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239A -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239A
KR20170089239A KR1020160009394A KR20160009394A KR20170089239A KR 20170089239 A KR20170089239 A KR 20170089239A KR 1020160009394 A KR1020160009394 A KR 1020160009394A KR 20160009394 A KR20160009394 A KR 20160009394A KR 20170089239 A KR20170089239 A KR 20170089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module
coupling
truss girder
space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구
Original Assignee
(주)코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틸 filed Critical (주)코스틸
Priority to KR102016000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9239A/ko
Publication of KR2017008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형 데크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모듈과 상기 스페이서 모듈이 구비된 탈형 데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판에 구비되어 인장 및 압축 하중을 부담하는 하현재와 상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러스거더와; 상방으로 상기 트러스거더를 지지하고,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현재를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스페이서 모듈;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모듈 하부에 고정되는 바닥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 모듈은, 상기 스페이서 모듈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외측지지부와 결합재 내측부에 형성되는 내측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결합재; 와 상기 한 쌍의 결합재를 양단에 대향하여 연결하는 연결재;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결합재를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재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부; 및 나사체결부에 나사 결합하여 바닥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측지지부 및 내측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재에 의해 하현재의 외주면 전체가 지지되고, 개방면이 상기 하현재 외주면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스페이서 모듈상에 안착되는 상기 하현재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현재가 상기 스페이서 모듈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SPACER MODULE AND STRIPPING DECK HAVING THE SAME }
본 발명은 탈형 데크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모듈과 상기 스페이서 모듈이 구비된 탈형 데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강판의 바닥판과 트러스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크에 있어서, 하단면은 바닥판과 결합하고, 상단면은 트러스거더와 결합되어, 트러스거더를 바닥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켜, 콘크리트 타설/양생 이후에 바닥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데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 건축물의 슬래브에 있어, 강선 트러스 하부에 얇은 강판을 부착하여 이를 거푸집 겸 철근으로 사용하는 트러스데크는 오랜 동안 국내 건축공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트러스데크를 적용하는 슬래브는 목재거푸집 등의 재래식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비하여 콘크리트 양생 전까지 가설지주를 생략하는 기능을 가지며, 강선트러스 하부에 부착한 얇은 강판이 거푸집 역할을 하여 별도 거푸집을 조립 및 해체하는 시간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장점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트러스데크의 경우, 바닥판은 양생된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등의 문제로 구조적 부재로 적용되지 못하여 탈거 후 재사용하는 것(탈형 데크)이 경제성 면에서 뛰어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트러스거더와 바닥판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양생 후 바닥면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탈형 데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탈형 데크는 결합 시공 과정에 있어서, 스페이서 헤더와 트러스거더 하현재 사이의 용접에 의해 이루지는데, 일반적으로 충분한 결합력을 갖기 위해 다수의 스페이서가 구성된다. 이는 용접시 각각의 스페이서를 용접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시공 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스페이서와 트러스거더를 결합함에 있어서, 시공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트러스거더의 하현재가 스페이서의 구조적 체결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무용접방식이 적용된 탈형 데크가 개발되고 있다.
전술한 탈형 데크에 적용되는 스페이서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03809호 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스페이서와 트러스거더가 결합 시, 체결의 용이성을 위해 스페이서 상에 개방면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때 개방면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하현재가 변형되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선행기술에서는 하현재가 변형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로의 홀딩구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소요자재가 증가하고, 시공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38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탈형 데크에 적용하는 스페이서 모듈의 트러스거더 결합시, 트러스거더의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스페이서 모듈상의 결합재의 개방면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통해 탈형 데크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페이서 모듈과 트러스거더의 결합 공정에 있어서, 트러스거더의 하현재가 스페이서 모듈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시공이 용이한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닥판에 구비되어 인장 및 압축 하중을 부담하는 하현재와 상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러스거더와; 상방으로 상기 트러스거더를 지지하고,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현재를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스페이서 모듈;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모듈 하부에 고정되는 바닥판; 및 나사 결합되어 바닥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 모듈은, 상기 스페이서 모듈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외측지지부와 결합재 내측부에 형성되는 내측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한쌍의 결합재; 와 상기 한 쌍의 결합재를 양단에 대향하여 연결하는 연결재; 와 상기 바닥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재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의 상부면은,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현재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굴곡 경사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지지부와 상기 내측지지부에 의해 상기 하현재가 결합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지지부 및 내측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현재의 횡방향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지지영역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체결턱이 위치 할 수 있도록 함몰되어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측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내측지지부의 단부가 중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 모듈은, 상기 스페이서 모듈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외측지지부와 결합재 내측부에 형성되는 내측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결합재; 와 상기 한 쌍의 결합재를 양단에 대향하여 연결하는 연결재;와 바닥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재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의 상부면은,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현재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굴곡 경사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지지부와 상기 내측지지부에 의해 상기 하현재가 결합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현재의 횡방향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지지영역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내측을 향해 돌출된 체결턱이 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체결턱이 위치 할 수 있도록 함몰된 체결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외측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내측지지부의 단부가 중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포함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재에 의해 상기 하현재의 외주면 전체가 지지되고, 개방면이 상기 하현재 외주면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스페이서 모듈상에 안착되는 상기 하현재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하현재가 상기 스페이서 모듈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재에 형성된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의 상부에 굴곡경사면을 따라 상기 하현재가 상기 결합재에 체결되므로, 상기 스페이서 모듈상에 상기 하현재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이 구비된 탈형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모듈이 구비된 탈형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모듈에 트러스거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의 A-A'구획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의 B-B'구획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탈형 테크용 스페이서 모듈 및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 데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모듈이 구비된 탈형데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모듈에 트러스거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의 A-A'구획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의 B-B'구획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서 모듈(300)이 구비된 탈형 데크는 트러스거더(100)와 바닥판(200) 그리고 상기 트러스거더(100)와 상기 바닥판(200)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러스거더(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의 주인장 철근으로 적용되는 하현재(120)와 압축철근으로 적용되는 상현재(110) 그리고 상기 상현재(110)와 상기 하현재(120)를 일체로 고정하면서 전단 스트럿의 역할을 수행하는 래티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래티스(130)는 상기 상현재(110)와 상기 하현재(12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하현재(120)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3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스페이서 모듈(30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후술할 바닥판(20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트러스거더(100)를 지지하기 위하여, 결합재(310)와 연결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재(310)는 상기 하현재(120)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지지부(311)와 내측지지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결합재(310)에 체결된 하현재(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외측지지부(311)는 굴곡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 모듈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체결턱(314)이 형성되고, 내측지지부(312)는 상기 체결턱(314)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체결홈(315)이 형성된다.
하술에서 더 자세하게 상기 체결턱(314)과 상기 체결홈(315)에 대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재(320)는 한 쌍의 대향된 상기 결합재(310)를 일체로 연결 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재(320)와 상기 한쌍의 결합재(310)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체결부(316)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300)과 바닥판(2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재(3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나사체결부(3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 바닥판(2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나사체결부(316)는 상기 바닥판(200)의 하부에서 관통하여 스페이스 모듈(300)과 결합하는 고정부재(400)와 나사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A'구획과 B-B'구획으로 나누어, 각각 A-A' 구획과 B-B'구획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 모듈(300)의 상기 결합재(310)는 상기 스페이스 모듈(300)과 트러스거더의 하현재(12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지지부(311)와 내측지지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모듈(300)의 A-A'구획에서는 상기 외측지지부(311)와 상기 내측지지부(312) 사이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개방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현재(120)를 지지한다.
상기 외측지지부(311)와 상기 내측지지부(312)의 상부에는 상기 하현재(1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정 굴곡경사면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B-B'구획의 상기 외측지지부(311)에는 상기 외측지지부로(311)부터 상기 내측지지부(311)를 향해 체결턱(31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지지부(311)와 상기 내측지지부(312) 사이의 개방면은 상기 하현재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각(α)방향으로 이동된 방향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지지부(312)는 체결턱(314)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함몰되어 체결홈(31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A-A'구획에서 생성된 개방측면은 체결턱(314)에 의해 차폐되고, B-B'구획에서 생성된 개방측면은 상기 외측지지부(311)와 상기 내측지지부(312)에 의해 차폐되어, 결과적으로는 상기 하현재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위(0°~360°)에 대하여 개방면이 형성되지 않고, 폐단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현재(120)가 전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의한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300)을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스페이서 모듈(300)의 다른 실시예는 고정재(510) 및 연결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재(510)는 상기 하현재(12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고정부(511) 및 내측고정부(51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외측고정부(511)는 상기 고정재(51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측고정부(511)는 상기 하현재(120)의 안착부분으로, 상기 스페이서 모듈(300)의 중심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고정부(512)는 상기 고정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고정부(512)는 상기 하현재(120)가 안착하는 부분으로, 상기 스페이서 모듈(30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고정부와 내측고정부의 단부는 서로 중첩되어 지지면이 형성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외측고정부(511)는 내측고정부(512)에 개방된 공간을 지지하고, 상기 내측고정부(512)는 외측고정부(511)에 개방된 공간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현재의 전체 위치에 걸쳐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이는 상기 하현재가 결합 시, 고정접촉면이 폐단면을 형성되어, 상기 하현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된다.
한편, 상기 외측고정부(511) 및 상기 내측고정부(512)의 상부면은 각각 상기 하현재(120)가 결합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굴곡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재(510)는 한 쌍으로 연결재(320)의 양단에 일체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탈형 데크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모듈과 상기 스페이서 모듈이 구비된 탈형 데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재에 의해 하현재의 외주면 전체가 지지되고, 개방면이 상기 하현재 외주면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스페이서 모듈상에 안착되는 상기 하현재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현재가 상기 스페이서 모듈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100 : 트러스거더 110 : 상현재
120 : 하현재 130 : 래티스
200 : 바닥판 300 : 스페이서 모듈
310 : 결합재 320 : 연결재
311 : 외측지지부 312 : 내측지지부
313 : 안착공간 314 : 체결턱
315 : 체결홈 316 : 나사체결부
400 : 고정부재 510 : 고정재
511 : 외측고정부 512 : 내측고정부
513 : 고정공간

Claims (12)

  1. 바닥판에 구비되어 인장 및 압축 하중을 부담하는 하현재와 상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러스거더; 와
    상방으로 상기 트러스거더를 지지하고,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현재를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스페이서 모듈; 과
    상기 스페이서 모듈 하부에 고정되는 바닥판; 그리고
    나사체결부에 나사 결합하여 바닥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 모듈은,
    상기 스페이서 모듈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외측지지부와 결합재 내측부에 형성되는 내측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한 쌍의 결합재; 와
    상기 한 쌍의 결합재를 양단에 대향하여 연결하는 연결재; 및
    상기 바닥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나사결합 길이를 제공하도록 결합재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의 상부면은,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현재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굴곡 경사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지지부와 상기 내측지지부에 의해 상기 하현재가 결합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현재의 횡방향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지지영역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내측을 향해 돌출된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체결턱이 위치 할 수 있도록 함몰된 체결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외측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내측지지부의 단부가 중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을 구비한 탈형데크.
  7. 상기 스페이서 모듈은,
    상기 스페이서 모듈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외측지지부와 결합재 내측부에 형성되는 내측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한 쌍의 결합재; 와
    상기 한 쌍의 결합재를 양단에 대향하여 연결하는 연결재; 및
    상기 바닥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나사결합 길이를 제공하도록 결합재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의 상부면은,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현재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굴곡 경사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지지부와 상기 내측지지부에 의해 상기 하현재가 결합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 및 상기 내측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현재의 횡방향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지지영역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내측을 향해 돌출된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체결턱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함몰된 체결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스페이서 모듈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측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내측지지부의 단부가 중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모듈.
KR1020160009394A 2016-01-26 2016-01-26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KR20170089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394A KR20170089239A (ko) 2016-01-26 2016-01-26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394A KR20170089239A (ko) 2016-01-26 2016-01-26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239A true KR20170089239A (ko) 2017-08-03

Family

ID=5965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394A KR20170089239A (ko) 2016-01-26 2016-01-26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923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678A (zh) * 2018-02-06 2018-06-15 建科机械(天津)股份有限公司 一种桁架结构
KR102048578B1 (ko) * 2019-03-18 2019-11-25 정현석 탈형 데크플레이트
KR20220097592A (ko) 2020-12-30 2022-07-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부착형 마찰 점성 감쇠 시스템
CN114872187A (zh) * 2022-06-14 2022-08-09 四川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叠合楼板钢筋网架及安装工装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678A (zh) * 2018-02-06 2018-06-15 建科机械(天津)股份有限公司 一种桁架结构
KR102048578B1 (ko) * 2019-03-18 2019-11-25 정현석 탈형 데크플레이트
KR20220097592A (ko) 2020-12-30 2022-07-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부착형 마찰 점성 감쇠 시스템
CN114872187A (zh) * 2022-06-14 2022-08-09 四川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叠合楼板钢筋网架及安装工装
CN114872187B (zh) * 2022-06-14 2024-05-28 四川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叠合楼板钢筋网架及安装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942842B1 (ko)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KR20170089239A (ko)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KR101460069B1 (ko) 스페이서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KR102174773B1 (ko) 횡좌굴 방지 클립부재를 구비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102118401B1 (ko) 체결형 데크플레이트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1813228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유닛,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및 단열 데크
CN106460382B (zh) 钢混凝土合成部件用预制架
KR20180122151A (ko)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995497B1 (ko) 플레이트를 구비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20190012766A (ko) 탑u형 래티스 합성보
KR101947077B1 (ko)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101560759B1 (ko) 스페이서 조립체
KR10198662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모듈,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및 단열 데크
KR101946850B1 (ko)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KR102071872B1 (ko) 데크결합체를 이용한 개량형 보거푸집 설치공법
KR102186162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KR20190126530A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1829791B1 (ko) 교량구조물, 교량구조물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872274B1 (ko)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고정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102056313B1 (ko) 상부압축 보강재 및 하부인장 보강재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KR20180022483A (ko) 탈형 단열 데크
KR101945696B1 (ko) 장스팬용 탈형 데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