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852B1 -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852B1
KR102335852B1 KR1020210057931A KR20210057931A KR102335852B1 KR 102335852 B1 KR102335852 B1 KR 102335852B1 KR 1020210057931 A KR1020210057931 A KR 1020210057931A KR 20210057931 A KR20210057931 A KR 20210057931A KR 102335852 B1 KR102335852 B1 KR 102335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ck
piece
bar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용
최경만
Original Assignee
(주) 뉴티브
유재용
최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뉴티브, 유재용, 최경만 filed Critical (주) 뉴티브
Priority to KR102021005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책로, 공원, 등산로 등에 직선으로 설치하는 것은 물론 자연친화성과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곡선으로 설치하더라도 시공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자유방향성을 가지는 데크로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지주 상단의 멍에에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목재데크가 설치되는 데크로드의 설치구조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중앙의 바설치면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이 되도록 적어도 한 쌍의 상단거치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양 단부중 적어도 일단부는 인접한 플레이트와 분리되어 사이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에 설치된 바설치면에 목재데크의 고정을 위한 편심형 클립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DESK ROD CONSTRUCTION STRUCTURE WITH FREE RUNNING DIRECTION}
본 발명은 산책로, 공원, 등산로 등에 설치되는 데크로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선으로 설치하는 것은 물론 자연친화성과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곡선으로 설치하더라도 시공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자유방향성을 가지는 데크로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 및 여가활동을 위하여 주변의 산과 계곡을 찾거나 자전거를 타기 위하여 강변이나 하천을 찾는 사람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지자체들도 대상 지역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접근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시설들을 설치하고 있으며, 그 중 자연친화성을 가지는 목재 데크로드가 가장 선호되고 있다.
데크로드는 설치 대상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평데크형, 경사데크형, 계단데크형으로 나뉘어진다. 평데크는 주로 수변공원이나 평탄한 광장에 설치되고, 경사데크는 지형이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있거나, 외관에 대한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되며, 계단데크는 산이나 계곡 등 경사각도가 가파른 경우에 설치된다. 이러한 평데크형과 경사데크형 및 계단데크형은 그 설치대상지역에 따라 독립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 설치된다.
아울러, 이들의 데크로드는 지형적 여건 등에 따라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이 혼재될 수 있는데, 직선구간의 설치를 위한 클립 등의 부재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이를 곡선구간에 적용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따라서 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예의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62809호의 곡선부의 적용이 가능한 데크조립체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데크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멍에(210)와 테두리멍에(230)로 이루어진 프레임(200)의 상부에 장선(290)이 설치되고, 상기 장선(290)의 상면에 데크(300)가 놓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데크(300)의 폭방향 양측면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310)이 형성되고, 장선(290)에 고정 설치되는 후크(400)에는 상기 고정홈(310)에 삽입되는 후크몸체(410)가 타원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몸체(410)가 놓여지는 방향에 따라 상호 인접한 데크(300)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며, 이에 의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로드를 곡선형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62809호의 데크조립체는 현장에서 멍에(210)와 테두리멍에(230)를 조립하여 프레임(200)을 구성시키고, 여기에 장선(290)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현장 작업으로 인하여 긴 공사기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데크(300)를 천연목재의 것을 사용한 경우 장기간 사용시 파손이나 부패로 인하여 발빠짐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여지가 많게 되며, 합성수지가 함침된 합성목재를 사용한 경우에도 여름철의 고온에 의해 연화되면서 상하로 울퉁불퉁해지는 하자가 발생될 수 있음에 반해, 상기 데크(300)를 고정시킨 후크(400)가 데크(300)의 양 단부에만 설치되거나, 더 설치되더라도 띠엄띠엄 설치된 장선(290)의 간격에 맞춰 띠엄띠엄 설치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인접한 데크(300)사이가 상하로 크게 벌어져 공간이 생기거나 심한 경우 고정홈(310)으로부터 후크몸체(410)가 이탈되면서 데크(300)가 탈락될 여지가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62809호의 데크조립체는 후크몸체(410)를 회전시키면서 인접한 각 데크(300)사이의 간극을 조절함으로써 곡선부를 가지도록 하는 것인 바, 데크(300) 사이의 간극이 곡선부의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외관이 좋지 않을뿐더러 이용자에게 안전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주게 된다.
KR 10-1362809 B1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크가 부패하거나 손상되더라도 발빠짐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여지가 최소화되고, 여름철의 고온에도 데크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각 데크사이의 간극이 일정하여 외관이 저해되지 않고 이용자의 안전성을 도모하면서도, 곡선부에 적용하더라도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저하되지 아니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데크로드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지주 상단의 멍에에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목재데크가 설치되는 데크로드의 설치구조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중앙의 바설치면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이 되도록 적어도 한 쌍의 상단거치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양 단부중 적어도 일단부는 인접한 플레이트와 분리되어 사이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에 설치된 바설치면에 목재데크의 고정을 위한 편심형 클립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에는 중앙의 바설치면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이 되면서 상단거치면과 교대로 위치하도록 적어도 한 쌍의 하단지지면이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목재데크를 통해 작용되는 하중이 넓게 분산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형 클립바를, 플레이트의 상단거치면과 바설치면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격벽에 접하는 수직지지편과, 상기 수직지지편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수직지지편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편으로 구성시켜, 체결편에 구비되는 체결공이 수직지지편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고정편이 수직지지편으로부터 돌출된 길이 이상이 되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목재데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편을 편심형 클립바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바형상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체결편의 폭방향 단부의 하면에 회동방지돌기를 형성시켜 하나의 플레이트에 순차 설치되는 목재데크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목재데크 설치를 위한 프레임작업이나 장선의 설치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정수 감소에 따른 공사기간의 단축이 도모되고, 플레이트의 상면에 목재데크가 놓여지므로 목재데크에 파손이나 부패가 발생하더라도 이용자의 발빠짐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여지가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심형 클립바의 비대칭 구조로 인하여 체결편에 구비되는 체결공을 고정편보다 외측에 형성시켜 체결작업을 위한 공구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면서도, 회동방지돌기에 의해 비대칭 구조인 편심형 클립바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목재데크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데크로드의 조립작업이 능률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형상을 가진 편심형 클립바의 고정편에 의해 목재데크가 전체 길이에 대하여 상하방향 모두에 대하여 구속되므로 여름철의 고온에 의해 목재데크가 연화되더라도 변형이 억제되어 이를 고정시키고 있는 편심형 클립바로부터 이탈되거나 고정부위가 파손될 여지가 거의 없게 되어 데크로드의 내구성이 대폭 증대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데크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데크조립체의 곡선부를 위한 후크의 구성 및 그의 작용에 관한 사시도 및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크로드 설치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데크로드 설치구조를 위한 플레이트의 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편심형 클립바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레이트의 상기한 배치구조를 통해 데크로드의 곡선부를 형성시킨 예를 각 설명한 것이다.
도 7, 8은 각 데크의 형상에 따른 편심형 클립바의 설치구조에 관한 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회동방지돌기의 작용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크로드 설치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상기 데크로드 설치구조를 위한 플레이트(30)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목재데크(50)를 고정시키기 위한 편심형 클립바(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크로드 설치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과는 달리 별도의 프레임을 구성하거나 장선을 설치하지 않고, 지주(10) 상단의 멍에(20)에 곧바로 폭이 넓은 판상형의 플레이트(30)를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30) 상면에 목재데크(50)를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 내지 장선 설치작업의 생략은 현장의 작업량을 대폭 감소시켜 데크로드의 신속한 구축을 가능하게 하고, 이들을 대체하여 설치되는 플레이트(30)는 장기간 이용으로 목재데크(50)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이용자의 발빠짐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플레이트(30)는, 도 4에 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거치면(31)과 바설치면(33)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단거치면(31)은 플레이트(30)의 최상부에 위치하면서 목재데크(50)가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30)의 중앙에 형성되는 바설치면(33)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이 되도록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된다.
바설치면(33)은 플레이트(30)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멍에(20)에 고정됨과 더불어, 목재데크(50)의 고정을 위한 편심형 클립바(4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바설치면(33)에는 편심형 클립바(40) 및 멍에(20)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체결공(33a)이 미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공(33a)을 장공으로 형성시켜 고정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주(10)나 멍에(20) 등의 설치작업 과정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시공오차를 쉽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플레이트(30)에는, 도 4의 (b)와 (d)에 각 도시된 바와 같이, 바설치면(33)과 유사한 형상의 하단지지면(3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면(32) 역시 플레이트(30)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바설치면(33)과 함께 목재데크(5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하중을 분담하면서 이를 멍에(20)에 전달한다.
이러한 하단지지면(32)은 바설치면(33)과 마찬가지로 중앙의 바설치면(33)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이 되면서 상단거치면(31)과 교대로 위치하도록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레이트(30)는 인접한 플레이트(30)와의 사이에서 상호 독립적인 배치를 통해 데크로드의 곡선부에 대한 자유로운 방향성을 가지게 한다.
도 6은 플레이트(30)의 상기한 배치구조를 통해 데크로드의 곡선부를 형성시킨 예를 각 설명한 것이다.
예컨대 각 플레이트(30)는, 도 6의 (a)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호간에 양 단부 모두가 완전하게 분리된 구조를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각 플레이트(30)들을 일측 단부들은 서로 밀착되거나 좁은 사이간격을 가지게 하는 반면, 타측 단부들은 보다 큰 사이간격을 가지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데크로드의 곡선부가 자유롭게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각 플레이트(30)들의 양측 단부들 모두 동일한 사이간격을 가지게 함으로서 데크로드가 직선부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의 (c)와 (d)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각 플레이트(30)들의 일측 단부에 힌지편(35)을 구비시키고, 도 6의 (b)에서와 같이 이들 힌지편(35)을 통해 상호 인접한 플레이트(30)들의 타측 단부만의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플레이트(30) 배치에 관한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30)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가 인접플레이트(30)와 분리되어 사이간격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데크로드의 곡선부에 대한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30) 구조 및 그의 배치구조는, 플레이트(30)의 평면구조를 곡선부에 대응하는 사다리꼴 평면형상으로 구성시키지 않고 롤포밍이 가능한 방형 평면형상으로 구성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플레이트(30)의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형 평면형상의 플레이트(30)를 곡선부에 배치시킬 경우, 상기 곡선부 외측호 부분에서의 큰 사이간격은, 목재데크(50)를 사다리꼴 평면형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보정된다. 이에 따라 인접한 목재데크(50)들의 각 사이를 모두 내측호 부분의 좁은 사이간격 이하의 동일한 간극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이는 이용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상기한 플레이트(30) 상면에 놓여지는 목재데크(50)는 편심형 클립바(40)를 매개로 하여 플레이트(30) 및 그 하부의 멍에(20)에 고정된다.
상기의 편심형 클립바(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41)과 체결편(42) 및 이들 고정편(41)과 체결편(42)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지지편(43)으로 이루어지며, 바설치면(33)에 피스 등의 체결수단(61)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고정편(41)은 목재데크(50)를 플레이트(30)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수직지지편(43)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편(43)과 함께 T자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편(41)은,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일반적인 클립구조와는 달리, 편심형 클립바(4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바형상을 가짐으로써, 이에 의해 고정되는 목재데크(50)가 합성목재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여름철의 고온에 의해 상기 목재데크(50)가 연화되면서 울퉁불퉁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관하여는 뒤에서 목재데크(50)의 구조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고정편(41)을 제외한 수직지지편(43) 또는 체결편(42)까지 반드시 하나로 된 바형상일 필요는 없다.
고정편(41)의 외측 단부쪽 하면에는 하고정돌기(4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고정돌기(41a)는 목재데크(50)와 편심형 클립바(40) 사이에서의 힘의 작용점이 목재데크(50)의 내측에 위치하게 하고, 아울러 마찰에 의해 목재데크(50)가 좌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목재데크(50)가 온도에 의해 변형되거나 수분흡수 등에 의해 체적이 팽창되는 경우 이를 흡수하여 목재데크(50)의 설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체결편(42)은 편심형 클립바(40)를 플레이트(30) 및 멍에(20)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고정편(41)과는 달리 수직지지편(43)의 일측으로만 수평 절곡 형성되어, 수직지지편(43)과 함께 L자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편심형 클립바(40)를 플레이트(30)의 바설치면(33)에 고정시키면, 상기 수직지지편(43)은 플레이트(30)의 상단거치면(31)과 바설치면(33)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격벽(34)에 접하는 구조가 된다.
상기 수직지지편(43)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측고정돌기(43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측고정돌기(43a)는 하고정돌기(41a)와 마찬가지로 마찰에 의해 목재데크(50)가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목재데크(50)의 체적이 팽창되는 경우 이를 흡수하여 데크로드의 설치구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체결편(42)에도 플레이트(30)의 체결공(33a)에 대응한 체결공(42a)이 구비된다. 이때 체결편(42)에 구비된 체결공(42a)은, 수직지지편(4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d1)가 고정편(41)이 수직지지편(43)으로부터 돌출된 길이(d2) 이상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체결편(42)에 구비된 체결공(42a)의 상기한 구성은, 편심형 클립바(40)를 멍에(20) 및 플레이트(30)에 고정시킬 때 체결수단(61)의 체결을 위한 공구의 각도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체결의 정밀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체결편(42)에는 회동방지돌기(42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동방지돌기(42b)는 체결편(42)의 폭방향 단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편심형 클립바(40)가 일측 목재데크(50a)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편심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타측 목재데크(50b)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이에 관하여는 뒤에서 데크로드의 시공방법과 관련하여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8은 지금까지 설명한 편심형 클립바(40)를 이용하여 목재데크(50)를 플레이트(30)에 고정시키는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합성목재는 변형이 적고 재질이 균일하다. 따라서 합성목재를 재질로 한 목재데크(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데크(50)의 측면에 끼움홈(51a)을 형성시키고 상기 끼움홈(51a)에 편심형 클립바(40)의 고정편(41)을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목재데크(50)를 플레이트(30)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끼움방식에 의한 목재데크(50)의 설치구조는, 편심형 클립바(40)로 하여금 목재데크(5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상하방향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편심형 클립바(40)에서 바형상으로 길게 하나로 구성된 고정편(41)은, 목재데크(50)의 끼움홈(5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목재데크(50)의 상하 변위를 억제시킴으로써 목재데크(50)가 높은 온도에 의해 연화되면서 상하로 볼록해지거나 오목해지는 변형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8의 실시예는 목재데크(50)의 상면에 고정편(41)의 하면이 밀착고정되는 거치턱면(51b)이 구비된다. 이러한 목재데크(50)의 설치구조는 천연목재 재질의 목재데크(50)에 대하여 보다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천연목재는 합성목재에 비하여 신축변형과 갈라짐이 심하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데크(50)의 상면에 ㄴ자로 파여 형성된 거치턱면(51b)에 고정편(41)을 거치시키고, 체결수단(61)으로 체결편(42)을 바설치면(33)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고정편(41)으로 하여금 목재데크(50)의 거치턱면(51b)을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상술한 회동방지돌기(42b)의 작용을 도면으로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데크로드의 시공과정에 관하여 도 7의 측면에 끼움홈(51a)이 형성된 목재데크(50)를 예로하여 설명하면, a) 바설치면(33)을 중심으로 한 플레이트(30) 일측의 상단거치면(31)에 목재데크(50a)를 거치시키는 단계, b) 편심형 클립바(40)의 일측 고정편(41)을 목재데크(50a)의 끼움홈(51a)에 삽입시키는 단계, c) 체결편(42)의 체결공(42a)과 체결수단(61)을 이용하여 편심형 클립바(40)를 플레이트(30)와 멍에(20)에 고정시키는 단계, d) 편심형 클립바(40)의 타측 고정편(41)이 인접한 목재데크(50b)의 끼움홈(51a)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목재데크(50b)를 플레이트(30) 타측의 상단거치면(31)에 거치시키는 단계가 순차로 진행되는 방식으로 데크로드가 조립된다.
이때 c)단계에서의 편심형 클립바(40)의 고정은 체결편(42)이 플레이트(3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유격, 예컨대 1~2mm의 간극이 유지된 상태로 이루어지게 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수단(61)에는 체결편(42)과의 사이에 스프링(62)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수단(61)이 멍에(20)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스프링(62)이 압축되어 체결편(42)을 하부로 가압하는 상태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스프링(62)의 가압 상태에서도 고정편(41)이 목재데크(50)의 끼움홈(51a) 하면에 걸려있으므로 체결편(42) 하부의 유격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체결편(42) 하부의 유격과 체결편(42) 상부의 압축된 스프링(62)은, 장기간 경과로 인하여 목재데크(50)가 건조수축하여 두께가 얇아지면, 고정편(41)을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목재데크(50)의 가압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여 플레이트(30)와 목재데크(5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의 보행시 덜그럭거리는 소음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b)단계에 의해 목재데크(50a)의 끼움홈(51a)에 일측의 고정편(41)이 삽입된 편심형 클립바(40)는 비대칭 단면에 의한 편심과 상기한 체결편(42) 하부의 유격에 의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면서 목재데크(50b)가 설치되지 아니한 타측의 고정편(41)이 하부로 처지게 된다. 이러한 타측 고정편(41)의 처짐은 상기한 d)단계의 인접한 목재데크(50b) 설치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방해한다.
이때 상술한 체결편(42)의 폭방향 단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회동방지돌기(42b)는, 도 9의 (b)에서와 같이 편심형 클립바(40)의 회동을 방지하여 d)단계에서 타측의 고정편(41)이 인접 목재데크(50b)의 끼움홈(51a)에 쉽게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상기한 편심형 클립바(40)의 편심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회동방지돌기(42b)는 타측 고정편(41)이 목재데크(50b)의 끼움홈(51a)에 삽입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을 정도까지 처짐되는 것을 허용하는 범위이내에서 상기한 체결편(42) 하부의 유격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물론 수직지지편(43)의 하부에는 유격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목재데크(50)의 건조수축으로 그 두께가 얇아질 경우 이를 가압하고 있는 고정편(41)의 하부 이동은 회동방지돌기(42b)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지주 20; 멍에
30; 플레이트 31; 상단거치면
32; 하단지지면 33; 바설치면
33a,42a; 체결공 34; 수직격벽
35; 힌지편 40; 편심형 클립바
41; 고정편 41a; 하고정돌기
42; 체결편 42b; 회동방지돌기
43; 수직지지편 43a; 측고정돌기
50,50a,50b; 데크 51a; 끼움홈
51b; 거치턱면 61; 체결수단
62; 스프링

Claims (6)

  1. 지주(10) 상단의 멍에(20)에 플레이트(30)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30)의 상면에 목재데크(50)가 설치되는 데크로드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는, 양 단부중 일측 단부에는 힌지편(35)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는 인접한 플레이트(30)와 분리되어 상호 인접한 플레이트(30)들 사이의 타측 단부만의 사이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서, 중앙의 바설치면(33)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이 되도록 적어도 한 쌍의 상단거치면(3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30)의 중앙에 설치된 바설치면(33)에 목재데크(50)의 고정을 위한 편심형 클립바(40)가 설치되되,
    상기 편심형 클립바(40)는, 플레이트(30)의 상단거치면(31)과 바설치면(33)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격벽(34)에 접하는 수직지지편(43)과, 상기 수직지지편(43)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편심형 클립바(4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바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지지편(43)과 함께 T자 형상을 가지는 고정편(41)과, 상기 수직지지편(43)의 일측으로만 수평 절곡 형성되어 수직지지편(43)과 함께 L자 형상을 가지는 체결편(42)으로 이루어져, 체결편(42)이 플레이트(30)의 상면과의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체결편(42)의 폭방향 단부의 하면에는 체결편(42) 하부의 상기 유격보다 작은 회동방지돌기(4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42)에는 체결공(42a)이 구비되되,
    상기 체결공(42a)이 수직지지편(4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d1)는 고정편(41)이 수직지지편(43)으로부터 돌출된 길이(d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에는 중앙의 바설치면(33)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이 되면서 상단거치면(31)과 교대로 위치하도록 적어도 한 쌍의 하단지지면(3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KR1020210057931A 2021-05-04 2021-05-04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KR102335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31A KR102335852B1 (ko) 2021-05-04 2021-05-04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31A KR102335852B1 (ko) 2021-05-04 2021-05-04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852B1 true KR102335852B1 (ko) 2021-12-06

Family

ID=7890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931A KR102335852B1 (ko) 2021-05-04 2021-05-04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8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0456A (zh) * 2022-10-24 2022-12-09 广东万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临时门式通道结构与施工方法
KR102586384B1 (ko) * 2023-05-03 2023-10-10 주식회사 대륙이앤씨 데크연결 편심클립을 이용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난간이 포함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586350B1 (ko) * 2023-04-28 2023-10-10 주식회사 대륙이앤씨 장선결합형 편심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구조
KR20240019508A (ko) 2022-08-04 2024-02-14 이영채 데크 조립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09B1 (ko) 2013-08-30 2014-02-14 동양건설(주) 곡선부의 적용이 가능한 데크조립체
KR101947077B1 (ko) * 2018-08-29 2019-02-12 (주)티엔팀버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20190060451A (ko) * 2017-11-24 2019-06-03 양성모 도시공원과 생태하천에 적용되는 데크 체결장치
KR102221246B1 (ko) * 2020-11-04 2021-03-02 (주) 뉴티브 소음방지기능을 가진 목재데크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09B1 (ko) 2013-08-30 2014-02-14 동양건설(주) 곡선부의 적용이 가능한 데크조립체
KR20190060451A (ko) * 2017-11-24 2019-06-03 양성모 도시공원과 생태하천에 적용되는 데크 체결장치
KR101947077B1 (ko) * 2018-08-29 2019-02-12 (주)티엔팀버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102221246B1 (ko) * 2020-11-04 2021-03-02 (주) 뉴티브 소음방지기능을 가진 목재데크 설치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508A (ko) 2022-08-04 2024-02-14 이영채 데크 조립 구조
CN115450456A (zh) * 2022-10-24 2022-12-09 广东万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临时门式通道结构与施工方法
CN115450456B (zh) * 2022-10-24 2024-04-12 广东万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临时门式通道结构与施工方法
KR102586350B1 (ko) * 2023-04-28 2023-10-10 주식회사 대륙이앤씨 장선결합형 편심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구조
KR102586384B1 (ko) * 2023-05-03 2023-10-10 주식회사 대륙이앤씨 데크연결 편심클립을 이용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난간이 포함된 데크로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852B1 (ko)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US8650827B2 (en) Assembly for securing two juxtaposed panels to a structure
US6237295B1 (en) Flooring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US6752385B2 (en) Railing system
US20100095606A1 (en) Faceted metal suspended ceiling
US5687956A (en) Post-and-panel building walls
EP0526785A1 (en) Scaffold tunnel
KR101577633B1 (ko) 에어 포켓형 멤브레인이 적용되는 막 구조물의 프레임 연결구조
US20060192190A1 (en) Modular vinyl fence system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US20040079041A1 (en) Floor assemblies including a number of structural elongated flooring members extending across transverse supports
US5417027A (en) Linking frames constructions
KR102465315B1 (ko)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2687B1 (ko) 인도교
KR102417040B1 (ko) 데크로드 시스템
KR20210000162U (ko) 조립식 인테리어 파티션
US20070138457A1 (en) Railing assembly
KR200495803Y1 (ko) 조립식 울타리
KR102609786B1 (ko) 알루미늄 데크 로드 시스템
JPH0421418Y2 (ko)
KR102433484B1 (ko) 스프링클립을 적용한 데크 시공방법
RU89555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профиль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RU2085667C1 (ru) Опорный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несущих элементов здания
KR102269902B1 (ko) 미끄럼 방지 기능 및 완충기능을 가지는 데크
RU2413060C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профиль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