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077B1 - 기능성 데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능성 데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077B1
KR101947077B1 KR1020180101988A KR20180101988A KR101947077B1 KR 101947077 B1 KR101947077 B1 KR 101947077B1 KR 1020180101988 A KR1020180101988 A KR 1020180101988A KR 20180101988 A KR20180101988 A KR 20180101988A KR 101947077 B1 KR101947077 B1 KR 101947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deck
joist
groove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동
Original Assignee
(주)티엔팀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엔팀버 filed Critical (주)티엔팀버
Priority to KR102018010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개 구비되는 장선; 및 상기 장선의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어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선은 겉면 일부분에 완충부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데크 시스템{FUNCTIONAL DECK SYSTEM}
본 발명은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 데크 시스템 시공 시, 기초나 멍에 상측에 높은 강도의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장선을 결합하되, C형 강관의 재질 특성을 활용하여 용접을 통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장선 상측에 결합되는 클립과 장선 사이에 폴리머 재질의 완충부가 구비되어 클립을 피스결합하는 과정에서 피스가 부러지거나 장선 또는 클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선과 클립을 결합하기 위한 피스의 머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데크의 바닥면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친환경적인 분위기 연출을 위하여 난간, 교량, 보도, 산책로, 수변, 등산로 등 실외 뿐만 아니라, 주택, 펜션, 건축물의 복도나 교실 체육관 등 다양한 실내건축물에 시멘트나 벽돌이 아닌 목재로 이루어진 데크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크는 목재를 활용함으로써, 자연적인 이미지를 제공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바닥 뿐만 아니라 울타리나, 기둥, 교량 등 다양한 형태로도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능성 데크 시스템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장선을 일정 형태로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의 데크를 조립식으로 끼워 맞춘 후,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장선과 데크를 결합, 고정하는 시공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장선에 데크를 끼워 맞춘 후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경우 고정수단의 머리 부분이 노출되어 사용자가 보행시 노출된 고정수단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화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8123호에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이 게시되었다.
도 1은 종래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 그 구성은 양측면에 데크 걸림홈(5a)을 갖는 데크 플레이트(5)를 가로보(장선)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10)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고정구멍(11a)을 갖는 클립 정착판(11), 클립 정착판(11)의 중앙에 수직으로 입설된 클립 직립부(12), 클립 직립부(12)에서 연장되어 상호 대칭으로 절곡되어 상기 데크 걸림홈(5a)에 삽입되는 절곡 걸림판(13)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 걸림판(13)은 하면 접지부(131), 하면 접지부(131)의 양단에서 입설된 접지연결부(132)(132) 및 접지연결부(132)(13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면 접지부(13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은 데크 플레이트(5)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10)을 데크 플레이트(5)의 상측 부분을 고정하는 것이 아닌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장선에 고정클립(10)을 피스결합에 의해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피스가 고정클립(10) 외부로 노출되어 목재로 이루어진 데크 플레이트(5)와 접촉됨에 따라 데크 플레이트(5)가 파손되도록 하거나 또는 눈이나 비등 외부의 수분침투에 의해 부식에 따른 녹이 발생하여 목재로 이루어진 데크 플레이트(5)가 부패하거나 곰팡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8123호(2015.07.3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능성 데크 시스템 시공 시, 기초나 멍에 상측에 높은 강도의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장선을 결합하되, C형 강관의 재질 특성을 활용하여 용접을 통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장선 상측에 결합되는 클립과 장선 사이에 폴리머 재질의 완충부가 구비되어 클립을 피스결합하는 과정에서 피스가 부러지거나 장선 또는 클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선과 클립을 결합하기 위한 피스의 머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데크의 바닥면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데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은 다수 개 구비되는 장선; 및 장선의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어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장선은 겉면 일부분에 완충부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데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데크 시스템 시공 시, 기초나 멍에 상측에 높은 강도의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장선을 결합하되, C형 강관의 재질 특성을 활용하여 용접이 가능함으로써, 기초 또는 멍에에 장선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기능성 데크 시스템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장선의 겉면 일부분을 감싸는 폴리머 재질의 완충부가 구비됨으로써, C형 강관 재질의 장선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 장선과 클립 사이에 구비되어 완충효과에 따른 충격 흡수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며, 장선에 클립을 피스결합하는 과정에서 피스가 부러지거나 장선 또는 클립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두께가 얇은 클립의 중간 부분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공간을 통해 지지프레임의 중간 부분을 하측으로 천공하여 상광하협 형태의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홈에 체결되는 피스의 머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데크의 바닥면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장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장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장선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클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는 시공 시, 기초나 멍에 상측에 높은 강도의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장선(100)을 결합하되, C형 강관의 재질 특성을 활용하여 용접을 통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장선(100) 상측에 결합되는 클립(200)과 장선(100) 사이에 폴리머 재질의 완충부(140)가 코팅되어 형성됨에 따라, 클립(200)을 피스결합하는 과정에서 피스(241a)가 부러지거나 장선(100) 또는 클립(2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선(100)과 클립(200)을 결합하기 위한 피스(241a)의 머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클립(200)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300)와의 간섭을 차단하여 데크(300)의 바닥면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은 멍에나 기초에 설치되는 장선(100)이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장선(100)의 겉면 일부분에 완충부(140)가 코팅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완충효과를 통해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부식에 따른 녹스는 것을 방지하며, 장선(100)과 클립(200)을 피스(241a)로 결합 시 피스(241a)가 부러지거나 또는 장선(100) 일부분이 뜯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장선(100) 및 클립(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데크(300)의 구성은 목재로 이루어진 데크(300)가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체결홈(310)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클립(200)과 체결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장선(100)이 설치되는 멍에 또는 기초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이 설치되기 위한 바닥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지는 멍에 또는 상기 장선(100)이 지지되어 고정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각관으로 이루어진 멍에가 장선(1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장선(100)의 하측에 상기 장선(100)과 직교되는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장선(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장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장선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장선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장선(100)은 멍에나 기초 등의 상측에 구비되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상단면(110), 측면(120), 바닥돌기(130) 및 완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장선(100)은 데크(300)가 후술되는 클립(200)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데크(300)를 안정되게 지지하며, 장선(100)과 데크(300)가 서로 직교하거나 또는 사선 방향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단면(11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장선(100)의 상측 부분을 의미하며, 후술되는 클립(200)의 하단면이 접촉된다.
측면(120)은 상단면(110)의 양 끝단 각각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닥돌기(130)는 한 쌍의 측면(120) 각각에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닥돌기(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상단면(110), 측면(120) 및 바닥돌기(130)로 이루어진 장선(100)은 한 쌍의 바닥돌기(130)가 상호 이격되어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장선(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 채움단계(S10), 장선 삽입단계(S20) 및 완충부 형성단계(S30)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완충부 채움단계(S10)는 별도의 트레이(도면부호 미표시)에 폴리머 또는 글라스 재질의 액상을 채우는 단계이다.
이때, 트레이는 장선(100)이 상기 트레이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장선(100)보다 큰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완충부 채움단계(S10)는 후술되는 장선 삽입단계(S20) 및 완충부 형성단계(S30)가 다수 회 반복되는 과정에서 1회만 실시될 수 있다.
이는, 트레이에 폴리머 또는 글라스 재질의 액상이 채워지고, 후술되는 장선 삽입단계(S20)에서 장선(100)이 상기 트레이에 삽입이 다수 회 반복되는 과정에서 트레이에 채워진 폴리머 또는 글라스 재질의 액상이 소모되거나 또는 굳기 전까지 장선 삽입단계(S20)가 다수 회 반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완충부 채움단계(S10)가 1회 실시되고, 후술되는 장선 삽입단계(S20)다 다수 회 실시될 수 있다.
장선 삽입단계(S20)는 완충부 채움단계(S10)에서 트레이에 폴리머 또는 글라스 재질의 액상이 채워지면, 상기 트레이에 장선(10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트레이에 삽입되는 장선(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110)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180° 회전시킨 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장선(100)의 상단면(110)과 측면(120) 일부분이 폴리머 또는 글라스 재질의 액상과 접촉되도록 한다.
완충부 형성단계(S30)는 장선 삽입단계(S20)에서 트레이에 삽입되었던 장선(100)을 인출시키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장선 삽입단계(S20) 및 완충부 형성단계(S30)에서 트레이에 채워진 폴리머 또는 글라스 재질의 액상은 삽입된 장선(100)의 겉면 일부분과 접촉되며, 트레이로부터 인출된 장선(100)의 겉면에 코팅되어 완충부(14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완충부(140)의 상단면(110)과 측면(120)의 외측으로 노출된 겉면 일부분에 외측완충부재(141)가 코팅되어 형성되고, 상단면(110)과 측면(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겉면 일부분에 내측완충부재(142)가 코팅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외측완충부재(141)와 내측완충부재(142)는 장선(100)이 부식되어 녹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장선(100)의 상단면(110) 상측에 코팅되어 형성된 외측완충부재(141)는 후술되는 클립(200)의 하측면과 상기 장선(100)의 상측면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완충효과에 의해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장선(100)의 상단면(110) 하측에 코팅되어 형성된 내측완충부재(142)는 장선(100)과 후술되는 클립(200)이 피스(241a)에 의해 상호간에 결합되는 경우, 피스(241a)가 클립(200)을 통과하여 장선(100)의 상단면(110) 상측에서 하측으로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단면(110) 일부분이 하측으로 뜯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장선(100)의 겉면에 완충부(140)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완충부(140)가 장선(100)의 겉면 일부분에만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은,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장선(100)이 멍에나 기초 등에 결합되는 경우, 장선(100)에 형성된 바닥돌기(130)는 상기 멍에나 기초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측면(120)의 하측부분은 멍에나 기초에 용접을 통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장선(100)이 한 쌍의 바닥돌기(130)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하측이 개구된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데크(300)를 지지하는 장선(100) 자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개구된 공간을 통해 장선(100)의 안쪽면에 완충부(140)가 코팅되었는지 확인이 용이하고, 용접을 하는 과정에서 기초나 멍에와 장선(100) 사이의 용접 가능한 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클립(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클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에서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클립(200)은 장선(100)의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어 고정되며, 데크(300)가 체결되어 장선(100) 상측에 데크(30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바닥프레임(210), 기둥프레임(220), 지지프레임(230), 요홈형성부(240), 연장부(250), 날개부(260) 및 탄성부재(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프레임(210)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선(100) 상측에 배치되며,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장선(100)의 상측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기둥프레임(220)은 바닥프레임(210)의 중간 부분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둥프레임(220)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닥프레임(210)이 클립(200)의 전,후,좌,우측에 형성되되,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중간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4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210)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직사각형의 중간 부분을 직사각형의 프레스로 가압하면, 4면으로 이루어진 기둥프레임(220)과 후술되는 지지프레임(230)이 형성된다.
이때, 바닥프레임(210)으로부터 상측으로 기둥프레임(220)이 돌출되는 높이는 후술되는 연장부(250)의 높이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기둥프레임(220) 상단에 데크(300)가 배치되고, 데크(300)의 측면이 후술되는 연장부(250)의 상단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장부(250) 상단에 연결된 날개부(260)가 데크(300)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310)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한다.
지지프레임(230)은 4면으로 이루어진 기둥프레임(220) 상단을 연결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데크(300)의 바닥면이 접촉되어 상기 데크(30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클립(20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두께가 얇은 판 형태의 클립(200)에 요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천공을 하는 경우, 요홈이 형성된 바닥프레임(210) 일부분이 하측으로 뜯겨져 돌출된 형태로 노출되고, 이에, 노출된 부분이 장선(100)의 상단면(110)과 간섭되어 바닥프레임(210)이 장선(100)에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장선(100)과 클립(200)을 결합하기 위한 피스의 머리 부분 두께가 클립(200)의 두께보다 큰 경우, 피스의 머리 부분이 클립(2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데크(300)와 간섭되어 데크(300) 바닥면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은 두께가 얇은 클립(200)의 바닥프레임(210) 중간 부분에 4면으로 이루어진 기둥프레임(220)과 상기 기둥프레임(220) 상단에 지지프레임(230)을 형성함으로써, 후술되는 요홈형성부(240)를 통해 여유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피스(241a) 머리 부분의 두께가 클립(2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더라도 피스(241a)의 머리 부분이 클립(200), 즉 지지프레이(230)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가 가능하다.
요홈형성부(240)는 지지프레임(230)의 중간 부분 상단에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피스(241a)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요홈(2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요홈형성부(240)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30)에 한 쌍의 요홈형성부(240)가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장선(100) 상측에 클립(200)이 피스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요홈형성부(240) 각각에 피스(241a)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피스(241a)를 회전축으로 하여 장선(100)으로부터 클립(20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선(100)에 클립(200)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장선(100)에 클립(200)이 편심되어 회전된 상태에서 결합되면, 클립(200)에 체결되는 데크(300)가 편심된 상태에서 결합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장선(100)에 클립(200)을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데크(300) 또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요홈(241)은 지지프레임(230)의 상측과 하측이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피스(241a)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홈(241)은 지지프레임(230)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형성되며, 상측의 폭은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241)에 피스(241a)가 삽입되어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피스(241a)가 요홈(241)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피스(241a)가 요홈(241)을 통과하여 클립(200)의 하측에 위치한 장선(100)에 체결됨으로써, 장선(100)에 클립(200)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피스(241a)는 장선(100)의 상단면(110) 상측에서 하측으로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단면(110)에 코팅되어 형성된 내측완충부재(142)에 의해 상단면(110) 일부분이 하측으로 뜯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스(241a)의 머리부분이 요홈(241)에 완전히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요홈(241)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230)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300)와 피스(241a)가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데크(300)가 파손되거나 피스(241a)가 부러지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250)는 바닥프레임(210)의 끝단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날개부(260)는 연장부(250)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데크(300)의 측면에 체결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날개부(260)는 연장부(250) 양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각각 데크(300)에 형성된 체결홈(310)에 끼워져 상기 데크(300)가 클립(200)에 체결되어 장선(100)의 상측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날개부(260)는 중간이 절단되어 절단면(261)이 형성되되, 상기 절단면(261)에 의해 정면으로 위치한 날개부(260)의 일부분은 상기 연장부(250)의 상단에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배면에 위치한 날개부(260)의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연장부(250)의 상단에 타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날개부(260)가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날개부(260)는 정면에서부터 배면까지의 폭이 연장부(25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되, 날개부(260)의 중간 부분에 절단면(261)이 형성되어 정면과 배면 각각에 절단면(261)에 의해 절단된 날개부(260) 일부분과 나머지 일부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정면에 위치한 날개부(260)의 일부분은 연장부(25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배면에 위치한 날개부(260)의 나머지 일부분은 연장부(250)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날개부(260)는 연장부(250)의 상단과 접하는 부분에 연장부(250) 측으로 휘어진 변곡부(2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곡부(262)는 날개부(260)가 연장부(250)의 상단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날개부(260)가 연장부(250) 측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변곡부(262)는 연장부(25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260) 각각이 연장부(250)와 89°이하의 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260) 각각은 연장부(250)의 상측단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날개부(260)의 외측단은 연장부(250)의 상측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날개부(260)가 데크(300)의 체결홈(310)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홈(310)의 바닥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데크(300)와 클립(200)이 견고하게 체결되어 상기 데크(300)가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변곡부(262)는 연장부(250)로부터 날개부(260) 각각이 좌,우측으로 각각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날개부(260)가 하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데크(300)와 날개부(260)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곡부(262)에 의해 연장부(250)와 날개부(260) 사이의 각이 약 88°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연장부(250) 끝단이 데크(300)에 형성된 체결홈(310)에 끼워져 상기 체결홈(310)의 바닥면을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데크(300)가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270)는 클립(200)의 하측에 끼워져 장선(100)과 클립(200) 사이에서의 완충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충격흡수, 소음절감, 마찰에 의한 밀림방지 및 피스(241a) 체결시 지지프레임(230)의 하측면이 뜯기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세하게는, 탄성부재(2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프레임(220), 지지프레임(230) 및 요홈형성부(2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탄성부재(2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21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탄성부재바닥부(2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바닥부(271)는 탄성부재(27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바닥프레임(210)의 하면에 접촉됨에 따라, 장선(10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그 기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데크 시스템은 시공 시, 기초나 멍에 상측에 높은 강도의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장선(100)을 결합하되, C형 강관의 재질 특성을 활용하여 용접이 가능함으로써, 기초 또는 멍에에 장선(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기능성 데크 시스템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선(100)의 겉면 일부분을 감싸는 폴리머 재질의 완충부(140)가 구비됨으로써, C형 강관 재질의 장선(100)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 장선(100)과 클립(200) 사이에 구비되어 완충효과에 따른 충격 흡수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며, 장선(100)에 클립(200)을 피스결합하는 과정에서 피스(241a)가 부러지거나 장선(100) 또는 클립(200)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얇은 클립(200)의 중간 부분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공간을 통해 지지프레임(230)의 중간 부분을 하측으로 천공하여 상광하협 형태의 요홈(24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홈(241)에 체결되는 피스(241a)의 머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200) 상측에 설치되는 데크(300)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데크(300)의 바닥면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장선
110 : 상단면 120 : 측면
130 : 바닥돌기 140 : 완충부
141 : 외측완충부재 142 : 내측완충부재
200 : 클립
210 : 바닥프레임 220 : 기둥프레임
230 : 지지프레임 240 : 요홈형성부
241 : 요홈 241a : 피스
250 : 연장부 260 : 날개부
261 : 절단면 262 : 변곡부
270 : 탄성부재 271 : 탄성부재바닥부
300 : 데크
310 : 체결홈

Claims (10)

  1. 다수 개 구비되는 장선(100); 및
    상기 장선(100)의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어 고정되는 클립(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선(100)은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클립(200)의 하단면이 접촉되는 상단면(110);
    상기 상단면(110)의 양 끝단 각각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측면(120); 및
    한 쌍의 측면(120) 각각에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바닥돌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한 쌍의 바닥돌기(130) 사이가 이격되어 하측이 개구된 C형 강관으로 이루어지며,
    트레이에 폴리머 또는 글라스 재질의 액상을 채우는 완충부 채움단계(S10);장선(100)의 상단면(110)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180° 회전시킨 후 트레이에 삽입하는 장선 삽입단계(S20); 및
    트레이에 삽입되었던 장선(100)을 인출시키는 완충부 형성단계(S30);에 의해 겉면 일부분에 완충부(140)가 코팅되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완충부(140)는
    상기 상단면(110)과 측면(120)의 외측으로 노출된 겉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코팅된 외측완충부재(141); 및
    상기 상단면(110)과 측면(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겉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코팅된 내측완충부재(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측완충부재(141) 및 내측완충부재(142)는 겉면 일부분에 폴리머 또는 글라스 재질의 완충부(140)가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클립(200)은
    상기 장선(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프레임(210);
    상기 바닥프레임(210)의 중간 부분을 직사각형의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4면으로 이루어진 기둥프레임(220);
    상기 기둥프레임(220)의 상단을 연결하는 판 형태의 지지프레임(230); 및
    상기 지지프레임(230)의 중간 부분 상단에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 요홈형성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요홈형성부(240)는
    상측과 하측이 관통된 요홈(24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요홈(241)은
    상측의 폭은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요홈(241)에 피스(241a)가 삽입되어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피스(241a)가 요홈(241)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클립(200)은
    상기 바닥프레임(210)의 끝단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연장부(250); 및
    상기 연장부(250)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날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날개부(260) 각각은 데크(300)에 형성된 체결홈(31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날개부(260)는
    중간이 절단되어 절단면(261)이 형성되되,
    상기 절단면(261)에 의해 정면으로 위치한 날개부(260)의 일부분은 상기 연장부(250)의 상단에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배면에 위치한 날개부(260)의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연장부(250)의 상단에 타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날개부(260)가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260)는
    상기 연장부(250)의 상단과 접하는 부분에 연장부(250) 측으로 휘어진 변곡부(26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변곡부(262)는
    상기 연장부(25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260) 각각이 상기 연장부(250)와 89°이하의 각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클립(200)은
    상기 기둥프레임(220), 지지프레임(230) 및 요홈형성부(2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지는 탄성부재(2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270)는
    상기 바닥프레임(21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탄성부재바닥부(27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바닥부(271)는 장선(100)의 상측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데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01988A 2018-08-29 2018-08-29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101947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88A KR101947077B1 (ko) 2018-08-29 2018-08-29 기능성 데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88A KR101947077B1 (ko) 2018-08-29 2018-08-29 기능성 데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077B1 true KR101947077B1 (ko) 2019-02-12

Family

ID=6536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988A KR101947077B1 (ko) 2018-08-29 2018-08-29 기능성 데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0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527A (ko) * 2019-12-05 2021-06-15 (주) 나무들 이탈착식 데크로드
KR102335852B1 (ko) * 2021-05-04 2021-12-06 (주) 뉴티브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KR102349261B1 (ko) * 2021-04-12 2022-01-10 아이앤지산업(주)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753B1 (ko) * 2013-05-07 2014-01-23 남명선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
KR20140003028U (ko) * 2013-01-11 2014-05-22 명진산업개발 주식회사 공사장 가림 펜스 설치용 체결구
KR20150088123A (ko) 2014-01-23 2015-07-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
KR101572826B1 (ko) * 2015-05-19 2015-11-30 이남희 장선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보드 조립체
KR101627836B1 (ko) * 2015-12-08 2016-06-07 (주)백상 진동흡수부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KR20160130335A (ko) * 2015-05-01 2016-11-11 주식회사휴플러스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KR101681022B1 (ko) * 2016-04-22 2016-12-12 (주)엠에스티통상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70051515A1 (en) * 2014-05-05 2017-02-23 I Deck S.R.L. Surface coating structure adapted to be quickly installed and removed
KR101820684B1 (ko) * 2017-09-14 2018-01-25 주식회사 삼원이피 목재데크 결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180013628A (ko) * 2016-07-29 2018-02-07 (주) 토모우드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028U (ko) * 2013-01-11 2014-05-22 명진산업개발 주식회사 공사장 가림 펜스 설치용 체결구
KR101353753B1 (ko) * 2013-05-07 2014-01-23 남명선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
KR20150088123A (ko) 2014-01-23 2015-07-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
US20170051515A1 (en) * 2014-05-05 2017-02-23 I Deck S.R.L. Surface coating structure adapted to be quickly installed and removed
KR20160130335A (ko) * 2015-05-01 2016-11-11 주식회사휴플러스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KR101572826B1 (ko) * 2015-05-19 2015-11-30 이남희 장선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보드 조립체
KR101627836B1 (ko) * 2015-12-08 2016-06-07 (주)백상 진동흡수부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KR101681022B1 (ko) * 2016-04-22 2016-12-12 (주)엠에스티통상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13628A (ko) * 2016-07-29 2018-02-07 (주) 토모우드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KR101820684B1 (ko) * 2017-09-14 2018-01-25 주식회사 삼원이피 목재데크 결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527A (ko) * 2019-12-05 2021-06-15 (주) 나무들 이탈착식 데크로드
KR102266307B1 (ko) * 2019-12-05 2021-06-17 (주) 나무들 이탈착식 데크로드
KR102349261B1 (ko) * 2021-04-12 2022-01-10 아이앤지산업(주)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35852B1 (ko) * 2021-05-04 2021-12-06 (주) 뉴티브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077B1 (ko)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101702348B1 (ko)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20170025636A (ko) 데크용 보드 연결장치
US8122669B2 (en) Wooden roof truss
KR101948812B1 (ko)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KR20170089239A (ko)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KR101352280B1 (ko)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JP4585470B2 (ja) 建築物及び建造物の補強部材並びに補強構造
KR20170050374A (ko) 데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0704870B1 (ko) Pc기둥과 pc보의 압착식 접합구조 및 그 방법
KR102598177B1 (ko)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데크 결합구조
JP5442365B2 (ja) 補強梁接合金物
KR101144052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2198165B1 (ko) 내진성 벽체 일체형 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681084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시스템
CN109736429B (zh) 一种建筑抗震防倒塌结构
KR200409831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US20150218821A1 (en) Attachment components for securing portions of a structure with integrated insulation to one another
KR101101741B1 (ko)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KR102403606B1 (ko) 구조용집성재를 이용한 보행시설물용 기초구조물
KR102433484B1 (ko) 스프링클립을 적용한 데크 시공방법
KR20170023572A (ko) 내진성능을 구비한 철골기둥 연결부 시공방법
KR100656285B1 (ko) 인장 및 전단 보강을 위한 외부강선의 정착구조
KR200354388Y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KR200468872Y1 (ko) 조립식 천막의 빔 고정을 위한 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