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266Y1 -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266Y1
KR200418266Y1 KR2020060001177U KR20060001177U KR200418266Y1 KR 200418266 Y1 KR200418266 Y1 KR 200418266Y1 KR 2020060001177 U KR2020060001177 U KR 2020060001177U KR 20060001177 U KR20060001177 U KR 20060001177U KR 200418266 Y1 KR200418266 Y1 KR 200418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scaffold member
pillars
support rod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옥
Original Assignee
정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옥 filed Critical 정영옥
Priority to KR2020060001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2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놀이시설의 상층으로 발판을 설치하는데 따른 기둥이나, 기둥과 연결되는 횡보 사이에 상호 밀착되는 형태로서 위치시키되, 기둥과 횡보의 외측으로부터 지지봉을 관통한 다음 너트로서 지지봉의 양측을 체결 고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발판을 제공하여 놀이시설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놀이시설에 대한 발판부재가 떨어지거나 유동되는 사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놀이시설, 발판, 기둥, 횡보, 지지봉

Description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foothold for playing facilities}
도 1은 일반적인 놀이시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놀이시설 중 상층부에 적용되는 발판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시설의 발판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판부재 사이에 스페이서 링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둥 11,21: 결합공
20: 횡보 30: 발판부재
31: 통공 40: 지지봉
41: 수나사 50: 노출방지캡
60: 스페이서 링 100: 놀이시설
N: 너트 W: 와셔
본 고안은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놀이시설의 상층을 형성하는 구성요소 중 발판부재를 놀이시설물의 기둥 및 횡보로부터의 설치되는 구조를 개선하여 놀이시설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이용에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대에 놀이시설은 아파트, 공원 등의 부지에 조경물과 함께 시설되는 것으로, 개별적인 구조물보다는 미끄럼틀, 오름 경사판, 사다리, 터널, 흔들다리, 등이 복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물로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정서를 함양하고, 신체발달을 제공하기 위한 차원에서 다양한 구조물을 하나로 연결하여서된 시설물이다.
미끄럼틀 주요 소재로서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소재가 사용되지만, 이외 캐노피, 계단, 발판, 기둥은 친환경소재인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상기 목재로 이용되는 발판의 형성은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놀이시설(100)에서와 같이, 기둥(1)으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상층 횡보에 직사각형의 단면적을 갖는 발판부재(3)를 수개 횡으로 배치시켜 연결하는 구조로서, 상기 발판부재(3)의 양측은 보울트(4)로서 체결 설치되기 위한 결합공(3a)이 형성되고, 상기 횡보(2)에는 결합공(3a)과 일치되어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홈(2a)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발판부재(3)에 형성되는 결합공(3a)을 체결되는 보울트(4) 머리부분이 안내될 수 있도록 단턱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판부재는 각 개당 4개의 결합공 형성으로서, 4개의 보울트의 조립되는 구조로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판 설치구조는 설치시와 설치 이후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이 있다.
발판 설치에 있어서 횡보에 결합공을 수개 형성하고, 발판에 결합공을 형성함으로써, 요소의 결합부위 제작 및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하나의 발판에 대하여 4개 형성된 결합공은 상부로부터 노출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우천시 빗물의 유입으로 인해 결합공 부위가 썩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발판을 형성하는 각 발판부재는 횡보로부터 유동이 심해져, 간극이 벌어지는 폐단이 있고, 심지어는 횡보로부터 빠져 버리는 문제점으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목재로 된 발판 외에 횡보 또한 상기와 같은 점이 점차 발생되므로, 놀이시설의 내구성이 떨어져 궁극적으로는 놀이시설의 붕괴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놀이시설 중 기둥을 지지하는 상층 횡보로부터 각각 배열 설치되는 발판부재의 결합되는 구조를 개선하여 횡보로부터 더욱 내구성을 가지는 형태로 발판부재를 설치하여 발판부재의 안전성을 높이고, 유지보수시 저렴한 비용으로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대응되게 설치되어 놀이시설의 구조물을 세워 지지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 및 상층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 설치는 횡보에 발판부재를 배열 설치하여서 된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나란히 대응되는 기둥 및 횡보의 측면으로부터 등 간격지는 형태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및 횡보가 설치된 간격을 기준으로 다수의 발판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발판부재는 길이방향에 상기 결합공과 일치하는 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기둥과 횡보의 결합공과 함께 발판부재의 통공으로부터 양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지지봉이 관통 설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봉의 수나사에는 와셔와 함께 너트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너트와 함께 지지봉의 일단을 은폐시키는 노출방지캡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시설의 발판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대응되게 설치되어 놀이시설(100)의 구조물을 세워 지지하는 기둥(10)과, 상기 기둥(10) 및 상층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 설치는 횡보(20)에 발판부재(30)를 배열 설치하여서 된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나란히 대응되는 기둥(10) 및 횡보(20)의 측면으로부터 등 간격지는 형태로 결합공(11)(21)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10) 및 횡보(20)가 설치된 간격을 기준으로 다수의 발판부재(30)가 설치되되, 상기 발판부재(30)는 길이방향에 상기 결합공(11)(21)과 일치하는 통공(3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기둥(10)과 횡보(20)의 결합공(11)(21)과 함께 발판부재(30)의 통공(31)으로부터 양단에 수나사(41)가 형성된 지지봉(40)이 관통 설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봉(40)의 수나사(41)에는 와셔(W)와 함께 너트(N)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너트(N)와 함께 지지봉(40)의 일단을 은폐시키는 노출방지캡(50)을 설치하여서 된 구조이다.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재(30)는 소정길이를 갖고, 폭 단면이 정사각형이거나,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부재(30)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된 경우는, 발판부재의 폭 길이방향 상호 밀착되게 설치되도록 한 구조로 설치된다.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판부재 사이에 스페이서 링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상기 기둥(10) 및 횡보(20) 사이에 지지봉(40)으로부터 밀착 관통되는 발판부재(30)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스페이서 링(60)을 포함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링(60)은 발판부재(30)의 간격보정이 용이하도록 탄성을 갖는 우레탄 고무소재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인 놀이시설의 발판부재 설치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놀이시설(100)의 구조물을 조립 설치하기 위해 지상으로부터 세워지는 기둥(10)은 횡보(20)와 함께 발판부재(30)의 설치로서 구조물을 세우고, 이 외, 미끄럼틀, 오름 경사판, 사다리, 터널, 흔들다리 등(도면에서 부호 생략)의 복합 시설물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 기둥(10)과 횡보(20)에 형성된 결합공(11)(21)에 대해 놀이시설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발판부재(30)의 설치는, 시설물에 있어 구간 설치되는데, 상기 세워진 기둥과 횡보로부터 발판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시킨 결합공(11)(21)에 지지봉(40)을 관통하되, 관통되는 지지봉 일단으로부터는 다수의 발판부재(30)를 도 3에서와 같이 밀착하는 형태에서 발판부재(30)에 형성된 통공(31)을 통과시켜 지지봉으로서 발판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을 지지시킨 다음, 다시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기둥, 횡보와 마주하는 기둥(10), 횡보(20)측의 결합공(11)(21)을 완전히 관통하여 지지시켜 준다.
이와 같이, 각 기둥→발판부재→기둥을 관통한 지지봉(40)은 기둥(10) 및 횡보(20)의 결합공(11)(12)의 외측으로부터 양단이 돌출되는 형태로 위치되고, 여기서 와셔(W)와 너트(N)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지지봉(40)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41)를 체결시켜 줌으로써, 발판부재(30)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같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경우는,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된 발판부재(30)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 관통 지지되는 지지봉(40)은 정사각형의 단면적 중앙을 관통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놀이시설의 구성요소인 횡보의 상면에 배열되어 별도의 보울트로 각각 체결 고정되는 방식에 비해 견고함을 더해 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지지봉(40)은 각각 발판부재(30)의 3지점을 관통하여 기둥(10)이나 횡보(20)에 양단이 걸쳐져 지지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발판부재(10)가 제공되는 일류적인 길이에 의하면, 보다 체결이 간결함은 물론, 외부적인 요소(빗물 등)에 의해 연결부위의 취약점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마무리 단계로서, 지지봉(40)이 설치된 양단으로부터는 노출방지캡(50)을 너트(N)와 지지봉(40) 일단 부분에 씌워 고정시켜 줌으로서, 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설치된다.
첨부된 도 5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발판부재(30)를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지지봉(40)을 관통하고, 너트(N)로서 지지봉(40)을 체결 고정한 것으로, 이는 폭이 좁은 직사각형 단면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발판부재(30)의 단면을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밀착시켜 줌으로써 상기 정사각형의 발판부재(30)의 수보다는 많지만, 동일한 보강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서 발판을 구축하도록 함은, 상기 발판부재(30)가 지지봉(40)으로부터 모두 일렬로 관통되는 설치로서, 지지봉(40)으로부터 발판부재(30)의 이탈이나 유동이 없게 되어 안정적인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발판부재(30)는 상호 대응되는 기둥(10) 사이 또는 대응되는 횡보(20) 사이에 설치됨에 있어,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지지봉(40)으로부터는 스페이서 링(60)이 설치된다. 이는 상기 기둥(10)과 횡보(20) 사이에 주어진 간격에 다수의 발판부재(30)를 위치시켜 지지봉(40)으로 관통 밀착시키는데, 가령 발판부재(30)의 밀착된 수의 합이 갖는 폭이 상기 기둥 또는 횡보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때에는 상기 스페이서 링(60)을 이용하여 여유간격만큼 채워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지지봉(40)에 대해 발판부재(30), 스페이서 링(60)을 교호로 두어 틈새를 채우는 형태로서 놀이시설의 발판의 설치를 완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놀이시설의 상층으로 발판을 설치하는데 따른 기둥이나, 기둥과 연결되는 횡보 사이에 상호 밀착되는 형태로서 위치시키되, 기둥과 횡보의 외측으로부터 지지봉을 관통한 다음 너트로서 지지봉의 양측을 체결 고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발판을 제공하여 놀이시설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놀이시설에 대한 발판부재가 떨어지거나 유동되는 사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대응되게 설치되어 놀이시설(100)의 구조물을 세워 지지하는 기둥(10)과, 상기 기둥(10) 및 상층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 설치는 횡보(20)에 발판부재(30)를 배열 설치하여서 된 놀이시설용 발판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나란히 대응되는 기둥(10) 및 횡보(20)의 측면으로부터 등 간격지는 형태로 결합공(11)(21)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10) 및 횡보(20)가 설치된 간격을 기준으로 다수의 발판부재(30)가 설치되되, 상기 발판부재(30)는 길이방향에 상기 결합공(11)(21)과 일치하는 통공(3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기둥(10)과 횡보(20)의 결합공(11)(21)과 함께 발판부재(30)의 통공(31)으로부터 양단에 수나사(41)가 형성된 지지봉(40)이 관통 설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봉(40)의 수나사(41)에는 와셔(W)와 함께 너트(N)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너트(N)와 함께 지지봉(40)의 일단을 은폐시키는 노출방지캡(50)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30)는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30)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의 길이 면이 상호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0) 및 횡보(20) 사이에 지지봉(40)으로부터 밀착 관통되는 발판부재(30)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스페이서 링(60)을 포함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링(60)은 탄성을 갖는 우레탄 고무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KR2020060001177U 2006-01-13 2006-01-13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KR200418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177U KR200418266Y1 (ko) 2006-01-13 2006-01-13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177U KR200418266Y1 (ko) 2006-01-13 2006-01-13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266Y1 true KR200418266Y1 (ko) 2006-06-12

Family

ID=4176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177U KR200418266Y1 (ko) 2006-01-13 2006-01-13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2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514B1 (ko) 2011-09-20 2011-12-22 문현재 어린이용 조립식 놀이대의 발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514B1 (ko) 2011-09-20 2011-12-22 문현재 어린이용 조립식 놀이대의 발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188B1 (ko) 데크로드 구조물
KR102492698B1 (ko) Y형 클립 데크 및 선형에 구애받지 않는 난간이 적용된 풀림방지볼트로 조립하는 교량 구조물
KR102373984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200408340Y1 (ko) 의자겸용난간
KR100509408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200418266Y1 (ko) 놀이시설용 발판부재의 결합구조
EP3833836A1 (en) Facade panel system and method of erecting a multi-storey structure and facade
CN107227839B (zh) 一种集成支撑施工安全平台及安装方法
KR101679315B1 (ko) 조립 방식의 복합 구조물
KR20140093418A (ko) 토목건축용 조립식 친환경 목재
KR100589848B1 (ko) 건축용 베란다 난간의 기초앵커
DE102004045403B4 (de) Stadionbauwerk
KR200339377Y1 (ko) 폴리에틸렌 체결블록을 이용한 도로 경사면 안전점검통로시설
KR20140099579A (ko) 조립형 바닥판
KR100554473B1 (ko) 도로 절토부 비탈면의 조립식 점검로 구조
KR101690504B1 (ko) 난간용 지주와 이를 이용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KR101782970B1 (ko) 데크로드 난간
KR102281533B1 (ko)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0554474B1 (ko) 도로 비탈면 전면부 조립식 점검로 구조
KR101573821B1 (ko) 두겁대의 설치가 용이한 목재형 데크로드 난간
KR100598495B1 (ko) 도로 경사면의 점검로 구조
TWI667391B (zh) Bridge construction lad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79693B1 (ko) 목재 수중 조립식 지주로 구성된 데크 및 목교
KR102057300B1 (ko) 개량형 조립식 안전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