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078B1 -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 Google Patents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078B1
KR102031078B1 KR1020190027062A KR20190027062A KR102031078B1 KR 102031078 B1 KR102031078 B1 KR 102031078B1 KR 1020190027062 A KR1020190027062 A KR 1020190027062A KR 20190027062 A KR20190027062 A KR 20190027062A KR 102031078 B1 KR102031078 B1 KR 102031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unit
polyhedron
unit metal
accommod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이창수
주식회사 범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수, 주식회사 범호 filed Critical 이창수
Priority to KR102019002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 기둥에 관한 것으로, 데크로드에 설치되는 난간기둥을 조립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가능하게 하고 향상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데크로드형 조립형 난간기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단위목재가 상호 결합에 의해 내부 중앙에는 제1수용홈부가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는 각각 제2수용홈부가 형성되는 외장재; 상기 제1수용홈부에 설치되는 제1프로파일; 및 상기 제2수용홈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단위금속부재 각각이 상기 단위목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단위금속부재 끼리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상기 단위목재들을 상호 고정되게 하는 제2프로파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Apparatus for handrail post}
본 발명은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 기둥에 관한 것으로, 데크로드에 설치되는 난간기둥을 조립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가능하게 하고 향상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데크로드형 조립형 난간기둥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데크로드는 건물의 테라스나 산책길의 보행자 이동에 설치되며, 안전을 위해 데크로드의 측면에 난간이 설치된다. 난간은 난간기둥과 난간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난간보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데크로드에 재질에 맞게 난간기둥도 주로 목재를 많이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목재의 특성상 빗물, 습기에 의해 수축 팽창하여 취약한 부위에 터져 버려 기둥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목재 기둥 내부에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프로파일을 많이 사용하나, 목재 내부에 프로파일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즉, 기둥의 강도를 높이면서도 시공방법이 간편한 난간기둥이 요구되고 있으며, 목재의 수분을 최소로 하여 내구성이 높은 난간기둥이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742245 B1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고 향상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데크로드형 조립형 난간기둥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분에 의한 변형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데크로드형 조립형 난간기둥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해결과제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단위목재가 상호 결합에 의해 내부 중앙에는 제1수용홈부가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는 각각 제2수용홈부가 형성되는 외장재; 상기 제1수용홈부에 설치되는 제1프로파일; 및 상기 제2수용홈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단위금속부재 각각이 상기 단위목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단위금속부재 끼리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상기 단위목재들을 상호 고정되게 하는 제2프로파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을 제공한다.
상기 제2프로파일의 단위금속부재는, 상기 제1수용홈부측으로 밀착되고 상기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게 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면체;와, 상기 제1면체의 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면체;와, 상기 제1면체의 일면에 상기 제2면체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수용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3면체;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단위금속부재를 상호 대칭되게 배치하고 하나의 단위금속부재의 삽입부와 수용부는 다른 하나의 단위금속부재의 수용부와 삽입부에 각각 대응되게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사각프로파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슬롯(slot)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면체에는, 상기 제3면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3면체에 결합되는 제2면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프로파일 내부에는, 제습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목재의 제1수용홈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길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난간기둥을 외장재를 목재로 하고, 내부재를 알루미늄프로파일(제1프로파일과 제2프로파일)로 하여 충분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외장재를 양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내부로 알루미늄프로파일 설치가 쉽다. 그리고 알루미늄프로파일 중 제2프로파일이 양측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외장재에 고정되어 상호 슬라이딩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여 양측으로 분리된 외장재를 고정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다.
더하여, 외장재의 수분을 배출하고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수분에 의한 변형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에서 제2프로파일 결합, 분해를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의 위에서 바라본 분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인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은 외장재(100), 제1프로파일(200) 및 제2프로파일(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습재(40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통해 본 발명인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은 결합된 전체적 형상을 알 수 있으며, 조립되는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의 분해도를 참조하여 살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외장재(100)는 기둥의 외형에 해당하는 부재이다.
상기 외장재(100)는 한 쌍의 단위목재(100a,100b)가 상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위목재(100a,100b)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 형상이 사각기둥 형태가 되게 되며, 내부 중앙에는 상, 하 방향으로 제1수용홈부(110a)가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각각 제2수용홈부(120a)가 형성되게 되며, 상기 제1수용홈부(110a)와 제2수용홈부(120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가 되게 된다. 도 2에서는 단위목재(100b)의 제1수용홈부와 제2수용홈부도 동일하므로 도번을 따로 표시하지 않았다.
여기서, 제1수용홈부(110a)에는 제1프로파일(200)이 설치되고, 제2수용홈부(120a)에는 제2프로파일(3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목재(100a,100b)의 제1수용홈부(110a)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길이홈(11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길이홈(110a)이 일정간격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목재의 특유의 성질인 수축과 팽창에 약하므로 목재가 갈라지거나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목재가 변형이 생기더라도 외측보다는 내측으로 길이홈(110a)을 따라 변형을 유도하여 외측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목재의 변형을 최대한 내측으로 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외측에 형성된 홈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길이홈(110a)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홈(110a)이 형성됨으로써 목재에서 발생하는 내부의 수분을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되어 수분을 제거하는데 더 효율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프로파일(200)은 기둥의 내부에 설치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부재이다.
상기 제1프로파일(200)은 상기 외장재(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제1수용홈부(110a)에 설치되어 내부 강도를 보강하게 되며, 상기 외장재(100)보다 상대적을 강도가 크면서 경량의 재질인 알루미늄프로파일을 사용한다. 여기서 제1프로파일(200)은 사격파이프 형상으로 실시하여 최대한 경량화 하였으며 용도와 비용을 고려하여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프로파일(300)은 기둥의 내부 강도 보강과 한 쌍의 단위목재(100a,100b)를 결합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제2프로파일(300)은 한 쌍의 단위금속부재(300a,300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금속부재(300a,300b)는 각각이 상기 단위목재(100a,100b)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단위금속부재(300a,300b) 끼리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상기 단위목재들(100a,100b)을 상호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2프로파일(300)의 단위금속부재(300a,300b)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에서 제2프로파일 결합, 분해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상기 단위금속부재(300a,300b)는 한 쌍이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전체적 형상이 3면체로 이루어진 수평 단면이 'ㄷ'형이 되게 하고 이러한 형상이 잘 나타낸 단위금속부재(300b)를 보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단위금속부재(300b)를 보면, 상기 제1수용홈부측으로 밀착되고 상기 체결부재(ex 나사)가 관통 결합되게 하는 체결홀(312b)이 복수 개 로 형성되는 제1면체(310b)와, 상기 제1면체(310b)의 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면체(320b)와, 상기 제1면체(310b)의 일면에 상기 제2면체(320b)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수용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3면체(330b)로 구성된다.
이에 대응되는 다른 단위금속부재(300a)는 도3에서도 보듯이 단위금속부재(300b)와 형상이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단위금속부재(310a,310b)를 상호 대칭되게 배치하고 하나의 단위금속부재의 삽입부와 수용부는 다른 하나의 단위금속부재의 수용부와 삽입부에 각각 대응되게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사각프로파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4에 삽입부와 수용부에 도번으로 표현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의 위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면체(320a,320b))에 형성된 삽입부(322a,322b)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면체(330a,330b)에 형성된 수용부(332a,332b)는 상기 바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슬롯(slot)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면체(310a)에는, 상기 제3면체(330a)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3면체(330a)에 결합되는 제2면체(320b)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40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탈방지부(340a)도 바(bar) 형상이 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프로파일(300) 내부에는 제습재(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습재(400)는 습기 제거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숯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치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단위목재(100a)의 제2수용부(120a) 양측 각각에 단위금속부재(300a)를 나사로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단위목재(100b)의 제2수용부에 양측 각각에도 단위금속부재(300b)를 나사로 고정설치하여 대응되는 한 세트를 완성한 후 단위금속부재(300a)와 단위금속부재(300b)를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단위목재(100a,100b)가 일체화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난간기둥의 외장재를 단위목재(100a,100b)로 분할되게 하고 제2프로파일(300)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맞춤하면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제1프로파일(200)에 의해 주강도를 가지며 제2프로파일(300)로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결합이 용이하게 하고 제습재(400) 숯이 제2프로파일(30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수분제거에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수분에 강한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외장재
100a,100b: 단위목재
110a: 제1수용부
120a: 제2수용부
200: 제1프로파일
300: 제2프로파일
300a,300b: 단위금속부재
310a,310b: 제1면체
320a,320b: 제2면체
322a,322b: 삽입부
330a,330b: 제3면체
332a,332b: 수용부
340a,340b: 이탈방지부
400: 제습재

Claims (6)

  1. 한 쌍의 단위목재가 상호 결합에 의해 내부 중앙에는 제1수용홈부가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는 각각 제2수용홈부가 형성되는 외장재;
    상기 제1수용홈부에 설치되는 제1프로파일; 및
    상기 제2수용홈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단위금속부재 각각이 상기 단위목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단위금속부재 끼리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상기 단위목재들을 상호 고정되게 하는 제2프로파일;이 포함되고,
    상기 제2프로파일의 단위금속부재는,
    상기 제1수용홈부측으로 밀착되고 상기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게 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면체;와,
    상기 제1면체의 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면체;와,
    상기 제1면체의 일면에 상기 제2면체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수용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3면체;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단위금속부재를 상호 대칭되게 배치하고 하나의 단위금속부재의 삽입부와 수용부는 다른 하나의 단위금속부재의 수용부와 삽입부에 각각 대응되게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사각프로파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슬롯(slot)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체에는,
    상기 제3면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3면체에 결합되는 제2면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파일 내부에는,
    제습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목재의 제1수용홈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길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KR1020190027062A 2019-03-08 2019-03-08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KR102031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62A KR102031078B1 (ko) 2019-03-08 2019-03-08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62A KR102031078B1 (ko) 2019-03-08 2019-03-08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078B1 true KR102031078B1 (ko) 2019-10-11

Family

ID=6821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062A KR102031078B1 (ko) 2019-03-08 2019-03-08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977A (ko) 2020-09-08 2022-03-17 우리산업 주식회사 결합식 목재 데크 난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297Y1 (ko) * 2005-10-28 2006-02-24 한각수 숯 채운 목재피복 강관 기둥
KR20110094728A (ko) * 2010-02-17 2011-08-24 유한회사 형후 조립식 나무 기둥
KR101533294B1 (ko) * 2014-10-27 2015-07-03 주식회사 드림필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KR101565085B1 (ko) * 2014-05-09 2015-11-04 주식회사휴플러스 다기능 조립식 목재기둥
KR101742245B1 (ko) 2016-01-12 2017-06-01 (주) 나무들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297Y1 (ko) * 2005-10-28 2006-02-24 한각수 숯 채운 목재피복 강관 기둥
KR20110094728A (ko) * 2010-02-17 2011-08-24 유한회사 형후 조립식 나무 기둥
KR101565085B1 (ko) * 2014-05-09 2015-11-04 주식회사휴플러스 다기능 조립식 목재기둥
KR101533294B1 (ko) * 2014-10-27 2015-07-03 주식회사 드림필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KR101742245B1 (ko) 2016-01-12 2017-06-01 (주) 나무들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977A (ko) 2020-09-08 2022-03-17 우리산업 주식회사 결합식 목재 데크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3773A (en) Prefabricated balcony
KR101345989B1 (ko)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KR102341317B1 (ko) 삽입형 유동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난간 시공방법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KR102031078B1 (ko)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0592723B1 (ko) 공동주택 창문틀 고정구조
KR102373984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1054956B1 (ko) 조립형 방음패널
CN109138513B (zh) 一种凉亭建筑系统
KR101079991B1 (ko) 차수막, 벽체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벽체마감 장치 및 설치방법
KR200462075Y1 (ko) 목재와 금속재를 병용한 조립식 기둥
KR102031079B1 (ko) 데크로드 난간 하부조립체
KR101679315B1 (ko) 조립 방식의 복합 구조물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200386274Y1 (ko) 펜스
KR102139094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KR102032697B1 (ko) 내충격 및 내진 기능이 향상된 기둥 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조립식 난간
KR20210023360A (ko) 우드펜스
KR101728811B1 (ko) 울타리
KR102657035B1 (ko) 슬라이딩홈을 구비한 데크 시스템
KR102600860B1 (ko) 목재설치구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프레임
JP4779419B2 (ja) 構造物
KR101894576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