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968B1 -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968B1
KR101556968B1 KR1020140083824A KR20140083824A KR101556968B1 KR 101556968 B1 KR101556968 B1 KR 101556968B1 KR 1020140083824 A KR1020140083824 A KR 1020140083824A KR 20140083824 A KR20140083824 A KR 20140083824A KR 101556968 B1 KR101556968 B1 KR 10155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able
bottom plate
lower main
segment bottom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훈
김윤칠
임호빈
서용교
강성일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Priority to KR102014008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된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가설된 지지대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는 하측 주케이블과;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되,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비하여 높은 위치로 설치하는 상측 주케이블과; 상기 지지대 사이의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과, 상기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측 주케이블에 상부가 연결 설치되는 난간 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보도 현수교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측 주케이블과, 하측 주케이블과, 세그먼트 바닥판과, 보도 현수교의 교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난간 기둥이 구조 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주변 경관을 해치는 주탑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 친환경적인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SUSPENSION PEDESTRIAN BRIDGE INTEGRATED WITH PARAPET USING PARAPET CABL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도 현수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관을 해치는 주탑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활하중 및 풍하중에 대하여 안정된 구조를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주면서도, 제진 성능이 우수하고, 소수의 인원으로도 빠른 시일 내에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이나 계곡에 설치되는 보도 현수교는 구름다리라는 명칭으로 널리 불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이나 계곡(8)의 양측을 통행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보도 현수교(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하고자 하는 양측에 콘크리트 블록(10)으로 교대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 블록(10)에 현수교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주탑(20)을 세우고, 콘크리트 블록(10)이나 지반에 단부가 고정되도록 주케이블(30)을 주탑(20)에 걸쳐지게 설치한 후, 주케이블(20)로부터 행어 케이블(50)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사용자가 통행하는 바닥판(40)을 지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나서, 바닥판(40)에 난간 기둥(60)을 설치하고 난간 기둥(60)의 사이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펜스(65)를 설치하여, 보도 현수교가 시공된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되는 종래의 보도 현수교(1)는, 산이나 계곡에 하중을 지지하는 주탑(20)이 높은 높이로 설치됨에 따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해치는 원인이 되어, 친환경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산이나 계곡에서는 평지에 비하여 바람이 세게 불어 풍하중(W)이 크게 작용하는데, 행어 케이블(50)이 강재 거더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압축 변위를 지지하지 못하여) 휨 변위가 자유로운 케이블로 형성됨에 따라, 바닥판(4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70)에 대하여 행어 케이블(50)이 힌지(70a) 형태로 작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미 설치된 바닥판(40)에 설치되는 난간 기둥(60)도 역시 바닥판(40)에 대하여 회전 변위(60r)가 허용하게 설치되므로, 풍하중(W)에 따라 보도 현수교(1)가 흔들리는 정도에 따라 바닥판(40)과 사용자가 붙잡고 있는 난간 사이에 각도가 변동되어, 사용자가 불안한 상태로 교량을 통행할 수 밖에 없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보도 현수교는 바닥판(40)이 행어 케이블(50)에 의하여 지지되게 설치되므로, 주케이블(30)로부터 행어 케이블(50)을 연결하는 공정과, 행어 케이블(50)에 지지되게 바닥판(40)을 설치하는 시공이 공중에서 행해질 수 밖에 없으므로 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변 경관을 해치는 주탑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활하중 및 풍하중에 안정된 구조의 친환경적인 보도 현수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풍하중에 의하여 교량이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사용자가 발을 딛고 있는 바닥판과 난간 사이의 변위가 구속됨으로써, 불안감을 최소화하면서 통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현장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도 현수교를 이루는 부재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보도 현수교의 시공에 소요되는 재료비 및 시공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서로 이격된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가설된 지지대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는 하측 주케이블과;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되,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비하여 높은 위치로 설치하는 상측 케이블과; 상기 지지대 사이의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과, 상기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측 케이블에 상부가 연결 설치되는 난간 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를 제공한다.
이 때, 상측 케이블은 하측 주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충분히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구조 부재로 작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통행하고자 이격된 2 위치의 양단부에 지지대를 가설한 후, 서로 다른 높이로 하중을 지지하는 상측 주케이블과 하측 주케이블을 연결하고, 세그먼트 바닥판을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면서, 난간 기둥이 세그먼트 바닥판과 일체로 거동하게 세그먼트 바닥판에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측 주케이블에 연결 설치되게 구성됨으로써, 보도 현수교에 작용하는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을 모두 포함함)을 상측 주케이블과, 하측 주케이블과, 보도 현수교의 교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난간 기둥이 구조 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주변 경관을 해치는 주탑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보도 현수교를 시공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수의 난간 기둥이 세그먼트 바닥판에 일체로 고정되어 함께 거동함에 따라, 풍하중에 의하여 보도 현수교가 좌우로 출렁이더라도, 사용자가 발을 딛고 있는 바닥판과 난간 사이의 변위가 구속되어, 교량을 횡단하고 있는 사용자의 발과 난간 손잡이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과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횡단하고 있는 사용자가 무게 중심을 잃고 넘어지려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풍하중에도 안락한 횡단을 보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현수교와 대비하여 상측 주케이블이 주탑에 얹혀지는 주케이블의 역할을 하지만, 교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난간 기둥이 바닥판에 작용하는 고정 하중과 활하중을 상측 주케이블에 전달하는 종래의 행어 케이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난간 기둥 자체로 하중에 저항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구조계를 구현할 수 있다.
동시에, 본 발명은 난간 기둥을 상측 주케이블에 연결하는 공정에 의하여 종래의 행어 케이블을 설치하고 별도의 난간을 설치하는 공정을 대체하므로, 시공이 종래에 비하여 단순화되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 주케이블이 지지대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에 의해 안내되어, 하측 주케이블과 정해진 상하 간격을 두고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은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를 통해, 교량의 경간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세그먼트 바닥판을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의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난간 기둥이 세그먼트 바닥판과 하나로 일체 거동하도록 세그먼트 바닥판과 미리 고정시키고,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 펜스를 함께 고정시킨 상태에서, 세그먼트 바닥판을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함으로써, 계곡 상측의 높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난간 기둥과 안전 펜스가 세그먼트 바닥판에 미리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측 주케이블 상의 세그먼트 바닥판 상에서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결하고자 하는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지지대를 가설하는 지지대 가설단계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하측 주케이블을 연결 설치하는 하측 주케이블 설치단계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상측 케이블을 연결하되, 상기 상측 케이블이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비하여 더 높은 위치에 배열되게 설치하는 상측 케이블 설치단계와; 미리 제작된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을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하여, 교량의 통행 경로를 설치하는 바닥판 설치단계와;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과 함께 거동하도록 설치된 난간 기둥의 상단부를 상기 주케이블과 연결하는 난간 연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즉, 하중을 지지하는 주 케이블을 하측에만 배치하고 상측에는 핸드로프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얇은 케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상측 케이블도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주케이블로 형성된 상측 주케이블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측 주케이블 설치단계 이전에, 상기 하측 주케이블과 상기 상측 주케이블의 높이 차이를 상기 난간 기둥의 상단부 높이로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측 주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하측 주케이블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바닥판 설치단계 이전에, 미리 제작된 다수의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상기 난간 기둥이 세그먼트 바닥판과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난간 기둥과 안전 펜스를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설치하는 난간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닥판 설치단계는 상기 난간이 고정 설치된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을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한다. 이를 통해, 공중에서의 작업 공수를 최소화하여 현장에서의 시공 시간을 단축하면서, 세그먼트 바닥판 상에서의 작업자의 추락을 안전 펜스에 의하여 예방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 설치단계는, 상기 하측 주케이블이 설치된 간격의 바퀴를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설치한 다음에, 상기 바퀴가 상기 하측 주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을 정해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바닥판을 의도한 위치로 하측 주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에, 세그먼트 바닥판과 하측 주케이블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퀴는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의 설치에 재사용된다.
한편, 상기 바닥판 설치단계에서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을 이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미리 마련되어 있는 걸림 고리에 윈치로부터 연장된 고리를 걸고, 상기 윈치를 감아 윈치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을 상기 하측 주케이블 상을 따라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케이블'이라는 용어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세그먼트 바닥판'은 다수의 분절 블록이 종방향(교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바닥판의 일부 이상을 형성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세그먼트 바닥판'이라는 용어에 의하여 하측 주케이블에 거치되는 세그먼트 바닥판의 길이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세그먼트 바닥판'은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분절 블록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강재로 이루어진 분절 블록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콘크리트와 강재가 합성된 형태의 분절 블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면에 철재나 목재 등으로 포장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지지대는 교대로서 설치된 형태 뿐만 아니라 교대 상에 별도로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철근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재를 주재료로 하여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들이 산이나 계곡을 너머 통행하는 구름다리 형태의 보도 현수교를 시공함에 있어서, 통행하고자 하는 이격 위치에 지지대를 가설하고, 서로 다른 높이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상측 주케이블과 하측 주케이블을 연결하고, 세그먼트 바닥판을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면서, 난간 기둥이 세그먼트 바닥판과 일체로 거동하게 세그먼트 바닥판에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측 주케이블에 연결 설치되게 구성됨으로써, 보도 현수교에 작용하는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을 모두 포함함)을 상측 주케이블과, 하측 주케이블과, 세그먼트 바닥판과, 보도 현수교의 교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난간 기둥이 구조 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주변 경관을 해치는 주탑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 친환경적인 보도 현수교를 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난간 기둥이 세그먼트 바닥판과 일체로 고정되고 쉽게 휘지 않는 구조 부재로 작용함에 따라, 풍하중에 의하여 보도 현수교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사용자의 발이 딛고 있는 바닥판과 난간 기둥 사이의 변위가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교량을 횡단하고 있는 사용자의 발과 난간 손잡이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과의 위치 및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횡단하고 있는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가 따로 움직이면서 무게 중심을 잃고 넘어지지 않게 되어, 풍하중에도 안락한 횡단을 보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 주케이블이 주탑에 얹혀지는 주케이블의 역할을 하지만, 교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난간 기둥이 바닥판에 작용하는 고정 하중과 활하중을 상측 주케이블에 전달하는 종래의 행어 케이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난간 기둥 자체로 하중에 저항하는 구조 부재로 작용하므로, 종래에 행어 케이블과 난간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였던 시공 절차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으면서, 상측 주케이블이 난간의 높이로 낮게 배치됨에 따라 종래 보도 현수교의 주탑도 제거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기도 하며, 통행하는 사용자의 자중에 의한 활하중과 바닥판 등의 고정 하중을 상측 주케이블에 의해 정확하게 힘을 분배하여 지지하게 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은 콘크리트 또는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되어 설치됨으로써, 현장에서의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세그먼트 바닥판을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공정에서, 난간 기둥을 세그먼트 바닥판과 하나로 일체 거동하게 세그먼트 바닥판과 미리 고정시키고, 난간 기둥이나 세그먼트 바닥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 펜스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세그먼트 바닥판을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함으로써, 계곡 상측의 높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안전 펜스의 설치 작업을 지상에서 할 수 있게 되어 시공 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세그먼트 바닥판의 설치 이후에 행해지는 난간 기둥과 상측 주케이블을 연결하는 시공 공정에서 작업자가 안전 펜스에 의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도1은 산이나 계곡에 설치되는 종래의 보도 현수교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의 'A'부분의 확대도,
도5는 도3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
도6은 도3의 'B'부분의 확대도,
도7a 내지 도7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에 따른 구성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8은 도3의 보도 현수교에 풍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 따른 거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1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100)는 계곡 등을 가로질러 연결하고자 하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위치에 설치된 지지대(110)와, 서로 이격된 지지대(110)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된 하측 주케이블(130)과, 하측 주케이블(130)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지지대(110)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된 상측 주케이블(120)과, 하측 주케이블(13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통행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140)과,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세그먼트 바닥판(140)과 일체 고정된 난간 기둥(150)과, 난간 기둥(150)에 고정되어 통행로의 바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펜스(160)와, 하측 주케이블(130)과 상측 주케이블(120)을 고정시키면서 상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가이드 프레임(1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10)는 교대의 교좌 장치 상에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그 자체로 교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대(110)는 주로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강재로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거나, 강재 프레임과 콘크리트 구조물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반 상태에 따라 지지대(110)는 암반층까지 강봉으로 연장되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상측 주케이블(120)은 하측 주케이블(130)로부터 정해진 높이(H)만큼 이격되어 서로 이격된 지지대(110)를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정해진 높이(H)는 대략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높이와, 난간 기둥(150)의 높이의 합으로 정해진다. 상측 주케이블(120)은 난간 기둥(150)이 배열되는 바닥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2열로 배열되고, 난간 기둥(15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교량을 통행하는 통행인의 핸드레일의 역할을 한다. 상측 주케이블(120)은 얇은 케이블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고정 하중 및 활하중을 지지하는 구조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각 열의 상측 주케이블(120)이 1개의 케이블로 형성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각 열의 상측 주케이블(120)은 2개 이상의 케이블이 함께 배열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측 주케이블(120)은 직선 형태로 지지대(110)의 사이를 연결하게 설치될 수도 있지만,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하방 만곡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주케이블(130)은 지지대(110)의 바닥면에 위치한 대략 수평 자세로 설치된 하측 고정대(1903)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연결된다. 하측 주케이블(130)은 직선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지만, 상측 주케이블(120)과 마찬가지로 자중에 따라 자연스럽게 하향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주케이블(130)은 적어도 2열 이상이 배치되어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양측 저면에서 지지하는 구조 부재로 작용한다. 하측 주케이블(130)은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양측 저면 이외에 중앙부에도 배치(130')되어 3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측 주케이블(120)과 하측 주케이블(130)을 고정하는 고정대(1902, 190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턴버클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주케이블(120, 130)에 인가하는 장력을 시공시 뿐만 아니라 시공이 완료되어 교량의 사용 중에도 조절하기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하측 주케이블(120, 130)이 출렁거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댐퍼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140)은 현장에서 제작될 수도 있지만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나, 철재나, 목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미리 제작되어, 운송 수단에 의하여 현장으로 운반된다. 이를 위하여 세그먼트 바닥판(140)은 대략 2m ~ 5m 정도의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하측 주케이블(130) 상에 거치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세그먼트 바닥판(140)은 지지대(110) 사이의 공간을 일렬로 채워, 사용자가 통행하는 통행로를 상면에 형성한다.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미끄럼없이 통행하기 편리한 판면(145)이 적층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측 주케이블(130)의 하향 만곡 기울기에 따라 계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세그먼트 바닥판(140)은 1차적으로 하측 주케이블(130)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측 주케이블(130)과 분리되지 않도록 U자형 고리부재(149)로 하측 주케이블(130)과 나사체결 형태의 너트(149a)로 고정된다. 여기서, U자형 고리부재(149)로 세그먼트 바닥판(140)과 하측 주케이블(130)을 연결하는 위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축 방향을 따라 하나의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대하여 다수로 정해진다. 여기서, 안전 펜스(160)를 포함하여 유지 관리가 구성들(예를 들어, U자형 고리부재(149)와 고정 너트(149a)의 체결 구성 등)에 대해서는, 교량에 사용되는 체결 부재는 바람이나 활하중 등에 의하여 볼트와 너트의 이완 또는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풀림방지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난간 기둥(150)은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대하여 회전 변위가 발생되지 않고 일체로 거동하는 형태로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미리 난간 기둥(150)을 수용하는 구멍이나 홈이 형성되어 끼우는 형태를 포함하여 결합되거나, 난간 기둥(150)의 저면이 다수의 볼트체결이나 용접에 의하여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고정된다.
난간 기둥(150)이 상측 주케이블(120)과 U자형 고리부재(155)로 나사체결 형태의 너트(155a)로 고정되어, 상측 주케이블(120)은 통행인이 잡고 통행하는 것을 보조하는 난간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상측 주케이블(120)은 난간 기둥(140)의 상단부와 고정됨에 따라, 세그먼트 바닥판(140)이 2차적으로 상측 주케이블(120)에 의하여 지지되게 한다.
이 때, 난간 기둥(150)은 인장력 뿐만 아니라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는 (휨 변형에 저항할 수 있는) I자, ㅁ자 등의 단면의 강재로 형성되어, 축력 뿐만 아니라 휨 변위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으므로, 상측 주케이블(120)과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사이에 축력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세그먼트 바닥판(1400과 함께 거동하여 높은 비틀림 강성을 갖게 된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하중(W) 등의 수평 방향의 활하중에 의하여 교량(100)의 바닥판(140)이 수평 방향(x')으로 이동하더라도, 기둥 부재(150)가 바닥판(140)과 이루는 각도(y)가 그대로 유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행인의 발이 닿고 있는 바닥면(140)과 통행인의 손이 잡고 있는 난간 기둥(150)이 함께 회전함으로써, 통행인의 상반신과 하반신이 따로 움직임에 따라 균형이 무너져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특히, 내풍 케이블을 사용하는 대신에 휨 강성을 갖는 난간 기둥(150)으로 상부 주케이블(120)과 하부 주케이블(130)을 구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교량 단면에 비틀림 강성이 증대되어 구조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난간 기둥(150)은 종래의 주케이블로부터 하방 연장되는 행어 케이블의 역할을 하면서도, 행어 케이블과 달리 휨 변형이 허용되지 않는 구조 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행어 케이블과 난간을 설치해야 하는 종래의 2개 공정이 하나의 난간 기둥(150)을 설치하는 공정으로 대체됨에 따라, 보도 현수교의 시공 공정이 보다 간단해지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난간 기둥(150)은 통행인의 손이 쥘 수 있는 범주의 높이로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교량의 양 단부에 주탑을 세워 자연 경관을 가리고 해치는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난간 기둥(150)은, 하측 주케이블(130)에 세그먼트 바닥판(140)이 설치된 상태에서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공중에서 난간 기둥(150)을 설치하는 공정이 위험하므로, 세그먼트 바닥판(140)을 하측 주케이블(130)을 타고 정해진 설치 위치로 이송하기 이전에 지상에서 일체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 펜스(160)는 난간 기둥(150)의 교축 방향으로의 사잇 공간을 메워 통행인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벽면 역할을 한다. 안전 펜스(16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부재(160)의 사이에 격자형 와이어 메쉬(165)가 배열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메쉬(165)를 이용하여 안전 펜스(160)를 형성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안전 펜스의 충실율(안전 펜스의 막힌 정도)이 낮아 내풍 성능이 우수하고 경량으로 고정 하중의 비중을 낮출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주케이블(120, 130)에 작용하는 하중 부담이 경감되어 보다 작은 직경의 주케이블(120, 130)을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또한, 테두리 부재 내에 와이어 메쉬(165)를 채우는 것으로 안전 펜스(160)를 형성함에 따라, 모듈화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 반입하는 데 유리하며 작업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도 현수교(100)의 교량 형식의 특성 상 출렁거림에 있어 난간의 신축성을 고려하여 세그먼트 형태로 다수 설치함으로써, 어린이 등의 취약 계층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안전 펜스(160)는 난간 기둥(150)에 U자형 고리(169)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닥판에 결합할 수도 있다.
난간 기둥(150)과 마찬가지로 안전 펜스(160)는 세그먼트 바닥판(140)이 하측 주케이블(140) 상을 통해 정해진 설치 위치로 이송되기 이전에 지상에서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미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난간 기둥(150)과 안전 펜스(160)를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이송 이전에 미리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설치함으로써, 세그먼트 바닥판(140)이 하측 주케이블(130)을 타고 정해진 설치 위치로 이송된 상태에서, 세그먼트 바닥판(140) 상의 작업자가 안전 펜스(160)에 의하여 추락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세그먼트 바닥판(140)을 하측 주케이블(130)에 고정하는 공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9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0)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하측 주케이블(130)과 상측 주케이블(120)의 사이에 높이(H) 차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지대(110)의 요입부(110a)에 설치된다. 즉, 지지대(110)의 표면(110s)은 보도 현수교(100)의 바닥판으로 형성되는 통로와 연속하게 형성되되, 그 양측에는 주케이블(120, 13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주케이블(120, 130)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190)이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프레임(190)은 상측 주케이블(120)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상측 고정대(1902)를 고정시키는 경사재(191)와, 상측 주케이블(120)과 하측 주케이블(130) 사이의 높이차를 형성하는 수직재(192)와, 주케이블(120, 130)에 작용하는 교량(1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지대(110)에 고정되는 지지재(193)와, 지지재(1993)를 위치 고정시키도록 경사재(191)와 수직재(192)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재(19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주케이블(120, 130)을 고정하는 상,하측 고정대(1902, 1903)는 각각 경사재(191)와 수평재(194)를 따라 배열되며, 주케이블(120, 130)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92a, 194a)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주케이블(120, 130)에 작용하는 하중은 상,하측 고정대(1902, 1903)을 통해 가이드 프레임(190)에 작용하며, 가이드 프레임(190)에 작용하는 힘은 지지재(193)를 통해 지지대(110)로 전달되어 지지된다.
한편, 보도 현수교(100)가 풍하중이나 활하중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요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하측 고정대(1902, 1903)는 힌지(1902a, 1903a)로 가이드 프레임(190)에 연결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도 현수교(100)의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상술한다.
단계 1: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이나 계곡(8)을 사이에 두고 시공하고자 하는 이격된 2군데의 교량 양단부의 위치에 지지대(110)를 가설한다. 이 때, 상측 주케이블(130)과 하측 주케이블(120) 사이의 높이(H)를 유지하는 가이드 프레임(190)도 미리 지지대(110)에 고정 설치한다. 이 때, 가이드 프레임(190)의 지지재(193)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지지대(110)에 매립됨으로써 견고하게 가이드 프레임(190)이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대(110)는 철재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가이드 프레임(190)은 지지대(110)에 함께 고정된다.
단계 2: 그리고 나서, 가이드 프레임(190)에 각각 주케이블(120, 130)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대(1902, 1903)를 설치한다. 그 다음, 고정대(1902, 1903)에 주케이블(120, 130)의 일단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곡이나 강(8)을 너머 반대편의 지지대(110)까지 주케이블(120, 130)을 연장시켜 고정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지지대(110)에서 다른 하나의 지지대(110)로 주케이블(120, 130)을 연결하는 공정은 지지대(110) 중 어느 한쪽에 주케이블(120, 130)을 감아놓고, 주케이블(120, 130)의 끝단을 작업자나 미리 설치해놓은 와이어를 따라 강이나 계곡을 너머로 옮기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헬기 등을 이용하여 공중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손쉽게 행해질 수 있다.
이 때, 고정 프레임(190)의 상,하측 높이 차이만큼 상측 주케이블(120)과 하측 주케이블(130) 사이의 높이 편차(H)가 있는 상태로 설치되며, 시공중 및 설치 완료후에 주케이블(120, 130)에 의하여 작용하는 하중은 가이드 프레임(190)의 지지재(193)를 통해 지지대(110)에서 지탱하게 된다. 한편 상,하측 주케이블(120, 130)은 수평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자연 경관과 어울릴 수 있게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만곡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 한편, 단계 1 및 단계 2를 행하는 동안에, 세그먼트 바닥판(140)과, 난간 기둥(150) 및 안전 펜스(160)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어 시공 현장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현장의 지상에서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난간 기둥(150)과 안전 펜스(160)를 고정 설치하여, 난간 기둥(150)과 안전 펜스(160)가 설치된 가조립 바닥판(101)을 조립한다. 경우에 따라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상면에는 통행인의 미끄럼을 방지하거나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데코면(1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난간 기둥(150)은 케이블로 형성되는 대신에 축력에 대한 강성과 휨 강성이 높은 강재 거더로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바닥면에 대하여 강결 설치됨에 따라, 난간 기둥(150)은 세그먼트 바닥판(140)과 외력에 대하여 함께 거동하게 된다.
그리고, 안전 펜스(160)는 테두리 부재 내에 와이어 메쉬(165)가 설치되게 형성되어, 테두리 부재를 난간 기둥(150)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안전 펜스(160)를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설치하는 공정이 간단히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미리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난간 기둥(150)과 안전 펜스(160)를 미리 설치해둠으로써, 하측 주케이블(130)에 의해서만 세그먼트 바닥판(140)이 지지되는 공중에서의 작업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세그먼트 바닥판(140)에는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주케이블(130)에 U자형 고리부재(149)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149y)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단계 4: 그리고 나서, 도7d 및 도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기둥(150)과 안전 펜스(160)가 설치된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하측 주케이블(130)이 설치된 간격의 바퀴(88)를 설치한다.
여기서, 바퀴(88)는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영구적으로 장착된 상태로 있을 수도 있지만,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서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임시로 끼워지거나 장착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다른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이송에 재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고정 부재(883)의 중심부에 하측 연장부(882)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883)에 대하여 회전축(881)이 회전 가능한 지지 형태로 설치되어, 회전축(881)에 바퀴(88)가 고정되어, 고정 부재(883)를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설치하면 바퀴(88)가 하측 주케이블(130)을 타고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 부재(883)는 볼트 체결 형태로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고정되어, 바퀴(88)를 가조립 바닥판(101)으로부터 탈거하는 공정을 보다 쉽게 할 수도 있다.
가조립 바닥판(101)에 바퀴(88)를 장착한 후, 가조립 바닥판(101)을 소형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가조립 바닥판(101)의 바퀴(88)를 하측 주케이블(130)상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세그먼트 바닥판(140)에 마련된 반원형 고리(147)에 윈치 케이블(99c)의 끝단에 고정된 윈치 고리(99)를 걸고, 윈치 케이블(99c)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가조립 바닥판(101)에 고정된 바퀴(88)가 회전하면서 가조립 바닥판(101)을 하측 주케이블(130) 상의 정해진 설치 위치로 이동(101d)시킨다. 이와 같이, 하측 주케이블(130)을 타고 가조립 바닥판(101)을 낮은 동력의 윈치를 사용하여 흘러내리는 형태로 슬라이드하여 가설함으로써, 시공성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조립 바닥판(101)의 고리에 윈치 고리를 걸고, 윈치를 이용하여 지지대(110)로부터 하측 주케이블(130)을 따라 흘러내리는 형태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주케이블(120, 130)의 중앙부 또는 반대측 지지대까지 가조립 바닥판(101)을 낮은 동력으로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임시 가설된 바퀴(88)에 의하여 가조립 바닥판(101)과 하측 주케이블(13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각각의 가조립 바닥판(101)을 하측 주케이블(130) 상의 정해진 설치 위치로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세그먼트 바닥판(140)과 하측 주케이블(130)을 고정시키는 U자형 고리부재(149)는 하측 주케이블(130)의 하측을 감싸고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구멍(149y)에 헐겁게 끼워둔 상태로 가조립 바닥판(101)을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5: 그리고 나서, 가조립 바닥판(101)이 정해진 설치 위치에 근접하면, 고정 부재(883)를 세그먼트 바닥판(14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에 의하여 바퀴(88)를 제거한다. 작업자가 가조립 바닥판(101)의 상측에서 바퀴(88)를 제거하는 공정 중에, 세그먼트 바닥판(140)과 하측 주케이블(130)이 U자형 고리부재(149)에 의하여 헐겁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조립 바닥판(101)의 균형이 무너지는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세그먼트 바닥판(140)이 하측 주케이블(130)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동시에 가조립 바닥판(101)의 양측면은 난간 기둥(150)과 안전 펜스(16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측면을 통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측 주케이블(130)에 의해서만 가조립 바닥판(101)이 지지된 상태에서의 공중 작업 공정의 안전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가조립 바닥판(101)으로부터 바퀴(88)를 제거하면, 윈치 케이블(99c)로 이동시킨 가조립 바닥판(101)과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가조립 바닥판(101')의 사이 간극(도7f의 z)을 없애도록 가조립 바닥판(101)을 이동시키고,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구멍(149y)에 끼워둔 U자형 고리부재(149)에 너트(149a)를 단단히 죄는 것에 의하여, 가조립 바닥판(101)을 정해진 설치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공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도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조립 바닥판(101)을 하측 주케이블(130) 상에 거치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공정이 완료되어, 세그먼트 바닥판(140)이 연결되면서 통행인의 통행로가 바닥판 상면으로 마련된다.
단계 6: 그리고 나서, 도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기둥(150)의 상단부와 상측 주케이블(130)을 U자형 고리부재(155)를 이용하여 연결한 후, 고정 너트(155a)를 단단히 죄는 것에 의하여, 바닥판(101)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측 주케이블(130)에 의해서도 지지되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100) 및 그 시공 방법은, 보도 현수교에 작용하는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을 모두 포함함)을 상측 주케이블과, 하측 주케이블과, 세그먼트 바닥판과, 보도 현수교의 교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난간 기둥이 구조 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주변 경관을 해치는 주탑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도,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 부재가 사다리 형태로 분배하되 상,하측 주케이블을 휨 변형에 대한 저항 능력이 있는 부재의 난간 기둥에 의해 연결하여 하중을 분배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하중을 분산하여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계를 구현하고, 풍하중에 의하여 보도 현수교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사용자의 발이 딛고 있는 바닥판과 난간 기둥 사이의 변위가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언제든지 탑승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상의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종래에 행어 케이블과 난간 및 손잡이 등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였던 복잡한 시공 절차를, 바닥판에 난간 기둥을 강결 설치하고 난간 기둥을 상측 주케이블에 연결하여 하중을 분담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시공 공정이 단순화되어 시공 기간을 수십일 이내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그먼트 바닥판과 난간 기둥과 안전 펜스를 지상에서 미리 설치한 상태로 공중의 하측 주케이블 상에 지지되게 설치하도록 시공됨에 따라, 공중에서의 설치 공정을 최소화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경제성을 확보하며, 공중에서의 작업자의 안전도 보장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주 케이블을 하측에만 배치하고 상측에는 핸드로프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케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다.
99c: 윈치 케이블 100: 보도 현수교
101: 가조립 바닥판 110: 지지대
120: 하측 주케이블 130: 상측 주케이블
140: 세그먼트 바닥판 150: 난간 기둥
160: 안전 펜스 190: 가이드 프레임
1902, 1903: 고정대

Claims (15)

  1. 서로 이격된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가설된 지지대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고, 하중을 지지하는 주케이블로 형성된 하측 주케이블과;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하되,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비하여 높은 위치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주케이블로 형성된 상측 주케이블과;
    상기 지지대 사이의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과,
    상기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측 주케이블에 상부가 연결 고정되어 상기 상측 주케이블과 상부가 함께 거동하는 난간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과 상기 난간 기둥은, 상기 하측 주케이블과 상기 상측 주케이블이 설치된 상태에서, 세그먼트 바닥판에 난간 기둥이 일체 거동하게 결합되고 상기 난간 기둥 사이로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펜스가 설치된 가조립 바닥판이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한 후, 상기 난간 기둥의 상단부를 상기 상측 주케이블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되어,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상측 주케이블과 상기 하측 주케이블과 상기 난간 기둥이 구조 부재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기둥과 상기 상측 주케이블은 U자형 고리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주케이블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하측 주케이블과 상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은 미리 제작되어 시공 현장으로 반송된 바닥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기둥과 안전 펜스는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미리 일체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기둥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고정되는 안전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펜스는 테두리 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의 내부를 채우는 와이어 메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주케이블과 상기 하측 주케이블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턴버클 형태로 장력이 조절가능한 고정대에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대에는 상기 상측 주케이블과 상기 하측 주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출렁거림을 방지하는 댐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9. 연결하고자 하는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지지대를 가설하는 지지대 가설단계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하측 주케이블을 연결 설치하는 하측 주케이블 설치단계와;
    서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를 2열 이상으로 상측 주케이블을 연결하되, 상기 상측 주케이블이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비하여 더 높은 위치에 배열되게 설치하는 상측 주케이블 설치단계와;
    미리 제작된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에 난간 기둥이 일체 거동하게 결합되고, 상기 난간 기둥 사이로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펜스가 설치된 가조립 바닥판을 제작하는 가조립 바닥판 제작단계와;
    상기 가조립 바닥판을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한 후, 상기 하측 주케이블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가조립 바닥판의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바닥판 설치단계와;
    설치 위치로 이동된 상기 가조립 바닥판의 상기 난간 기둥의 상단부를 상기 상측 주케이블에 연결 고정하는 난간 연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상측 주케이블과 상기 하측 주케이블과 상기 난간 기둥이 구조부재로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기둥과 상기 상측 주케이블은 U자형 고리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주케이블 설치단계 이전에,
    상기 하측 주케이블과 상기 상측 주케이블의 높이 차이를 상기 난간 기둥의 상단부 높이로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측 주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하측 주케이블보다 높은 위치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설치단계 이전에,
    미리 제작된 다수의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상기 난간 기둥을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과 일체 거동하도록 상기 난간 기둥과 안전 펜스를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설치하는 난간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 설치단계는 상기 난간이 고정 설치된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을 상기 하측 주케이블에 지지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설치단계는, 상기 하측 주케이블이 설치된 간격의 바퀴를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설치한 다음에, 상기 바퀴가 상기 하측 주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을 정해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설치단계는,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에 마련된 걸림부에 윈치로부터 연장된 고리를 걸어, 상기 윈치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을 상기 하측 주케이블 상의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의 설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시공 방법.
KR1020140083824A 2014-07-04 2014-07-04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KR101556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824A KR101556968B1 (ko) 2014-07-04 2014-07-04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824A KR101556968B1 (ko) 2014-07-04 2014-07-04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968B1 true KR101556968B1 (ko) 2015-10-06

Family

ID=5434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824A KR101556968B1 (ko) 2014-07-04 2014-07-04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96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990B1 (ko) 2016-05-30 2016-10-11 (주)신흥이앤지 모듈로 조립되는 복합 터널 방식 교량
KR101834243B1 (ko) * 2017-05-17 2018-03-05 주식회사 창성디앤씨 비보강형 현수교 설치구조
CN108442256A (zh) * 2018-05-25 2018-08-24 中交四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悬索桥散索套安装的双约束架和施工方法
KR101945159B1 (ko) * 2018-10-08 2019-04-18 신상훈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KR102113878B1 (ko) 2019-10-21 2020-05-21 (주)신흥이앤지 복수 개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구조
KR102188255B1 (ko) 2020-07-31 2020-12-08 (주)신흥이앤지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상판 단위체와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및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시공공법
KR102191163B1 (ko) 2020-09-14 2020-12-15 (주)신흥이앤지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과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및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
KR102221511B1 (ko) * 2020-06-09 2021-03-02 합자회사 세가온 무주탑 보도 현수교의 세그먼트 교량체
KR102230445B1 (ko) * 2021-01-11 2021-03-22 (주)신흥이앤지 복수 개의 지지와이어 및 상하 가동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구조의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269930B1 (ko) 2020-12-02 2021-06-28 (주)신흥이앤지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KR102281533B1 (ko) * 2021-03-09 2021-07-26 (주)신흥이앤지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761B1 (ko) * 2011-01-20 2011-12-08 강창희 안전 난간장치
KR101364045B1 (ko) * 2013-06-04 2014-02-2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현수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761B1 (ko) * 2011-01-20 2011-12-08 강창희 안전 난간장치
KR101364045B1 (ko) * 2013-06-04 2014-02-2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현수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990B1 (ko) 2016-05-30 2016-10-11 (주)신흥이앤지 모듈로 조립되는 복합 터널 방식 교량
KR101834243B1 (ko) * 2017-05-17 2018-03-05 주식회사 창성디앤씨 비보강형 현수교 설치구조
CN108442256A (zh) * 2018-05-25 2018-08-24 中交四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悬索桥散索套安装的双约束架和施工方法
KR101945159B1 (ko) * 2018-10-08 2019-04-18 신상훈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KR102113878B1 (ko) 2019-10-21 2020-05-21 (주)신흥이앤지 복수 개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구조
KR102221511B1 (ko) * 2020-06-09 2021-03-02 합자회사 세가온 무주탑 보도 현수교의 세그먼트 교량체
KR102188255B1 (ko) 2020-07-31 2020-12-08 (주)신흥이앤지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상판 단위체와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및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시공공법
KR102191163B1 (ko) 2020-09-14 2020-12-15 (주)신흥이앤지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과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및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
KR102269930B1 (ko) 2020-12-02 2021-06-28 (주)신흥이앤지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KR102230445B1 (ko) * 2021-01-11 2021-03-22 (주)신흥이앤지 복수 개의 지지와이어 및 상하 가동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구조의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281533B1 (ko) * 2021-03-09 2021-07-26 (주)신흥이앤지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968B1 (ko)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US10329781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KR101945159B1 (ko)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US9528285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EP0318421B1 (en) Cable-stay roof for stadium or arena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ame
CN105113388A (zh) 高架桥花瓶墩模板支架联合结构及使用方法
CN107034791A (zh) 一种悬臂浇注施工用挂篮的拼装方法
KR101643983B1 (ko) 케이블 교량의 세그먼트 바닥판의 설치 방법
CN210507141U (zh) 一种移动式张拉平台
KR100889022B1 (ko) 출렁교의 시공공법
CN105189889B (zh) 用于气象防护屋顶的桁架梁以及具有若干桁架梁的气象防护屋顶
CN101215928B (zh) 附着升降脚手架滑轮式防倾器及其使用方法
CN116136122A (zh) 一种集成型附着式倾斜升降爬架系统及使用方法
CN110805289A (zh) 插接式卸料平台及施工方法
CN202451040U (zh) 垂直高空爬梯
JP3753170B2 (ja) 斜面に道路や工事用足場として有用な構造物を作設する方法
CN107165269A (zh) 一种采用吊架结构安装高空螺栓球网架的方法
CN107227839B (zh) 一种集成支撑施工安全平台及安装方法
CN201148725Y (zh) 附着升降脚手架滑轮式防倾器
CN211815605U (zh) 一种用于桩柱式桥墩墩系梁和盖梁的施工装置
CN205591115U (zh) 悬挂式猫道面网安装系统
CN209011132U (zh) 一种组拼式双点固定基坑马道结构
CN111764623A (zh) 高空大悬挑钢屋架的下挂施工平台模块及施工方法
CN215714636U (zh) 独塔自锚式悬索桥猫道系统
JP4375788B2 (ja)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