Ltd 鉄筋保持具
WO2012054959A1 (en) * 2010-10-27 2012-05-03 Luke Aiden Knight Spacer for supporting a reinforcing 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44A (ko)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684B1 (ko) 헌치 보강형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
KR101207580B1 (ko) 헤드 분리형 드롭헤드를 이용한 슬래브 폼 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101023179B1 (ko) 티형 리브드 슬래브,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682211B1 (ko)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형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KR101825489B1 (ko) 철근 고정장치
KR20210068270A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200238498Y1 (ko) 보강망 장치
KR100762404B1 (ko) 철근받침대
KR102305757B1 (ko)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KR102144769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101278686B1 (ko)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110008084U (ko) 방수턱 거푸집
KR101499069B1 (ko) 장경간 슬래브에 사용되는 강재 거푸집
KR20180052268A (ko)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형성 방법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101119059B1 (ko) 지수판
KR20100042377A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JP2644366B2 (ja) 菱目床構築用型枠及び菱目床の構築方法
JP6649867B2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設置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床版
KR200494576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2198600B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JP6932348B2 (ja) 布基礎、布基礎施工方法、べた基礎施工方法、及び当該施工方法に用いられる型枠
KR100926767B1 (ko) 건축용 슬라브 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