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533B1 -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533B1
KR102281533B1 KR1020210030641A KR20210030641A KR102281533B1 KR 102281533 B1 KR102281533 B1 KR 102281533B1 KR 1020210030641 A KR1020210030641 A KR 1020210030641A KR 20210030641 A KR20210030641 A KR 20210030641A KR 102281533 B1 KR102281533 B1 KR 102281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pylons
cables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21003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2주탑(11, 12) 및 제3, 4주탑(16, 17),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과 인접한 외측에 위치하는 제1, 3지지단(13, 18) 및 제2, 4지지단(14, 19); 제1, 2주탑(11, 12) 각각과 제3, 4주탑(16, 17) 각각을 연결하는 제1, 2메인케이블(21, 22), 제1, 2메인케이블(21, 22) 각각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2행어케이블(23, 24), 각각의 일단부위 및 타단부위 각각이 제1, 2교대(1, 2) 각각에 고정결합되는 지지케이블(26) 및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지지케이블(26) 및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바(31),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에 결합되는 제1, 2난간지주(32, 33), 제1, 2난간지주(32, 34) 사이의 지지케이블(26)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디딤판(34),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의 일단 및 타단부위 각각에 결합되는 제1, 2보조난간지주(35, 36),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2안전발판(36, 38);을 포함하는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Rocking bridge with experience facility in both sid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본 발명은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용자들이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고도를 가지며 보행로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좌우 흔들림과 같은 출렁다리 자체의 경험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보행로 좌우 양측에 마련되는 안전발판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수십미터 하부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공중 부양과 같은 아찔하면서도 짜릿한 경험도 체감하는 것이 가능한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출렁다리는 산이나 계곡, 또는 저수지 등과 같은 지형에 사람들이 건너다닐 수 있도록 매어 놓은 다리로서, 계곡 등의 양측 지면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교대를 준비한 다음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주탑이나 지지구조물을 설치하고, 이 주탑이나 지지구조물에 일정 길이의 케이블이나 와이어를 걸치는 구조로 설치된다.
도 5에 일례로서 개시되어 있는 이러한 구조의 출렁다리는 일정 풍속 이상의 바람에 의해 상판부위가 좌우로 조금씩 흔들리게 되는데,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고도를 가지는 출렁다리의 보행 과정에서 느껴지는 이러한 흔들림은 사람들로 하여금 특별한 경험을 느끼게 해준다.
때문에, 경관이 수려한 산이나 계곡 등에는 다양한 방식의 출렁다리가 앞다투어 설치되어 주요한 관광자원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런데, 전국 각지에 설치되는 출렁다리가 조금씩 그 구조를 달리하고는 있지만, 설치되는 대부분의 출렁다리는 사람들의 통행 외는 어떠한 기능도 전혀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0136248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과 같이 통행이 가능함은 물론 특별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출렁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1, 2교대(1, 2),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1교대(1)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2주탑(11, 12),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1, 2주탑(11, 12) 각각과 대향하며 제2교대(2)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3, 4주탑(16, 17), 제1, 3주탑(11, 16) 각각과 인접한 외측에 위치하여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3지지단(13, 18), 제2, 4주탑(12, 17) 각각과 인접한 외측에 위치하여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4지지단(14, 19); 일단부위는 제1교대(1)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연장되어 제1주탑(11)의 상단 및 제3주탑(16)의 상단을 거쳐 제2교대(2)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1메인케이블(21), 일단부위는 제1교대(1)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연장되어 제2주탑(12)의 상단 및 제4주탑(17)의 상단을 거쳐 제2교대(2)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2메인케이블(22),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메인케이블(21)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행어케이블(23),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2메인케이블(22)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행어케이블(24),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주탑(11, 12) 사이의 제1교대(1) 상면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3, 4주탑(16, 17) 사이의 제2교대(2)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지지케이블(26),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주탑(11)과 제1지지단(13) 사이의 제1교대(1) 상면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3주탑(16)과 제3지지단(18) 사이의 제2교대(2)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제1보조지지케이블(27),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2주탑(12)과 제2지지단(14) 사이의 제1교대(1) 상면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4주탑(17)과 제4지지단(19) 사이의 제2교대(2)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보조지지케이블(28);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지지케이블(26) 및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배치되며 양측 부위 각각이 제1, 2행어케이블(23, 24) 각각의 하단부위에 결합되는 지지바(31), 상호 대향하는 제1, 3주탑(11, 16)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에 결합되는 제1난간지주(32),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주탑(11)의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1난간지주(32)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주탑(16)의 하측부위에 결합되는 제1난간케이블(321), 상호 대향하는 제2, 4주탑(12, 17)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에 결합되는 제2난간지주(33),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2주탑(12)의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2난간지주(33)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4주탑(17)의 하측부위에 결합되는 제2난간케이블(331), 제1, 2난간지주(32, 34) 사이의 지지케이블(26)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디딤판(34), 상호 대향하는 제1, 3지지단(13, 18)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의 일단부위에 결합되는 제1보조난간지주(35), 일측부위는 제1지지단(13)의 상측부위에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1보조난간지주(35)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지지단(18)의 상측부위에 결합되어 이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로프의 일단부위가 체결되는 제1안전케이블(351),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제1보조지지케이블(27)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안전발판(36), 상호 대향하는 제2, 4지지단(14, 19)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의 타단부위에 결합되는 제2보조난간지주(37), 일측부위는 제2지지단(14)의 상측부위에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2보조난간지주(37)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4지지단(19)의 상측부위에 결합되어 이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로프의 일단부위가 체결되는 제2안전케이블(371),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제2보조지지케이블(28)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2안전발판(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단(13)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교대(1)의 상면에는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포스트(41)가 설치되고, 상기 제1포스트(41) 인근에는 제1계단(421)과 제1출발대(422)가 마련되는 제1출발플랫폼(42)이 설치되며, 상기 제3지지단(18)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교대(2)의 상면에는 제1포스트(41)와 대향하는 제1도착플랫폼(43)이 설치되고, 상기 제1포스트(41) 상측부위와 제1도착플랫폼(43) 상측부위는 제1활주케이블(4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지지단(19)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교대(2)의 상면에는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2포스트(46)가 설치되고, 상기 제2포스트(46) 인근에는 제2계단(471)과 제2출발대(472)가 마련되는 제2출발플랫폼(47)이 설치되며, 상기 제2지지단(14)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교대(1)의 상면에는 제2포스트(46)와 대향하는 제2도착플랫폼(48)이 설치되고, 상기 제2포스트(46) 상측부위와 제2도착플랫폼(48) 상측부위는 제2활주케이블(4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1, 2교대(1, 2)를 설치하는 단계;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하는 제1, 2주탑(11, 12) 및 제3, 4주탑(16, 17) 각각을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하는 단계;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과 인접한 외측의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제1, 3지지단(13, 18) 및 제2, 4지지단(14, 19) 각각을 설치하는 단계;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을 제1, 2메인케이블(21, 22)로 연결하는 단계; 각각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메인케이블(21, 22) 각각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 2행어케이블(23, 24)를 설치하는 단계;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주탑(11, 12) 사이의 제1교대(11) 상면에 고정결합시키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3, 4주탑(16, 17) 사이의 제2교대(16) 상면에 고정결합시키는 지지케이블(26)을 설치하는 단계; 각각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3주탑(11, 16) 및 제1, 3지지단(13, 18) 각각 사이의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면에 고정결합시키고, 연장되는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2, 4주탑(12, 17) 및 제2, 4지지단(14, 19) 각각 사이의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면에 고정결합시키는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을 설치하는 단계;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지지케이블(26) 및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배치되며, 양측 부위 각각을 제1, 2행어케이블(23, 24) 각각의 하단부위에 결합시키는 지지바(31)를 설치하는 단계; 상호 대향하는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의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에 결합되는 제1, 2난간지주(32, 33)와, 제1, 2난간지주(32, 34) 사이의 지지케이블(26)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디딤판(34)과, 각각이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주탑(11, 12) 각각의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제1, 2난간지주(32, 33)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 4주탑(16, 17) 각각의 하측부위에 결합되는 제1, 2난간케이블(321, 331)과, 각각이 상호 대향하는 제1, 3지지단(13, 18) 및 제2, 4지지단(14, 19) 각각의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의 일단 및 타단부위 각각에 결합되는 제1, 2보조난간지주(35, 37)와, 각각의 일측부위는 제1, 2지지단(13, 14) 각각의 상측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제1, 2보조난간지주(35, 37)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 4지지단(18, 19) 각각의 상측부위에 결합되어 이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로프의 일단부위가 체결되는 제1, 2안전케이블(351, 371)과, 각각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2안전발판(36, 38)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있다.
이때, 상기 제1, 4지지단(13, 18) 중의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 2교대(1, 2) 중의 어느 하나 상면에는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 2포스트(41, 46) 중의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상기 제1, 2포스트(41, 46) 중의 어느 하나의 인근에는 제1, 2계단(421, 471) 중의 어느 하나와 제1, 2출발대(422, 472) 중의 어느 하나가 마련되는 제1, 2출발플랫폼(42, 47) 중의 어느 하나를 설치하며, 상기 제3, 2지지단(18, 14) 중의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 1교대(2, 1) 중의 어느 하나의 상면에는 제1, 2포스트(41, 46) 중의 어느 하나와 대향하는 제1, 2도착플랫폼(43, 48) 중의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상기 제1, 2포스트(41, 46) 중의 어느 하나의 상측부위와 제1, 2도착플랫폼(43, 48) 중의 어느 하나의 상측부위는 제1, 2활주케이블(44, 49) 중의 어느 하나와 연결시키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렁다리의 보행로 좌우 양측에 별도의 체험시설을 일체로 구성하여, 이용자들은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고도를 가지며 디딤판을 지나가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좌우 흔들림과 같은 출렁다리 자체의 경험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보행로 좌우 양측에 마련되는 안전발판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수십미터 하부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중 부양과 같은 아찔하면서도 짜릿한 경험도 체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로 좌우에 체험시설을 마련한 상태에서 각각의 외측으로 별도의 체험시설을 선택적으로 더 설치하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수십미터의 상공에서 서로 다른 별도의 체험시설을 지그 재그 방식으로 복합적으로 이용하며 지상에서는 느낄 수 없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렁다리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1에서 통행로 좌우에 설치되는 체험시설의 이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f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렁다리의 개략적인 시공 단계도.
도 5는 종래 출렁다리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교대, 주탑 및 지지단, 메인케이블 및 행어케이블 그리고 지지케이블 및 보조지지케이블, 난간지주 및 보조난간지주 그리고 디딤판 및 안전발판을 포함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교대는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1, 2교대(1, 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교대(1, 2)는 일정크기의 면적을 가지며, 각각의 하면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된다.
주탑은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 2주탑(11, 12) 및 제3, 4주탑(16, 17)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상호 대향하며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된다. 주탑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면과 달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단은 주탑과 유사하게 케이블이 고정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1, 3지지단(13, 18) 및 제2, 4지지단(14, 19)으로 이루어진다. 제1, 3지지단(13, 18) 각각은 제1, 3주탑(11, 16) 각각과 인접한 외측에 위치하여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2, 4지지단(14, 19) 각각은 제2, 4주탑(12, 17) 각각과 인접한 외측에 위치하여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된다.
메인케이블은 제1, 2메인케이블(21, 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메인케이블(21)은 그 일단부위가 제1교대(1)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연장되어 제1주탑(11)의 상단 및 제3주탑(16)의 상단을 거쳐 제2교대(2)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된다. 제2메인케이블(22)은 그 일단부위가 제1교대(1)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연장되어 제2주탑(12)의 상단 및 제4주탑(17)의 상단을 거쳐 제2교대(2)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된다.
행어케이블은 제1, 2행어케이블(23, 24)로 이루어져 메인케이블과 연결된다. 제1, 2행어케이블(23, 24) 각각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메인케이블(21, 22) 각각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지지케이블은 도 4b와 같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주탑(11, 12) 사이의 제1교대(1) 상면부위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3, 4주탑(16, 17) 사이의 제2교대(2) 상면부위에 고정결합된다.
보조지지케이블은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4b 각각과 같이,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주탑(11)과 제1지지단(13) 사이의 제1교대(1) 상면부위 및 제2주탑(12)과 제2지지단(14) 사이의 제1교대(1) 상면부위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3주탑(16)과 제3지지단(18) 사이의 제2교대(2) 상면부위 및 제4주탑(17)과 제4지지단(19) 사이의 제2교대(2) 상면부위에 고정결합된다.
지지바(31)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지지케이블(26) 및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배치되며, 양측 부위 각각이 제1, 2행어케이블(23, 24) 각각의 하단부위에 결합된다. 지지바는 H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난간지주는 제1, 2난간지주(32, 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난간지주(32, 33) 각각은 도 2와 같이, 상호 대향하는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의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에 결합된다.
디딤판(34)은 제1, 2난간지주(32, 34) 사이의 지지케이블(26) 상면에 고정결합된다. 디딤판(34)은 출렁다리에 있어 보행로로 기능하며 도면과 같이 통상적인 디딤데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난간케이블은 제1, 2난간케이블(321, 3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1, 2난간케이블(321, 331) 각각은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주탑(11, 12) 각각의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제1, 2난간지주(32, 33)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 4주탑(16, 17) 각각의 하측부위에 결합된다.
보조난간지주는 제1, 2보조난간지주(35, 3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1, 2보조난간지주(35, 37)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제1, 3지지단(13, 18)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지바(31)의 일단부위 및 타단부위 각각에 결합된다.
안전케이블은 제1, 2안전케이블(351, 37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1, 2안전케이블(351, 371) 각각의 일측부위는 제1, 2지지단(13, 14) 각각의 상측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제1, 2보조난간지주(35, 37)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 4지지단(18, 19) 각각의 상측부위에 결합된다.
안전발판은 통상적인 보행로를 제공하는 디딤판(34)과 달리 체험시설의 보행로로 기능하며, 제1, 2안전발판(36, 3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1, 2안전발판(36, 38) 각각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출렁다리는 도 2에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2난간지주에 의해 구획되는 통상적인 보행로가 중앙부위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보행로의 경계를 이루는 제1, 2난간지주 각각의 양측으로는 제1난간지주 및 제1보조난간지주 그리고 제2난간지주 및 제2보조난간지주 각각에 의해 구획된 별도의 체험시설이 마련된다.
이러한 체험시설의 이용 일례가 도 3에 개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이용자는 별도의 안전로프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전로프의 일단부위를 제1안전케이블(351)에 체결한 다음, 제1안전케이블(351)과 제1난간케이블(321)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잡고 제1안전발판(36)을 디디면서 앞으로 나아가면 된다. 도면에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안전발판 하측에는 별도의 안전네트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고도를 가지며 디딤판을 지나가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좌우 흔들림과 같은 출렁다리 자체의 경험을 제공해 줌은 물론, 안전발판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수십미터 하부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중 부양과 같은 아찔하면서도 짜릿한 체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보행로 좌우 중에 어느 하나, 또는 좌우 모두에 안전발판에 의한 체험시설과는 별도 종류인 짚 라인 등과 같은 체험시설이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설치되는 체험시설은 제1, 2포스트(41, 46), 제1, 2출발플랫폼(42, 47), 제1, 2도착플랫폼(43, 48), 제1, 2활주케이블(44, 4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포스트(41, 46) 각각은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제1, 4지지단(13, 19) 각각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면에 설치된다.
제1, 2출발플랫폼(42, 47) 각각은 제1, 2포스트(41, 46) 인근에 설치된다. 제1출발플랫폼(42, 47) 각각에는 제1, 2계단(421, 471)과 제1, 2출발대(422, 471) 각각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2계단(421, 471) 각각은 제1, 2출발플랫폼(42, 47) 각각의 높이에 따라 복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출발대(422, 472) 각각은 제1, 2출발플랫폼(42, 47) 각각의 상측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2도착플랫폼(43, 48) 각각은 제1, 포스트(41, 46) 각각과 대향하며 위치하고, 제3, 2지지단(18, 14) 각각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 1교대(2, 1) 각각의 상면에 설치된다. 제1, 2활주케이블(44, 49) 각각은 제1, 2포스트(41, 46) 각각의 상측부위와 제1, 2도착플랫폼(43, 48) 각각의 상측부위를 연결한다. 활주케이블 각각의 일단부위 또는 양단부위 각각에는 별도의 장력조절수단이 매개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2안전발판(36, 38) 각각의 외측으로 별도의 체험시설이 모두 설치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안전발판의 외측 또는 제2안전발판의 외측 중의 어느 하나에 별도의 체험시설이 설치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보행로 좌우에 체험시설을 마련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험시설을 더 설치하게 되면, 제1안전발판을 따라 제1교대에서 제2교대로 이동한 다음, 제2교대에 설치되어 있는 제2출발플랫폼에서 제2활주케이블을 타고 제1교대에 설치되어 있는 제2도착플랫폼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즉, 출렁다리를 따라 보행한 다음에 별도의 체험시설을 지그 재그 방식으로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쳐 시공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f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4a와 같이 상호 대향하며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1, 2교대(1, 2)를 설치한다. 제1, 2교대(1, 2)가 설치되면, 제1, 2주탑(11, 12) 및 제3, 4주탑(16, 17) 각각을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한다. 이때, 제1, 2주탑(11, 12) 및 제3, 4주탑(16, 17) 각각은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3지지단(13, 18) 및 제2, 4지지단(14, 19) 각각을 설치한다. 제1, 3지지단(13, 18) 및 제2, 4지지단(14, 19) 각각은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과 인접한 외측의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때, 제1, 4지지단(13, 18) 중의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 2교대(1, 2) 중의 어느 하나 상면에는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 2포스트(41, 46) 중의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a에는 이 중에서 제1, 2포스트(41, 46) 모두가 설치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제1, 2교대(1, 2) 각 상면에 구조물들이 설치되면 이들 각각을 도 4b와 같이 각종 케이블로서 연결한다.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은 제1, 2메인케이블(21, 22)로 연결한다. 제1, 2메인케이블(21, 22) 각각의 단부는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 2교대(1, 2) 각 상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2메인케이블(21, 22) 각각에는 제1, 2행어케이블(23, 24)이 설치된다. 제1, 2행어케이블(23, 24) 각각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메인케이블(21, 22) 각각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다음으로, 지지케이블(26) 및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을 연결한다. 지지케이블(26)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주탑(11, 12) 사이의 제1교대(11) 상면에 고정결합시키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3, 4주탑(16, 17) 사이의 제2교대(16) 상면에 고정결합시킨다.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 역시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3주탑(11, 16) 및 제1, 3지지단(13, 18) 각각 사이의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면에 고정결합시키고, 연장되는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2, 4주탑(12, 17) 및 제2, 4지지단(14, 19) 각각 사이의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면에 고정결합시킨다. 도면에는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이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각종 케이블들이 연결되거나 설치되면, 출렁다리의 지지바(31), 디딤판(34), 제1, 2안전발판(36, 38) 등을 포함하는 상판구조물을 설치한다. 도 4c와 같이, 지지바(31)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지지케이블(26) 및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때, 지지바(31)의 양측 부위 각각은 제1, 2행어케이블(23, 24) 각각의 하단부위에 결합된다. 지지바(31)와 제1, 2행어케이블(23, 24) 각각의 결합부위는 제1, 2안전발판(36, 38)의 설치를 위한 일정 폭을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바(31)가 설치되면, 제1, 2난간지주(32, 33)를 설치한다. 제1, 2난간지주(32, 33)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의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 상측부위에 결합된다.
제1, 2난간지주(32, 33)가 위치하면, 제1, 2난간지주(32, 34) 사이의 지지케이블(26) 상면에 디딤판(34)을 고정결합하고, 제1, 2난간케이블(321, 331)을 설치하여 출렁다리의 보행로를 구성한다.
제1, 2난간케이블(321, 331) 각각은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주탑(11, 12) 각각의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제1, 2난간지주(32, 33)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 4주탑(16, 17) 각각의 하측부위에 결합된다.
디딤판(34) 및 제1, 2난간케이블(321, 331)에 의해 보행로가 구성되면, 보행로 좌우 양측 각각에 제1, 2안전발판(36, 38) 및 제1, 2보조난간지주(35, 37), 제1, 2안전케이블(351, 3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험시설을 설치한다.
제1, 2보조난간지주(35, 37)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제1, 3지지단(13, 18) 및 제2, 4지지단(14, 19) 각각의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의 일단 및 타단부위 각각에 결합된다.
제1, 2안전발판(36, 38) 각각은 도 4d와 같이, 각각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1, 2안전케이블(351, 371) 각각은 그 일측부위가 제1, 2지지단(13, 14) 각각의 상측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제1, 2보조난간지주(35, 37)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 4지지단(18, 19) 각각의 상측부위에 결합된다.
보행로 좌우 양측부위에 체험시설이 설치되면, 전술한 제1, 2포스트(41, 46)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한 별도의 체험시설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2포스트(41, 46) 모두를 이용한 별도의 체험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도 4e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포스트(41, 46) 각각의 인근 및 제3, 2지지단(18, 14) 각각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 1교대(2, 1) 각각의 상면에 제1, 2출발플랫폼(42, 47) 및 제1, 2도착플랫폼(43, 48) 각각을 설치한다.
제1, 2출발플랫폼(42, 47) 각각은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각각에는 제1, 2계단(421, 471) 및 제1, 2출발대(422, 472)가 마련된다. 제1, 2도착플랫폼(43, 48) 각각은 제1, 2포스트(41, 46) 각각과 대향한다. 이때, 제1, 2출발플랫폼(42, 47) 각각은 제1, 2도착플랫폼(43, 48)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출발플랫폼(42, 47) 및 제1, 2도착플랫폼(43, 48) 각각이 설치되면, 도 4f와 같이 제1, 2포스트(41, 46) 각각의 상측부위와 제1, 2도착플랫폼(43, 48) 각각의 상측부위를 제1, 2활주케이블(44, 49)로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출렁다리의 보행로 좌우 양측에는 서로 다른 체험시설이 중복하여 마련되며 시공은 완료된다. 도면에는 출렁다리의 보행로 좌우 양측 각각에 서로 다른 체험시설이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보행로 좌우 양측 중의 어느 한쪽에 서로 다른 체험시설 한 쌍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2 : 제1, 2교대 11, 12, 16, 17 : 제1, 2, 3, 4주탑
13, 14, 18, 19 : 제1, 2, 3, 4지지단
21, 22 : 제1, 2메인케이블 23, 24 : 제1, 2행어케이블
26 : 지지케이블 27, 28 : 제1, 2보조지지케이블
31 : 지지바 32, 33 : 제1, 2난간지주
34 : 디딤판 35, 36 : 제1, 2보조난간지주
37, 38 : 제1, 2안전발판 41, 46 : 제1, 2포스트
42, 47 : 제1, 2출발플랫폼 43, 48 : 제1, 2도착플랫폼
44, 49 : 제1, 2활주케이블

Claims (5)

  1.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1, 2교대(1, 2),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1교대(1)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2주탑(11, 12),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1, 2주탑(11, 12) 각각과 대향하며 제2교대(2)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3, 4주탑(16, 17), 제1, 3주탑(11, 16) 각각과 인접한 외측에 위치하여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3지지단(13, 18), 제2, 4주탑(12, 17) 각각과 인접한 외측에 위치하여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4지지단(14, 19);
    일단부위는 제1교대(1)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연장되어 제1주탑(11)의 상단 및 제3주탑(16)의 상단을 거쳐 제2교대(2)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1메인케이블(21), 일단부위는 제1교대(1)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연장되어 제2주탑(12)의 상단 및 제4주탑(17)의 상단을 거쳐 제2교대(2)의 상측 후방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2메인케이블(22),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메인케이블(21)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행어케이블(23),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2메인케이블(22)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행어케이블(24),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주탑(11, 12) 사이의 제1교대(1) 상면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3, 4주탑(16, 17) 사이의 제2교대(2)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지지케이블(26),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주탑(11)과 제1지지단(13) 사이의 제1교대(1) 상면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3주탑(16)과 제3지지단(18) 사이의 제2교대(2)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제1보조지지케이블(27),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2주탑(12)과 제2지지단(14) 사이의 제1교대(1) 상면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4주탑(17)과 제4지지단(19) 사이의 제2교대(2)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보조지지케이블(28);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지지케이블(26) 및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배치되며 양측 부위 각각이 제1, 2행어케이블(23, 24) 각각의 하단부위에 결합되는 지지바(31), 상호 대향하는 제1, 3주탑(11, 16)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에 결합되는 제1난간지주(32),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주탑(11)의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1난간지주(32)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주탑(16)의 하측부위에 결합되는 제1난간케이블(321), 상호 대향하는 제2, 4주탑(12, 17)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에 결합되는 제2난간지주(33),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2주탑(12)의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2난간지주(33)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4주탑(17)의 하측부위에 결합되는 제2난간케이블(331), 제1, 2난간지주(32, 34) 사이의 지지케이블(26)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디딤판(34), 상호 대향하는 제1, 3지지단(13, 18)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의 일단부위에 결합되는 제1보조난간지주(35), 일측부위는 제1지지단(13)의 상측부위에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1보조난간지주(35)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지지단(18)의 상측부위에 결합되어 이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로프의 일단부위가 체결되는 제1안전케이블(351),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제1보조지지케이블(27)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안전발판(36), 상호 대향하는 제2, 4지지단(14, 19)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의 타단부위에 결합되는 제2보조난간지주(37), 일측부위는 제2지지단(14)의 상측부위에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2보조난간지주(37)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4지지단(19)의 상측부위에 결합되어 이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로프의 일단부위가 체결되는 제2안전케이블(371),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제2보조지지케이블(28)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2안전발판(38);을
    포함하는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단(13)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교대(1)의 상면에는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포스트(41)가 설치되고, 상기 제1포스트(41) 인근에는 제1계단(421)과 제1출발대(422)가 마련되는 제1출발플랫폼(42)이 설치되며, 상기 제3지지단(18)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교대(2)의 상면에는 제1포스트(41)와 대향하는 제1도착플랫폼(43)이 설치되고, 상기 제1포스트(41) 상측부위와 제1도착플랫폼(43) 상측부위는 제1활주케이블(44)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지지단(19)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교대(2)의 상면에는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2포스트(46)가 설치되고, 상기 제2포스트(46) 인근에는 제2계단(471)과 제2출발대(472)가 마련되는 제2출발플랫폼(47)이 설치되며, 상기 제2지지단(14)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교대(1)의 상면에는 제2포스트(46)와 대향하는 제2도착플랫폼(48)이 설치되고, 상기 제2포스트(46) 상측부위와 제2도착플랫폼(48) 상측부위는 제2활주케이블(49)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4.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1, 2교대(1, 2)를 설치하는 단계;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하는 제1, 2주탑(11, 12) 및 제3, 4주탑(16, 17) 각각을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설치하는 단계;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과 인접한 외측의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측에 제1, 3지지단(13, 18) 및 제2, 4지지단(14, 19) 각각을 설치하는 단계;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을 제1, 2메인케이블(21, 22)로 연결하는 단계;
    각각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메인케이블(21, 22) 각각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 2행어케이블(23, 24)를 설치하는 단계;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주탑(11, 12) 사이의 제1교대(11) 상면에 고정결합시키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제3, 4주탑(16, 17) 사이의 제2교대(16) 상면에 고정결합시키는 지지케이블(26)을 설치하는 단계;
    각각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3주탑(11, 16) 및 제1, 3지지단(13, 18) 각각 사이의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면에 고정결합시키고, 연장되는 각각의 타단부위는 제2, 4주탑(12, 17) 및 제2, 4지지단(14, 19) 각각 사이의 제1, 2교대(1, 2) 각각의 상면에 고정결합시키는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을 설치하는 단계;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지지케이블(26) 및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배치되며, 양측 부위 각각을 제1, 2행어케이블(23, 24) 각각의 하단부위에 결합시키는 지지바(31)를 설치하는 단계;
    상호 대향하는 제1, 3주탑(11, 16) 및 제2, 4주탑(12, 17) 각각의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에 결합되는 제1, 2난간지주(32, 33)와, 제1, 2난간지주(32, 34) 사이의 지지케이블(26)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디딤판(34)과, 각각이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부위는 제1, 2주탑(11, 12) 각각의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제1, 2난간지주(32, 33)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 4주탑(16, 17) 각각의 하측부위에 결합되는 제1, 2난간케이블(321, 331)과, 각각이 상호 대향하는 제1, 3지지단(13, 18) 및 제2, 4지지단(14, 19) 각각의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지바(31)의 일단 및 타단부위 각각에 결합되는 제1, 2보조난간지주(35, 37)와, 각각의 일측부위는 제1, 2지지단(13, 14) 각각의 상측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부위는 제1, 2보조난간지주(35, 37) 각각과 결합되며 연장되어 제3, 4지지단(18, 19) 각각의 상측부위에 결합되어 이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로프의 일단부위가 체결되는 제1, 2안전케이블(351, 371)과, 각각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제1, 2보조지지케이블(27, 28) 각각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2안전발판(36, 38)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4지지단(13, 18) 중의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 2교대(1, 2) 중의 어느 하나 상면에는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 2포스트(41, 46) 중의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상기 제1, 2포스트(41, 46) 중의 어느 하나의 인근에는 제1, 2계단(421, 471) 중의 어느 하나와 제1, 2출발대(422, 472) 중의 어느 하나가 마련되는 제1, 2출발플랫폼(42, 47) 중의 어느 하나를 설치하며, 상기 제3, 2지지단(18, 14) 중의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 1교대(2, 1) 중의 어느 하나의 상면에는 제1, 2포스트(41, 46) 중의 어느 하나와 대향하는 제1, 2도착플랫폼(43, 48) 중의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상기 제1, 2포스트(41, 46) 중의 어느 하나의 상측부위와 제1, 2도착플랫폼(43, 48) 중의 어느 하나의 상측부위는 제1, 2활주케이블(44, 49) 중의 어느 하나와 연결시키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의 시공방법.
KR1020210030641A 2021-03-09 2021-03-09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28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641A KR102281533B1 (ko) 2021-03-09 2021-03-09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641A KR102281533B1 (ko) 2021-03-09 2021-03-09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533B1 true KR102281533B1 (ko) 2021-07-26

Family

ID=7712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641A KR102281533B1 (ko) 2021-03-09 2021-03-09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53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11A (ja) * 1994-07-06 1996-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長大橋の補剛桁
KR101473755B1 (ko) * 2014-02-21 2014-12-19 (주)에스엘인더스트리 이동식 짚라인 장치
KR101556968B1 (ko) * 2014-07-04 2015-10-06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KR101664990B1 (ko) * 2016-05-30 2016-10-11 (주)신흥이앤지 모듈로 조립되는 복합 터널 방식 교량
KR101834243B1 (ko) * 2017-05-17 2018-03-05 주식회사 창성디앤씨 비보강형 현수교 설치구조
KR102110717B1 (ko) * 2019-07-29 2020-06-08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케이블 보도교용 케이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보도교
KR20200136248A (ko) 2019-05-27 2020-12-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11A (ja) * 1994-07-06 1996-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長大橋の補剛桁
KR101473755B1 (ko) * 2014-02-21 2014-12-19 (주)에스엘인더스트리 이동식 짚라인 장치
KR101556968B1 (ko) * 2014-07-04 2015-10-06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KR101664990B1 (ko) * 2016-05-30 2016-10-11 (주)신흥이앤지 모듈로 조립되는 복합 터널 방식 교량
KR101834243B1 (ko) * 2017-05-17 2018-03-05 주식회사 창성디앤씨 비보강형 현수교 설치구조
KR20200136248A (ko) 2019-05-27 2020-12-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
KR102110717B1 (ko) * 2019-07-29 2020-06-08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케이블 보도교용 케이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보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159B1 (ko)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JP2009036014A (ja) 歩道橋
KR101442558B1 (ko) 복합 체험 시설물
KR102022083B1 (ko) 복합 지지 구조의 케이블 현수 보도교
KR102281533B1 (ko)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230453B1 (ko) 복수 개의 지지와이어 및 단일의 윈드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1794745B1 (ko) 비대칭 사장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반원형의 하늘길 교량
KR102232982B1 (ko) 트러스 구조를 갖는 내풍향상형 장지간 케이블 보도 현수교
KR102230445B1 (ko) 복수 개의 지지와이어 및 상하 가동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구조의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CN107227839B (zh) 一种集成支撑施工安全平台及安装方法
KR102232680B1 (ko) 체험시설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RU2476652C2 (ru) Строительные леса, в которых рамы перил имеют секции стоек
CN215670884U (zh) 一种装配式建筑楼梯间操作平台
KR20200136248A (ko)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
KR102257655B1 (ko) 체험시설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거더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79315B1 (ko) 조립 방식의 복합 구조물
JP2932139B2 (ja) 吊橋の高欄構造
KR102222009B1 (ko)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CN209967664U (zh) 一种网兜桥
CN219386003U (zh) 一种具有拱形栏杆的桥梁
KR200371027Y1 (ko) 조합놀이대
KR102542385B1 (ko)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 방법
RU2327003C1 (ru) Комплекс разделителей пересекающихся на дорогах транспортных и пешеходных потоков
JPH07317019A (ja) 小規模吊橋
CN213572717U (zh) 一种楼梯栏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