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803Y1 - 조립식 울타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803Y1
KR200495803Y1 KR2020210001997U KR20210001997U KR200495803Y1 KR 200495803 Y1 KR200495803 Y1 KR 200495803Y1 KR 2020210001997 U KR2020210001997 U KR 2020210001997U KR 20210001997 U KR20210001997 U KR 20210001997U KR 200495803 Y1 KR200495803 Y1 KR 200495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longitudinal direction
guide
plat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철
Original Assignee
(주)포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테크 filed Critical (주)포스-테크
Priority to KR2020210001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17/145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the ends of the rails being located in vertical channels extending along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po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조립식 울타리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며,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홈(110)이 형성된 지주대(100); 이웃하여 설치된 2개의 지주대(100)의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2개의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각각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난간대(200); 및 단면이 상기 결합홈(1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결합홈(110)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는 횡측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난간대(200)와 상기 횡측부재(300)는 상기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교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난간대(200)는 상기 난간대(200)의 몸체를 이루는 난간대몸체(210)로서, 서로 대응하는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12)을 포함하는 난간대몸체(210); 및 상기 난간대몸체(21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220)로서, 상기 가이드홈(212)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플레이트(223)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울타리{PREFABRICATED FENCES}
본 고안은 조립식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단하고, 난간대에 광고 문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차도, 인도, 교량, 계단 등에 적용되어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하거나 차량의 침범을 막아 보행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난간은 차량의 침범을 막을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기 위해 대부분 금속제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난간이 금속제로 제작될 경우 금속 재질이 주는 딱딱하고 차가움 때문에 주변환경과 어울리지 못하고 이질감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난간이 도로의 인도나 산책로 또는 유원지 등에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목재 난간은 일반적으로 난간 기둥의 측면에 홈을 파서 난간대를 설치하여 완성시키거나,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난간기둥과 난간대를 나사결합시켜 조립된다. 그러나 상기 난간기둥의 측면에 홈을 파서 난간대를 설치하는 경우 목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되어 신축현상으로 인해 난간기둥과 난간대의 결합부분에 틈새가 벌어져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하여 추가보완을 하는 공정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난간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대가 목재로 제작될 경우 외부 충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난간대에 광고 문구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실1997-0002489호(1997.03.24.)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식 울타리의 난간대의 파손을 방지하고, 난간대에 광고 문구를 용하게 적용하는 조립식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울타리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며,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홈(110)이 형성된 지주대(100); 이웃하여 설치된 2개의 지주대(100)의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2개의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각각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난간대(200); 및 단면이 상기 결합홈(1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결합홈(110)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는 횡측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난간대(200)와 상기 횡측부재(300)는 상기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교대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난간대(200)는 상기 난간대(200)의 몸체를 이루는 난간대몸체(210)로서, 서로 대응하는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12)을 포함하는 난간대몸체(210); 및 상기 난간대몸체(21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220)로서, 상기 가이드홈(212)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플레이트(223)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간대몸체(21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가이드레일(211)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212)은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2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메인플레이트(221);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221)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2개의 측면플레이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23)는 상기 2개의 측면플레이트(222)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221)와 평행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상기 메인플레이드(221), 상기 2개의 측면플레이트(222) 및 상기 가이트플레이트(223)에 의해서 단면이 한 변이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0)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횡측부재(300)가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되었을 상기 가압돌기(111)는 상기 횡측부재(300)를 가압하며, 상기 횡측부재(30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대(100)와 대응하는 형태로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주대(100)가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지주대(100)의 하단부를 감싸는 하부마감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T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있고, 상기 횡측부재(300)는 상기 결합홈(110)의 단면에 대응하는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블록 형태로 되어 상기 결합홈(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식 울타리에 의하면 난간대의 파손을 방지하고, 난간대에 광고 문구를 용하게 적용하는 조립식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조립식 울타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조립식 울타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난간대(200)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난간대(200)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지주대(1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횡측부재(3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식 울타리의 설치 예상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다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조립식 울타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조립식 울타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차도, 인도, 교량, 계단 등에 설치되는 조립식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조립식 울타리는 지주대(100), 난간대(200), 횡측부재(300), 캡부재(400) 및 하부마감부재(500)를 포함한다.
지주대(100), 난간대(200), 횡측부재(300), 캡부재(400) 및 하부마감부재(500)는 주변환경에 어울리도록 목재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부재가 가벼워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난간대(200)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난간대(200)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지주대(1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횡측부재(3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식 울타리의 설치 예상도이다.
도1,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지주대(100)는 일단이 조립식으로 시공된 데크플레이트(20)의 일측에 설계에 맞게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지주대(100)는 콘크리트 바닥 내지 일반적인 지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지주대(10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주대(100)는 울타리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데크플레이트(20)(목재 데크플레이트 또는 콘크리트 바닥)의 일측에 결합되어 울타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데크플레이트(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홈(110)은 지주대(10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단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난간대(200)와 결합홈(110)이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교대로 삽입되면서 설치된다.
결합홈(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T'형상으로 절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결합홈(110)은 지주부재(100)의 표면에서 일부분이 절개되고 안쪽으로 들어가서 표면보다 더 넓게 절개되어 단면이 마치 'T'자 형상으로 되어, 횡측부재(300)와 난간대(200)가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조립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지주대(100)는 데크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울타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데크플레이트에 전달할 수 있으면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사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주대(100)의 중심부는 속이 빈 공간으로 남겨질 수도 있지만, 도5를 참조하면 지주대(100)의 중심부에 관부재(120)가 삽입되어 보강 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부재(120)는 지주대(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지주대(100)의 구조 강도를 증대시키는 부재이다. 관부재(120)는 지주대(100)에 삽입되어 지주대(100)의 구조적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면 다양한 재료 및 형태가 가능한데 일례로 아연도각관이 사용될 수 있다.
난간대(200)는 막대부재 형상으로 되어, 양단부가 서로 이웃하여 설치된 2개의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각각 삽입되는 방법으로 지주대(100)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부재이다.
난간대(200)는 보행자가 지주대(100)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부재로서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의 막대 등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갖는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난간대(200)는 지주대(100) 사이에 설계한 하중에 맞게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난간대(200)는 난간대몸체(210) 및 슬라이드플레이트(220)를 포함한다.
난간대몸체(210)는 난간대(200)의 전체적인 몸체를 이룬다. 난간대몸체(210)는 서로 대응하는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12)을 포함한다. 또한 난간대몸체(21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가이드레일(211)을 포함하며, 가이드홈(212)은 2개의 가이드레일(2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도4를 참조하며, 난간대몸체(210)에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2개의 가이홈(212)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12)이 형성됨에 따라 난간대몸체(210)의 단면은 대략 H자 형상을 이룬다.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난간대몸체(21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다. 난간대몸체(210)의 가이드홈(212)에 가이드플레이트(223)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드플레이트(220)와 난간대몸체(210)가 서로 결합된다.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메인플레이트(221), 측면플레이트(222) 및 가이드플레이트(223)을 포함한다.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메인플레이트(221), 측면플레이트(222) 및 가이드플레이트(223) 제작할 수 있다.
메인플레이트(221)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판 평상이다.
측면플레이트(222)는 메인플레이트(221)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메인플레이트(221)의 양단에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2개 형성된다.
가이드플레이트(223)는 측면플레이트(222)에 형성되며, 직사각형 판형상이다. 가이드플레이트(223)는 2개의 측면플레이트(222)에 각각 형성되며, 메인플레이트(221)와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메인플레이드(221), 2개의 측면플레이트(222) 및 가이트플레이트(223)에 의해서 단면이 한 변이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한다. 즉,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난간대몸체(210)에 2개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전체적으로 난간대(200)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슬라이드플레이트(220)가 난간대몸체(210)에 결합되면, 가이드플레이트(223)는 가이드홈(212)에 끼워진다. 메인플레이드(221), 측면플레이트(222) 및 가이드플레이트(223)에 의해서도 홈이 형성되며, 슬라이드플레이트(220)가 난간대몸체(210)에 결합되면 이 홈에 가이드레일(211)이 끼워진다.
난간대(200)는 합성 목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합성 목재의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어서, 난간대몸체(210)를 감싸면서, 외부충격으로부터 난간대몸체(210)를 보호할 수 있다.
2개의 슬라이드플레이트(220)를 난간대몸체(210)의 일단에서부터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여 난간대(200)를 제작한 후 난간대를 지주대(100)에 결합한다. 2개의 슬라이드플레이트(220)의 양단은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끼워지고, 지주대(10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된다. 즉 슬라이드플레이트(220)가 난간대몸체(2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메인플레이트(221)가 지나가는 사람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난간대몸체(210)에 2개 설치되고, 난간대몸체(210)의 전면 및 후면에 메인플레이트(221)가 위치한다.
메인플레이트(221)를 타공하여 광고 문구를 제작학서나, 메인플레이트(221)에 광고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합성목재의 난간대몸체(21)의 파손 없이도 다양한 광고 문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플레이트(220)를 교체 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광고를 적용할 수 있다.
횡측부재(300)는 단면이 결합홈(110)의 단면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결합홈(110)에 끼움 결합되는 부재이다.
횡측부재(300)는 결합홈(110)에 삽입되어 결합홈(110)의 공간을 메움과 동시에 복수의 난간대(20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의 기능을 하는 부재이다. 횡측부재(300)는 난간대(200)가 설치된 후 또는 난간대(200)가 설치되기 전에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5를 참조하면, 결합홈(110)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횡측부재(300)가 결합홈(110)에 삽입되었을 가압돌기(111)는 횡측부재(300)를 가압하며, 이 때 횡측부재(30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결합된다.
횡측부재(300)가 다수개인 경우 횡측부재(300)와 난간대(200)가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차례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즉, 횡측부재(300)와 난간대(200)는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교대로 삽입되면서 설치된다. 횡측부재(300)는 결합홈(110)의 단면이 'T'형상으로 절개되어 있는 경우 결합홈(110)의 단면과 같은 'T'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블록 형태로 되어 결합홈(110)에 끼움 결합된다.
캡부재(400)(도2 참조)는 지주대(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성 부재로, 하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되어 지주대(100)의 상단에 끼워져 조립된다.
하부마감부재(500)는 지주대(100)의 단면 형태(사각형) 및 크기와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 프레임 형태를 갖도록 되어, 지주대(100)의 하단부를 통해 끼워져 지주대(100)의 하단부와 데크플레이트(20)의 결합부분을 가림으로써 심미감과 안정감을 제공한다.
하부마감부재(500)는 개구부를 통해 지주대(100)가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지주대(100)의 하단부를 감싼다.
하부마감부재(500)는 지주대(100) 하단에 설치된 후 움직이지 않도록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지주대(100)의 하단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지주대 110 결합홈
111 가압돌기 120 관부재
200 난간대 210 난간대몸체
211 가이드레일 212 가이드홈
220 슬라이드플레이트 221 메인플레이트
222 측면플레이트 223 가이드플레이트
300 횡측부재 400 캡부재
500 하부마감부재

Claims (7)

  1.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며,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홈(110)이 형성된 지주대(100);
    이웃하여 설치된 2개의 지주대(100)의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2개의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각각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난간대(200); 및
    단면이 상기 결합홈(1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결합홈(110)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는 횡측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난간대(200)와 상기 횡측부재(300)는 상기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교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난간대(200)는,
    상기 난간대(200)의 몸체를 이루는 난간대몸체(210)로서, 서로 대응하는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12)을 포함하는 난간대몸체(210); 및
    상기 난간대몸체(21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220)로서, 상기 가이드홈(212)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플레이트(223)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대몸체(21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가이드레일(211)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212)은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2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메인플레이트(221);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221)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2개의 측면플레이트(222);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23)는 상기 2개의 측면플레이트(222)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221)와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22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221), 상기 2개의 측면플레이트(222)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23)에 의해서 단면이 한 변이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212)의 폭은 상기 가이드홈(212)에서 맞닿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23)들의 폭에 대응되고, 상기 가이드홈(212)의 깊이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23)의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결합홈(110)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가압돌기(11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횡측부재(300)가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되었을 상기 복수 개의 가압돌기(111)는 상기 횡측부재(300)를 가압하며, 상기 횡측부재(30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지주대(100)의 결합홈(1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100)와 대응하는 형태 및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주대(100)가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지주대(100)의 하단부를 감싸는 하부마감부재(500)를 포함하는 조립식 울타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T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있고, 상기 횡측부재(300)는 상기 결합홈(110)의 단면에 대응하는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블록 형태로 되어 상기 결합홈(110)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
KR2020210001997U 2021-06-23 2021-06-23 조립식 울타리 KR200495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997U KR200495803Y1 (ko) 2021-06-23 2021-06-23 조립식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997U KR200495803Y1 (ko) 2021-06-23 2021-06-23 조립식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803Y1 true KR200495803Y1 (ko) 2022-08-23

Family

ID=8306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997U KR200495803Y1 (ko) 2021-06-23 2021-06-23 조립식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80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489A (ko) 1995-06-02 1997-01-24 이가라시 스구루 실리콘 웨이퍼 표면의 에칭방법 및 장치
KR200441343Y1 (ko) * 2008-05-22 2008-08-08 최규웅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KR101498268B1 (ko)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KR20150004343U (ko) * 2014-05-26 2015-12-04 장석조 휀스, 난간 및 내부 인테리어용 목재 패널
KR102248118B1 (ko) * 2021-01-19 2021-05-04 주식회사 에스비데크 데크 지주 구조를 구비한 데크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489A (ko) 1995-06-02 1997-01-24 이가라시 스구루 실리콘 웨이퍼 표면의 에칭방법 및 장치
KR200441343Y1 (ko) * 2008-05-22 2008-08-08 최규웅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KR20150004343U (ko) * 2014-05-26 2015-12-04 장석조 휀스, 난간 및 내부 인테리어용 목재 패널
KR101498268B1 (ko)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248118B1 (ko) * 2021-01-19 2021-05-04 주식회사 에스비데크 데크 지주 구조를 구비한 데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360B1 (ko)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1771926B1 (ko) 데크 로드 시스템
KR100933528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JP2016511345A (ja) 協働して仮設ステアケースを形成するステアモジュール
KR102122981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US20130320281A1 (en) Fence system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025511B1 (ko) 수평지 및 경사지에 설치 가능하며 횡대 수평지지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횡대를 고정하는 조립식 울타리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034841B1 (ko) 인도용 석교
KR200495803Y1 (ko) 조립식 울타리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101170631B1 (ko) 도로의 캔틸레버식 확장 구조
KR101422687B1 (ko) 인도교
KR101728811B1 (ko) 울타리
KR102294947B1 (ko) 강재 데크
CN209907266U (zh) 一种预制组合式钢筋混凝土隔离护栏
KR102031078B1 (ko)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KR20140093418A (ko) 토목건축용 조립식 친환경 목재
KR102139094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KR20130046005A (ko) 조립형 난간
CN215629106U (zh) 一种榫卯结构的滨水栈道拼接模块
KR101881515B1 (ko) 경사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