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984B1 -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984B1
KR102373984B1 KR1020210114810A KR20210114810A KR102373984B1 KR 102373984 B1 KR102373984 B1 KR 102373984B1 KR 1020210114810 A KR1020210114810 A KR 1020210114810A KR 20210114810 A KR20210114810 A KR 20210114810A KR 102373984 B1 KR102373984 B1 KR 102373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st
support part
yok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준
박정희
Original Assignee
아이앤지산업(주)
박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지산업(주), 박정희 filed Critical 아이앤지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114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데크로드(10)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지주(100), 복수 개의 멍에(200), 복수 개의 장선(300), 복수 개의 데크(400), 복수 개의 브라켓(500), 복수 개의 난간기둥(610) 및 복수 개의 난간대(620)를 포함하는 데크로드를 제공한다.
지주(100)는 지면에 고정되고 멍에(200)는 지주(100) 위에 설치되고 장선(300)은 멍에(200) 위에 나란히 설치되며 데크(400)는 장선(300) 위에 나란히 설치된다. 브라켓(500)은 복수 개가 제1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각 결합부(510) 및 연장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부(510)는 지주(100) 또는 멍에(200)와 결합된다. 연장부(520)는 결합부(510)로부터 제2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서 수평면 상에서 멍에(200) 및 데크(400)보다 제2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난간기둥(610)은 복수 개가 복수 개의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난간대(62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난간기둥(610)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데크로드(10)의 폭이 커질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DECK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폭이 커지고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등산로, 산책로, 수변구역, 테라스 등의 다양한 장소에 데크로드가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데크로드는 받침대 역할을 하는 멍에 및 장선 위에 데크를 설치하고 안전을 위해 멍에 또는 데크의 끝단에 난간기둥을 설치하고 난간기둥을 연결하는 난간대를 설치했다.
그러나, 종래의 데크로드는 난간기둥 및 난간대에 의해 사용자가 활동할 수 있는 데크로드의 실질적인 폭이 감소한다. 또한, 종래의 데크로드는 전술한 멍에, 장선, 데크, 난간만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자연친화적이지 못하고 삭막한 느낌을 주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5220호는 수변 데크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의 폭을 최대한 확장하여 다수의 보행자가 활동하는데 편익을 증진하도록 함은 물론 철재골조와 수평보에 목재장식을 부착하여 친환경적인 미관으로 하여금 장식성을 개선하고, 목재상판의 하부에 설치된 장선에는 다수의 낙수 유도구조를 마련하여 빗물에 따른 수평보 등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다리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난간이 여전히 데크 위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활동할 수 있는 데크로드의 실질적인 폭이 감소한다. 또한, 목재장식을 부착하더라도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주는 데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1752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폭이 커지는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난간기둥 및 식생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미관을 제고하고 친환경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생프레임에 수용된 식생토양에 식재된 식물이 원활하게 생장하는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생프레임을 용이하게 관리가능하고 식생프레임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거나 지지되는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데크로드(10)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지주(100), 복수 개의 멍에(200), 복수 개의 장선(300), 복수 개의 데크(400), 복수 개의 브라켓(500), 복수 개의 난간기둥(610) 및 복수 개의 난간대(620)를 포함하는, 데크로드를 제공한다.
상기 지주(100)는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 멍에(200)는 상기 지주(100) 위에 설치된다.
상기 장선(300)은 상기 멍에(200) 위에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데크(400)는 상기 장선(300) 위에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500)은 복수 개가 제1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각 결합부(510) 및 연장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지주(100) 또는 멍에(200)와 결합된다.
상기 연장부(520)는 상기 결합부(510)로부터 제2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서 수평면 상에서 상기 멍에(200) 및 데크(400)보다 제2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난간기둥(610)은 복수 개가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520) 위에 설치된다.
상기 난간대(62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난간기둥(610)들을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지주(100)의 상단부의 상면과 접하는 기초부(512) 및 상기 기초부(512)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지주(100)의 상단부의 제1방향의 양측면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514)와 제2결합부(516)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520)는 상기 기초부(512)로부터 제2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지주(100)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지주(100)의 상단부의 상면과 접한다.
상기 결합부(510) 위에 상기 멍에(200)가 놓인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수단(B2)이 상기 난간기둥(610) 및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이 상기 연장부(520) 위에 고정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로드(10)는, 상기 연장부(52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되는 제1바닥부(710), 상기 제1바닥부(710)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부(720)와 제2지지부(730) 및 상기 제1바닥부(7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지지프레임(7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바닥부(710), 제1지지부(720), 제2지지부(7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에 의해 규정되는 제1내부공간(S1)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상기 체결수단(B2)은 상기 제4지지부(750),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상기 제3지지부(740) 및 상기 결합부(510) 위에 놓이는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상기 연장부(520) 위에 고정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로드(10)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가 상기 연장부(520)의 하면과 접하거나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일단부가 상기 지주(100)와 결합되거나 접해서 상기 연장부(520)를 지지하는 리브(R)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브(R)의 상기 다른 일단부는 상기 지주(100)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홈(G)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로드(1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연장부(520)들에 의해서 지지되며, 내부에 식생토양이 수용되는 식생프레임(90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생프레임(900)은 식생프레임(90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의 제1배수공(912)이 형성된 유공판(910)을 포함한다.
상기 유공판(910) 상의 공간에 상기 식생토양이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로드(10)는, 상기 연장부(52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되는 제2바닥부(810) 및 상기 제2바닥부(8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5지지부(820)와 제6지지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지지프레임(8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바닥부(810),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방향의 길이가 상기 난간기둥(610)의 제1방향의 폭보다 길다.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2바닥부(810),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 의해 규정되는 제2내부공간(S2)에 수용된다.
상기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단부는 상기 제2내부공간(S2)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체결수단(B2)이 상기 제5지지부(820),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및 상기 제6지지부(83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이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장부(520) 위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로드(10)는, 제1바닥부(710), 상기 제1바닥부(710)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부(720)와 제2지지부(730) 및 상기 제1바닥부(7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지지프레임(7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700)은 상기 제2내부공간(S2)에 수용된다.
상기 제1바닥부(710)는 상기 제2바닥부(81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되고 상기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는 각각 상기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와 마주하거나 결합된다.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바닥부(710), 제1지지부(720), 제2지지부(7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에 의해 규정되는 제1내부공간(S1)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체결수단(B2)이 상기 제5지지부(820), 상기 제3지지부(740),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상기 제4지지부(750) 및 상기 제6지지부(83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이 제5지지부(820), 제6지지부(8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장부(520) 위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30)의 하단부에는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30)를 제1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배수공(722, 732)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바닥부(7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상기 지주(100)를 설치하는 지주설치단계; 상기 지주(100)의 상단부에 상기 브라켓(500)을 설치하는 브라켓 설치단계; 상기 결합부(510) 위에 상기 멍에(200)를 설치하는 멍에 설치단계; 상기 멍에(200) 위에 상기 장선(300)을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 상기 장선(300) 위에 상기 데크(400)를 설치하는 데크 설치단계; 상기 연장부(520) 위에 상기 난간기둥(610)을 설치하는 난간기둥 설치단계; 및 상기 난간기둥(610)을 연결하는 상기 난간대(620)를 설치하는 난간대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은, 상기 연장부(520)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기 식생프레임(900)을 설치하는 식생프레임 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데크로드(10)에 있어서, 데크로드(10)가 복수 개의 지주(100), 복수 개의 멍에(200), 복수 개의 장선(300), 복수 개의 데크(400), 복수 개의 브라켓(500), 복수 개의 난간기둥(610) 및 복수 개의 난간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100)는 지면에 고정되고 멍에(200)는 지주(100) 위에 설치되고 장선(300)은 멍에(200) 위에 나란히 설치되며 데크(400)는 장선(300) 위에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500)은 복수 개가 제1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각 결합부(510) 및 연장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510)는 지주(100) 또는 멍에(200)와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520)는 결합부(510)로부터 제2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서 수평면 상에서 멍에(200) 및 데크(400)보다 제2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난간기둥(610)은 복수 개가 복수 개의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난간대(620)는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난간기둥(610)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 및 난간대(620)가 멍에(200 또는 데크(400)의 위에 설치되지 않고 멍에(200) 및 데크(400)보다 제2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데크로드(10)의 폭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부(510)는 지주(100)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지주(100)의 상단부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결합부(510) 위에 멍에(200)가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500)의 결합부(510)가 멍에(200)의 자중 및 멍에(200)가 받는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브라켓(500)이 지주(100)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멍에(200)는 크기 및 자중이 커서 브라켓(500)과의 접촉면적 및 브라켓(500)에 가하는 압력이 크므로 브라켓(500)이 지주(100)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 또는 식생프레임(900)의 자중이나 난간기둥(61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연장부(520)가 가압되더라도 브라켓(500)이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각기둥(610) 및 식생프레임(9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체결수단(B2)이 난간기둥(610) 및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이 연장부(520) 위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간기둥(610)이 멍에(200)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연장부(52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멍에(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난간기둥(6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특히, 난간기둥(610)이,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중이 큰 멍에(200)와 직접 결합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로드(10)는, 연장부(52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되는 제1바닥부(710), 제1바닥부(710)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부(720)와 제2지지부(730) 및 제1바닥부(7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지지프레임(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바닥부(710), 제1지지부(720), 제2지지부(7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에 의해 규정되는 제1내부공간(S1)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다. 체결수단(B2)은 제4지지부(75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제3지지부(740) 및 결합부(510) 위에 놓이는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연장부(520) 위에 고정설치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난간기둥(610)이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610)보다 강도가 큰 제1지지프레임(700)이 연장부(520) 또는 제2멍에(200b)와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보호되고 데크로드(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멍에(200)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연장부(52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멍에(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중이 큰 멍에(200)와 직접 결합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체결수단(B2)으로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로드(10)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가 연장부(520)의 하면과 접하거나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일단부가 지주(100)와 결합되거나 접해서 연장부(520)를 지지하는 리브(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R)의 상기 다른 일단부는 지주(100)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홈(G)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주(100)와 결합되거나 접하는 리브(R)의 상기 다른 일단부가 홈(G)의 내측면에 간섭돼서 리브(R)가 이동, 회전 또는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각기둥(610) 및 식생프레임(9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리브(R)가 연장부(520) 또는 지주(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장부(520) 또는 지주(100)와 일체로 결합되지 않더라도 리브(R)가 지주(100)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되어 연장부(5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로드(1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연장부(520)들에 의해서 지지되며, 내부에 식생토양이 수용되는 식생프레임(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데크로드(10)의 폭방향의 양단에 식생이 가능하다. 이에, 데크로드(10)의 미관을 제고하며 친환경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생프레임(900)은 식생프레임(90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의 제1배수공(912)이 형성된 유공판(910)을 포함할 수 있다. 유공판(910) 상의 공간에 식생토양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프레임(900)에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식생토양에 식재된 식물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로드(10)는, 연장부(52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되는 제2바닥부(810) 및 제2바닥부(8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5지지부(820)와 제6지지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지지프레임(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닥부(810),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방향의 길이가 난간기둥(610)의 제1방향의 폭보다 길 수 있다.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2바닥부(810),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 의해 규정되는 제2내부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단부는 제2내부공간(S2)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제2지지프레임(800)의 제2내부공간(S2)에 수용되므로 난간기둥(610)이 제2지지프레임(80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610)보다 강도가 큰 제2지지프레임(800)이 연장부(520) 또는 제2멍에(200b)와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보호되고 데크로드(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지지프레임(800)들의 제2내부공간(S2)에 안착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식생프레임(900)을 설치 및 유지관리할 수 있다. 특히, 식생프레임(900)을 용이하게 탈착하여 식생프레임(900)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지지프레임(800)들의 제2내부공간(S2)에 안착되면, 식생프레임(900)이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난간기둥(610)들 사이에 배치되고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 사이에 배치되므로,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식생프레임(900)이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프레임(800)은, 소정의 형상(예컨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판에서 두 부위를 절곡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2지지프레임(80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식생프레임(900)을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800)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면 제2지지프레임(800)을 브레킷(500) 및 난간기둥(61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제2지지프레임(800)만 수리 또는 교체하여 설치하면 되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체결수단(B2)이 제5지지부(82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및 제6지지부(83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이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와 결합된 상태로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연장부(520) 위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가 난간기둥(610)과 결합되므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가 휘거나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2방향으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 가로막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식생프레임(900)이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로드(10)는, 제1바닥부(710), 제1바닥부(710)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부(720)와 제2지지부(730) 및 제1바닥부(7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지지프레임(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700)은 제2내부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제1바닥부(710)는 제2바닥부(81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되고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는 각각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와 마주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바닥부(710), 제1지지부(720), 제2지지부(7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에 의해 규정되는 제1내부공간(S1)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난간기둥(610)이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610)보다 강도가 큰 제1지지프레임(700)이 제2지지프레임(800) 및 식생프레임(900)과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보호되고 데크로드(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개방되더라도 식생프레임(900)에 수용된 식생토양 또는 수분이 난간기둥(610)의 하단부와 접하지 않고 제1지지프레임(700)과 접할 수 있다. 이에, 식생프레임(9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체결수단(B2)이 제5지지부(820), 제3지지부(74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제4지지부(750) 및 제6지지부(83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이 제5지지부(820), 제6지지부(8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와 결합된 상태로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연장부(520) 위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가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과 결합되므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가 휘거나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2방향으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 가로막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식생프레임(900)이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30)의 하단부에는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30)를 제1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배수공(722, 7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에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식생토양에 식재된 식물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프레임(700)의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되므로 제1지지프레임(700) 및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수분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바닥부(7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에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식생토양에 식재된 식물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물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거나 물과 접촉하는 부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이 지면에 지주(100)를 설치하는 지주설치단계; 지주(100)의 상단부에 브라켓(500)을 설치하는 브라켓 설치단계; 결합부(510) 위에 멍에(200)를 설치하는 멍에 설치단계; 멍에(200) 위에 장선(300)을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 장선(300) 위에 데크(400)를 설치하는 데크 설치단계; 연장부(520) 위에 난간기둥(610)을 설치하는 난간기둥 설치단계; 및 난간기둥(610)을 연결하는 난간대(620)를 설치하는 난간대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이 커진 데크로드(1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500)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므로 브라켓(500)의 설치위치를 별도로 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500)의 결합부(510)가 멍에(200)에 의해 가압되어 브라켓(500)이 지주(100)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브라켓(500)의 연장부(520)가 난각기둥(610) 및 식생프레임(9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은, 상기 연장부(520)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기 식생프레임(900)을 설치하는 식생프레임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방향의 양단에 식생이 가능한 데크로드(1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를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및 전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및 도 7의 브라켓이 지주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상태에서 브라켓 위에 멍에가 놓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의 상태에서 브라켓 위에 난간기둥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1 내지 도 13에서 제1지지프레임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도 10의 상태에서 브라켓 위에 도 18 및 도 19의 제2지지프레임이 놓이고 난간기둥이 제2지지프레임과 분리되거나 난간기둥이 제2지지프레임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도 20 내지 도 23에 제1지지프레임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도 25 및 도 26에 제1멍에, 장선 및 데크가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식생프레임이 제2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식생프레임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2지지프레임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크로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10)는 지주(100), 멍에(200), 장선(300), 데크(400), 브라켓(500), 난간기둥(610) 및 난간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크로드(10)는 리브(R, 도 2), 제1지지프레임(700), 제2지지프레임(800) 및 식생프레임(900) 중에서 한 개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크로드(10)는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예컨대,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지주]
지주(100)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주(1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주(100)는 제1방향(데크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제2방향(데크로드의 폭방향)으로 두 개씩 설치될 수 있다(도 1, 도 2).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를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주(1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골조부(110) 및 보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골조부(110)는 중심관(112) 및 구획부재(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심관(112)은 원통형 강관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심관(1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획부재(114)는 중심관(112)으로부터 중심관(11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재(11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획부재(114)는 보강부(120)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중심관(112)을 중심으로 하여 4개의 보강부(120)가 등각도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8개의 구획부재(114)가 중심관(112)의 외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재(114)에는 보강부(120)가 설치되는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P)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P)는 보강부(1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보강부(120)에 형성된 홈은 돌출부(P)와 대응할 수 있다. 돌출부(P)는 보강부(1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보강부(120)가 골조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120)는 중심관(112)의 외주면과 마주할 수 있고 골조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120)는 한 개 이상(도면에서는 4개)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120)는 목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골조부(110)가 목재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지주(100)의 미관을 제고하는 친환경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중심관(112)의 외주를 따라 이웃하는 보강부(120)들의 사이(즉, 구획부재들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에 의해서 지주(10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지주(100)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브라켓(500)과 결합될 수 있다(도 1, 도 2).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멍에]
멍에(200)는 지주(100) 위에 설치될 수 있다(도 1, 도 2).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멍에(200)는 지주(100) 상에 설치되는 브라켓(500)의 기초부(512)의 위에 놓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멍에(2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멍에(200)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멍에(200a) 및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멍에(200b)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제1멍에(200a)는 2개의 지주(100)를 제2방향을 연결할 수 있고, 제2멍에(200b)는 2개의 지주(200)를 제1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멍에(200b)는 후술하는 난간기둥(61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멍에(200b)는 후술하는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 중에서 적어도 한 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멍에(200)는 각관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다만, 멍에(200)가 각관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선, 데크]
장선(30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멍에(200) 위에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도 1, 도 2). 예를 들면, 장선(300)은 멍에(200)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2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장선(300)은 제1멍에(200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장선(300)은 각관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크(4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장선(300) 위에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데크(400)는 장선(300) 위에 서로 접하면서 제1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데크(400)는 장선(30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
브라켓(50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제1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500)은 데크로드(10)의 제2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도 1, 도 2). 이하, 브라켓(5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및 전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및 도 7의 브라켓이 지주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상태에서 브라켓 위에 멍에가 놓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브라켓(500)은 결합부(510) 및 연장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510)는 지주(100) 또는 멍에(2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결합부(510)가 지주(100)와 결합될 수도 있고, 도면과 달리 결합부(510)가 멍에(200)와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부(510)는 지주(10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510)는 지주(100)의 상단부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결합부(510) 위에 멍에(200)가 놓일 수 있다(도 10).
이에 따라, 브라켓(500)의 결합부(510)가 멍에(200)의 자중 및 멍에(200)가 받는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브라켓(500)이 지주(100)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멍에(200)는 크기 및 자중이 커서 브라켓(500)과의 접촉면적 및 브라켓(500)에 가하는 압력이 크므로 브라켓(500)이 지주(100)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 또는 식생프레임(900)의 자중이나 난간기둥(61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연장부(520)가 가압되더라도 브라켓(500)이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각기둥(610) 및 식생프레임(9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결합부(510)는 기초부(512), 제1결합부(514) 및 제2결합부(51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부(512)는 지주(100)의 상단부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도 8). 기초부(512)의 위에 멍에(200)가 놓일 수 있다(도 10). 후술하는 연장부(520)는 기초부(512)로부터 제2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방향의 외측은 데크로드(10)의 제2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동일하다.
제1결합부(514) 및 제2결합부(516)는 기초부(512)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결합부(514) 및 제2결합부(516)는 지주(100)의 상단부의 제1방향의 양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결합부(514) 및 제2결합부(516)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B1)이 관통하는 관통공(515, 51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주(100)에도 상기 체결수단(B1)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체결수단(B1)은 지주(100) 중에서 전술한 홈(G) 및 골조부(11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체결수단(B1)은 지주(100) 중에서 보강부(120)를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골조부(110)는 속이 빈 관일 수 있다. 이에, 체결수단(B1)이 지주(10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체결수단(B1)은 제1결합부(514), 지주(100) 및 제2결합부(516)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수단(B1)은 제1결합부(514), 지주(100) 및 제2결합부(516)를 관통한 후에 너트(N1) 등과 결합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브라켓(500)이 지주(100)와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체결수단(B1)은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수단(B1)은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결합부(514), 지주(100) 및 제2결합부(516)를 관통하여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에 의해 연장부(520)가 가압되더라도 브라켓(500)이 제2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연장부(520)는 결합부(510)로부터 제2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서 수평면 상에서 멍에(200) 및 데크(400)보다 제2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연장부(520)는 기초부(512)로부터 제2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20) 위에 난간기둥(6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라켓(500)이 결합부(510) 및 연장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결합부(510)는 기초부(512), 제1결합부(514) 및 제2결합부(5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500)이 소정의 형상(예컨대, T자 형상)을 가지는 판에서 두 부위(이중 점선 부위)를 절곡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도 7).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브라켓(50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500)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지주(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므로 브라켓(500) 또는 리브(R)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브라켓(500) 또는 리브(R)가 지주(100)와 상하방향으로 길게 접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각기둥(610) 및 식생프레임(9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반면에, 브라켓(500)이 도면과 달리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멍에(20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브라켓(500) 또는 리브(R)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없다. 이에, 난각기둥(610) 및 식생프레임(9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브라켓(500)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므로 브라켓(500)의 설치위치를 별도로 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반면에, 브라켓(500)이 도면과 달리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멍에(20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멍에(200) 상에서 브라켓(500)의 제1방향의 설치위치를 정한 후에 브라켓(500)을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리브]
리브(R)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가 연장부(520)의 하면과 접하거나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일단부가 지주(100)와 결합되거나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리브(400)의 상단부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연장부(520)의 하면과 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브(400)의 제2방향의 내측 단부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지주(100)와 결합되거나 접할 수 있다.
리브(R)는 연장부(520)를 지지할 수 있다.
리브(R)의 상기 다른 일단부는 지주(100)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홈(G)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주(100)와 결합되거나 접하는 리브(R)의 상기 다른 일단부가 홈(G)의 내측면에 간섭돼서 리브(R)가 이동, 회전 또는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각기둥(610) 및 식생프레임(9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리브(R)가 연장부(520) 또는 지주(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장부(520) 또는 지주(100)와 일체로 결합되지 않더라도 리브(R)가 지주(100)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되어 연장부(5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난간기둥, 난간대]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의 상태에서 브라켓 위에 난간기둥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더 참조하면, 난간기둥(61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도 1, 도 2),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도 11 내지 도 13). 난간기둥(61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난간기둥(610)은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2방향으로 멍에(200)와 인접배치되거나 제2방향으로 멍에(200)와 접할 수 있다.
체결수단(B2)은 난간기둥(610) 및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도 11 내지 도 13). 이에, 난간기둥(610)이 연장부(520) 위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난간기둥(610)의 하단부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B2)이 제2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612, 도 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멍에(200b)에도 상기 체결수단(B2)이 제2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10, 도 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제2멍에(200b)는 각관일 수 있다. 제2멍에(200b)가 각관인 경우에, 제2멍에(200b) 중에서 난간기둥(610)과 제2방향으로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적어도 일부분(상기 일면)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고 체결수단(B2)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도 12). 또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내측에서 너트(N2) 등과 결합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체결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도 12).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멍에(200b)가 각관인 경우라도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전부를 관통할 수 있다(도 13). 구체적으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제2방향의 양측면을 모두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전부(상기 양측면)를 관통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외측에서 너트(N2) 등과 결합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체결수단(B2)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체결수단(B2)은 난간기둥(610) 및 난간기둥(610)과 마주하는 제2멍에(200b)의 일면을 관통하여 체결되거나 난간기둥(610) 및 제2멍에(200b)의 전부(예컨대, 제2방향의 양측면)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수단(B2)은 난간기둥(610) 및 난간기둥(610)과 마주하는 제2멍에(200b)의 일면 또는 난간기둥(610) 및 난간기둥(610)과 마주하는 제2멍에(200b)의 전부(예컨대, 제2방향의 양측면)를 관통한 후에 너트(N2) 등과 결합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간기둥(610)이 멍에(200)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연장부(52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멍에(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난간기둥(6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특히, 난간기둥(610)이,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중이 큰 멍에(200)와 직접 결합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난간기둥(610)은 후술하는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내부공간(S1, S2)에 수용된 상태로 멍에(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난간대(62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난간기둥(610)들을 연결할 수 있다(도 1, 도 2).
이와 같이, 데크로드(10)가 지주(100), 멍에(200), 장선(300), 데크(400), 브라켓(500), 난간기둥(610) 및 난간대(620)을 포함하고, 브라켓(500)이 결합부(510) 및 연장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 및 난간대(620)가 멍에(200 또는 데크(400)의 위에 설치되지 않고 멍에(200) 및 데크(400)보다 제2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데크로드(10)의 폭이 커질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1 내지 도 13에서 제1지지프레임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지지프레임(700)은 제1바닥부(710), 제1지지부(720), 제2지지부(7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1지지프레임(700)은 연장부(520) 상에 설치될 수 있고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지지프레임(7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700)은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바닥부(710)는 연장부(52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720)와 제2지지부(730)는 제1바닥부(710)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30)의 하단부에는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30)를 제1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배수공(722, 7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는 제1바닥부(7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바닥부(710), 제1지지부(720), 제2지지부(7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에 의해 규정되는 제1내부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다.
체결수단(B2)은 제4지지부(75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제3지지부(740) 및 결합부(510) 위에 놓이는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B2)이 관통하는 관통공(742, 7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및 제2멍에(200b)에는 관통공(612, 210)이 형성될 수 있다(도 10, 도 11).
이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멍에(200b)는 각관일 수 있다. 제2멍에(200b)가 각관인 경우에, 제2멍에(200b) 중에서 제1지지프레임(700)과 제2방향으로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적어도 일부분(상기 일면)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고 체결수단(B2)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도 16). 또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내측에서 너트(N2) 등과 결합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체결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도 16).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멍에(200b)가 각관인 경우라도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전부를 관통할 수 있다(도 17). 구체적으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제2방향의 양측면을 모두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전부(상기 양측면)를 관통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외측에서 너트(N2) 등과 결합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체결수단(B2)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체결수단(B2)은 제4지지부(75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제3지지부(740) 및 결합부(510) 위에 놓이는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한 후에 너트(N2) 등과 결합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연장부(520) 위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난간기둥(610)이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610)보다 강도가 큰 제1지지프레임(700)이 연장부(520) 또는 제2멍에(200b)와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보호되고 데크로드(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멍에(200)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연장부(52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멍에(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중이 큰 멍에(200)와 직접 결합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체결수단(B2)으로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2지지프레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도 10의 상태에서 브라켓 위에 도 18 및 도 19의 제2지지프레임이 놓이고 난간기둥이 제2지지프레임과 분리되거나 난간기둥이 제2지지프레임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2지지프레임(800)은 제2바닥부(810),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제2지지프레임(800)은 연장부(520) 상에 설치될 수 있고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2지지프레임(8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지지프레임(800)은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바닥부(810)는 연장부(52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5지지부(820)와 제6지지부(830)는 제2바닥부(8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2바닥부(810),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방향의 길이가 난간기둥(610)의 제1방향의 폭보다 길 수 있다.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2바닥부(810),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 의해 규정되는 제2내부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단부는 제2내부공간(S2)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제2지지프레임(800)의 제2내부공간(S2)에 수용되므로 난간기둥(610)이 제2지지프레임(80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610)보다 강도가 큰 제2지지프레임(800)이 연장부(520) 또는 제2멍에(200b)와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보호되고 데크로드(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지지프레임(800)들의 제2내부공간(S2)에 안착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식생프레임(900)을 설치 및 유지관리할 수 있다. 특히, 식생프레임(900)을 용이하게 탈착하여 식생프레임(900)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지지프레임(800)들의 제2내부공간(S2)에 안착되면, 식생프레임(900)이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난간기둥(610)들 사이에 배치되고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 사이에 배치되므로,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식생프레임(900)이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프레임(800)은, 소정의 형상(예컨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판에서 두 부위를 절곡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2지지프레임(80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식생프레임(900)을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800)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면 제2지지프레임(800)을 브레킷(500) 및 난간기둥(61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제2지지프레임(800)만 수리 또는 교체하여 설치하면 되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동일한 체결수단(B2)이 제5지지부(82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및 제6지지부(830)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B2)이 관통하는 관통공(822, 8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난간기둥(610)의 하단부에는 관통공(612)이 형성될 수 있다(도 11).
체결수단(B2)은 제5지지부(82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및 제6지지부(830)를 관통한 후에 너트(N2) 등과 결합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와 결합된 상태로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연장부(520) 위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가 난간기둥(610)과 결합되므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가 휘거나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2방향으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 가로막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식생프레임(900)이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체결수단(B2)은 제5지지부(82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및 제6지지부(830) 뿐만 아니라 제2멍에(200b)를 더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B2)이 관통하는 관통공(822, 8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및 제2멍에(200b)에는 관통공(612, 210)이 형성될 수 있다(도 10, 도 11).
이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멍에(200b)는 각관일 수 있다. 제2멍에(200b)가 각관인 경우에, 제2멍에(200b) 중에서 제2지지프레임(800)과 제2방향으로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적어도 일부분(상기 일면)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고 체결수단(B2)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도 22). 또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내측에서 너트(N2) 등과 결합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체결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도 22).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멍에(200b)가 각관인 경우라도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전부를 관통할 수 있다(도 23). 구체적으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제2방향의 양측면을 모두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전부(상기 양측면)를 관통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외측에서 너트(N2) 등과 결합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체결수단(B2)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체결수단(B2)은 제5지지부(82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제6지지부(830) 및 결합부(510) 위에 놓이는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한 후에 너트(N2) 등과 결합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와 결합된 상태로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고 난간기둥(61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연장부(520) 위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간기둥(61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멍에(200)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연장부(52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멍에(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난간기둥(61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난간기둥(61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중이 큰 멍에(200)와 직접 결합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체결수단(B2)으로 난간기둥(61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
도 24 내지 도 26은 도 20 내지 도 23에 제1지지프레임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도 25 및 도 26에 제1멍에, 장선 및 데크가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은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고, 제1지지프레임(700)은 제2지지프레임(8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700)은 제1바닥부(710), 제1지지부(720), 제2지지부(7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14).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720)와 제2지지부(730)는 제1바닥부(710)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도 14).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는 제1바닥부(7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도 14).
제1지지프레임(700)은 제2지지프레임(800)의 제2내부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제1바닥부(710)는 제2바닥부(81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도 24 내지 도 28). 또한,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는 각각 제2지지프레임(800)의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와 마주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도 24 내지 도 28).
전술한 바와 같이,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바닥부(710), 제1지지부(720), 제2지지부(7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에 의해 규정되는 제1내부공간(S1, 도 14)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난간기둥(610)이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610)보다 강도가 큰 제1지지프레임(700)이 제2지지프레임(800) 및 식생프레임(900)과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보호되고 데크로드(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개방되더라도(도 29) 식생프레임(900)에 수용된 식생토양 또는 수분이 난간기둥(610)의 하단부와 접하지 않고 제1지지프레임(700)과 접할 수 있다. 이에, 식생프레임(900)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일한 체결수단(B2)이 제5지지부(820), 제3지지부(74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제4지지부(750) 및 제6지지부(830)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B2)이 관통하는 관통공(742, 752)이 형성될 수 있다(도 14).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B2)이 관통하는 관통공(822, 832)이 형성될 수 있다(도 18).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난간기둥(610)의 하단부에는 관통공(612)이 형성될 수 있다(도 11).
체결수단(B2)은 제5지지부(820), 제3지지부(74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제4지지부(750) 및 제6지지부(830)를 관통한 후에 너트(N2) 등과 결합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제5지지부(820), 제6지지부(8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와 결합된 상태로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연장부(520) 위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가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과 결합되므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가 휘거나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2방향으로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 가로막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식생프레임(900)이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체결수단(B2)은 제5지지부(820), 제3지지부(74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제4지지부(750) 및 제6지지부(830) 뿐만 아니라 제2멍에(200b)를 더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멍에(200b)에는 관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도 10).
이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멍에(200b)는 각관일 수 있다. 제2멍에(200b)가 각관인 경우에, 제2멍에(200b) 중에서 제2지지프레임(800)과 제2방향으로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적어도 일부분(상기 일면)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고 체결수단(B2)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도 25, 도 27). 또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내측에서 너트(N2) 등과 결합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체결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도 25, 도 27).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멍에(200b)가 각관인 경우라도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전부를 관통할 수 있다(도 26, 도 28). 구체적으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제2방향의 양측면을 모두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전부(상기 양측면)를 관통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B2)이 제2멍에(200b)의 외측에서 너트(N2) 등과 결합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체결수단(B2)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체결수단(B2)은 제5지지부(820), 제3지지부(740),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제4지지부(750), 제6지지부(830) 및 결합부(510) 위에 놓이는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한 후에 너트(N2) 등과 결합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이 제5지지부(820), 제6지지부(8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와 결합된 상태로 연장부(520) 위에 설치될 수 있고 난간기둥(610),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연장부(520) 위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난간기둥(610),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멍에(200)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난간기둥(610),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연장부(52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멍에(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난간기둥(610),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난간기둥(610),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이,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중이 큰 멍에(200)와 직접 결합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체결수단(B2)으로 난간기둥(610),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30)의 하단부에는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30)를 제1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배수공(722, 7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에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식생토양에 식재된 식물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프레임(700)의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되므로 제1지지프레임(700) 및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수분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바닥부(7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에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식생토양에 식재된 식물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물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거나 물과 접촉하는 부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난간기둥(610)의 하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식생프레임]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식생프레임이 제2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29의 식생프레임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2지지프레임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식생프레임(90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식생프레임(900)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연장부(520)들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지지프레임(800)들의 제2내부공간(S2)에 안착됨으로써, 식생프레임(900)이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연장부(520)들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생프레임(900)의 내부에는 식생토양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데크로드(10)의 폭방향의 양단에 식생이 가능하다. 이에, 데크로드(10)의 미관을 제고하고 친환경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식생프레임(900)은 단면이 ㄷ자형일 수 있다. 즉, 식생프레임(900)은 제1방향의 양단이 개방될 수 있다.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은 난간기둥(610) 또는 제1지지프레임(700)과 접하거나 마주할 수 있다. 이에, 식생프레임(900)은 제1방향의 양단이 개방되더라도 식생토양이 식생프레임(90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식생프레임(900)은 단면이 ㄷ자형인 경우에, 식생프레임(900)은 소정의 형상(예컨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판에서 두 부위를 절곡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식생프레임(900)을 제조할 수 있다.
식생프레임(900)은 식생프레임(90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의 제1배수공(912)이 형성된 유공판(910)을 포함할 수 있다. 식생프레임(900)의 내부 공간 중에서 유공판(910) 상의 공간에 식생토양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프레임(900)에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식생토양에 식재된 식물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다.
이하,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을 살펴본다.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은 지주설치단계, 브라켓 설치단계, 멍에 설치단계, 장선 설치단계, 데크 설치단계, 난간기둥 설치단계 및 난간대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은 식생프레임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주설치단계에서는, 지면에 상기 지주(100)를 설치할 수 있다.
브라켓 설치단계에서는, 지주(100)의 상단부에 브라켓(500)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500)의 결합부(510)를 지주(100)의 상단부와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리브(R)를 설치하여 브라켓(500)의 연장부(520)를 지지할 수 있다.
멍에 설치단계에서는, 결합부(510) 위에 멍에(200)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510) 중에서 지주(100)의 상단부의 상면과 접하는 기초부(512)의 위에 멍에(200)가 놓여질 수 있다.
장선 설치단계에서는, 멍에(200) 위에 장선(300)을 설치할 수 있다.
데크 설치단계에서는, 장선(300) 위에 데크(400)를 설치할 수 있다.
난간기둥 설치단계에서는, 연장부(520) 위에 난간기둥(6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에,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 중에서 적어도 한 개를 난간기둥(610)과 함께 연장부(520) 위에 설치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700) 및 제2지지프레임(800)을 모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지지프레임(700)이 제2지지프레임(8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도 24 내지 도 28).
난간기둥(610), 제1지지프레임(700), 제2지지프레임(800)은 체결수단(B2)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610), 제1지지프레임(700), 제2지지프레임(800)은 체결수단(B2)에 의해 멍에(200)와 결합될 수 있다.
난간대 설치단계에서는, 난간기둥(610)을 연결하는 난간대(620)를 설치할 수 있다.
식생프레임 설치단계에서는, 연장부(520)에 의해서 지지되는 식생프레임(900)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양단부를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지지프레임(800)들의 제2내부공간(S2)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폭방향의 양단에 식생이 가능한 데크로드(1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이 지주설치단계, 브라켓 설치단계, 멍에 설치단계, 장선 설치단계, 데크 설치단계, 난간기둥 설치단계 및 난간대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이 커진 데크로드(1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500)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므로 브라켓(500)의 설치위치를 별도로 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500)의 결합부(510)가 멍에(200)에 의해 가압되어 브라켓(500)이 지주(100)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브라켓(500)의 연장부(520)가 난각기둥(610) 및 식생프레임(9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데크로드
100: 지주 110: 골조부
112: 중심관 114: 구획부재
120: 보강부
200: 멍에 210: 관통공
300: 장선 400: 데크
500: 브라켓 510: 결합부
512: 기초부 514: 제1결합부
516: 제2결합부 515, 517: 관통공
520: 연장부 R: 리브
610: 난간기둥 612: 관통공
620: 난간대
700: 제1지지프레임 710: 제1바닥부
720: 제1지지부 722: 제2배수공
730: 제2지지부 732: 제2배수공
740: 제3지지부 742: 관통공
750: 제4지지부 752: 관통공
800: 제2지지프레임 810: 제2바닥부
820: 제5지지부 822: 관통공
830: 제6지지부 832: 관통공
900: 식생프레임 910: 유공판
912: 제1배수공

Claims (16)

  1.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데크로드(10)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100);
    상기 지주(100) 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멍에(200);
    상기 멍에(200) 위에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 개의 장선(300);
    상기 장선(300) 위에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 개의 데크(400);
    제1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각 상기 지주(100) 또는 멍에(200)와 결합되는 결합부(510) 및 상기 결합부(510)로부터 제2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서 수평면 상에서 상기 멍에(200) 및 데크(400)보다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브라켓(500);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520) 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난간기둥(610);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난간기둥(610)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난간대(620); 및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연장부(520)들에 의해서 지지되며, 내부에 식생토양이 수용되는 식생프레임(900)을 포함하는,
    데크로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지주(100)의 상단부의 상면과 접하는 기초부(512) 및 상기 기초부(512)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지주(100)의 상단부의 제1방향의 양측면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514)와 제2결합부(516)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520)는 상기 기초부(512)로부터 제2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데크로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지주(100)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지주(100)의 상단부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결합부(510) 위에 상기 멍에(200)가 놓이는, 데크로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체결수단(B2)이 상기 난간기둥(610) 및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이 상기 연장부(520) 위에 고정설치되는, 데크로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10)는,
    상기 연장부(52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되는 제1바닥부(710), 상기 제1바닥부(710)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부(720)와 제2지지부(730) 및 상기 제1바닥부(7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지지프레임(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바닥부(710), 제1지지부(720), 제2지지부(7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에 의해 규정되는 제1내부공간(S1)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상기 체결수단(B2)은 상기 제4지지부(750),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상기 제3지지부(740) 및 상기 결합부(510) 위에 놓이는 멍에(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난간기둥(610) 및 제1지지프레임(700)이 상기 연장부(520) 위에 고정설치되는, 데크로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10)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가 상기 연장부(520)의 하면과 접하거나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일단부가 상기 지주(100)와 결합되거나 접해서 상기 연장부(520)를 지지하는 리브(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R)의 상기 다른 일단부는 상기 지주(100)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홈(G)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데크로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프레임(900)은 식생프레임(90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의 제1배수공(912)이 형성된 유공판(910)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판(910) 상의 공간에 상기 식생토양이 수용되는, 데크로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10)는,
    상기 연장부(52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되는 제2바닥부(810) 및 상기 제2바닥부(8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5지지부(820)와 제6지지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지지프레임(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바닥부(810),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방향의 길이가 상기 난간기둥(610)의 제1방향의 폭보다 길고,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2바닥부(810),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에 의해 규정되는 제2내부공간(S2)에 수용되고,
    상기 식생프레임(900)의 제1방향의 단부는 상기 제2내부공간(S2)에 안착되는, 데크로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동일한 체결수단(B2)이 상기 제5지지부(820),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및 상기 제6지지부(83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이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장부(520) 위에 설치되는, 데크로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10)는,
    제1바닥부(710), 상기 제1바닥부(710)의 제1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부(720)와 제2지지부(730) 및 상기 제1바닥부(710)의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지지프레임(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700)은 상기 제2내부공간(S2)에 수용되고,
    상기 제1바닥부(710)는 상기 제2바닥부(810)의 상면과 접하거나 결합되고 상기 제3지지부(740)와 제4지지부(750)는 각각 상기 제5지지부(820) 및 제6지지부(830)와 마주하거나 결합되고,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바닥부(710), 제1지지부(720), 제2지지부(7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에 의해 규정되는 제1내부공간(S1)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70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데크로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동일한 체결수단(B2)이 상기 제5지지부(820), 상기 제3지지부(740),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 상기 제4지지부(750) 및 상기 제6지지부(83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이에 따라 난간기둥(610)이 제5지지부(820), 제6지지부(830), 제3지지부(740) 및 제4지지부(75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장부(520) 위에 설치되는, 데크로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30)의 하단부에는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30)를 제1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배수공(722, 732)이 형성되는, 데크로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6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바닥부(7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데크로드.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및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4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면에 상기 지주(100)를 설치하는 지주설치단계;
    상기 지주(100)의 상단부에 상기 브라켓(500)을 설치하는 브라켓 설치단계;
    상기 결합부(510) 위에 상기 멍에(200)를 설치하는 멍에 설치단계;
    상기 멍에(200) 위에 상기 장선(300)을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
    상기 장선(300) 위에 상기 데크(400)를 설치하는 데크 설치단계;
    상기 연장부(520) 위에 상기 난간기둥(610)을 설치하는 난간기둥 설치단계;
    상기 난간기둥(610)을 연결하는 상기 난간대(620)를 설치하는 난간대 설치단계 및
    상기 연장부(520)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기 식생프레임(900)을 설치하는 식생프레임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16. 삭제
KR1020210114810A 2021-08-30 2021-08-30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373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810A KR102373984B1 (ko) 2021-08-30 2021-08-30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810A KR102373984B1 (ko) 2021-08-30 2021-08-30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984B1 true KR102373984B1 (ko) 2022-03-15

Family

ID=8081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810A KR102373984B1 (ko) 2021-08-30 2021-08-30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9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191B1 (ko) * 2022-04-13 2022-08-11 김지영 산불 방지용 비용접식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600859B1 (ko) * 2023-07-21 2023-11-10 주식회사 나무와나무 조립식 프레임을 이용한 데크 로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20B1 (ko) 2012-01-27 2012-08-21 배대환 난간 폭 확장과 다리 미관성이 개선된 수변 데크로드
KR20140090041A (ko) * 2013-01-08 2014-07-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형 보행통로 시설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152835B1 (ko) * 2020-01-20 2020-09-07 (주)신화 설치가 용이한 충격흡수용 데크로드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20B1 (ko) 2012-01-27 2012-08-21 배대환 난간 폭 확장과 다리 미관성이 개선된 수변 데크로드
KR20140090041A (ko) * 2013-01-08 2014-07-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형 보행통로 시설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152835B1 (ko) * 2020-01-20 2020-09-07 (주)신화 설치가 용이한 충격흡수용 데크로드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191B1 (ko) * 2022-04-13 2022-08-11 김지영 산불 방지용 비용접식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600859B1 (ko) * 2023-07-21 2023-11-10 주식회사 나무와나무 조립식 프레임을 이용한 데크 로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984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105858B1 (ko)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52360B1 (ko)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US10508432B2 (en) Connection for stacking post system for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23036B1 (ko) 고강도 강판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US20150240472A1 (en) Cantilevered structure
KR102315853B1 (ko) 데크용 난간의 설치구조
KR20200033549A (ko) 내식성 및 이탈변형방지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CN210395069U (zh) 一种新型公园通行桥
JP4395030B2 (ja) 戸建住宅
KR102630113B1 (ko) 'ㄷ'자 브라켓이 구비된 난간용 기둥
KR102565872B1 (ko) 목재 데크의 난간 결합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675838B1 (ko) 데크로드 지지 프레임의 체결 구조체
KR102317730B1 (ko) 물탱크 받침용 기초 조립체
KR200496257Y1 (ko) 견고한 시공이 가능한 목재기둥의 조립구조
KR102698460B1 (ko) 판넬 삽입형 지주대
KR102039949B1 (ko) 한식 구조물의 장기둥과 기초부의 연결조립구조
KR102553010B1 (ko) 시공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시스템 데크로드 및 시공방법
KR200472605Y1 (ko) 건축용 기둥
KR200418266Y1 (ko)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KR102216840B1 (ko) 공동주택의 안전난간용 금속구조물
JP4047211B2 (ja) 手摺および手摺ユニット
KR200442130Y1 (ko) 조립식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