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69B1 -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 Google Patents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769B1
KR102144769B1 KR1020200025881A KR20200025881A KR102144769B1 KR 102144769 B1 KR102144769 B1 KR 102144769B1 KR 1020200025881 A KR1020200025881 A KR 1020200025881A KR 20200025881 A KR20200025881 A KR 20200025881A KR 102144769 B1 KR102144769 B1 KR 102144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reinforcing
bending
concrete
composite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용
Original Assignee
(주)유송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송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유송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2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강판과 보의 내부를 채우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에 있어서, 강판을 절곡하여 성형된 좌우 측벽부와 바닥부의 제1, 제2 보강부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좌우 측벽부와 바닥부의 강판이 탈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성을 증대시켜 비탈형의 영구적인 복합 보로 사용할 수 있는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는, 보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강판과 보의 내부를 채우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에 있어서,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보강부를 갖는 좌우 측벽부, 상기 좌우 측벽부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타설공간을 형성하고,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보강부를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강부와 제2 보강부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HYBRID BEAM}
본 발명은 보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강판과 보의 내부를 채우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에 있어서, 강판을 절곡하여 성형된 좌우 측벽부와 바닥부의 제1, 제2 보강부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좌우 측벽부와 바닥부의 강판이 탈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성을 증대시켜 비탈형의 영구적인 복합 보로 사용할 수 있는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 등에서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이 위해 일시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될 때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에 필요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양생이 진행된 이후에는 떼어내 제거하는 가설재로써,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은 전체 콘크리트 공사에 소용되는 비용과 시간 중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 번거로운 공정이다.
특히 강성이 크고 가격은 저렵한 거푸집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거푸집 자체의 하중이 상당하고, 무거운 재료를 높은 곳에서 조립하고 해체하는 작업에는 그만큼 위험성이 수반되기 마련이다.
특히 보를 시공할 경우 보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거푸집의 설치 및 제거 시 안전성에 문제가 되고, 구조적인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보 거푸집의 외측면에 각종 멍에나 장선재 등을 덧대어 설치해야 하므로, 양생 후 탈형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비용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009753호 "보 구조용 거푸집"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보를 위한 타설공간을 형성하는 장방형의 하부판과 제1, 제2 측판, 상기 제1, 제2 측판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절곡 성형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하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는 제1, 제2 비드, 상기 제1, 제2 비드에 결합되는 측판지지부재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제1, 제2 비드의 끝단부가 'ㄴ'자형으로 절곡된 'ㅡ'자형 구조로써 제1, 제2 측판의 강성을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양생 중 발생하는 측압력에 구조 안전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강판과 보의 내부를 채우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에 있어서, 강판을 절곡하여 성형된 좌우 측벽부와 바닥부의 제1, 제2 보강부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좌우 측벽부와 바닥부의 강판이 탈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성을 증대시켜 비탈형의 영구적인 복합 보로 사용할 수 있는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는,
보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강판과 보의 내부를 채우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에 있어서,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보강부를 갖는 좌우 측벽부,
상기 좌우 측벽부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타설공간을 형성하고,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보강부를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강부와 제2 보강부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에서,
상기 좌우 측벽부는, 상기 제1 보강부의 하단 일부가 외측으로 프레스되어 좌우 측벽부의 평면부를 향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부, 상기 제1 보강부와 평면부가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경사부의 하측으로 연결되되 내측을 향해 'ㄷ'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강판의 양측 끝단부가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받침부에 지지되면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는,
상기 제2 보강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되되, 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지그재그 연결된 래티스,
상기 래티스의 상단과 하단을 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근과 하부근,
'ㄷ'자 형상으로 양측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근을 덮으면서 결합되는 스터럽 캡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에서,
상기 스터럽 캡바는 상기 양측 절곡부가 상기 제1 보강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기능의 좌우 측벽부 바닥부의 탈형이 필요하지 않아 시공 기간의 단축 및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강판의 절곡 구조, 특히 특히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보강부들을 통해 좌우 측벽부와 바닥부의 자체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1 보강부의 프레스 압착으로 형성된 받침부를 이용해 좌우 측면부와 바닥부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켜, 시공하중 및 측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하여 구조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철근 트러스로써 상부근과 하부근이 상하 지그재그로 연결된 래티스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시공하중을 지지하는 동바리(서포터)의 설치 간격을 넓힐 수 있음과 동시에 래티스가 보에서 발생하는 전단 균열의 직교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저항하여 구조 안전성을 더욱 높이고,
스트럽 캡바의 양측 절곡부가 상부근을 덮으면서 제1 보강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측합으로 인해 좌우 측면부가 벌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의 시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측벽부와 바닥부로 이루어진 본체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티스와 상부근 및 하부근으로 이루어진 철근 트러스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래티스를 통한 전단 균열에 대한 저항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철근 트러스의 요부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보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강판과 보의 내부를 채우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B)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좌우 측벽부(10)와 바닥부(20)로 이루어진 본체(M), 래티스(31)(31A)와 상부근(32)과 하부근(33) 및 스터럽 캡바(34)로 이루어진 철근 트러스(30), 시공 시 상기 본체(M)의 하부를 지지하는 동바리(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M)는 타설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철근 트러스(30)가 매설되는 것으로, 종래의 거푸집은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패널을 분리, 해체하나, 본 발명은 상기 본체(M)가 콘크리트와 함께 결합되어 그대로 복합-보(B)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M)는 상측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좌우 측벽부(10)와 바닥부(2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우 측벽부(10)는,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보강부(11)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바닥부(20)는 상기 좌우 측벽부(10)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타설 공간을 형성하고,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보강부(21)를 갖는다.
상기 제1, 제2 보강부(11)(21)는 각 강판의 일부로써, 내측에 밑변이 형성되어 상부 꼭짓점이 외측을 향하는 형태의 삼각형(특히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삼각형 형상의 제1, 제2 보강부(11)(21)는 좌우 측벽부(10) 및 바닥부(20)의 제1, 제2 평면부(12)(22)의 내측면에서 외측을 향하는 쐐기 형상으로 연결됨에 따라 각 보강부(11)(21)와 평면부(12)(22) 사이에 걸림홈 구조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양생 시 각 보강부(11)(21)가 콘크리트 내부로 매설되면서 좌우 측벽부(10) 및 바닥부(20)가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각 보강부(11)(21)는 내측면(하변)의 좌우 폭이 넓으면서 외측 끝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써 보강부(11)(21)의 내측면이 받는 측압을 외측 꼭짓점의 중첩부로 흡수해 저항함으로써 자체 강성을 증대시켜, 측압에 대한 좌우 측벽부(10) 및 바닥부(20)의 벌어짐이나 탈형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 측벽부(10)는, 상기 제1 보강부(11)의 하단 일부가 외측으로 프레스되어 좌우 측벽부(10)의 제1 평면부(12)를 향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부(13), 상기 제1 보강부(11)와 제1 평면부(12)가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경사부(13)의 하측으로 연결되되 내측을 향해 'ㄷ'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받침부(14)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13)는 제1 보강부(11)의 내측면에 대한 프레스 작업을 통해, 하측을 향해 좌우 폭이 넓어지면서 하측 끝단부에서 제1 평면부(12)에 밀착되게 경사진 형태로 성형되어, 본체(M)의 하단 모서리에 가해지는 측압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3)로 인해 해당 부위의 강판이 3중 구조로 중첩되고, 이렇게 강성이 증대된 부위를 절곡 성형하여 상기 받침부(14)를 성형한다.
상기 받침부(14)는 상기 경사부(13)의 하측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 수평부(14a), 상기 제1 수평부(14a)의 내측 끝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제1 수직부(14b), 상기 제1 수직부(14b)의 상측 끝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수평부(14c)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수평부(14c)의 상측면에 상기 바닥부(20)의 플랜지부(23)가 지지되어, 좌우 측벽부(10)와 바닥부(20)가 용접으로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받침부(14)와 플랜지부(23)가 중첩된 부위는 강판이 4중으로 중첩되면서 본체(M)의 하단 모서리를 형성하여, 시공하중 및 측압이 집중되는 부위에 대한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닥부(20)는 강판의 양측 끝단부가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부(23)를 포함하여,
상기 플랜지부(23)가 상기 받침부(14)에 지지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부(23)는 강판의 끝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제2 수직부(23a)의 상측 끝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하여 성형되며,
이러한 플랜지부(23)가 상기 제2 수평부(14c)의 상측면에 얹혀져, 제1, 제2 수직부(14b)(23a) 및 제2 수평부(14c)와 플랜지부(23)가 면접되는 부위에 대한 용접을 통해, 좌우 측벽부(10)와 바닥부(2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23)는 외측 끝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걸림단(23b)을 구비하여, 상기 제2 수평부(14c)가 제2 수직부(23a)와 걸림단(23b) 사이의 공간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이어서 상기 철근 트러스(30)는 상기 본체(M) 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골조로써,
상기 제2 보강부(21) 및 상기 플랜지부(23)의 상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되되, 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지그재그 연결된 래티스(31)(31A),
상기 래티스(31)(31A)의 상단과 하단을 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근(32)과 하부근(33),
'ㄷ'자 형상으로 양측 절곡부(34a)를 가지며, 상기 상부근(32)을 덮으면서 결합되는 스터럽 캡바(34)를 포함한다.
상기 래티스(31)(31A)는 보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개가 배열되며, 특히 좌우의 최외측 래티스(31A)는 상기 제1 보강부(11)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경유하게 설치되어 용접으로 좌우 측벽부(10)와 결합된다.
특히 도 6과 같이, 철근콘크리트 보에서는 전단 균열의 직교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데,
상기 래티스(31)(31A)는 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지그재그로 연결되어 있어, 래티스(31)(31A)가 인장력이 작용하는 동일 방향으로 상부근(32)과 하부근(33)을 잡아주며, 이에 따라 래티스(31)(31A)가 전단 균열을 발생시키는 인장력에 저항하는 스트럽 철근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근(32)과 하부근(33)은 상기 래티스(31)(31A)의 상단부와 하단부 일측면에 접하면서 경유하게 설치되어 용접으로 래티스(31)(31A)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보강부(21)와 플랜지부(23)의 상측면에는, 현장에서 보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열되는 바닥 배근(35)이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하부근(33)이 상기 바닥 배근(35)의 상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터럽 캡바(34)는 하면이 개구된 형태의 'ㄷ'자 형상으로 철근을 절곡하여 성형되며, 스트럽 캡바(34)의 하측면에 상기 상부근(32)이 용접으로 결합된다.
특히 상기 스터럽 캡바(34)는 상기 양측 절곡부(34a)가 상기 제1 보강부(1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래티스(31)(31A)의 고정 설치에 더해, 좌우 측벽부(10)를 내측으로 잡아주어 좌우 측벽부(10)가 측압에 저항하여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한다.
이러한 철근 트러스(30)는 상기 래티스(31)(31A), 상기 바닥 배근(35), 상기 스터럽 캡바(34)의 각 내측면에 결합되어 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 배근(36)이 현장에서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바리(40)는,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어 보의 멍에재(S)를 받치는 양측 기둥(41),
상기 양측 기둥(41) 사이를 연결하며, 기둥(41)들 사이의 간격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가새(42)로 구성된다.
상기 각 기둥(41)은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한 파이프 또는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기둥(41)의 외면에 끼워지는 밴딩부재(43)를 통해 상기 가새(42)가 기둥(41)에 고정된다.
상기 가새(42)는 'X'자형으로 교차되어 기둥(41)들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X'자형 가새(42)의 중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각도 조절을 통해 기둥(41)들 사이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밴딩부재(43)는 서로 분리된 한 쌍의 반원형 분체로 구성되어, 볼팅 결합으로 분체들이 기둥(41)들의 외면에 조여지면서 결합되어, 가새(42)를 기둥(41)의 소정 높이에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G : 복합 보 M : 본체
S : 멍에재
10 : 좌우 측벽부 11 : 제1 보강부
12 : 제1 평면부 13 : 경사부
14 : 받침부 20 : 바닥부
21 : 제2 보강부 22 : 제2 평면부
30 : 철근 트러스 31, 31A : 래티스
32 : 상부근 33 : 하부근
34 : 스터럽 캡바 35 : 바닥 배근
36 : 보강 배근 40 : 동바리
41 : 기둥 42 : 가새
43 : 밴딩부재

Claims (4)

  1. 보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강판과 보의 내부를 채우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에 있어서,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보강부(11)를 갖는 좌우 측벽부(10),
    상기 좌우 측벽부(10)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타설공간을 형성하고,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보강부(21)를 갖는 바닥부(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강부(11)와 제2 보강부(21)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좌우 측벽부(10)는, 상기 제1 보강부(11)의 하단 일부가 외측으로 프레스되어 좌우 측벽부(10)의 평면부(12)를 향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부(13), 상기 제1 보강부(11)와 평면부(12)가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경사부(13)의 하측으로 연결되되 내측을 향해 'ㄷ'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받침부(14)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20)는 강판의 양측 끝단부가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부(23)를 포함하여,
    상기 플랜지부(23)가 상기 받침부(14)에 지지되면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21) 및 상기 플랜지부(23)의 상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되되, 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지그재그 연결된 래티스(31)(31A),
    상기 래티스(31)(31A)의 상단과 하단을 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근(32)과 하부근(33),
    'ㄷ'자 형상으로 양측 절곡부(34a)를 가지며, 상기 상부근(32)을 덮으면서 결합되는 스터럽 캡바(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캡바(34)는 상기 양측 절곡부(34a)가 상기 제1 보강부(1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KR1020200025881A 2020-03-02 2020-03-02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KR102144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881A KR102144769B1 (ko) 2020-03-02 2020-03-02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881A KR102144769B1 (ko) 2020-03-02 2020-03-02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769B1 true KR102144769B1 (ko) 2020-08-19

Family

ID=72291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881A KR102144769B1 (ko) 2020-03-02 2020-03-02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9989A1 (zh) * 2021-09-06 2023-03-09 昊恒(福建)建材科技有限公司 一体成型式钢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47A (ja) * 1993-06-15 1995-01-13 Showa Alum Corp パネルの接合方法
KR20140090816A (ko) * 2013-01-10 2014-07-18 황기수 조립식 보 거푸집.
KR20180058178A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건축물용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과의 접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47A (ja) * 1993-06-15 1995-01-13 Showa Alum Corp パネルの接合方法
KR20140090816A (ko) * 2013-01-10 2014-07-18 황기수 조립식 보 거푸집.
KR20180058178A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건축물용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과의 접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9989A1 (zh) * 2021-09-06 2023-03-09 昊恒(福建)建材科技有限公司 一体成型式钢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077B1 (ko)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KR101781603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20110032687A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KR101274479B1 (ko) 선조립 기둥용 영구거푸집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2011835B1 (ko) 거푸집 탈착형 철근 선조립 기둥 구조물
KR101587583B1 (ko) 메가컬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11252B1 (ko)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1844344B1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KR102144769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KR101243777B1 (ko)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672991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
KR101636473B1 (ko) L형강을 이용한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lfc 5)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39009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KR101734187B1 (ko)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101954387B1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2011838B1 (ko) 거푸집 탈착형 철근 선조립 보 구조물
JPH0931040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およびプレキャスト型枠
KR102214526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KR20180001212A (ko) 강성구조를 갖는 조립식 영구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칼럼용 영구거푸집의 시공 방법
KR20210004289A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