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170Y1 -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 Google Patents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170Y1
KR200459170Y1 KR2020090012401U KR20090012401U KR200459170Y1 KR 200459170 Y1 KR200459170 Y1 KR 200459170Y1 KR 2020090012401 U KR2020090012401 U KR 2020090012401U KR 20090012401 U KR20090012401 U KR 20090012401U KR 200459170 Y1 KR200459170 Y1 KR 200459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stem panel
body portion
washer
chamfer stri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114U (ko
Inventor
김근섭
Original Assignee
(주)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폼 filed Critical (주)블루폼
Priority to KR2020090012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17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1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1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은, 제1 시스템판넬의 타이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제1 시스템판넬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본체부; 제1 시스템판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시스템판넬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의 클램프체결용 그루브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제2 본체부; 및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상호 연결하되 제1 시스템판넬과 제2 시스템판넬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챔퍼스트립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시스템판넬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판넬, 챔퍼스트립, 보강리브, 와셔

Description

시스템판넬 결합유닛{Connector of system pannels}
본 고안은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챔퍼스트립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시스템판넬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기타의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패널로 거푸집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의 패널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이러한 상태하에서 패널들을 대향하도록 직립시켜 조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됨에 따라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 및 기둥 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은 크게 갱폼과 유로폼으로 분류되는데, 여기서 갱폼은 철판으로 제작한 모든 폼을 말하며, 유로폼은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은 합판으로 구성하고 합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프로파일과, 멍에?장선재는 금속으로 구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한 거푸집을 말한다.
한편, 벽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탄한 면은 다수의 건축용 패널들을 연결하여 거푸집을 형성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시공되고, 벽체의 모서리 부분 또는 기둥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규격화되어 제작된 갱폼 또는 유로폼 등을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한 뒤 아웃코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이를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방법에 따라 시공된다.
하지만, 종래의 아웃코너 고정장치는 벽체의 모서리 부분 또는 기둥의 각진 모서리를 모따기하기 위한 챔퍼스트립(면귀)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지니고 있지 못하므로 챔퍼스트립이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벽체의 모서리 부분 도는 기둥의 각진 모서리는 콘크리트 타설 전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갱폼 또는 한 쌍의 유로폼 사이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에 의하여 모따기되는데, 종래의 아웃코너 고정장치는 챔퍼스트립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지니고 있지 못하므로 모따기된 기둥 등을 시공하는데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챔퍼스트립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시스템판넬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1 시스템판넬의 타이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스템판넬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시스템판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시스템판넬의 일측 에 마련된 프로파일부의 클램프체결용 그루브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1 시스템판넬과 상기 제2 시스템판넬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는, 상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의 하측 일단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하측 일단부 사이에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는 각각 'ㄷ'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하측 일단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일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절곡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하측 일단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은,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챔퍼스트립의 일단부의 폭과 길이에 대응될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은, 상기 제2 본체부의 내부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 본체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판의 중앙 영역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는 보강판 관통홀이 관통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은, 상기 챔퍼스트립이 생략되는 경우 상기 제1 시스템판넬과 상기 제2 시스템판넬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거리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2 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거리보상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보상판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보강판 관통홀과 상호 연통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는 보상판 관통홀이 관통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은, 상기 제1 본체부의 폭만큼 외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은, 상기 제1 본체부의 양측면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내측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게 연장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테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은, 상기 제1 시스템판넬의 타측면에 마련된 제1 수평재 및 제2 수평재에 걸쳐 접촉되되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테일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셔는, 와셔 몸체; 상기 와셔 몸체의 중앙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와셔 몸체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부용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이 육각 너트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1 회전도움부; 상기 제1 회전도움부의 하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 회전도움부; 및 상기 제2 회전도움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용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하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와셔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와셔에 대하여 상대회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연결부에 의하여 챔퍼스트립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시스템판넬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하측에서 바라본 도 1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의 고정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제2 시스템판넬 측에서 바라본 도 1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제1 시스템판넬 측에서 바라본 도 1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A-A 선에 따른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7은 챔퍼스트립이 생략된 상태의 A-A 선에 따른 도 4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시스템판넬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시 요 구되는 목적에 부합하도록 제작되며 합판과 멍에재?장선재가 일체로 결합된 판넬을 의미하고, 이하에서 동일하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은 제1 시스템판넬(N1)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시스템판넬(N2)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P)의 클램프체결용 그루브(G)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21)를 포함하는 제2 본체부(120)와,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30)와, 제2 본체부(120)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보강판(140)과, 챔퍼스트립(C)이 생략되는 경우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거리차를 보상하기 위해 마련되는 거리보상판(150)과, 제1 본체부(1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160)와, 제1 본체부(110)의 체결부(111)에 체결되는 고정부(170)를 포함한다.
제1 본체부(110)는 'ㄷ'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금속 부재로, 제1 시스템판넬(N1)의 타이홀(T)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부(111)를 포함한다.
체결부(111)는 고정부(170)와 체결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본체부(110)의 내측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부(111a)와, 바디부(11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바디부(111a)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게 연장되는 테일부(111b)를 포함한다.
바디부(111a)는 제1 본체부(110)의 내측 하면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되는 부분이며, 테일부(111b)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고정부(170)의 결합부 관통홀(172c)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나사결합되는 부분이다.
바디부(111a)는 그 직경이 타이홀(T)의 직경보다 약간 작도록 마련되며, 테일부(111b)는 그 직경이 바디부(111a)의 직경보다 약간 작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바디부(111a)의 직경을 타이홀(T)의 직경보다 작도록 마련하고, 테일부(111b)의 직경을 바디부(111a)의 직경보다 작도록 마련함으로써 체결부(111) 전체가 타이홀(T)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테일부(111b)의 직경을 바디부(111a)의 직경보다 작도록 하여 테일부(111b)가 바디부(111a)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도록 마련함으로써므로, 바디부(111a)와 테일부(111b)를 연결하는 면에 변화를 주게 되어 체결부(111)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 본체부(120)는 제2 시스템판넬(N2)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P)에 면 접촉되되 'ㄷ'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금속 부재로,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삽입돌기(121)를 포함한다.
삽입돌기(121)는 제2 본체부(120)의 일단부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어 제2 시스템판넬(N2)의 프로파일부(P)의 클램프체결용 그루브(G)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스템판넬(N1) 및 제2 시스템판넬(N2)은 모두 외측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프로파일부(P)를 포함하며, 프로파일부(P)에는 각각 시스템판넬(N1, N2) 상호 간을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미도시)의 체결돌기(미도시)가 삽입되는 클램프체결용 그루브(G)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삽입돌기(121)는 이러한 클램프체결용 그루브(G)에 각각 삽입되어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즉, 제2 본체부(120)의 삽입돌기(121)는 제2 시스템판넬(N2)의 클램프체결용 그루브(G)에 각 각 삽입되며, 제1 본체부(110)의 체결부(111)는 제1 시스템판넬(N1)의 타이홀(T)을 관통하여 연장된 후 고정부(170)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연결부(13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상호 연결하되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C)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CS)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연결부(130)는 제2 본체부(120)의 하측 일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1 절곡부(131)와, 제1 절곡부(13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본체부(110)의 하측 일단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절곡부(132)를 포함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의 상면은 제1 본체부(110)의 상면과 제2 본체부(120)의 상면을 동일 평면상에서 연결하며, 연결부(130)의 하면은 챔퍼스트립 삽입공간(CS)이 형성되도록 제1 본체부(110)의 하면과 제2 본체부(120)의 하면을 단차지게 연결한다.
제1 절곡부(131)는 제2 본체부(120)의 하측 일단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절곡되어 제2 시스템판넬(N2)의 프로파일부(P)의 일단부에 면 접촉됨으로써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과 제2 시스템판넬(N2) 상호 간의 결합력을 높이는 부분이며, 제2 절곡부(132)는 제1 절곡부(131)로부터 각각 연장 절곡되어 제1 본체부(110)와 함께 챔퍼스트립 삽입공간(CS)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벽체의 모서리 부분 또는 기둥의 각진 모서리는 제1 시스 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의 연결지점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C)에 의하여 모따기 되는데, 연결부(130)에는 이러한 챔퍼스트립(C)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CS)이 미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은 챔퍼스트립(C)이 사용되는 시스템판넬(N1, N2) 상호 간을 연결하기에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다.
챔퍼스트립 삽입공간(CS)은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 상호 간의 연결지점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C)의 일단부의 폭과 길이에 대응될 정도의 폭(W)과 길이(L)를 갖도록 형성된다. 챔퍼스트립(C)은 일반적으로 규격화되어 양산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챔퍼스트립 삽입공간(CS)의 폭(W)과 길이(L)도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보강판(140)은 제2 본체부(120)의 내부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제2 본체부(120)의 강도를 보강하며, 챔퍼스트립(C)이 생략된 상태에서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 후술하는 거리보상판(150)과 상호 결합되어 챔퍼스트립(C)이 생략된 만큼의 거리를 보상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보강판(140)은 일반적인 판재 형상의 금속 부재로 마련되어 제2 본체부(120)의 내부의 양측면에 각각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결합된다.
거리보상판(150)은 챔퍼스트립(C)이 생략되는 경우, 즉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 사이에 챔퍼스트립(C)을 개재시키지 않는 경우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거리차를 보상하기 위해 제2 본체부(120)의 하측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보강판(140)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는 보강판 관통홀(140a)이 관통형 성되며, 거리보상판(150)에는 보강판 관통홀(140a)과 상호 연통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는 보상판 관통홀(150a)이 관통형성된다. 보강판 관통홀(140a) 및 보상판 관통홀(150a)을 따라서는 볼트 등이 체결되어 거리보상판(150)을 제2 본체부(120)에 고정시키게 된다.
챔퍼스트립(C)이 개재된 상태(도 6 참조)의 경우 거리보상판(150)은 사용되지 않으며 이 경우 보강판(140)은 제2 본체부(1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만을 한다.
하지만, 챔퍼스트립(C)이 생략된 상태(도 7 참조)의 경우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은 챔퍼스트립(C)의 두께만큼 근접하게 되므로 근접하는 거리만큼의 거리를 보상할 필요성이 생기며 이를 위해 거리보상판(150)이 마련된다. 즉, 거리보상판(150)은 챔퍼스트립(C)이 생략됨에 따라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거리차를 보상하기 위해 제2 본체부(120)의 하측, 보다 정확하게는 제2 본체부(120)의 내측에 결합된 보강판(140)과 상호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제2 시스템판넬(N2)의 프로파일부(P)에 접촉함으로써 챔퍼스트립(C)의 생략에 따른 거리차를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은 보강판(140) 및 거리보상판(150)에 의하여 챔퍼스트립(C)이 생략된 상태에서도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플랜지부(160)는 제1 본체부(1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1 시스템판넬(N1)의 일측면에 접하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플랜지부(160)는 제1 본체부(110)의 폭만큼 제1 본체부(110)의 양단부 외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며 제1 본체부(110)의 하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결합된다.
제1 본체부(110)와 플랜지부(160)는 다수의 제1 보강리브(R1)에 의하여 상호 간의 연결강도가 보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리브(R1)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1 본체부(110)의 양측면과 플랜지부(160)의 상면에 각각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된다. 도 1은 한 쌍의 제1 보강리브(R1)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보강리브(R1)는 필요에 따라 여러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170)는 제1 시스템판넬(N1)의 타이홀(T)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부(111)의 테일부(111b)에 나사결합되어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을 제1 시스템판넬(N1)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부(170)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와셔(171)와, 와셔(171)와 일체로 마련되며 테일부(111b)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172)를 포함한다.
와셔(171)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금속 부재이다. 와셔(171)는 제1 시스템판넬(N1)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1 수평재(HB1)와 제2 수평재(HB2)에 걸쳐 면 접촉되는 와셔 몸체(171a)와, 와셔 몸체(171a)의 중앙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71b)와, 와셔 몸체(171a) 및 돌출부(171b)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부용 관통홀(171c)을 포함한다.
와셔 몸체(171a)는 제1 수평재(HB1)와 제2 수평재(HB2)에 걸쳐 면 접촉될 정 도의 크기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셔 몸체(171a)의 형상에 따라 와셔(171)의 끼움 방향에는 제한이 없게 되며 체결부(111)에 고정부(170)를 체결하는 경우 체결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즉, 와셔 몸체(171a)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바, 작업자는 체결부(111)를 타이홀(T) 및 와셔 몸체(171a)를 관통하도록 끼워 넣은 뒤 결합부(172)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시스템판넬(N1, N2)의 연결작업을 종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수평재(HB1)와 제2 수평재(HB2)에 걸쳐 면 접촉되는 와셔(171)에 의해 체결부(111)와 고정부(170) 상호 간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시스템판넬(N1, N2) 상호 간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171b)는 결합부(172)의 회전부(172c)가 연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와셔 몸체(171a)의 중앙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이며, 결합부용 관통홀(171c)은 결합부(172)의 회전부(172c)가 연장될 수 있도록 와셔 몸체(171a) 및 돌출부(171b)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결합부(172)는 체결부(111)의 테일부(111b)와 직접 나사결합되는 부분으로, 외주면이 육각 너트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1 회전도움부(172a)와, 제1 회전도움부(172a)의 하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도움부(172b)와, 제2 회전도움부(172b)로부터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전부(172c)를 포함한다.
제1 회전도움부(172a)는 렌치를 통해 결합부(17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이 육각 너트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제2 회전도움부(172b)는 제1 회전도움부(172a)의 하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172d)를 포함하여 망치 등을 사용하여 결합부(17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회전부(172c)는 제2 회전도움부(172b)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부용 관통홀(171c)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하단부에 플랜지(172e)가 형성되어 결합부(172)가 와셔(171)에 대하여 제자리에서 상대회전하며 테일부(111b)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회전부(172c)는 원주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와셔(171)의 결합부용 관통홀(171c)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뒤 하단부를 외측 방향으로 확장시켜 플랜지(172e)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회전부(172c)는 와셔(171)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와셔(171)에 대하여 제자리에서 상대회전 할 수 있게 된다. 제1 회전도움부(172a) 및 회전부(172c)를 관통하여서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이 마련되어 테일부(111b)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170)는 다양한 형식으로 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체결부(111)와 체결되며, 이에 따라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을 통한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의 간편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정부(170)는 와셔(171)와 결합부(172)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부(172)가 와셔(171)에 대하여 상대회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와셔(171) 또는 결합부(172)의 분실의 위험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을 배치시킨 뒤에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을 사용하여 이를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의 연결부분에는 챔퍼스트립(C)이 개재된 상태로 마련된다.
먼저, 제1 본체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111)를 제1 시스템판넬(N1)의 타이홀(T)에 삽입하며, 제2 본체부(12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돌기(121)를 제2 시스템판넬(N2)의 프로파일부(P)의 클램프체결용 그루브(G)에 삽입시킨다. 이 경우 연결부(130)에 형성된 챔퍼스트립 삽입공간(CS)은 챔퍼스트립(C)의 일단부를 정확히 수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마련되므로 작업자는 단순히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을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의 사이에 끼우는 것만으로 기초준비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시스템판넬(N2)의 타이홀(T)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부(111)에 고정부(170)를 삽입하며, 망치 또는 렌치를 이용하여 고정부(170)의 결합부(172)를 회전시킨다. 결합부(172)는 이러한 회전에 따라 테일부(111b)와 나사결합되며, 결합부(172)를 끝까지 회전시키면 와셔(171)는 제1 수평재(HB1) 및 제2 수평재(HB2)에 걸쳐 면 접촉되고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의 고정이 완료되며 이에 따라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이 상호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의 연결을 완료한 후에는 타이홀(T) 중 사용되지 않는 타이홀(T)을 마개(미도시)로 막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기둥 등을 완성한다.
챔퍼스트립(C)을 생략하는 경우에는 미리 거리보상판(150)을 제2 본체부(120)의 하면에 결합시키며, 전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진행시킴으로써 제1 시스템판넬(N1)과 제2 시스템판넬(N2)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100)은, 챔퍼스트립 삽입공간(CS)이 형성되는 연결부(130)에 의하여 챔퍼스트립(C)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시스템판넬(N1, N2)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측에서 바라본 도 1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의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시스템판넬 측에서 바라본 도 1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제1 시스템판넬 측에서 바라본 도 1의 시스템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A-A 선에 따른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챔퍼스트립이 생략된 상태의 A-A 선에 따른 도 4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110 : 제1 본체부
120 : 제2 본체부 130 : 연결부
140 : 보강판 150 : 거리보상판
160 : 플랜지부 170 : 고정부

Claims (11)

  1. 제1 시스템판넬의 타이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스템판넬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시스템판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시스템판넬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의 클램프체결용 그루브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1 시스템판넬과 상기 제2 시스템판넬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의 하측 및 상기 제2 본체부의 하측을 단차지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은,
    상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챔퍼스트립의 일단부의 폭과 길이에 대응될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의 내부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 본체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판의 중앙 영역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는 보강판 관통홀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판넬과 상기 제2 시스템판넬의 연결부분에 챔퍼스트립을 개재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시스템판넬과 상기 제2 시스템판넬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거리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2 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거리보상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보상판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보강판 관통홀과 상호 연통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는 보상판 관통홀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폭만큼 외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양측면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내측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게 연장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테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판넬의 타측면에 마련된 제1 수평재 및 제2 수평재에 걸쳐 접촉되되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테일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와셔 몸체;
    상기 와셔 몸체의 중앙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와셔 몸체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부용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이 육각 너트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1 회전도움부;
    상기 제1 회전도움부의 하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타 격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 회전도움부; 및
    상기 제2 회전도움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용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하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와셔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와셔에 대하여 상대회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KR2020090012401U 2009-09-21 2009-09-21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KR200459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401U KR200459170Y1 (ko) 2009-09-21 2009-09-21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401U KR200459170Y1 (ko) 2009-09-21 2009-09-21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14U KR20110003114U (ko) 2011-03-29
KR200459170Y1 true KR200459170Y1 (ko) 2012-03-21

Family

ID=4420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401U KR200459170Y1 (ko) 2009-09-21 2009-09-21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1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69Y1 (ko) * 2010-03-08 2012-03-21 (주)블루폼 이형 판넬 결합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66Y1 (ko) 1999-12-28 2000-05-15 에스케이건설주식회사 거푸집조립용 클램핑장치
JP2003147958A (ja) 2001-11-14 2003-05-21 Sogo Keiei Kenkyusho:Kk コンクリート型枠の出隅の接合構造
KR20060118832A (ko) * 2005-05-17 2006-11-24 롯데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거푸집의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KR20090001153A (ko) * 2007-06-29 2009-01-08 (주)화인테크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66Y1 (ko) 1999-12-28 2000-05-15 에스케이건설주식회사 거푸집조립용 클램핑장치
JP2003147958A (ja) 2001-11-14 2003-05-21 Sogo Keiei Kenkyusho:Kk コンクリート型枠の出隅の接合構造
KR20060118832A (ko) * 2005-05-17 2006-11-24 롯데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거푸집의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KR20090001153A (ko) * 2007-06-29 2009-01-08 (주)화인테크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14U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194682B1 (ko) 간격조절이 용이한 판넬결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모듈
KR101194681B1 (ko) 보조 판넬 결합용 클램프
KR200459170Y1 (ko)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KR10198662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및 단열 데크
KR20170089239A (ko)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KR101492009B1 (ko) 결속형 판상 벽면 마감재
KR101125472B1 (ko) 판넬결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판넬의 결합방법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101649747B1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KR101566801B1 (ko) 하프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20140020582A (ko)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20140020583A (ko)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20190126530A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200418073Y1 (ko) 거푸집용 패널
KR200459169Y1 (ko) 이형 판넬 결합유닛
JP646328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部材の連結構造
KR200442723Y1 (ko) 키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100749000B1 (ko) 거푸집용 모서리 면귀재
JPS5953979B2 (ja) コンクリ−ト用型枠構築用のパネル装置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KR200475849Y1 (ko) 볼트홈을 갖는 샌드위치패널
KR101803487B1 (ko) 거푸집 연결용 보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