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304B1 -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 Google Patents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304B1
KR101546304B1 KR1020140186027A KR20140186027A KR101546304B1 KR 101546304 B1 KR101546304 B1 KR 101546304B1 KR 1020140186027 A KR1020140186027 A KR 1020140186027A KR 20140186027 A KR20140186027 A KR 20140186027A KR 101546304 B1 KR101546304 B1 KR 10154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girder
beams
support
gir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40186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각 상부일측에는 거치판(12)이 마련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10); 일정길이를 가지되 양단부위가 인접하는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에 거치되어 결합되는 제1거더(22)과, 일정길이를 가지되 제1거더(2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며 양단부위가 인접하는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에 거치되어 결합되는 제2거더(26);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양단부위는 제1, 2거더(22, 26) 사이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빔(30); 하부지지빔(30) 상부에 결합되는 데크(40); 제1, 2거더(22, 26) 수직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2난간빔(52, 56); 각 하부는 제1거더(22)에 결합되고 각 상부는 제1난간(52)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난간지지판(62)과, 각 하부는 제2거더(26)에 결합되고 각 상부는 제2난간(56)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난간지지판(66);을 포함하여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A bridge having truss structure assembling handrail and girder}
본 발명은 트러스구조를 가지는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를 이루는 각 부분을 단위모듈로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이를 간단한 조립에 의해 트러스구조체를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전체 공기를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현장의 자연파괴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더와 난건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자동차 또는 사람들의 이동을 위한 구조물으로서, 계곡이나 하천 등과 같이 자연환경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이를 원만하게 소통시키기 위해 널리 시공되고 있다. 이중에서, 특히 사람들의 왕래를 위한 인도교의 경우 자연에 조금 더 다가가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원은 물론 산이나 해안가 근처에 생태탐방 목적으로도 많이 시공되고 있다.
통상적인 교량은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일정한 수평거리를 두며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14)과, 상판(16)을 받치며 기둥(14)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를 기본구조로 하여 시공된다. 교량은 그 특성상 장시간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판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당수의 지지기둥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계곡 등과 같이 시공현장의 특성상 지지기둥을 많이 설치할 수 없거나, 숲속과 같이 지지기둥을 많이 설치하는 경우 자연파괴의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지지기둥을 최소화하면서 교량을 시공해야 한다. 이럴 경우, 대구경의 거더를 사용하여 상판을 지지하게 되는데, 대구경의 거더를 사용하게 되면 시공비용이 현저히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관련업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 현수교나 사장교와 같이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트러스교와 같이 폐루프 구조로 이루어지는 강재빔을 연속 결합하여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현수교나 사장교의 경우에는 많은 기둥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그 외관이 수려한 장점은 있으나, 도7과 같이 기둥과 별도로 와이어로프를 거치하고 지지하기 위한 일정높이의 주탑을 시공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복잡한 설계작업을 거쳐야 함은 물론 장시간의 시공기간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공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트러스교의 경우에는 강재빔을 폐루프 구조로 하여 이들을 연속 결합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많은 기둥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교량을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도 8과 같이 상판의 하중을 원활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강재빔을 사용하여 폐루프 구조를 연속적으로 결합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수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공에 따른 공사비용이 현저히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트러스교의 경우 강재빔에 대한 용접은 시공현장에서 이루어지는데, 시공현장이 사람들의 왕래가 드문 산이나 해안가 등에 위치할 때는 시공현장의 특성상 일정한 넓이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시공이 필요한 지점의 인근부위를 벌목하거나 포크레인 등으로 미리 정지작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럴 경우 현존하는 자연 그 자체를 즐기기 위해 시공되는 목적에서 벗어나 오히려 현존하는 자연 자체를 파괴하는 역효과가 발생한다. 포크레인을 사용해서 정지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포크레인을 위한 진입로까지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 폐혜는 더욱 심각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06861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일 뿐 아니라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상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거치판(12)과, 거치판(12) 중앙부위에서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며 수직상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봉(13)과, 체결봉(13)의 상단부위에 마련되는 한쌍의 제1체결판(15)이 구비되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10); 일정길이를 가지되 일단부위는 일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일측의 왼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일측 지지기둥(10)과 인접하여 설치된 타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타측의 왼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되는 제1거더(22)과, 일정길이를 가지며 제1거더(2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되 일단부위는 일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일측의 오른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일측 지지기둥(10)과 인접하여 설치된 타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타측의 오른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되는 제2거더(26);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양단부위는 제1, 2거더(22, 26) 사이에 결합되며, 양단부위가 일측 제1, 2거더(22, 26)에 결합되어 각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일측 상면에 거치되어 결합되는 제1하부결합빔(32)과, 양단부위가 타측 제1, 2거더(22, 26)에 결합되어 각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타측 상면에 거치되어 결합되는 제2하부결합빔(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빔(30); 제1, 2거더(22, 26) 수직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2난간빔(52, 56); 각 하부는 제1거더(22)에 결합되고 각 상부는 제1난간(52)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난간지지판(62)과, 각 하부는 제2거더(26)에 결합되고 각 상부는 제2난간(56)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난간지지판(66);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양단부위가 제1, 2난간빔(52, 56) 사이에 결합되며, 양단부위가 일측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 결합되어 제1하부결합빔(32) 수직상방에 위치하되 제2체결판(73)에 의해 한쌍의 제1체결판(15)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상부결합빔(72)과, 양단부위가 타측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 결합되어 제2하부결합빔(36) 수직상방에 위치하되 제2′체결판(77)에 의해 한쌍의 제1체결판(15)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제2상부결합빔(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빔(70); 상부지지빔(70) 상부에 결합되는 데크(40);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는 일단부위는 제1, 2난간빔(52, 56)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2난간봉(82, 86)이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제1, 2난간봉(82, 86) 각 상호간은 제1, 2보호와이어(84, 8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모듈단위로 구성하고 현장에서는 이들을 단순히 조립하여 완성할 수 있도록 제안함으로써, 시공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방식으로 거더와 난간을 체결하여 다리의 상판을 트러스 구조화함으로써, 인접하여 설치되는 지지기둥 사이의 폭을 최대한으로 널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분한 경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많은 지지기둥의 시공으로 인한 자연훼손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의 대략적인 다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의 개략적인 또 다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의 개략적인 또 다른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에 있어 제1, 2거더와 하부지지빔 상호간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에 있어 제1거더, 제1난간빔, 제1난간지지판 상호간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에 있어 지지기둥과 제1, 2상부결합빔 상호간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
도 6은 종래 일반적인 교량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종래 현수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종래 트러스교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리를 구성함에 있어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지지기둥(10), 제1, 2거더(22, 26), 하부지지빔(30), 데크(40), 제1, 2난간빔(52, 56), 제1, 2난간지지판(62, 6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이들 각각을 단위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다리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지지기둥(10)을 다리의 하중을 떠 받치는 수단으로서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각 지지기둥(10)의 일단부위는 지면에 고정결합되며, 상부일측에는 거치판(12)이 마련된다. 지지기둥(10)과 거치판(12) 각각은 별도로 제작된 다음 현장에서 조립된다.
한편, 각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양측 모서리부위에는 수직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 2결합판(14, 16)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2결합판(14, 16)은 각 거치판(12)에서 상호 대향하는 제1, 2거더(22, 26), 제1, 2난간빔(52, 56), 제1, 2난간지지판(62, 66) 각각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2거더(22, 26) 각각은 일정길이를 가지되,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한 상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일측 지지기둥(10)과 타측 지지기둥(10) 사이에 거치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거더(22)의 일단부위는 일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일측의 왼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타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타측의 왼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된다. 또한, 제2거더(26)의 일단부위는 일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일측의 오른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타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타측의 오른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된다.
각 거치판(12)에 제1, 2결합판(14, 16)이 마련되면, 지지기둥(10)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1거더(22)의 일단부위는 거치판(12)의 상면 일측의 왼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1결합판(14)의 일측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지지기둥(10)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1거더(22)의 타단부위는 거치판(12)의 상면 타측의 왼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1결합판(14)의 타측 하부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지지기둥(10)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2거더(26)의 일단부위는 거치판(12)의 상면 일측의 오른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2결합판(16)의 일측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지지기둥(10)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거더(26)의 타단부위는 거치판(12)의 상면 타측의 오른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1결합판(14)의 타측 하부에 고정결합된다.
하부지지빔(30)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양단부위는 제1, 2거더(22, 26) 사이에 결합된다. 도 5a에는 하부지지빔(30)의 양단부위에 체결단(33, 35)을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2거더(22, 26) 각각에 별도의 체결단(23, 25)을 마련하여 상호 결합하는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데크(40)는 사람들의 통행을 위한 수단으로서 하부지지빔(30) 상부에 결합된다. 도면부호 42는 데크(40) 설치를 위한 장빔으로서, 장빔(42)은 하부지지빔(30)에 고정결합된다. 장빔은 도면과 같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2난간빔(52, 56) 각각은 제1, 2거더(22, 26) 각각에 대해 수직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1, 2난간빔(52, 56)은 일정직격을 가지는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2거더(22, 26)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로 이루질 수 있다.
각 거치판(12)에 제1, 2결합판(14, 16)이 마련되면, 제1, 2거더(22, 26)와 유사하게, 지지기둥(10)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1난간빔(52)의 일단부위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1결합판(14)의 일측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지지기둥(10)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1난간빔(52)의 타단부위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1결합판(14)의 타측 상부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지지기둥(10)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2난간빔(56)의 일단부위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2결합판(16)의 일측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지지기둥(10)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난간빔(56)의 타단부위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1결합판(14)의 타측 상부에 고정결합된다.
제1, 2난간지지판(62, 66) 각각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제1, 2거더(22, 26)와 제1, 2난간빔(52, 56) 사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2난간지지판(62, 66)의 각 하부는 제1, 2거더(22, 26) 각각에 결합되고, 각 상부는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 결합된다. 도 5b는 제1거더(22) 및 제1난간빔(56) 각각에 체결단(61, 63)을 마련하여, 제1거더(22)와 제1난간빔(56) 사이에 제1난간지지판(62)을 결합하는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제1, 2난간지지판(62, 66)은 기본적으로 통행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담보하는 수단이며, 나아가 제1, 2거더(22, 26)와 제1, 2난간빔(52, 56)을 일체화하여 다리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완하는 수단으로도 기능한다. 즉, 도면과 같이 제1, 2난간지지판(62, 66)의 단위체를 X 구조로 하거나, 또는 경사진 사선 구조로 하여 이를 연속결합하면 트러스 구조화됨 따라 다리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각 거치판(12)에 제1, 2결합판(14, 16)이 마련되면, 지지기둥(10)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1, 2난간지지판(62, 66) 중에서 오른쪽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 2난간지지판의 각 일측부위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1, 2결합판(14, 16)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며, 지지기둥(10)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1, 2난간지지판(62, 66) 중에서 왼쪽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 2난간지지판의 각 일측부위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1, 2결합판(14, 16)의 타측에 고정결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는 상부지지빔(70)이 더 마련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도 1에 개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대동소이하다. 도 1에 개시된 실시예와 차별화된 이 실시예의 특징을 살펴본다.
상부지지빔(70)은 전술한 하부지지빔(30)과 유사하게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양단부위는 제1, 2난간빔(52, 56) 사이에 결합된다. 상부지지빔(70)과 제1, 2난간빔(52, 56) 상호간의 결합구성은 하부지지빔(30)의 결합구성과 대동소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난간빔(52, 56) 사이에 상부지지빔(70)이 마련되면, 데크(40)는 상부지지빔(70) 상부에 결합된다. 이점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다만, 데크(40)의 설치를 위해 장빔(42)이 더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장빔(42)은 상부지지빔(70)에 고정결합된다.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는 일단부위가 제1, 2난간빔(52, 56)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2난간봉(82, 86)이 마련된다. 제1, 2난간봉(82, 86) 각각은 데크(40)가 상부지지빔(70)에 결합되는 경우 통행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면과 같이 복수 개의 제1, 2난간봉(82, 86) 각 상호간은 제1, 2보호와이어(84, 88)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와 같이 제1, 2거더(22, 26) 상호간을 하부지지빔(30)으로 연결하고, 제1, 2난간빔(52, 56) 상호간을 상부지지빔(70)으로 연결하게 되면 트러스 구조와 유사한 구조물 형태를 띠게 된다. 이는, 다리가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해짐을 의미하며, 이럴 경우 인접하는 지지기둥(10) 사이의 간격을 넓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는 제1, 2결합판(14, 16)을 매개하지 않고 하부지지빔(30)을 각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에 고정결합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도 1에 개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는, 각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일측 상면에는 제1하부결합빔(32)이 거치되어 고정결합되며, 거치판(12)의 타측 상면에는 제2하부결합빔(36)이 거치되어 고정결합된다.
제1하부결합빔(32)은 지지기둥(10)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1, 2거더(22, 26)에 마련되며, 양단부위가 제1, 2거더(22, 26)에 결합된다. 제2하부결합빔(36)은 지지기둥(10)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1, 2거더(22, 26)에 마련되며, 양단부위가 제1, 2거더(22, 26)에 결합된다.
제1, 2하부결합빔(32, 36) 각각은 지지기둥(10)의 왼쪽 및 오른쪽 각각에 위치하는 하부지지빔(30)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때 제1, 2하부결합빔(32, 36)과 제1, 2거더(22, 26) 상호간의 결합은 도 5a에 개시된 구성과 대동소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1, 2하부결합빔(32, 26) 각각이 거치판(12)의 일측 상면 및 타측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경우, 지지기둥(10)을 사이에 두고 왼쪽 및 오른쪽 각각에 위치하며 거치판(12) 상면에서 상호 대향하는 왼쪽의 제1, 2거더(22, 26) 각 일단부위와 오른쪽의 제1, 2거더(22, 26) 각 타단부위도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도 있다.
또한, 이때 마찬가지로 지지기둥(10)을 사이에 두고 왼쪽 및 오른쪽 각각에 위치하며 거치판(12) 수직상방에서 상호 대향하는 왼쪽의 제1, 2난간빔(52, 56) 각 일단부위와 오른쪽의 제1, 2난간빔(52, 56) 각 타단부위도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는 상부지지빔(70)이 더 마련된다는 점에서 도 2 실시예와 유사하나, 지지기둥(10)의 상단부위가 제1, 2상부결합빔(72, 76)과 결합된다는 점에서 도 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를 제외하고는 도 2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즉, 이 실시예는 도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부지지빔(70)이 마련되며, 데크(40)는 상부지지빔(7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지지빔(70)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양단부위는 제1, 2난간빔(52, 56) 사이에 결합된다. 데크(40)는 장빔(42)에 매개되어 고정결합되며, 장빔(42)은 상부지지빔(70)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는 복수 개의 제1, 2난간봉(82, 86)이 마련된다. 제1, 2난간봉(82, 86)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난간빔(52, 56)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복수 개의 제1, 2난간봉(82, 86) 각 상호간은 제1, 2보호와이어(84, 88)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이 실시예에 있어 지지기둥(10)의 체결봉(13)은 거치판(12) 중앙부위에서 수직상방으로 일정수직높이로 돌출되는 특징이 있다. 거치판(12) 상부로 돌출되는 체결봉(13)은 지지기둥(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달리 지지기둥(10)과 분리된 모듈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2하부결합빔(32, 36) 각각의 수직상방에는 제1, 2상부결합빔(72, 76)이 마련된다. 제1상부결합빔(72)의 양단부위는 지지기둥(10)의 왼쪽(일측)에 위치하는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 결합되며, 제2상부결합빔(72)의 양단부위는 지지기둥(10)의 오른쪽(타측)에 위치하는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 결합된다. 제1, 2하부결합빔(32, 36)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1, 2상부결합빔(72, 76) 각각은 상부지지빔(70)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2난간빔과는 도 5a와 같은 구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2상부결합빔(72, 76)과 지지기둥(10)의 체결봉(13)은 도 4 및 도 5c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체결판(15) 및 제2, 2′체결판(73, 77)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체결판(15)은 한쌍으로 이루어져 지지기둥의 체결봉(13) 상단부위에 마련되며, 제2, 2′체결단(73, 77) 각각은 제1, 2상부결합빔(72, 76) 각각에 마련된다. 즉, 지지기둥의 체결봉(13)을 기점으로 좌우 각각에 제1, 2상부결합빔(72, 76)이 위치하면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제1체결판(15)과 제2, 2′체결판(73, 77)을 상호결합한다.
이때, 지지기둥(10)을 사이에 두고 왼쪽 및 오른쪽 각각에 위치하며 거치판(12) 상면에서 상호 대향하는 왼쪽의 제1, 2거더(22, 26) 각 일단부위와 오른쪽의 제1, 2거더(22, 26) 각 타단부위도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도 있으며, 거치판(12) 수직상방에서 상호 대향하는 왼쪽의 제1, 2난간빔(52, 56) 각 일단부위와 오른쪽의 제1, 2난간빔(52, 56) 각 타단부위도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비록 개시되지 않았지만, 지지기둥(10) 상부에는 별도의 전망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전망대는 데크(40)를 따라 이동하는 사람들이 일시 정지하여 주위의 자연경관을 조망하는 수단으로서, 지지기둥(10) 상부측에 데크(40)의 폭(너비)보다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 전망대는 도면에 개시된 지지판(12)을 조금 더 길게 형성하고, 지지기둥(10)의 좌우에 위치하는 제1, 2거더(22, 26), 제1, 2난간빔(52, 56), 제1, 2난간지지판(62, 66) 사이에 환형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다각형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관련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지지기둥 22, 26 : 제1, 2거더
30 : 하부지지빔 40 : 데크
52, 56 : 제1, 2난간빔 62, 66 : 제1, 2난간지지판
70 : 상부지지빔 82, 86 : 제1, 2난간봉

Claims (5)

  1. 판상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거치판(12)과, 거치판(12) 중앙부위에서 일정수직높이를 가지며 수직상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봉(13)과, 체결봉(13)의 상단부위에 마련되는 한쌍의 제1체결판(15)이 구비되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10);
    일정길이를 가지되 일단부위는 일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일측의 왼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일측 지지기둥(10)과 인접하여 설치된 타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타측의 왼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되는 제1거더(22)과, 일정길이를 가지며 제1거더(2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되 일단부위는 일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일측의 오른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일측 지지기둥(10)과 인접하여 설치된 타측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상면 타측의 오른쪽 모서리부위에 거치되어 결합되는 제2거더(26);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양단부위는 제1, 2거더(22, 26) 사이에 결합되며, 양단부위가 일측 제1, 2거더(22, 26)에 결합되어 각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일측 상면에 거치되어 결합되는 제1하부결합빔(32)과, 양단부위가 타측 제1, 2거더(22, 26)에 결합되어 각 지지기둥(10)의 거치판(12) 타측 상면에 거치되어 결합되는 제2하부결합빔(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빔(30);
    제1, 2거더(22, 26) 수직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2난간빔(52, 56);
    각 하부는 제1거더(22)에 결합되고 각 상부는 제1난간(52)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난간지지판(62)과, 각 하부는 제2거더(26)에 결합되고 각 상부는 제2난간(56)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난간지지판(66);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양단부위가 제1, 2난간빔(52, 56) 사이에 결합되며, 양단부위가 일측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 결합되어 제1하부결합빔(32) 수직상방에 위치하되 제2체결판(73)에 의해 한쌍의 제1체결판(15)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상부결합빔(72)과, 양단부위가 타측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 결합되어 제2하부결합빔(36) 수직상방에 위치하되 제2′체결판(77)에 의해 한쌍의 제1체결판(15)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제2상부결합빔(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빔(70);
    상부지지빔(70) 상부에 결합되는 데크(40);로
    이루어지는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난간빔(52, 56) 각각에는 일단부위는 제1, 2난간빔(52, 56)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2난간봉(82, 86)이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제1, 2난간봉(82, 86) 각 상호간은 제1, 2보호와이어(84, 88)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KR1020140186027A 2014-12-22 2014-12-22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KR101546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27A KR101546304B1 (ko) 2014-12-22 2014-12-22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27A KR101546304B1 (ko) 2014-12-22 2014-12-22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304B1 true KR101546304B1 (ko) 2015-08-21

Family

ID=5406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027A KR101546304B1 (ko) 2014-12-22 2014-12-22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3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39B1 (ko) * 2016-04-06 2016-12-02 (주)태평양기술산업 강관 지주를 이용한 자주식 확장 브라켓 인도교
KR101693660B1 (ko) 2016-05-30 2017-01-11 (주)신흥이앤지 자연조망시설물의 보행로 지지구조
KR101806211B1 (ko) * 2017-05-29 2017-12-07 (주)신흥이앤지 변곡 아치 강관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교
CN109577201A (zh) * 2018-11-15 2019-04-05 中铁十四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钢桁梁顶推的步履式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123296B1 (ko) * 2019-12-13 2020-06-16 (주)신흥이앤지 강관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교
CN113481876A (zh) * 2021-08-23 2021-10-08 河南大方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大断面桁架式钢结构桥梁施工方法
KR102383718B1 (ko) 2021-08-13 2022-04-08 길승환 목조 연결 장치
KR102402157B1 (ko) * 2021-08-30 2022-05-26 (주)신흥이앤지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2110A1 (en) 2005-05-12 2006-12-07 De La Chevrotiere Alexandre Moment-Resisting Joint and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2110A1 (en) 2005-05-12 2006-12-07 De La Chevrotiere Alexandre Moment-Resisting Joint and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39B1 (ko) * 2016-04-06 2016-12-02 (주)태평양기술산업 강관 지주를 이용한 자주식 확장 브라켓 인도교
KR101693660B1 (ko) 2016-05-30 2017-01-11 (주)신흥이앤지 자연조망시설물의 보행로 지지구조
KR101806211B1 (ko) * 2017-05-29 2017-12-07 (주)신흥이앤지 변곡 아치 강관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교
CN109577201A (zh) * 2018-11-15 2019-04-05 中铁十四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钢桁梁顶推的步履式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123296B1 (ko) * 2019-12-13 2020-06-16 (주)신흥이앤지 강관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교
KR102383718B1 (ko) 2021-08-13 2022-04-08 길승환 목조 연결 장치
CN113481876A (zh) * 2021-08-23 2021-10-08 河南大方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大断面桁架式钢结构桥梁施工方法
KR102402157B1 (ko) * 2021-08-30 2022-05-26 (주)신흥이앤지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304B1 (ko)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KR100860478B1 (ko) 철골구조물의 보
KR101678849B1 (ko)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66424B1 (ko) 목재데크 교량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 방법
RU2630568C2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ерхнего расположения с колонными порталами
KR101390169B1 (ko)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26260A (ko) 교량의 난간을 거더로 활용하는 장지간 보도교의 설계 및 시공 방법
KR101511290B1 (ko)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KR101502484B1 (ko) 지지력과 경관성을 향상한 교량 및 이 시공 공법
KR101789124B1 (ko) 종방향 교량 점검대
KR101794745B1 (ko) 비대칭 사장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반원형의 하늘길 교량
KR20160113917A (ko) 자전거 통행용 연속 교량
KR101664284B1 (ko) 케이블과 벤트 일체형 구조의 교량 시공 공법
KR101691914B1 (ko) 트러스-케이블 복합구조의 거더
KR101682010B1 (ko) 좌굴 방지 기능이 강화된 현장 조립구조의 거더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JP4585614B1 (ja)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KR101526126B1 (ko) 조립식 모듈을 구비하는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6148144A (ja) Pcランプウェー建造物
RU2578231C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мост
KR20100034633A (ko) 교량점검통로
JP5886996B1 (ja) 摩擦接続構造を備えたコンクリート造ランプウェー建造物
KR20160046629A (ko) 인도교 구조 및 인도교 시공용 강재 구조물
JP6435120B2 (ja) 仮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