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196B1 -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 Google Patents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196B1
KR101683196B1 KR1020150020327A KR20150020327A KR101683196B1 KR 101683196 B1 KR101683196 B1 KR 101683196B1 KR 1020150020327 A KR1020150020327 A KR 1020150020327A KR 20150020327 A KR20150020327 A KR 20150020327A KR 101683196 B1 KR101683196 B1 KR 10168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deck
truss deck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888A (ko
Inventor
이승우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센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벡스 filed Critical (주)센벡스
Priority to KR102015002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1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이전에 트러스데크를 연속시켜 양단고정 상태를 만듦으로써, 철골보 좌우에 배치되는 트러스데크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는 적어도 3개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 상현재와 하현재 및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는 사재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 복수 열이 플레이트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트러스데크; 및 상기 한 쌍의 트러스데크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연속 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데크 연결구; 로 구성되되, 상기 트러스데크 연결구는 트러스데크의 상현재 및 하현재의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타측의 트러스데크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와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데크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End Continuing Structure for Truss Decks}
본 발명은 슬래브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이전에 트러스데크를 연속시켜 양단고정 상태를 만듦으로써, 철골보 좌우에 배치되는 트러스데크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에 대한 것이다.
종래 국내에서 생산되는 슬래브용 트러스데크는 일정 두께의 강판 플레이트 상면에 상하현재와 사재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를 복수 열로 고정하여 슬래브 철근과 공사 중의 가설재 역할을 겸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트러스데크는 단위 길이 3~4.5m, 슬래브 두께 150㎜가 주종을 이루나, 간혹 길이를 6~7m까지 연장하기 위하여 슬래브 두께를 200~300㎜까지 늘리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층고 증가, 콘크리트 자중 증가 및 늘어난 자중을 콘크리트 양생 전까지 지지하는 가설지주의 증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슬래브 두께를 늘리면서도 층고 증가를 억제하기 위하여 강판 플레이트가 철골보의 웨브 측면에 위치되도록 시공하는 방법, 자중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설지주를 생략하기 위하여 강선트러스 자체에 치올림을 조성하는 방법, 강선트러스의 강선 굵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트러스데크의 길이는 증가시키되 슬래브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줄여 자중 및 가설지주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슬래브 일부에 스티로폼을 채우거나 중공(中空)을 형성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모두 인접한 다른 트러스데크들 사이의 연속성 확보를 일반적인 철근 배근에 의존한다.
즉, 인접 트러스거더를 연속시키기 위하여 추가하는 상부철근과 하부강선들은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야만 제 구실을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트러스거더가 각각 별개의 단순보로서만 시공하중을 지탱해야 한다. 이에 따라 영구하중을 지탱하기에 충분한 트러스데크가 시공하중에 대하여는 큰 처짐을 보일 수 있으므로,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가설지주를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접 강선트러스의 단부를 연속시켜 트러스데크에 타설한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발생하는 강선트러스의 처짐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트러스데크 시공시 가설지주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한 트러스데크의 강선트러스 단부 연속성 확보 구조가 개발되었다(특허 제10-1393468호).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은 인접 상부강선과 하부강선을 각각 따로 결합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롭고, 상부강선 단부에 U형 철근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접 상부강선을 턴버클로만 결합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래브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이전에 트러스거더를 연속시켜 양단고정 상태를 만듦으로써, 공사 중 트러스데크의 처짐량을 제어할 수 있고 길이가 긴 트러스데크 시공시에도 슬래브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가설지주를 생략할 수 있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인접 트러스데크 연결시 보다 간단한 구성 및 시공으로 경제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 상현재와 하현재 및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는 사재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 복수 열이 플레이트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트러스데크; 및 상기 한 쌍의 트러스데크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연속 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데크 연결구; 로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데크 연결구는 트러스데크의 상현재 및 하현재의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현재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타측의 트러스데크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와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데크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현재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 상기 하현재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 및 상기 상부고정부와 하부고정부를 연결하는 수직연결재로 구성되고, 상기 트러스데크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고정부는 중앙부가 타측 트러스데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수평연결재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 트러스데크의 수평연결재의 돌출된 중앙부를 타측 트러스데크의 수평연결재의 돌출된 중앙부와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부고정부의 후면에는 압축부재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최외스팬에 설치되는 트러스데크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는 최외곽에 설치되는 보 상부와 연결부재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보의 하부는 인접하는 보의 일단과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보; 상현재와 하현재 및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는 사재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 복수 열이 플레이트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보 내측에 각각 결합되는 트러스데크; 및 상기 트러스데크 단부를 보 상부와 상호 연결하여 고정단을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데크 연결구; 로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데크 연결구는 트러스데크의 상현재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 하현재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 및 상기 상부고정부와 하부고정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재로 구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현재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보 상부와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데크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트러스데크의 플레이트는 보 측면에 구비되고, 트러스데크 고정부재의 하부고정부와 보 측면 사이에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쐐기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쐐기부재와 밀착되는 하부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쐐기부재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트러스데크의 플레이트는 보 상면에 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은 보 상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트러스데크의 플레이트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양단에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한 쌍의 측면판으로 구성된 복수의 골유니트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인접하는 골유니트는 측면판의 상단이 상부판으로 서로 연결되는 골데크플레이트이며, 상기 하현재는 골유니트 내에 구비되되, 상기 보의 상부에는 플레이트의 골유니트 사이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판 하부에 끼워지는 막음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보 하부는 와이어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 상현재와 하현재 및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는 사재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 복수 열이 플레이트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트러스데크; 및 상기 한 쌍의 트러스데크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연속 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데크 연결구; 로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데크 연결구는 트러스데크의 상현재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 하현재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 및 상기 상부고정부와 하부고정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재로 구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현재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타측의 트러스데크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와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데크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트러스데크의 플레이트는 보 측면에 구비되고, 보 양측의 트러스데크 중 적어도 한 측의 트러스데크 고정부재의 하부고정부와 보 측면 사이에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쐐기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쐐기부재와 밀착되는 하부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쐐기부재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슬래브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이전에 트러스거더를 연속시켜 양단고정 상태를 만듦으로써, 철골보 좌우에 배치되는 트러스데크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공사 중 트러스데크의 처짐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장스팬 트러스데크의 시공시 슬래브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가설지주를 생략할 수 있다.
둘째, 인접 트러스데크 연결시 상하현재를 고정부재로 한 번에 고정할 수 있고, 턴버클 대신 볼트 사용이 가능하며, 병렬 배치되는 상현재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연결부재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인접 트러스데크 연결시 보다 간단한 구성 및 시공으로 비용 절감 및 시공성 향상이 가능하다.
셋째, 인접 트러스데크의 수평연결재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인장력을 전달하며, 특히 수평연결재의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수평연결재가 보 상부에서 사선으로 배치되어 부모멘트에 의한 보의 상부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최외스팬에 설치되는 트러스데크의 고정부재를 보 상부와 연결하여 트러스데크 단부를 고정하는 경우, 최대 모멘트 감소로 처짐 및 가설지주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트러스데크와 고정부재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트러스데크와 고정부재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H형강이 보인 경우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골데크플레이트가 트러스데크의 플레이트인 경우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막음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트러스데크의 플레이트가 보 측면에 구비된 경우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보 측면과 고정부재 사이에 삽입된 쐐기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트러스거더, 고정부재 및 쐐기부재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고정부재와 쐐기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최외스팬에 설치된 트러스데크와 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트러스데크 설치 전 와이어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슬래브 단부 고정 상태에 따른 모멘트를 비교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트러스데크와 고정부재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는 적어도 3개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1); 상현재(211)와 하현재(212) 및 상현재(211)와 하현재(212)를 연결하는 사재(213)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21) 복수 열이 플레이트(22)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보(1)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트러스데크(2, 2'); 및 상기 한 쌍의 트러스데크(2, 2')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연속 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데크 연결구(3); 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보(1)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트러스데크(2, 2')를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거더(21)를 양단 고정 상태로 만듦으로써, 슬래브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이전에 슬래브의 처짐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트러스데크(2, 2')는 보(1) 상면 또는 보(1) 측면에 결합 가능하다. 도 1, 도 4 등에서는 보(1) 상면에 트러스데크(2, 2')가 결합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트러스데크(2, 2')가 보(1) 측면에 결합되는 경우의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상기 트러스데크(2, 2')가 보(1) 상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트러스데크(2, 2')의 플레이트(22)는 보(1) 상면에 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31)의 하단은 보(1) 상면에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31)가 보(1) 상면에 용접 결합되므로, 압축철근인 하현재(212)는 보(1)로 압축력을 전달한다.
도 1, 도 4 등의 실시예에서는 보(1)의 상면에 평데크플레이트를 거치하였다.
상기 트러스데크 연결구(3)는 트러스데크(2)의 상현재(211) 및 하현재(212)의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31) 및 상현재(211)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고정부재(31)를 타측의 트러스데크(2')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31)와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데크(2, 2')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3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1)는 트러스데크(2, 2')의 상현재(211)와 하현재(212)의 단부를 동시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재(31)의 실시예로 상현재(211) 및 하현재(2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현재(211) 및 하현재(212)의 단부를 고정부재(31)의 결합공에 삽입하여 고정부재(31)와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즉, 상현재(211) 및 하현재(212)의 단부가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고정부재(31)를 배치한 다음, 결합공과 상현재(211), 결합공과 하현재(212) 사이를 각각 용접하여 트러스거더(21)와 고정부재(31)를 결합한다.
상기 고정부재(31)는 주물 제작 가능하다. 이때, 고정부재(31) 외측면의 결합공 주위에 용접살이 채워지는 용접홈을 함몰 형성하고, 용접홈에 용접살을 채워 넣어 상현재(211) 및 하현재(212)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2)는 인접 트러스데크(2, 2')의 고정부재(31)를 상호 연결한다. 이로써 트러스거더(21)가 연속 단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부모멘트가 발생하여 하현재(212)는 압축철근, 상현재(211)는 인장철근이 된다.
상기 연결부재(32)는 트러스데크(2, 2')의 인장력을 전달하며, 트러스거더(21)의 연속 단부 형성으로 모멘트가 크게 감소하므로 부재의 처짐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전 트러스데크(2, 2') 하부를 지지하는 가설지주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2)는 각 트러스데크(2, 2') 단부에서 인장재 역할을 하는 상현재(211)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므로, 상기 연결부재(32)는 상현재(211)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31)는 상기 상현재(211)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311), 상기 하현재(212)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312) 및 상기 상부고정부(311)와 하부고정부(312)를 연결하는 수직연결재(313)로 구성되고, 상기 트러스데크(2, 2')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고정부재(31)의 상부고정부(311)는 중앙부가 타측 트러스데크(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수평연결재(314)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32)는 일측 트러스데크(2)의 수평연결재(314)의 돌출된 중앙부를 타측 트러스데크(2')의 수평연결재(314)의 돌출된 중앙부와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재(314)는 중앙부가 타측 트러스데크(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돌출된 중앙부를 연결부재(32)로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수평연결재(314)의 중앙부는 반대편 트러스데크(2')의 수평연결재(314)의 돌출된 중앙부와 접하도록 구성되므로, 보(1) 상부에서 수평연결재(314)가 사선으로 배치되어 부모멘트에 의한 보(1) 상부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된 수평연결재(314)의 중앙부는 반대편 트러스데크(2')의 수평연결재(314)의 돌출된 중앙부와 간단하게 볼트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연결재(314)에는 볼트결합공을 미리 형성하여 둠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부고정부(311)의 후면에는 압축부재(315)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재(314)는 트러스 작용에 의하여 인장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수평연결재(314)에 인장력 작용시 인접하는 상부고정부(311)가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고정부(311)의 후면에 압축부재(315)를 결합하여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부고정부(311)를 지지하도록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각 트러스데크(2, 2') 단부를 보(1) 상부 양측에 거치한 다음(도 3의 (b) 내지 (c)), 연결부재(32)로 인접 트러스데크(2, 2')의 고정부재(31)를 상호 연결하여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3의 (d))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순서로 시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트러스데크와 고정부재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1)는 상부고정부(311), 하부고정부(312) 및 수직연결재(313)로 구성되고, 상기 트러스데크(2, 2')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고정부재(31)의 상부고정부(311)는 수평연결재(314)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32)는 인접 트러스데크(2, 2')의 수평연결재(314)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상부고정부(311)와 수평연결재(314)는 서로 일체화된 ㄷ형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고정부(312)와 수직연결재(313) 상부에 상부고정부(311)와 수평연결재(314)를 일체화된 ㄷ형강으로 구성하여 수평연결재(314)가 휨에 저항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 트러스데크(2, 2')의 ㄷ형강을 연결부재(32)로 결합하여 인접 트러스데크(2, 2')의 단부를 연속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부재(32)로 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ㄷ형강에 볼트결합공을 미리 형성하여 둠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각 트러스데크(2, 2') 단부를 보(1) 상부 양측에 거치한 다음(도 6의 (b) 내지 (c)), 연결부재(32)로 인접 트러스데크(2, 2')의 ㄷ형강을 상호 연결하여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도 6의 (d))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순서로 시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H형강이 보인 경우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앞서 도 1, 도 4는 TSC 보 등 강판 조립 보를 보(1) 부재로 이용한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상기 강판 조립 보 이외에 도 7에서와 같이 H형강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밖에 다른 단면 형상의 보 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보(1) 양측에 트러스데크(2, 2')가 결합되는 경우, 양 트러스데크(2, 2')의 고정부재(31)를 연결부재(32)로 상호 연결하여 연속단을 형성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스팬 불연속 단부에서는 트러스데크(2)가 보(1)의 한쪽에만 설치되므로, 인접 트러스데크(2, 2')를 연결하여 연속단을 형성할 수 없다. 그러므로 스팬 불연속 단부인 최외곽 보(1)에는 보(1) 상면에 별도의 고정구를 설치하고 연결부재(32)를 고정구에 연결하여 인장력을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연속단을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후술할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최외스팬에 설치되는 트러스데크(2, 2')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31)는 최외곽에 설치되는 보(1) 상부와 연결부재(32)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최외스팬에 위치되는 트러스데크(2)의 단부 고정으로, 최대 모멘트를 20%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재의 처짐 또한 감소하므로 가설지주의 수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고정구의 실시예로 보(1) 상면에 고정플레이트(11)를 결합하였으며, 고정플레이트(11)와 고정부재(31)를 연결부재(32)로 연결하였다.
그리고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보(1)의 하부는 인접하는 보(1)의 일단과 와이어(5)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5)는 보(1) 하부에 결합된 와이어고정구(6)에 결합하여 고정 가능하다.
도 8은 골데크플레이트가 트러스데크의 플레이트인 경우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막음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데크플레이트 뿐만 아니라 골데크플레이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상기 트러스데크(2, 2')의 플레이트(22)는 하부판(221a)과 하부판(221a)의 양단에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한 쌍의 측면판(221b)으로 구성된 복수의 골유니트(221)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인접하는 골유니트(221)는 측면판(221b)의 상단이 상부판(222)으로 서로 연결되는 골데크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현재(212)는 골유니트(221) 내에 구비되되, 상기 보(1)의 상부에는 플레이트(22)의 골유니트(221) 사이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22)의 상부판(222) 하부에 끼워지는 막음부재(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러스거더(21) 하부의 플레이트(22)가 골데크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등으로 부재 춤이 큰 딥트러스데크를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경우, 딥트러스데크도 보(1) 상면에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31) 하단을 보(1) 상면에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1)는 하부를 골유니트(221)의 형상에 따라 형성하고 상부로 상현재(211) 부분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구멍을 천공하여 콘크리트가 자유롭게 이동하여 밀실하게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트러스데크(2, 2')가 보(1) 상면에 거치될 경우, 골유니트(221) 측면 빈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9의 (a)에서와 같이 보(1) 상면에 막음부재(4)를 설치하고, 도 9의 (b)에서와 같이 막음부재(4)의 양단을 각각 인접하는 트러스데크(2, 2')의 골유니트(221) 사이 공간에 삽입하여 밀폐함으로써 콘크리트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막음부재(4)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막음부재(4)는 골유니트(22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하며, 합성수지 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각 골유니트(221)의 높이가 높을수록 골유니트(221)에 콘크리트의 측압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시 배부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골데크플레이트의 측면판(221b)은 골유니트(221)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트러스데크의 플레이트가 보 측면에 구비된 경우 본 발명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보 측면과 고정부재 사이에 삽입된 쐐기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트러스거더, 고정부재 및 쐐기부재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고정부재와 쐐기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1); 상현재(211)와 하현재(212) 및 상현재(211)와 하현재(212)를 연결하는 사재(213)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21) 복수 열이 플레이트(22)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보(1)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트러스데크(2, 2'); 및 상기 한 쌍의 트러스데크(2, 2')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연속 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데크 연결구(3); 로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데크 연결구(3)는 트러스데크(2)의 상현재(211)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311), 하현재(212)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312) 및 상기 상부고정부(311)와 하부고정부(312)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재(313)로 구성되는 고정부재(31) 및 상현재(211)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고정부재(31)를 타측의 트러스데크(2')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31)와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데크(2, 2')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32)로 구성되되, 상기 트러스데크(2, 2')의 플레이트(22)는 보(1) 측면에 구비되고, 보(1) 양측의 트러스데크(2, 2') 중 적어도 한 측의 트러스데크(2') 고정부재(31)의 하부고정부(312)와 보(1) 측면 사이에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쐐기부재(33)가 삽입되고, 상기 쐐기부재(33)와 밀착되는 하부고정부(312)의 외측면에는 상기 쐐기부재(33)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홈(316)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골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21)를 결합하여 딥트러스데크와 같이 춤이 큰 트러스데크를 형성하는 경우, 층고 절감을 위해 트러스데크(2, 2')를 보(1) 측면에 배치하고 상현재(211)만 보(1) 상부에서 연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현재(212)의 압축력을 보(1) 측면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하현재(212)를 보(1) 측면에 밀착시켜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제작 및 시공 오차를 고려하여 트러스데크(2, 2')가 짧게 설계되므로, 하현재(212)와 보(1) 측면 사이에 소정의 틈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현재(212)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31)와 보(1) 측면 사이에 쐐기부재(33)를 삽입하여 하현재(212)가 보(1)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상기 트러스데크(2)의 일측 단부는 보(1) 측면에 밀착시키고 타측 트러스데크(2')의 단부에 쐐기부재(33)를 두어 트러스데크(2')와 보(1) 사이에 틈이 없도록 밀착하였다.
도 10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쐐기부재(33)는 일측 트러스데크(2)의 단부에만 구비시키면 되나, 양측 트러스데크(2, 2')의 단부에 쐐기부재(33)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1)는 상현재(211)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311), 하현재(212)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312) 및 상기 상부고정부(311)와 하부고정부(312)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재(313)로 구성되고, 상기 쐐기부재(33)는 하부고정부(312)와 보(1) 측면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쐐기부재(33)와 밀착되는 하부고정부(312)의 외측면에는 상기 쐐기부재(33)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홈(3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홈(316)은 한 쌍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재(33)는 역U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홈(316)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쐐기부재(33)의 슬라이딩 삽입시 하현재(212)가 고정부재(31)의 하부고정부(312)와의 결합에 따른 돌출 부분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쐐기부재(33)는 트러스데크(2, 2') 설치 전에 미리 테이프 등으로 고정부재(31)의 슬라이딩홈(316)에 결합된 상태로 양중할 수 있으며, 트러스데크(2, 2') 설치 후 상부에서 고무망치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타격하여 쐐기부재(33)가 하부로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쐐기부재(33)의 상면에는 드라이버 삽입을 위한 공구삽입홈(33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를 공구삽입홈(331)에 삽입하고, 드라이버 상단을 고무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쐐기부재(33)를 하부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쐐기부재(33)가 구비되지 않는 일측 트러스데크(2)의 단부는 지압에 의해서 하현재(212)의 압축력을 보(1) 측면으로 전달해야 하므로, 도 13에서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딩홈(316) 사이에 평탄부(317) 형성하여 지압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최외스팬에 설치된 트러스데크와 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보(1); 상현재(211)와 하현재(212) 및 상현재(211)와 하현재(212)를 연결하는 사재(213)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21) 복수 열이 플레이트(22)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보(1) 내측에 각각 결합되는 트러스데크(2); 및 상기 트러스데크(2) 단부를 보(1) 상부와 상호 연결하여 고정단을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데크 연결구(3); 로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데크 연결구(3)는 트러스데크(2)의 상현재(211)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311), 하현재(212)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312) 및 상기 상부고정부(311)와 하부고정부(312)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재(313)로 구성되는 고정부재(31) 및 상현재(211)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고정부재(31)를 보(1) 상부와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데크(2)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32)로 구성되되, 상기 트러스데크(2)의 플레이트(22)는 보(1) 측면에 구비되고, 트러스데크(2) 고정부재(31)의 하부고정부(312)와 보(1) 측면 사이에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쐐기부재(33)가 삽입되고, 상기 쐐기부재(33)와 밀착되는 하부고정부(312)의 외측면에는 상기 쐐기부재(33)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홈(31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단스팬의 경우에 대한 실시예로, 하나의 트러스데크(2)를 양측에 위치한 보(1) 상단에 연결하여 양단 고정단으로 구성한다.
도 14는 보(1) 상부에 트러스데크(2)의 플레이트(22)가 위치되었고, 도 15에서는 보(1) 측면에 트러스데크(2)의 플레이트(22)가 위치어 상현재(211)만 보(1) 상부에서 연속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트러스데크(2)가 양측에 위치된 보(1)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은 앞서 도 1, 도 4 등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상기 트러스데크(2)의 플레이트(22)는 보(1) 상면에 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31)의 하단은 보(1) 상면에 용접하여 트러스데크(2)를 보(1)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러스데크(2)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31)는 보(1) 상부와 연결부재(32)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팬 불연속 단부인 보(1)의 상면에 고정구를 설치하고 연결부재(32)를 고정구에 연결하여 인장력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트러스데크(2)의 단부 고정으로 최대 모멘트 및 처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보(1)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구의 실시예로 고정플레이트(11)를 들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11)를 고정부재(31)와 연결부재(32)로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보(1) 하부는 와이어(5)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단스팬에서는 단부 고정단으로 인해 부모멘트가 작용하여 부재에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도 16의 (a)에서와 같이 보(1) 하면을 와이어(5)로 평행하게 연결하여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5)는 보(1) 하부에 결합된 와이어고정구(6)에 결합하여 고정 가능하다.
도 16은 트러스데크 설치 전 와이어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의 (a)에서와 같이, 단스팬 슬래브의 경우 단부 고정단으로 인하여 트러스데크(2) 설치시 트러스데크(2)의 처짐과 함께 보(1)에 토션이 작용한다.
이때, 보(1)의 하면을 상호 와이어(5)로 평행하게 연결하면, 보(1)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도 16의 (b)에서와 같이, 최외곽에 설치되는 보(1)의 경우 일측에만 트러스데크(2)가 고정되므로 하중 작용시 보(1)에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보(1)의 하부를 인접하는 타측 보(1)의 일단에 와이어(5)로 연결하면, 보(1)가 단면상 회전하지 않는다.
도 17은 슬래브 단부 고정 상태에 따른 모멘트를 비교한 개념도이다.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래브 단부를 단순 지지로 하면 점선과 같이 모멘트가 분포된다. 그러나 슬래브 양단을 고정단으로 하면 실선과 같이 모멘트가 감소하여 부재의 처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1: 보 11: 고정플레이트
2, 2': 트러스데크 21: 트러스거더
211: 상현재 212: 하현재
213: 사재 22: 플레이트
221: 골유니트 221a: 하부판
221b: 측면판 222: 상부판
3: 트러스데크 연결구 31: 고정부재
311: 상부고정부 312: 하부고정부
313: 수직연결재 314: 수평연결재
315: 압축부재 316: 슬라이딩홈
317: 평탄부 32: 연결부재
33: 쐐기부재 331: 공구삽입홈
4: 막음부재 5: 와이어
6: 와이어고정구

Claims (14)

  1. 적어도 3개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1);
    상현재(211)와 하현재(212) 및 상현재(211)와 하현재(212)를 연결하는 사재(213)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21) 복수 열이 플레이트(22)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보(1)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트러스데크(2, 2'); 및
    상기 한 쌍의 트러스데크(2, 2')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연속 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데크 연결구(3); 로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데크 연결구(3)는 트러스데크(2)의 상현재(211) 및 하현재(212)의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31) 및 상현재(211)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고정부재(31)를 타측의 트러스데크(2')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31)와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데크(2, 2')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32)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31)는 상기 상현재(211)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311), 상기 하현재(212)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312) 및 상기 상부고정부(311)와 하부고정부(312)를 연결하는 수직연결재(313)로 구성되고, 상기 트러스데크(2, 2')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고정부재(31)의 상부고정부(311)는 중앙부가 타측 트러스데크(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수평연결재(314)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32)는 일측 트러스데크(2)의 수평연결재(314)의 돌출된 중앙부를 타측 트러스데크(2')의 수평연결재(314)의 돌출된 중앙부와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부고정부(311)의 후면에는 압축부재(315)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5항에서,
    최외스팬에 설치되는 트러스데크(2, 2')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31)는 최외곽에 설치되는 보(1) 상부와 연결부재(32)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8. 제7항에서,
    상기 최외곽에 배치되는 보(1)의 하부는 인접하는 보(1)의 일단과 와이어(5)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9.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보(1);
    상현재(211)와 하현재(212) 및 상현재(211)와 하현재(212)를 연결하는 사재(213)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21) 복수 열이 플레이트(22)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보(1) 내측에 각각 결합되는 트러스데크(2); 및
    상기 트러스데크(2) 단부를 보(1) 상부와 상호 연결하여 고정단을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데크 연결구(3); 로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데크 연결구(3)는 트러스데크(2)의 상현재(211)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311), 하현재(212)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312) 및 상기 상부고정부(311)와 하부고정부(312)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재(313)로 구성되는 고정부재(31) 및 상현재(211)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고정부재(31)를 보(1) 상부와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데크(2)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32)로 구성되되,
    상기 트러스데크(2)의 플레이트(22)는 보(1) 측면에 구비되고, 트러스데크(2) 고정부재(31)의 하부고정부(312)와 보(1) 측면 사이에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쐐기부재(33)가 삽입되고, 상기 쐐기부재(33)와 밀착되는 하부고정부(312)의 외측면에는 상기 쐐기부재(33)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홈(3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10. 제1항에서,
    상기 트러스데크(2, 2')의 플레이트(22)는 보(1) 상면에 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31)의 하단은 보(1) 상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11. 제10항에서,
    상기 트러스데크(2, 2')의 플레이트(22)는 하부판(221a)과 하부판(221a)의 양단에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한 쌍의 측면판(221b)으로 구성된 복수의 골유니트(221)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인접하는 골유니트(221)는 측면판(221b)의 상단이 상부판(222)으로 서로 연결되는 골데크플레이트이며, 상기 하현재(212)는 골유니트(221) 내에 구비되되,
    상기 보(1)의 상부에는 플레이트(22)의 골유니트(221) 사이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22)의 상부판(222) 하부에 끼워지는 막음부재(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12. 제9항에서,
    상기 한 쌍의 보(1) 하부는 와이어(5)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13. 적어도 3개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1);
    상현재(211)와 하현재(212) 및 상현재(211)와 하현재(212)를 연결하는 사재(213)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21) 복수 열이 플레이트(22)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보(1)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트러스데크(2, 2'); 및
    상기 한 쌍의 트러스데크(2, 2')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연속 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데크 연결구(3); 로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데크 연결구(3)는 트러스데크(2)의 상현재(211)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311), 하현재(212)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고정부(312) 및 상기 상부고정부(311)와 하부고정부(312)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재(313)로 구성되는 고정부재(31) 및 상현재(211)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고정부재(31)를 타측의 트러스데크(2')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31)와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데크(2, 2')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32)로 구성되되,
    상기 트러스데크(2, 2')의 플레이트(22)는 보(1) 측면에 구비되고, 보(1) 양측의 트러스데크(2, 2') 중 적어도 한 측의 트러스데크(2') 고정부재(31)의 하부고정부(312)와 보(1) 측면 사이에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쐐기부재(33)가 삽입되고, 상기 쐐기부재(33)와 밀착되는 하부고정부(312)의 외측면에는 상기 쐐기부재(33)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홈(3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14. 삭제
KR1020150020327A 2015-02-10 2015-02-10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1683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327A KR101683196B1 (ko) 2015-02-10 2015-02-10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327A KR101683196B1 (ko) 2015-02-10 2015-02-10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88A KR20160097888A (ko) 2016-08-18
KR101683196B1 true KR101683196B1 (ko) 2016-12-07

Family

ID=5687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327A KR101683196B1 (ko) 2015-02-10 2015-02-10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1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394A (ko) * 2017-04-06 2018-10-16 김광섭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KR102303283B1 (ko) 2021-01-14 2021-09-17 (주)제이아이테크 안전 발판을 갖기 위한 철골보와 트러스 데크의 접합부 설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0117A (zh) * 2017-01-16 2017-05-31 河南国隆实业有限公司 钢筋桁架楼承板及其生产工艺
CN108591615B (zh) * 2018-05-11 2020-07-2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大面积水域上管道旋转补偿器安装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440103B1 (ko) * 2020-09-08 2022-09-06 (주)코스틸 슬래브 시공용 데크의 단부 이음 커넥터
CN117548892B (zh) * 2024-01-12 2024-03-12 中清大装配式建筑(德州)有限公司 一种楼承板受力钢筋自动焊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68B1 (ko) * 2012-06-05 2014-05-13 이창남 트러스데크의 강선트러스 단부 연속성 확보 구조
KR101429482B1 (ko) * 2012-06-21 2014-08-14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794B2 (ja) * 1991-09-09 2000-08-14 大成建設株式会社 梁床補強構造
KR101255464B1 (ko) * 2011-07-27 2013-04-16 주식회사 지원이엔지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68B1 (ko) * 2012-06-05 2014-05-13 이창남 트러스데크의 강선트러스 단부 연속성 확보 구조
KR101429482B1 (ko) * 2012-06-21 2014-08-14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394A (ko) * 2017-04-06 2018-10-16 김광섭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KR101968507B1 (ko) * 2017-04-06 2019-04-12 김광섭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KR102303283B1 (ko) 2021-01-14 2021-09-17 (주)제이아이테크 안전 발판을 갖기 위한 철골보와 트러스 데크의 접합부 설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88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1791819B1 (ko)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KR100797194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499343B1 (ko) 보강형 조립 강재 보,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026118B1 (ko) 지점부의 이차 모멘트에 대응하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지점부의 이차 모멘트에 대응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868677B1 (ko)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20100106274A (ko) 조립식 보-기둥 구조물을 위한 건식 접합구조 및 이에 따른 시공방법
KR100823448B1 (ko) 면진성이 향상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연속화 구조 및 그 공법
KR101160763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1854160B1 (ko)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KR101458875B1 (ko) 플레이트-각관 조립철골보에 의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KR101347555B1 (ko)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교량에서의 연속지점부의 시공방법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101612623B1 (ko) 더블앵글 박판 조립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KR100648046B1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KR101911731B1 (ko)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278450B1 (ko) Pc하부플랜지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R101646865B1 (ko)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KR101912376B1 (ko) 판형 트러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합성형교
KR101984211B1 (ko)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