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791B1 -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791B1
KR100878791B1 KR1020070065326A KR20070065326A KR100878791B1 KR 100878791 B1 KR100878791 B1 KR 100878791B1 KR 1020070065326 A KR1020070065326 A KR 1020070065326A KR 20070065326 A KR20070065326 A KR 20070065326A KR 100878791 B1 KR100878791 B1 KR 100878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gap adjusting
formwork panel
concrete
adjus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153A (ko
Inventor
김근섭
Original Assignee
(주)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테크 filed Critical (주)화인테크
Priority to KR1020070065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7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0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3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 E04G13/025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with stiff clamping means bracing the back-side of the form without penetrating the form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4Strips for creating a chamfered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건물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기둥의 크기에 맞추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위의 공간크기를 매우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모따기용 면귀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깥면의 정해진 위치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외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수개의 간격조정공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며, 4개가 1조로 이루어져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거푸집용 패널과; 상기 거푸집용 패널상의 걸림홈에 형성된 간격조정공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분리결합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 내측에 있는 간격조정공을 막아주는 간격조정공 개폐부재와; 거푸집용 패널의 조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상에 형성된 걸림홈 내측단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상의 간격조정공에 끼워져 체결되는 방식으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거푸집용 패널을 고정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한다.
콘크리트기둥, 거푸집장치, 패널, 클램프부재

Description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COLUM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 장치에서 거푸집용 패널상의 간격조정공에 간격조정공 개폐부재가 끼워져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면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거푸집용 패널 16 : 걸림홈
18 : 간격조정공 20 : 간격조정공 개폐부재
30 : 클램프(Clamp)부재 34 : 체결볼트부
36 : 유동방지핀 38 : 체결너트
40 : 면귀.
본 발명은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물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기둥의 크기에 맞추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위의 공간크기를 매우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모따기용 면귀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둥이나 벽체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공위치에 필요한 수 만큼의 철근을 엮어 세우고, 철근의 둘레에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거푸집을 먼저 시공한 상태에서 거푸집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설게에 따라 정해진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켜 주고, 콘크리트의 타설 후 양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며, 외부의 충격이 타설된 콘크리트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콘크리트가 굳게 양생될 때까지 사용된 후 제거되는 가설물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다수 개의 폼(Form)이 조립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는 철재 프레임의 전면에 합판을 결합시켜 구성된 유로폼이 주로 거푸집용 폼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유로폼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취급이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유로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보강프레임을 서로 용접하여 사각형의 프레임틀을 형성하고, 상기의 프레임틀에다 합판을 리벳으로 고정하여 판넬을 구성하여 조립식으로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프레임의 재질을 고강도의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는 알루미늄 폼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20706호(명칭:철근콘크리트거푸집용 판넬)"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철근콘크리트거푸집용 판넬은 프레임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중량은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지만, 상기 프레임에 합판을 리벳에 의해 일일이 고정시켜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어렵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기간과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의 압출기에서 알루미늄(Al)재질로 좌,우 양측면에는 외곽테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보강돌기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메인판을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공정인 제1공정과, 압출성형공정인 제1공정에서 압출성형 된 메인판의 측면을 가공하여 연결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양단에 보강테를 설치할 수 있도록 밀링가공하는 가공공정인 제2공정과, 가공공정인 제2공정에서 메인판의 양단에 밀링가공하여서 형성된 보강테설치부위에 별도의 알루미늄(Al)재질로된 보강테를 결합 또는 일체가 되도록 용접구성하는 보강테접합공정인 제3공정으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알루미늄 폼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09704호(명칭:알루미늄 유로폼(콘크리트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유로폼은 메인판과 보강테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경량의 유로폼을 형성할 수 있고, 메인판의 측면을 가공하여 연결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양단에 보강테를 설치함으로서 조립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유로품을 형성하는 모든 부재가 비교적 고가의 재질인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므로 그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고, 메인판을 보강테에 용접하여야 하므로 조립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판과 보강테가 모두 금속 재질이므로 그 취급 및 조립작업시에 심한 소음이 발생되어 소음공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거푸집용 폼들은 상기의 문제점 이외에 단일의 크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축물의 하중에 따라 콘크리트기둥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 거푸집을 해체한 후 다시 맞추어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며, 거푸집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을 건축하 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기둥의 크기에 맞추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위의 공간크기를 매우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모따기용 면귀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깥면의 정해진 위치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외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수개의 간격조정공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며, 4개가 1조로 이루어져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거푸집용 패널과; 상기 거푸집용 패널상의 걸림홈에 형성된 간격조정공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분리결합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 내측에 있는 간격조정공을 막아주는 간격조정공 개폐부재와; 거푸집용 패널의 조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한 후 거푸집용 패널을 서로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상에 형성된 걸림홈 내측단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상의 간격조정공에 끼워져 체결되는 방식으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거푸집용 패널을 고정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푸집용 패널은 내면에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내면에 알루미늄 박판이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격조정공 개폐부재는 간격조정공의 내부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단에서 간격조정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삽입부의 외측단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외측 둘레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부와; 상기 거푸집용 패널의 바깥쪽으로부터 볼트부에 끼워져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램프부재는 걸림홈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높이와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의 내면에 절개홈이 형성된 클램프본체부와; 상기 클램프본체부의 바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상에 형성된 간격조정공을 통하여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선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정해진 길이의 체결볼트부와; 상기 클램프 본체부의 후단에서 체결볼트부와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며,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상의 또 다른 간격조정공을 통하여 끼워져 클램프 본체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핀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의 바깥면에서 상기 체결볼트부에 체결되어 클램프 본체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너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깥면의 정해진 위치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외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수개의 간격조정공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며, 4개가 1조로 이루어져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거푸집용 패널과; 상기 거푸집용 패널상의 걸림홈에 형성된 간격조정공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분리결합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 내측에 있는 간격조정공을 막아주는 간격조정공 개폐부재와; 거푸집용 패널의 조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한 후 거푸집용 패널을 서로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상에 형성된 걸림홈 내측단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상의 간격조정공에 끼워져 체결되는 방식으로 서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거푸집용 패널을 고정하는 클램프부재와; 내측단부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모따기면이 형성되고, 상기 모따기면의 바깥쪽으로는 클램프부재의 선단부와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의 내면 사이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편이 형성된 면귀를 포함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콘크리트기둥 시공위치에 정해진 규격으로 다수개의 철근을 수직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간격조정공이 간격조정공 개폐부재에 의하여 막혀 있는 상태의 4개의 거푸집용 패널을 상기 철근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하여 거푸집을 가(假)형성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의 측면을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의 내면을 기준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기둥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 내부의 공간크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시 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기둥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 내부의 공간크기를 조정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의 측면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의 내면이 맞닿은 선의 바깥쪽에 해당되는 간격조정공에 끼워진 간격조정공 개폐부재를 분리시켜 제거하는 단계와; 클램프부재를 구성하는 클램프 본체부의 선단을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 바깥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 걸어주고, 클램프 본체부상의 체결볼트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상에 형성된 간격조정공에 끼움과 동시에 클램프 본체부상의 유동방지핀을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상의 또 다른 간격조정공 끼운 상태에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의 바깥면에서 별도의 체결너트를 체결볼트에 나사결합하는 클램프 고정단계와; 상기 클램프 부재의 고정에 의하여 거푸집을 형성하는 각각의 거푸집용 패널의 바깥쪽을 별도의 서포터로 받쳐주는 단계와; 거푸집용 패널에 의하여 형성된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와; 콘크리트의 양생이 종료된 상태에서 각 거푸집용 패널을 받쳐주는 서포터를 철거하고, 거푸집용 패널을 잡아주는 클램프부재를 벗겨내어 거푸집용 패널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의 측면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의 내면이 맞닿은 선의 바깥쪽에 해당되는 간격조정공에 끼워진 간격조정공 개폐부재를 분리시켜 제거하는 단계와 클램프부재 고정단계 사이에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의 측면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내측 모서리부에 면귀를 구성하는 모따기면이 수직으로 세워져 끼워지도록 하는 면귀설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기둥의 크기에 맞추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위의 공간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모따기용 면귀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1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거푸집용 패널(12)이 마련된다.
상기 각각의 거푸집용 패널(12)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바깥면의 정해진 위치에는 횡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격벽(14)에 의하여 구획되는 걸림홈(1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6)의 외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는 다수개의 간격조정공(18)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거푸집용 패널(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합판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패널 본체(12a)의 내면에 알루미늄 박판(12b)이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푸집용 패널(12)상의 걸림홈(16)에 형성된 간격조정공(18)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 내측에 위치되는 간격조정공(16)을 막아주고, 간격조정이 필요한 경우 간격조정공(16)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마련되는 간격조정공 개폐부재(20)가 분리결합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간격조정공 개폐부재(2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정공(16)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삽입부(22)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22)의 내측단에는 설치시 간격조정공의 내측으로 완전히 끼워져 바깥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격조정공(1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걸림턱(2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삽입부(22)의 외측단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는 외측 둘레면상에 나사부(26a)가 형성된 볼트부(26)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형성되고, 상기 거푸집용 패널(12)의 바깥쪽으로부터 고정너트(28)가 와셔(28a)를 매개로 볼트부(26)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푸집용 패널(12)의 조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한 다음 거푸집용 패널(12)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12)상에 형성된 걸림홈(16) 내측단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상의 간격조정공(18)에 끼워져 체결되는 방식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된 거푸집용 패널(12)을 고정하는 다수의 클램프부재(30)가 마련된다.
상기 클램프부재(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본체부(32)와, 체결볼트부(34)와 유동방지핀(36) 및 체결너트(38)를 구성요소로 하는데, 상기 클램프 본체부(32)는 걸림홈(16)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높이와 정해 진 길이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의 내면에 절개홈(32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부재(30)를 구성하는 체결볼트부(34)는 클램프 본체부(32)의 바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 조립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상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간격조정공(18)을 통하여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외측 둘레면에는 나사부(34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방지핀(36)은 거푸집용 패널(12) 을 고정할 때 클램프 본체부(32)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클램프 본체부(32)의 후단으로부터 체결볼트부(34)와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며,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에서 체결볼트부(34)가 끼워진 간격조정공(18)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다른 간격조정공(18)을 통하여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거푸집용 패널(12)상의 간격조정공(18)사이의 간격과 클램프부재(30)을 구성하는 체결볼트부(34)와 유동방지핀(36)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너트(38)는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의 바깥면에서 상기 체결볼트부(34)에 나사결합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이 클램프 본체부(32)를 매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너트(38)는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 및 와셔부가 일체로 구성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기둥의 형성시 거푸집용 패널(12)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면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마련되 는 면귀(40)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면귀(40)는 도 5(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12)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 모서리부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데, 그 내측단부에는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거나 곡면형상을 갖는 모따기면(42)이 형성되고, 상기 모따기면(42)의 바깥쪽으로는 클램프부재(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절개홈(32)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의 내면 사이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편(4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거푸집장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기둥을 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콘크리트기둥 시공위치마다 시방서에 정해진 규격에 따라 다수개의 철근을 수직으로 배치한다(ST10).
그런 다음, 간격조정공(18)이 간격조정공 개폐부재(20)에 의하여 막혀 있는 상태의 4개의 거푸집용 패널(12)을 상기 철근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둘레에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세워 배치하여 거푸집을 형성한다(ST20).
이와 같이 하여 거푸집이 가설된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12)의 측면을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의 내면을 기준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기둥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 내부의 공간크기를 조절한다(ST30).
거푸집 내부 공간의 크기가 조절된 후,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12)의 측면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의 내면이 맞닿은 선의 바깥쪽에 해당되는 간격조 정공(18)에 끼워진 간격조정공 개폐부재(20)를 분리시켜 제거한다(ST40).
이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부재(30)를 구성하는 클램프 본체부(32)의 선단을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12) 바깥면에 형성된 걸림홈(16)에 끼워 걸어주고, 클램프 본체부(32)상의 체결볼트(34)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상에 형성된 간격조정공(16)에 끼움과 동시에 클램프 본체부(32)상의 유동방지핀(36)을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상의 또 다른 간격조정공 끼운 상태에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의 바깥면에서 별도의 체결너트(38)를 체결볼트(34)에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거푸집용 패널(12)들을 서로 고정시킨다(ST50).
그런 다음, 상기 클램프 부재(30)의 고정에 의하여 거푸집을 형성하는 각각의 거푸집용 패널(12)의 바깥쪽을 별도의 서포터(50)로 받쳐주고(ST60), 거푸집용 패널(12)에 의하여 형성된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ST70).
거푸집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종료된 상태에서 각 거푸집용 패널(12)을 받쳐주는 서포터(50)를 철거하고, 거푸집용 패널(12)을 서로 고정시키는 클램프부재(30)를 벗겨내어 거푸집용 패널(12)을 제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기둥의 시공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기둥 시공방법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12)의 측면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의 내면이 맞닿은 선의 바깥쪽에 해당되는 간격조정공(18)에 끼워진 간격조정공 개폐부재(20)를 분리시켜 제거하는 단계(ST40)와 클램프부재 고정단계(ST50) 사이에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12)의 측면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내측 모서리부에 면귀(40)를 구성하는 모따기면(42)이 수직으로 세워져 끼워지도록 하는 면귀설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공하면, 거푸집용 패널(12)의 내면에 표면이 매끄러운 알루미늄 박판(12b)이 덧씌워진 상태에서 시공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기둥의 표면이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건물의 건축과정에서 콘크리트기둥을 시공할 때, 다수의 거푸집용 패널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설치되어 거푸집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기둥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 내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의 측면을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의 내면을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조절하고, 조절이 완료된 위치에서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을 미리 준비한 클램프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콘크리트기둥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 내부 공간의 크기를 매우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시공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거푸집의 설치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내측에 다양한 형상의 면귀가 끼워져 설치되는 경우 기둥의 모서리부에 대한 모따기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깥면의 정해진 위치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격벽(14)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걸림홈(1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6)의 외측단으로부터 중심쪽으로 다수개의 간격조정공(18)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며, 4개가 1조로 이루어져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거푸집용 패널(12)과;
    상기 거푸집용 패널(12)상의 걸림홈(16)에 형성된 간격조정공(18)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분리결합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 내측에 있는 간격조정공(18)을 막아주는 간격조정공 개폐부재(20)와;
    상기 거푸집용 패널(12)의 조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거푸집용 패널(12)상에 형성된 걸림홈(16)의 내측단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상의 간격조정공(18)에 끼워져 체결되는 방식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세우져 설치된 거푸집용 패널(12)을 고정하는 다수의 클램프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정공 개폐부재(20)는 간격조정공(18)의 내부에 끼워지는 삽입부(22)와, 상기 삽입부(22)의 내측단에서 간격조정공(1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24)과, 상기 삽입부(22)의 외측단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외측 둘레면상에 나사부(26a)가 형성된 볼트부(26)와, 상기 거푸집용 패널(12)의 바깥쪽으로부터 와셔(28a)를 매개로 볼트부(26)에 끼워져 체결되는 고정너트(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30)는 걸림홈(16)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높이와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의 내면에 절개홈(32a)이 형성된 클램프 본체부(32)와;
    상기 클램프 본체부(32)의 바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상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간격조정공(18)을 통하여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선단부에 나사부(34a)가 형성된 정해진 길이의 체결볼트부(34)와;
    상기 클램프 본체부(32)의 후단에서 체결볼트부(34)와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며,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에서 체결볼트부(34)가 끼워진 간격조정공(18)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다른 간격조정공(18)을 통하여 끼워져 클램프 본체부(32)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핀(36)과;
    이웃하는 거푸집용 패널(12)의 바깥면에서 상기 체결볼트부(34)에 나사 결합되어 클램프 본체부(32)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너트(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70065326A 2007-06-29 2007-06-29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0878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326A KR100878791B1 (ko) 2007-06-29 2007-06-29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326A KR100878791B1 (ko) 2007-06-29 2007-06-29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153A KR20090001153A (ko) 2009-01-08
KR100878791B1 true KR100878791B1 (ko) 2009-01-14

Family

ID=4048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326A KR100878791B1 (ko) 2007-06-29 2007-06-29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7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427Y1 (ko) 2010-02-06 2011-10-31 (주)블루폼 치수조절이 용이한 인코너판넬
KR101154498B1 (ko) 2011-07-12 2012-06-13 케이티메탈(주) 크기를 미세조절할 수 있는 주형틀
KR101189745B1 (ko) 2011-12-26 2012-10-11 케이티메탈(주) 동일한 형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주형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70Y1 (ko) * 2009-09-21 2012-03-21 (주)블루폼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KR101138334B1 (ko) * 2010-02-24 2012-04-25 정지현 거푸집 패널용 프레임
KR200459169Y1 (ko) * 2010-03-08 2012-03-21 (주)블루폼 이형 판넬 결합유닛
KR101152339B1 (ko) * 2010-04-23 2012-06-11 정지현 패스트 기둥폼
CN104481142B (zh) * 2014-12-22 2016-06-22 山东万鑫建设有限公司 对柱模板同步连锁支撑体系的施工方法
CN106703406A (zh) * 2017-02-04 2017-05-24 荆门创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快捷方便的构造柱模板
CN106801513A (zh) * 2017-02-05 2017-06-06 荆门创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防损的快捷方便的构造柱模板
CN107856177A (zh) * 2017-10-27 2018-03-30 广东省建筑科学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混凝土柱模具
CN109113231B (zh) * 2018-08-29 2024-02-09 王增群 一种分体式eps空腔模块
KR102011835B1 (ko) * 2018-12-11 2019-08-19 주식회사 엔알씨구조연구소 거푸집 탈착형 철근 선조립 기둥 구조물
CN111677275A (zh) * 2020-07-08 2020-09-18 湘潭大学 一种可调节柱模板
KR102312319B1 (ko) * 2020-09-01 2021-10-12 김미리 자력 조립형 몰드패널
KR102359368B1 (ko) * 2020-09-25 2022-02-08 해영오션테크주식회사 텐트형 인공어초 거푸집
CN112796513A (zh) * 2021-01-06 2021-05-14 苏州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后浇带的模板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113006476B (zh) * 2021-03-24 2022-01-04 广东汇晟建设有限公司 一种混凝土矩形柱模板的固紧系统及混凝土柱的施工方法
KR102511993B1 (ko) 2022-07-22 2023-03-20 (주) 예린이엔디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기구 시공용 가변형 거푸집
KR102544762B1 (ko) 2022-07-29 2023-06-16 (주) 예린이엔디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기구 시공용 거푸집
CN117027376B (zh) * 2023-09-01 2024-03-08 成都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节快速加固组件的混凝土浇筑模板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5451U (ja) * 1981-08-13 1983-02-18 タイセイ建材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ワンタツチ面木
JP2003147958A (ja) * 2001-11-14 2003-05-21 Sogo Keiei Kenkyusho:Kk コンクリート型枠の出隅の接合構造
US6676102B1 (en) 2000-02-18 2004-01-13 Symons Corporation Adjustable modular form system and method for rectilinear concrete column form
KR200423402Y1 (ko) * 2006-05-09 2006-08-07 이진우 유로 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5451U (ja) * 1981-08-13 1983-02-18 タイセイ建材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ワンタツチ面木
US6676102B1 (en) 2000-02-18 2004-01-13 Symons Corporation Adjustable modular form system and method for rectilinear concrete column form
JP2003147958A (ja) * 2001-11-14 2003-05-21 Sogo Keiei Kenkyusho:Kk コンクリート型枠の出隅の接合構造
KR200423402Y1 (ko) * 2006-05-09 2006-08-07 이진우 유로 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427Y1 (ko) 2010-02-06 2011-10-31 (주)블루폼 치수조절이 용이한 인코너판넬
KR101154498B1 (ko) 2011-07-12 2012-06-13 케이티메탈(주) 크기를 미세조절할 수 있는 주형틀
KR101189745B1 (ko) 2011-12-26 2012-10-11 케이티메탈(주) 동일한 형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주형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153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791B1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0949707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760775B1 (ko) 벽체 성형용 거푸집 및 이의 시공방법
CN102105644B (zh) 对模板和配件的改进
KR100775350B1 (ko) 필러패널프레임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0449853Y1 (ko) 탈부착이 가능한 면귀
KR101057551B1 (ko) 기둥거푸집 고정장치
JP2017002469A (ja) 型枠構造物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KR200303750Y1 (ko)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101925362B1 (ko) 철근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70090536A (ko) 벽체 거푸집에 사용되는 c형 고정구와 이를 포함하는 벽체용 에코 거푸집
JP4323563B1 (ja) コンクリート型枠締付金具
KR100322486B1 (ko)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448792Y1 (ko) 조립식 모서리 거푸집
KR102176250B1 (ko)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KR101138334B1 (ko) 거푸집 패널용 프레임
KR20180012184A (ko) 벽체 성형용 거푸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322412B1 (ko) 조립식철골조와이를이용한건축공법
KR101906194B1 (ko)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KR200342782Y1 (ko)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JP2008150820A (ja) 壁コンクリート、壁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及び壁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KR200342269Y1 (ko) 거푸집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