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084U - 방수턱 거푸집 - Google Patents

방수턱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084U
KR20110008084U KR2020100001461U KR20100001461U KR20110008084U KR 20110008084 U KR20110008084 U KR 20110008084U KR 2020100001461 U KR2020100001461 U KR 2020100001461U KR 20100001461 U KR20100001461 U KR 20100001461U KR 20110008084 U KR20110008084 U KR 201100080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horizontal support
formwork
waterproof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500Y1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2020100001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50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0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0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5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수턱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이 방수턱 거푸집은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수평지지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대와 서로 결합되는 제2 수평지지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대와 제2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받침부재를 수용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방수턱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시공되는 슬라브면의 처짐을 방지하여 슬라브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함으로써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수턱 거푸집의 기능이 향상되어 설치되는 거푸집의 미끄럼 및 좌우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직하중에 대한 거푸집의 대응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방수턱 거푸집{A flash board waterproof sill}
본 고안은 방수턱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설치와 해체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그 기능이 향상되어 작업성 및 슬라브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방수턱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슬라브시공시 욕실, 베란다 등에는 실내로 스며드는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턱을 시공하게 되는 데, 이러한 방수턱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욕실, 베란다 등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을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수턱 거푸집을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방수턱 거푸집(100)은 크게 상부성형틀(200)과 받침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성형틀(200)은 동일한 길이와 높이를 유지하여 형성된 한쌍의 수직지지판(210)과, 수직지지판(210)의 양단에 고정 설치된 마감판(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300)는 수직지지판(210)의 상부 양측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각각 고정 설치된 지지편(310)과, 지지편(310)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제 1지지봉(320)과, 제 1지지봉(320)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삽입된 제 2지지봉(33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거푸집을 사용하여 방수턱의 시공순서를 설명하면,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은 바닥슬라브에 배근이 된 상태에서 방수턱이 설치될 위치에 방수턱 거푸집(100)의 받침부재(300)를 안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받침부재(300)의 제 1,2지지봉(310)(320)이 배근된 철근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제 2지지봉(320)의 단부가 바닥슬라브 거푸집(500)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수직지지판(210)과 마감판(220)으로 이루어진 상부성형틀(200)이 배근된 철근 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슬라브 거푸집(500)과 방수턱 거푸집(100)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바닥슬라브 거푸집(500)과 방수턱 거푸집(10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바닥슬라브와 방수턱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완료된 다음, 일정 기간이 지나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받침부재(300)의 제 1지지봉(310)을 제 2지지봉(3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부성형틀(200)을 상방으로 취출시키게 된다. 그러면, 바닥슬라브와 일체로 방수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수턱 거푸집은 수직지지판과 마감판으로 이루어진 상부성형틀이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은 바닥슬라브에 배근된 철근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받침부재를 구비하여 바닥슬라브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콘트리트 양생후 상부성형틀의 취출시 상부성형틀의 지지편에 고정 설치된 제 1지지봉을 콘크리트에 양생된 제 2지지봉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받침부재를 분리시키지 않고 상부성형틀의 취출시에는 받침부재의 크기 만큼 구멍이 발생되어 이를 재작업하게 되었고, 그리고 상부성형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성형틀 취출시 방수턱이 깨지는 등의 제품에 대한 손상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방수턱 거푸집은 상기 받침부재가 직접 슬라브면에 힘을 가하기 때문에 슬라브면에 처짐현상이 발생함으로써 결국 철근이 내려 앉게 되어 슬라브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방수턱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어렵기 때문에 시공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기능이 향상됨으로써 거푸집 시공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방수턱 거푸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대 양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마감판이 설치됨과 아울러 수평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립판이 설치된 제1 수평지지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대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마감판과 접촉되는 수평대가 구비됨과 아울러 수평대 일측에 상기 조립판과 접촉되는 조립 브라켓트가 다수 설치된 제2 수평지지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대와 제2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받침부재를 수용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함과 아울러 그 몸체에 다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된 지지대 및 이 지지대의 하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하부에 다수의 조립돌기가 형성된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받침대를 포함하여 방수턱 거푸집을 구성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수평지지대와 제2 수평지지대의 외측면에 해체 브라켓트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구조물 해체를 위한 장치를 걸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받침대의 고정부재 바닥부에는 위치고정홈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고정돌기를 수용함으로써 받침부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받침대의 받침판과 결합되어 받침대를 알폼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보조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수평지지대와 제2 수평지지대가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설치되도록 두 부재의 일측 폭 보다 타측 폭이 넓은 상태로 두 부재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은, 방수턱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거푸집 시공시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시공되는 슬라브면의 처짐을 방지하여 슬라브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함으로써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수턱 거푸집의 기능이 향상되어 설치되는 거푸집의 미끄럼 및 좌우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직하중에 대한 거푸집의 대응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의 배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의 받침부재와 받침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은 크게 제1 수평지지대(10)와, 제2 수평지지대(20), 받침부재(30) 및 받침대(40)로 이루어져 슬라브 시공에 사용된다.
즉,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의 제1 수평지지대(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대(11) 양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마감판(12)이 설치됨과 아울러 수평대(11)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립판(13)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수평지지대(20)는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마감판(12)과 접촉되는 수평대(21)가 구비됨과 아울러 수평대(21) 일측에 상기 조립판(13)과 접촉되는 조립 브라켓트(22)가 다수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의 조립판(13)에는 체결홀(1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지지대(20)의 조립 브라켓트(22)에도 체결홀(22a)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판(13)의 체결홀(13a)과 조립 브라켓트(22)의 체결홀(22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조립핀을 각각 삽입시킴으로써 제1 수평지지대(10)와 제2 수평지지대(20)가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틀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의 받침부재(30)는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제2 수평지지대(2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에 다수의 고정돌기(31)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재(30)는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제2 수평지지대(20)의 하부 양측에 적정 높이를 유지하여 각각 고정설치됨으로써 바닥 슬라브에 배근된 철근 상단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제2 수평지지대(20) 및 상기 받침부재(30)의 높이가 방수턱의 높이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30)는 상부에서 하부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철근과 접촉면적을 줄여 취출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의 받침부재(30)와 상기 받침대(40)의 조립상태를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받침부재(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받침부재(30)를 수용하는 고정부재(41)와, 이 고정부재(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함과 아울러 그 몸체에 다수의 보강리브(42a)가 형성된 지지대(42) 및, 이 지지대(42)의 하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하부에 다수의 조립돌기(43a)가 형성된 받침판(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40)의 지지대(42)에 형성된 상기 보강리브(42a)를 통해 지지대(42)의 수직응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보강리브(42a)와 콘크리트와의 접착력 또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수직 하중에 대응하고, 이에 따라 슬라브의 높이를 유지함과 아울러 슬라브 철근의 처짐을 방지하여 거푸집 제거 후, 슬라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제2 수평지지대(20)의 외측면에 해체 브라켓트(5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구조물 해체를 위한 장치를 걸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슬라브가 완성된 경우 상기 해체 브라켓트(50)에 장비를 삽입하여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을 슬라브에서 분리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30)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고정돌기(31)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30)를 수용하는 상기 받침대(40)의 고정부재(41)에는 그 바닥부에 위치고정홈(41a)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홈(41a)이 상기 받침부재(30)의 고정돌기(31)를 수용함으로써 받침부재(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위치고정홈(41a)에 고정돌기(31)가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재(30)의 미끄럼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의 좌우유동을 막아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을 알폼(알루미늄 폼)에 고정하는 경우 보조 받침판(60)을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보조 받침판(60)은 상기 받침대(40)의 받침판(43)과 결합되어 받침대(40)를 알폼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보조 받침판(60)과 상기 받침대(40)의 조립구조는 상기 받침판(43)의 하부에 형성된 조립돌기(43a)가 보조 받침판(60)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의 받침부재(30)와 상기 받침대(40)가 견고한 상태로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받침대(40)의 받침판(43)과 상기 보조 받침판(60)이 서로 견고하게 조립됨으로써 전체적인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이 견고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의 설치상태를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상기 제2 수평지지대(20)를 다수의 조립핀(70)을 이용하여 서로 조립함으로써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을 구성하고,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은 알폼(80)에 고정되는 상기 받침대(40)의 상부에 올려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방수턱 거푸집(1)이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제2 수평지지대(20)가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설치되도록 두 부재의 일측 폭 보다 타측 폭이 넓은 상태로 두 부재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여 별도의 조립작업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방수턱 거푸집(1)의 기능이 향상되어 슬라브 시공시 방수턱 거푸집(1)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지고, 상기 방수턱 거푸집(1)이 슬라브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설치되어 거푸집 시공 후, 슬라브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방수턱 거푸집 10 : 제1 수평지지대
11 : 수평대 12 : 마감판
13 : 조립판 13a : 체결홀
20 : 제2 수평지지대 21 : 수평대
22 : 조립 브라켓트 22a : 체결홀
30 : 받침부재 31 : 고정돌기
40 : 받침대 41 : 고정부재
41a : 위치고정홈 42 : 지지대
42a : 보강리브 43 : 받침판
43a : 조립돌기 50 : 해체 브라켓트
60 : 보조 받침판 70 : 조립핀
80 : 알폼

Claims (5)

  1.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대(11) 양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마감판(12)이 설치됨과 아울러 수평대(11)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립판(13)이 설치된 제1 수평지지대(10);와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마감판(12)과 접촉되는 수평대(21)가 구비됨과 아울러 수평대(21) 일측에 상기 조립판(13)과 접촉되는 조립 브라켓트(22)가 다수 설치된 제2 수평지지대(20);와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제2 수평지지대(2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에 다수의 고정돌기(31)가 형성된 받침부재(30); 및
    상기 받침부재(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받침부재(30)를 수용하는 고정부재(41)와, 상기 고정부재(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함과 아울러 그 몸체에 다수의 보강리브(42a)가 형성된 지지대(42) 및, 상기 지지대(42)의 하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하부에 다수의 조립돌기(43a)가 형성된 받침판(43)으로 이루어진 받침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방수턱 거푸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제2 수평지지대(20)의 외측면에 해체 브라켓트(5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구조물 해체를 위한 장치를 걸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0)의 고정부재(41) 바닥부에는 위치고정홈(41a)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30)의 고정돌기(31)를 수용함으로써 받침부재(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0)의 받침판(43)과 결합되어 받침대(40)를 알폼(8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보조 받침판(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지지대(10)와 제2 수평지지대(20)가 서로에 대해 기울어져 설치되도록 두 부재의 일측 폭 보다 타측 폭이 넓은 상태로 두 부재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
KR2020100001461U 2010-02-09 2010-02-09 방수턱 거푸집 KR200461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61U KR200461500Y1 (ko) 2010-02-09 2010-02-09 방수턱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61U KR200461500Y1 (ko) 2010-02-09 2010-02-09 방수턱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084U true KR20110008084U (ko) 2011-08-18
KR200461500Y1 KR200461500Y1 (ko) 2012-07-16

Family

ID=4559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461U KR200461500Y1 (ko) 2010-02-09 2010-02-09 방수턱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5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9161A (zh) * 2019-01-31 2019-06-07 长沙远大住宅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预制构件的凹槽成型工装及成型模具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24B1 (ko) * 2013-08-13 2014-10-06 정옥순 높이조절형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471328B1 (ko) * 2014-01-23 2014-12-09 박영식 방수턱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048Y1 (ko) * 2001-06-21 2001-10-31 박헌종 방수턱 거푸집
KR200400389Y1 (ko) * 2005-08-23 2005-11-03 정옥순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턱 거푸집용 받침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9161A (zh) * 2019-01-31 2019-06-07 长沙远大住宅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预制构件的凹槽成型工装及成型模具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500Y1 (ko)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791B1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20190017509A (ko)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JP5670655B2 (ja) コンクリート浮かし型枠の支持装置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100860064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101038756B1 (ko) 건축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거푸집시스템
KR20120128455A (ko) 알루미늄폼용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190018786A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KR20190089355A (ko) 거푸집 패널 조립용 연결패널 및 그 연결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패널 조립구조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KR20180136749A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KR101898158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KR20110035576A (ko) 단열재 고정구
KR200442723Y1 (ko) 키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100579448B1 (ko) 건축 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의 측면 보강장치
KR20160003777U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110006970U (ko)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KR102653620B1 (ko) 너트 삽입 통신블록
KR200408544Y1 (ko) 거푸집판 체결부재
KR200400388Y1 (ko)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턱 거푸집용 받침부재
KR20190001131U (ko)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KR101803487B1 (ko) 거푸집 연결용 보강재
KR102198600B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