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811B1 - 울타리 - Google Patents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811B1
KR101728811B1 KR1020160159806A KR20160159806A KR101728811B1 KR 101728811 B1 KR101728811 B1 KR 101728811B1 KR 1020160159806 A KR1020160159806 A KR 1020160159806A KR 20160159806 A KR20160159806 A KR 20160159806A KR 101728811 B1 KR101728811 B1 KR 101728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base plate
rail
extending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종석
박홍석
김현규
국승찬
노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6015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2017/006
    • E04H2017/1452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울타리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과, 상기 빔과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를 구비하는 지주;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지주 사이에 위치하는 외피와,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와, 상기 외피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체를 구비하는 레일; 및 상기 빔과 결합하고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상기 지주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빔은 몸체와,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제1돌기와, 상기 연장편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장재가 상기 빔과 결합하도록 하는 제2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울타리{fence}
본 발명은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락사고의 위험성이 많기 때문에 계단 이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장치로서 울타리를 설치하는데, 울타리는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상태로 고정되는 기둥과, 인접한 기둥의 상부 또는 중간끼리를 연결하여 울타리 역할을 하는 난간으로 구성된다.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은 계단의 경사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계단이나 옥상, 테라스 등에 설치되는 난간은 바닥과 수평으로 설치되며, 기둥과 난간을 고정 결합시키는 방법으로는 철제인 경우에는 용접을 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게 된다.
등산, 트래킹, 둘레길 걷기 등과 같은 야외 활동이 많아지고 사회적으로 친자연환경 붐이 일면서 등산로나 산책로 또는 생태공원 등에 목재(데크)로 만든 계단이나 울타리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등산로나 생태공원 등과 같은 야외에 설치하는 울타리는 경사도 일정하지 않지만 대부분 친환경적 소재인 목재로 만든 것을 설치하기 때문에 기둥과 난간을 용접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 없어 기둥의 측면에 홈을 판 후 난간을 홈에 끼워 넣거나 별도의 브라켓 및 나사로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기둥의 측면에 홈을 파서 난간을 설치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재의 신축 현상으로 인하여 지주와 난간의 결합 부분에 틈새가 확장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난간으로서의 기능을 못하여 추가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이 소요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4920호(2009.06.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강한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관 손상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지보수 시 울타리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경사로 및 굴곡진 도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과, 상기 빔과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를 구비하는 지주;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지주 사이에 위치하는 외피와,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와, 상기 외피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체를 구비하는 레일; 및 상기 빔과 결합하고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상기 지주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빔은 몸체와,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제1돌기와, 상기 연장편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장재가 상기 빔과 결합하도록 하는 제2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지주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연장편의 일단에서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제1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일면이 상기 힌지부와 맞대어지는 제3부재와, 상기 제3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부재의 외면과 맞대어지는 제4부재와, 상기 제4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장편의 일면,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제5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는 상기 외피의 일단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피와 결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본체의 일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3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주의 상부에는 상기 빔의 상부, 상기 외장재의 상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에는 야간 시 울타리 위치가 표시 가능하도록 반사 효과를 발휘하는 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제2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빔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연장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빔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는 보강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울타리에 의하면, 지주와 레일이 구조적으로 강한 결합력을 이룸으로써 외부 충격에 높은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주와 연결부재가 끼워 맞춤 방식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외관 손상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유지보수 시 울타리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재의 힌지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됨으로써 경사로 및 굴곡진 도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울타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울타리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울타리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울타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울타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울타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울타리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10)는 지주(100), 레일(200) 및 연결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지주(100), 레일(200) 및 연결부재(300)는 공장에서 각각 제작되며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지주(100)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구비되고, 레일(200)은 서로 이웃하는 지주(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300)는 지주(100)와 결합하여 지주(100)와 레일(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주(10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의 지주(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120) 및 빔(120)과 결합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빔(120)과 외장재(130)를 받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빔(120)과 외장재(130)의 밑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용이하게 지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형태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빔(120)은 상기의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된 상태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자 형태로 형성되며 빔(120)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몸체(121)와 몸체(121)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장편(122)의 일단에는 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연결부재(300)와 결합하는 제1돌기(123)가 구비됨으로써 지주(100)와 연결부재(300)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연장편(122)에는 상기의 외장재(130)가 빔(120)과 결합하는 한 쌍의 제2돌기(124)가 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빔(120)과 외장재(130)가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돌기(123)가 'T'자 형상이고, 제2돌기(124)가 'ㅡ'자 형상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제1돌기(123)와 제2돌기(124)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외장재(130)는 목재 또는 합성목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연장편(122)과 두 면이 맞대어지는 형태로 빔(120)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재(130)는 빔(120)과 결합한 후 연장편(122)이 너비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연장편(122)에 의해 울타리(10)를 지나는 보행자가 상해를 당하거나 옷가지가 찢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장재(130)가 사각기둥형태로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외장재(130)는 설치 위치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300)는 상기의 제1돌기(123)와 결합하여 연결부재(300)가 지주(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310), 레일(200)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320) 및 제1연결부(320), 고정부(310)와 연결되어 제1연결부(320)가 고정부(310)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고정부(310)는 빔(120)과 마찬가지로 일 방향으로 긴 형태로 제작되며, 빔(120)과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310)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하지 않고 제1돌기(123)와 끼워 맞춤 방식을 통해 지주(1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300)를 지주(100)에 결합하는 데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반대로 연결부재(300)를 지주(100)로부터 분리할 시에도 신속한 해체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의 힌지부(330)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부(3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힌지부(330)는 공장에서 사전에 고정부(310)에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므로 항시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제1연결부(320)는 힌지부(330)의 일측에 구비되어 레일(200)과 직접적으로 맞대어지며, 힌지부(330)에 의해 고정부(310)를 축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곡선형태의 도로 등에도 울타리(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빔(120)의 연장편(122) 중에서 연결부재(300)와 결합하지 않은 연장편(122)은 제1돌기(123)에 덮개(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덮개(150)는 울타리(10) 위치가 표시 가능하도록 반사 효과를 발휘하는 재질로 제작되거나 반사 효과를 발휘하는 별도의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야간 시 울타리(10)가 설치된 도로 등을 보행하는 보행자가 더욱 안전하게 보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주(100)의 상부에는 빔(120)의 상부, 외장재(130)의 상부 및 고정부(3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커버(140)는 빔(120)의 상부, 외장재(130)의 상부 및 고정부(310)의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울타리(10)의 미려함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끼워 맞춤 방식을 통해 지주(100)와 결합함으로써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10)의 빔(120)의 제1돌기(123)와 연결부재(300)의 고정부(31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는 지주(100), 레일(200) 및 연결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지주(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120) 및 빔(120)과 결합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빔(120)은 몸체(121), 몸체(121)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22) 및 연장편(122)의 일단에 형성되어 연결부재(300)와 결합하는 제1돌기(123)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300)는 제1돌기(123)와 결합하여 연결부재(300)가 지주(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310), 레일(200)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320) 및 제1연결부(320), 고정부(310)와 연결되어 제1연결부(320)가 고정부(310)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제1돌기(123)는 연장편(122)의 일단에서 고정부(310)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부재(123a)와 제1부재(123a)의 일단에서 제1부재(123a)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123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부재(123b)는 연장편(122)의 너비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고정부(310)가 제1돌기(123)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고정부(310)는 일면이 힌지부(330)와 맞대어지는 제3부재(311), 제3부재(311)에서 연장되어 제2부재(123b)의 외면과 맞대어지는 제4부재(312), 제4부재(312)에서 연장되어 연장편(122)의 일면, 제1부재(123a), 제2부재(123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제5부재(313)를 구비하여 'C'자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돌기(123)에 고정부(310)가 결합할 시, 제1부재(123a)와 제5부재(313) 사이 및 제2부재(123b)와 제3부재(311), 제4부재(312), 제5부재(313)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돌기(123)와 고정부(31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310)가 'C'형상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고정부(310)는 제1돌기(123)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외장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120)의 제2돌기(124)가 삽입홈(131)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홈(131)이 구비됨에 따라 빔(120)과 외장재(130)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삽입홈(131)의 형상은 제2돌기(124)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10)의 레일(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울타리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10)는 지주(100), 레일(200) 및 연결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지주(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120) 및 빔(120)과 결합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빔(120)은 몸체(121), 몸체(121)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22) 및 연장편(122)의 일단에 형성되어 연결부재(300)와 결합하는 제1돌기(123)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재(300)는 제1돌기(123)와 결합하여 연결부재(300)가 지주(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310), 레일(200)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320) 및 제1연결부(320), 고정부(310)와 연결되어 제1연결부(320)가 고정부(310)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레일(200)은 내부공간(211)이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지주(100)와 이웃하는 또 다른 지주(100) 사이에 위치하는 외피(210), 내부공간(211)에 구비되어 외피(210)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220) 및 외피(2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체(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외피(210)는 외장재(130)와 마찬가지로 목재 또는 합성목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파이프(220)는 외피(210)의 내부공간(211)에 구비되어 레일(200)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의 결합체(230)는 외피(210)의 일단을 감싸는 형태로 외피(210)와 결합하는 본체(231), 본체(231)의 일면 외부에 구비되어 제1연결부(320)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232) 및 본체(231)의 일면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공간(211)에 삽입되는 제3연결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본체(231)의 일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피(210)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의 제2연결부(232)는 제1연결부(320)와 연결되어 레일(200)이 지주(100)와 결합한 연결부재(30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연결부(320)와 제2연결부(232)는 나사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제3연결부(233)는 외피(210)의 내부공간(211)에 삽입되어 결합체(230)와 외피(21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제3연결부(233)가 상기의 내부공간(211)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의 파이프(220)는 내부공간(21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10)는 빔(120), 연결부재(300), 결합체(230)로 이어지는 결합을 통해 지주(100)와 레일(200)의 결합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레일(200)의 위치를 각각 측정하여 스크류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힌지부(330) 및 제1연결부(320)의 위치가 고정부(310)에 미리 정해져 현장에서 끼워 맞춤 방식으로 레일(200)을 지주(100)에 결합함으로써 외관을 훼손하는 일 없이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레일(200)의 교체가 필요할 시에는 울타리(10) 전체를 해체하거나 교체할 필요없이 레일(200)을 연결부재(300)에서 분리만 하면 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성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울타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울타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1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120)과, 상기 빔(120)과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130)를 구비하는 지주(100); 내부공간(211)이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100)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지주(100) 사이에 위치하는 외피(210)와, 상기 내부공간(211)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210)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220)와, 상기 외피(2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체(230)를 구비하는 레일(200); 및 상기 빔(120)과 결합하고 상기 결합체(230)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200)을 상기 지주(100)에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빔(120)은 몸체(121), 몸체(121)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22), 연장편(122)의 일단에 형성되어 연결부재(300)와 결합하는 제1돌기(123) 및 연장편(122)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외장재(130)가 빔(120)과 결합하도록 하는 제2돌기(12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빔(120)은 몸체(121)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는 연장편(122)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재(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보강재(125)가 구비됨으로써 빔(120)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보강재(125)가 사각기둥형태로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보강재(125)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외장재(130)는 보강재(125)의 유무, 보강재(125)의 형태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울타리(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지주(10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레일(200)이 구비되고 복수개의 레일(200) 사이에 다수개의 보조레일(240)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지면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울타리 100: 지주
110: 베이스플레이트 120: 빔
130: 외장재 140: 커버
150: 덮개 200: 레일
210: 외피 220: 파이프
230: 결합체 300: 연결부재
310: 고정부 320: 제1연결부
330: 힌지부

Claims (10)

  1.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과, 상기 빔과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를 구비하는 지주;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지주 사이에 위치하는 외피와,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와, 상기 외피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체를 구비하는 레일; 및
    상기 빔과 결합하고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상기 지주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빔은 몸체와,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제1돌기와, 상기 연장편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장재가 상기 빔과 결합하도록 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지주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연장편의 일단에서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제1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면이 상기 힌지부와 맞대어지는 제3부재와,
    상기 제3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부재의 외면과 맞대어지는 제4부재와,
    상기 제4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장편의 일면,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제5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외피의 일단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피와 결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본체의 일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3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상부에는 상기 빔의 상부, 상기 외장재의 상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에는 야간 시 울타리 위치가 표시 가능하도록 반사 효과를 발휘하는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제2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연장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빔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는 보강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KR1020160159806A 2016-11-29 2016-11-29 울타리 KR101728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06A KR101728811B1 (ko) 2016-11-29 2016-11-29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06A KR101728811B1 (ko) 2016-11-29 2016-11-29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811B1 true KR101728811B1 (ko) 2017-04-20

Family

ID=5870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806A KR101728811B1 (ko) 2016-11-29 2016-11-29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135A (ko) 2018-08-06 2020-02-14 유한회사 덕성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135A (ko) 2018-08-06 2020-02-14 유한회사 덕성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KR102139094B1 (ko) * 2018-08-06 2020-07-29 유한회사 덕성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360B1 (ko)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105858B1 (ko)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76188B1 (ko) 데크로드 구조물
KR100800595B1 (ko) 보행자 보호용 조립식 휀스
KR101102937B1 (ko)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1771926B1 (ko)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546304B1 (ko)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AU2009254084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KR20100126070A (ko) 이동식 다목적 가교
KR101973330B1 (ko)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647608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슬라이딩 커버형 난간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101728811B1 (ko) 울타리
KR101502484B1 (ko) 지지력과 경관성을 향상한 교량 및 이 시공 공법
KR20130085799A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025511B1 (ko) 수평지 및 경사지에 설치 가능하며 횡대 수평지지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횡대를 고정하는 조립식 울타리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630189B1 (ko) 플렉시블 펜스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20140093418A (ko) 토목건축용 조립식 친환경 목재
KR101631566B1 (ko)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571365B1 (ko)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
KR101278589B1 (ko) 이동식 다목적 가교
KR10148996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주 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