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163B1 -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과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및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과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및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163B1
KR102191163B1 KR1020200117418A KR20200117418A KR102191163B1 KR 102191163 B1 KR102191163 B1 KR 102191163B1 KR 1020200117418 A KR1020200117418 A KR 1020200117418A KR 20200117418 A KR20200117418 A KR 20200117418A KR 102191163 B1 KR102191163 B1 KR 102191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ridge
connector
variable arm
c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지에스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지에스웹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20011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용 교량과 관련되는 기술로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케이블에 연결되어 교량 상판을 구성하게 되는 연결프레임으로서, 좌우 한 쌍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사이드부재; 상기 사이드부재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외측단부에는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내측단부에는 제2연결구가 형성되는 가변아암; 상단은 상기 제2연결구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사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장력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구에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조정을 통해 상기 가변아암의 회동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설치형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과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및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Connection frame for top plates for bridges with wind resistant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s with wind resistant function and bridges with wind resistant function}
본 발명은 보도용 교량과 관련되는 기술이되, 교량 상판용 연결프레임에 구비되는 가변아암을 활용하여 다기능케이블을 연결함과 동시에 가변아암의 조정을 통해 다기능케이블의 설치형상을 조정하여 내풍 기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에 관한 기술이다.
산이나 계곡에 등산객이나 여행객을 위한 출렁다리 혹은 구름다리라고 불리우는 교량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계곡을 건너갈 수 있도록 산과 산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교량은 험난한 지형에 설치되므로 자재의 운반에서부터 시공작업 하나하나가 매우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산이나 계곡에 설치되는 보도 현수교의 예시도이다.
계곡의 양안에 콘크리트 블록(10)으로 교대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 블록(10)에 현수교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주탑(20)을 세우고, 콘크리트 블록(10)이나 지반에 단부가 고정되도록 주케이블(30)을 주탑(20)에 걸쳐지게 설치한 후, 주케이블(20)로부터 행어 케이블(50)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사용자가 통행하는 바닥판(40)이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케이블을 이용하여 지지되는 현수교의 경우 그 자체로 독특한 경관을 이루기 때문에 외적인 디자인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보도현수교에서 케이블은 상하 방향으로 위치별로 높이 차이가 있지만, 수평방향으로는 일정한 폭으로 케이블이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보도 현수교는 대동소이하여 차별성이 없다.
한편, 바람이 많이 부는 계곡과 같은 곳에 설치되는 비교적 소형의 출렁다리의 경우 예기치 못한 강한 바람에 의해 교량 전체가 뒤집히거나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내풍 기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6968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도용 교량으로서 미관도 좋으면서 내풍 기능도 갖는 교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은,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케이블에 연결되어 교량 상판을 구성하게 되는 연결프레임으로서, 좌우 한 쌍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사이드부재; 상기 사이드부재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외측단부에는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내측단부에는 제2연결구가 형성되는 가변아암; 상단은 상기 제2연결구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사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장력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구에는 다기능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조정을 통해 상기 가변아암의 회동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다기능케이블의 설치형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아암은, ㄴ 자 형상을 이루며 모서리 부위에 회동홀이 형성되어 연결핀에 의해 상기 사이드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드부재의 하부에는 하부케이블 설치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은,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다기능케이블과 하부케이블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 이웃하는 상기 연결프레임들의 상면에 결합되는 데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좌우 한 쌍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사이드부재; 상기 사이드부재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외측단부에는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내측단부에는 제2연결구가 형성되는 가변아암; 상단은 상기 제2연결구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사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장력조절부재; 상기 사이드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케이블 설치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구에는 상기 다기능케이블이 연결되며 상기 하부케이블 설치대에 상기 하부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조정을 통해 상기 가변아암의 회동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다기능케이블의 설치형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은, 교량이 설치될 지점의 양안에 기초를 설치토록하는 기초형성단계; 한 쌍의 기초에 복수개의 하부케이블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하부케이블 설치단계; 상기 하부케이블 보다 높은 위치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도록 상기 기초에 한 쌍의 다기능케이블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다기능케이블 설치단계; 데크로 연결되는 반제품 상태의 가조립 연결프레임들을 상기 하부케이블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가조립 연결프레임 이송단계; 이웃하는 상기 가조립 연결프레임을 상호 연결되게 하되, 마주보는 한 쌍의 사이드부재의 상단 사이로 ㄴ 자 형상의 가변아암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하며, 장력조절부재의 하단은 하부케이블설치대에 연결되게하고, 상단은 상기가변아암의 제2연결구에 연결시키도록 하는 연결프레임 조립단계; 상기 하부케이블들을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방에 구비되는 상기 하부케이블설치대에 구속시키도록 하는 하부케이블 연결단계; 상기 가변아암의 제1연결구에 상기 다기능케이블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다기능케이블 연결단계; 상기 장력조절부재를 조정하여 위치별 상기 가변아암의 설치 각도를 달리하여 한 쌍의 상기 다기능케이블간 이격거리가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이 되도록 셋팅하는 다기능케이블 위치잡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을 이용하여 교량을 구성하게 되면, 가변아암의 회동각도를 위치별로 달리하여 다기능케이블을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되게 하여 독특하고 차별화되는 보도용 교량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결프레임과 구속되는 한 쌍의 다기능케이블간의 배치가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형상이 되도록 함에 따라 강풍에 의한 교량의 흔들림과 같은 영향을 최소화하여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산이나 계곡에 설치되는 보도 현수교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설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에 대한 공정도.
도 6은 가조립 연결프레임 이송단계에서 사용되는 가조립 연결프레임의 예시도.
도 7은 가조립 연결프레임간의 연결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변아암을 갖는 교량 상판용 연결프레임 및 가변아암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설치형상을 조정할 수 있는 교량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에 대한 공정도이며, 도 6은 가조립 연결프레임 이송단계에서 사용되는 가조립 연결프레임의 예시도이고, 도 7은 가조립 연결프레임간의 연결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은, 교량을 구성할 때 소정 간격을 두고 연이어 배치되되 케이블에 연결되는 형태로 상판을 구성하게 되는 한 요소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F)은 주요한 구성요소로 사이드부재(100), 가변아암(200), 장력조절부재(300)를 포함하게 된다.
사이드부재(100)는 좌우 한 쌍을 이루게 되며, 사이드부재(100)의 하단측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각 사이드부재(100)는 대략 ㄴ 자 형상을 이루며 좌우 사이드부재(100)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하단측에서 연결되도록 한다.
각 사이드부재(100)의 상단에 가변아암(20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변아암(200)은 대략 ㄴ자 형상을 이루고, 모서리 부위에 회동홀(210)이 형성되어 연결핀(220)을 이용하여 사이드부재(100)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변아암(200)의 외측단부에는 제1연결구(230)가 형성되고 내측단부에는 제2연결구(24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사이드부재(100)는 동일한 형상의 사이드패널(101) 두개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겹쳐진 형태로 조립되게 하며, 두 사이드패널(101) 상단 사이에 가변아암(200)의 회동홀(210)을 위치시켜서 연결핀(220)으로 구속 연결되게 한다.
가변아암(200)의 제1연결구(230)에는 다기능케이블(C)이 연결되는데, 제1연결구(230)는 다기능케이블(C)을 감쌀 수 있는 상반구와 하반구로 이루어져 상호 체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가변아암(200)은 사이드부재(10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변아암(200)의 제2연결구(240)에 장력조절부재(300)가 연결되도록 한다. 장력조절부재(300)의 상단이 제2연결구(240)에 연결되며, 하단은 후술될 하부케이블설치대(400)에 연결되게 하여 필요에 따라 장력조절부재(300)의 길이를 조정하여 가변아암(200)의 회동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장력조절부재(300)는 길이조정을 통해 가변아암(200)에 회전모멘트가 작용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턴버클을 장력조절부재(300)로 활용하는 것을 예로 제시하고 있지만 그 외 로프를 활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가변아암을 갖는 교량 상판용 연결프레임을 이용하여 출렁다리를 구성하게 되면, 위치별로 장력조절부재(300)의 조정을 통해 가변아암(200)의 회동각을 달리하여 다기능케이블(C)의 설치형상을 다양하게 조정하여 보다 독특하고 개성있는 교량의 시공이 가능하다.
다기능케이블은 좌우 한 쌍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되, 기본적으로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강풍에 의해 교량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뒤집히지 않도록 하는 내풍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사이드부재(100)의 하부에는 하부케이블설치대(400)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케이블 설치대(400)는 H-빔과 같은 길다란 부재로서 사이드부재(100)의 하부에 볼팅 등의 방식으로 체결되게 한다.
특히 하부케이블 설치대(400) 하면에는 하부케이블(C1)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하부케이블 연결구(410)가 구비되게 하여 하부케이블(C1)에 의한 하중의 분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바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각의 연결프레임(F)은 두 개의 사이드패널(101)을 갖추며, 두 사이드패널(101)은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게 되고, 두 사이드패널의 상단측 사이에 가변아암(20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측 사이에 하부케이블 설치대(400)로 H-빔이 연결되게 한다. 특히, H-빔(400)의 좌우 단부에는 사이드패널과의 연결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연결판(420)을 부착시켜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을 활용하여 구성되는 교량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은 첨부되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교량은 다기능케이블(C)과 하부케이블(C1)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F)을 포함하게 된다. 이웃하는 연결프레임(F)의 상면에 데크모듈(500)이 결합되고, 연결프레임(F)들은 다기능케이블(C) 및 하부케이블(C1)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가 된다.
연결프레임(F)은 사이드부재(100), 가변아암(200), 장력조절부재(300), 하부케이블 설치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좌우 한 쌍의 사이드부재(100)의 각 상단부에 가변아암(20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변아암(200)의 내측단부에 구비되는 제2연결구(240)에 장력조절부재(300)의 상단을 연결하여 그 길이를 조정하는 것으로 가변아암(200)의 회동각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변아암(200)의 외측단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구(230)에 다기능케이블(C)이 연결되고 가변아암(200)의 회동각이 변함에 따라 제1연결구(230)에 연결된 다기능케이블(C)도 함께 움직이게 된다.
사이드부재(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블 설치대(400)의 하부케이블 연결구(410)에 하부케이블(C1)을 연결함으로써 다기능케이블(C)과 하부케이블(C1)에 의해 상판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은 가변아암(200)의 회동각을 조정하여 다기능케이블(C)의 전체적인 설치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이웃하는 연결프레임(F)간 상호 구속을 위해 하부케이블 설치대(400) 또는 사이드부재(100)의 하단에 X 자 형상으로 두 개의 턴버클(110)을 연결함으로써 소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연결프레임(F)들이 뒤틀리지 않고 일정한 결합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변아암(200)을 이용하여 다기능케이블(C)의 설치형상을 조정할 수 있는 교량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F) 각각에 구비되는 가변아암(200)의 회동 각도를 달리 조정하여 가변아암(200)에 연결되는 다기능케이블(C)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체적인 다기능케이블(C)의 설치 형상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기능케이블의 설치 형상 조정을 통해 교량의 전체적인 외적인 미감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으로 교량이 시공될 현장 환경에 따라 보다 주변과 잘 어우러질 수 있는 교량을 제공할 수 있고, 내풍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다기능 케이블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향할수록 다기능케이블간 이격거리가 좁아지도록 배치됨으로써 강풍이 발생하더라도 교량은 심하게 흔들리지 않으므로 교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용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으로서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은, 기초형성단계(S100), 하부케이블 설치단계(S200), 다기능케이블 설치단계(S300), 가조립 연결프레임 이송단계(S400), 연결프레임 조립단계(S500), 하부케이블 연결단계(S600), 다기능케이블 연결단계(S700), 다기능케이블 위치잡기단계(S800)로 이루어진다.
기초형성단계(S100)는 교량이 설치된 계곡 등과 같은 특정 지점의 양안에 기초(10)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콘크리트 기초(10)를 형성시킨 다음에 하부케이블 설치단계(S200)에서는 좌우 한 쌍의 기초(10)에 하부케이블(C1)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한다. 하부케이블(C1)은 복수개를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다기능케이블 설치단계(S300)에서는 하부케이블(C1) 보다 높은 위치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도록 한 쌍의 다기능케이블(C)을 각 기초(10)에 연결시키도록 한다. 특히, 기초(10)에 연결되는 다기능케이블(C)의 양단부 연결포인트는 하부케이블(C1)의 연결포인트 보다 외측에 위치되게 한다. 즉, 한 쌍의 다기능케이블(C)의 사이 영역내에 복수의 하부케이블(C1)들이 위치된다.
하부케이블(C1)과 다기능케이블(C)을 기초(10)에 연결되게 한 다음에는 가조립 연결프레임 이송단계(S400)가 뒤따르며, 가조립 연결프레임 이송단계(S400)에서는 미리 제작되어 준비된 다수의 가조립 연결프레임(F1)을 하부케이블(C1)을 이용하여 하나씩 이송시키도록 한다.
즉, 일측 기초에서 첫번째 가조립 연결프레임(F1)을 하부케이블(C1)에 연결하여 자중에 의해 중심부로 이송되게 한다. 가조립 연결프레임 이송단계(S400)에서는 가조립 연결프레임(F1)의 하단측에 이송용롤러(미도시)를 부착하여 이송용롤러가 하부케이블(C1)을 타고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가조립 연결프레임(F1)을 이송시킨 후에 이송용롤러는 제거하면 된다. 경우에 따라서 가조립 연결프레임(F1)에 결합된 하부케이블 설치대(400)의 하부케이블 연결구(410)에 하부케이블(C1)을 임시에 연결하여 이송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마찰력을 고려하여 하부케이블 연결구(410)에 부싱을 연결하여 하부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첫번째 가조립 연결프레임을 이송시킨 다음에는 좌우 기초측에서 교대로 두번째, 세번째 가조립 연결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 된다.
이어서 연결프레임 조립단계(S500)가 이어지는데, 이송이 이루어진 가조립 연결프레임(F1)들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연결프레임(F)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가조립 연결프레임(F1)의 좌우 단부에는 하나씩의 사이드패널(101)이 연결되어 있으며, 사이드패널(101)은 데크모듈(500)과 연결된다. 이웃하게 배치되는 가조립 연결프레임(F1)의 각 단부의 사이드패널(101)과 다른 가조립 연결프레임의 각 단부의 사이드패널은 소정의 이격거리를 이루며 배치되는데, 마주보는 두 사이드패패널(101)의 하단은 하부케이블 설치대(40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게 하며, 이때 하부케이블 설치대(400)인 H-빔의 측면에 부착되는 연결판(420)을 통해 사이드부재ㅍ00패널F또한 연결프레임 조립단계(S500)에서는 장력조절부재(300)를 설치하도록 하며, 장력조절부재(300)의 하단은 하부케이블설치대(400)의 상면에 연결되게 하고, 장력조절부재(300)의 상단은 가변아암(200)의 제2연결구(240)에 연결되게 한다. 장력조절부재(300)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요소이다.
한편, 가조립 연결프레임(F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데크 하부에 간격유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턴버클(110)과 같은 것을 활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턴버클(110)을 X 자 형태로 교차하여 가조립 연결프레임이 구성되게 한다.
다음으로 하부케이블 연결단계(S600)가 뒤따르며, 각 연결프레임(F)의 하방에 구비되는 하부케이블설치대(400)에 마련되는 하부케이블 연결구(410)에 하부케이블(C1)이 구속되도록 한다.
각각의 연결프레임(F)들을 하부케이블(C1)과 구속시킨 다음에는 다기능케이블 연결단계(S700)가 수행된다. 다기능케이블 연결단계(S700)에서는 각 연결프레임(F)의 좌우 상단에 구비되는 가변아암(200)의 제1연결구(230)에 다기능케이블(C)을 연결시키도록 한다.
가변아암(200)은 대략 ㄴ 자 형상을 이루며, 모서리 부위에 회동홀(210)이 형성되어 연결핀(220)을 이용하여 사이드부재(100)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가 된다. 그리고 모서리 부위를 기준으로 외측단부에 제1연결구(230)가 형성되며, 내측단부에 제2연결구(240)가 형성되는데, 각 가변아암(200)에 있어 회동홀(210)로부터 제1연결구(230)까지의 길이는 위치별로 다를 수 있다.
즉, 연결프레임(F)의 위치에 맞는 가변아암(200)을 적용토록 한다. 중심부 보다 가장자리에 가까이 위치하는 연결프레임(F)에 적용되는 가변아암(200)의 회동홀로부터 제1연결구까지의 길이가 더 길도록 한다.
제1연결구(230)는 상반구와 하반구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하여 다기능케이블(C)을 제1연결구(23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는 다기능케이블 위치잡기단계(S800)가 이어지며, 가변아암(200)의 제2연결구(240)에 연결된 장력조절부재(300)를 조정하여 위치별 가변아암의 설치 각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다기능케이블의 배치형상이 중앙부위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다기능케이블 위치잡기단계(S800)를 통해 배치되는 한 쌍의 다기능케이블(C)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두 다기능케이블간 이격거리가 점차 좁아지는 형상이 되도록 셋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은 계곡과 같은 곳에 설치되는 출렁다리의 시공에 적합한 기술로서, 특히 교량 상판이 다기능케이블과 하부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며, 한 쌍을 이루는 다기능케이블의 배치형상이 평면상으로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두 다기능케이블간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형상이 됨으로써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교량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뒤집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도용 교량에 적용되기에 매우 적합한 기술이다.
F :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연결프레임)
F1 : 가조립 연결프레임
100 : 사이드부재 110 : 턴버클
111 : 손잡이 101 : 사이드패널
200 : 가변아암 210 : 회동홀
220 : 연결핀 230 : 제1연결구
240 : 제2연결구 300 : 장력조절부재
400 : 하부케이블 설치대 410 : 하부케이블 연결구
420 : 연결판
500 : 데크모듈
C : 다기능케이블
C1 : 하부케이블
10 : 기초
S100 : 기초형성단계 S200 : 하부케이블 설치단계
S300 : 다기능케이블 설치단계 S400 : 연결프레임 이송단계
S500 : 연결프레임 재배치단계 S600 : 하부케이블 연결단계
S700 : 다기능케이블 연결단계
S800 : 다기능케이블 위치잡기단계

Claims (5)

  1.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케이블에 연결되어 교량 상판을 구성하게 되는 연결프레임으로서,
    좌우 한 쌍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사이드부재;
    상기 사이드부재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외측단부에는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내측단부에는 제2연결구가 형성되는 가변아암;
    상단은 상기 제2연결구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사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장력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구에는 다기능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조정을 통해 상기 가변아암의 회동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다기능케이블의 설치형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아암은,
    ㄴ 자 형상을 이루며 모서리 부위에 회동홀이 형성되어 연결핀에 의해 상기 사이드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부재의 하부에는 하부케이블 설치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
  4. 다기능케이블과 하부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으로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다기능케이블과 하부케이블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
    이웃하는 상기 연결프레임들의 상면에 결합되는 데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좌우 한 쌍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사이드부재;
    상기 사이드부재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외측단부에는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내측단부에는 제2연결구가 형성되는 가변아암;
    상단은 상기 제2연결구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사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장력조절부재;
    상기 사이드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케이블 설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구에는 상기 다기능케이블이 연결되며 상기 하부케이블 설치대에 상기 하부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조정을 통해 상기 가변아암의 회동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다기능케이블의 설치형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5. 교량이 설치될 지점의 양안에 기초를 설치토록하는 기초형성단계;
    한 쌍의 기초에 복수개의 하부케이블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하부케이블 설치단계;
    상기 하부케이블 보다 높은 위치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도록 상기 기초에 한 쌍의 다기능케이블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다기능케이블 설치단계;
    데크로 연결되는 반제품 상태의 가조립 연결프레임들을 상기 하부케이블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가조립 연결프레임 이송단계;
    이웃하는 상기 가조립 연결프레임을 상호 연결되게 하되, 마주보는 한 쌍의 사이드부재의 상단 사이로 ㄴ 자 형상의 가변아암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하며, 장력조절부재의 하단은 하부케이블설치대에 연결되게하고, 상단은 상기가변아암의 제2연결구에 연결시키도록 하는 연결프레임 조립단계;
    상기 하부케이블들을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방에 구비되는 상기 하부케이블설치대에 구속시키도록 하는 하부케이블 연결단계;
    상기 가변아암의 제1연결구에 상기 다기능케이블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다기능케이블 연결단계;
    상기 장력조절부재를 조정하여 위치별 상기 가변아암의 설치 각도를 달리하여 한 쌍의 상기 다기능케이블간 이격거리가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이 되도록 셋팅하는 다기능케이블 위치잡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

KR1020200117418A 2020-09-14 2020-09-14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과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및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 KR10219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418A KR102191163B1 (ko) 2020-09-14 2020-09-14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과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및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418A KR102191163B1 (ko) 2020-09-14 2020-09-14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과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및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163B1 true KR102191163B1 (ko) 2020-12-15

Family

ID=7378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418A KR102191163B1 (ko) 2020-09-14 2020-09-14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과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및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1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8907A (en) * 1943-12-27 1945-02-06 Whitnall William Cox Suspension bridge
KR20000016175A (ko) * 1996-05-29 2000-03-25 마르코니 일렉트로닉 시스템즈 리미티드 브리지 안정체_
KR101556968B1 (ko) 2014-07-04 2015-10-06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JP2019143377A (ja) * 2018-02-21 2019-08-29 日本橋梁株式会社 吊材取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吊材取替工法
KR102022083B1 (ko) * 2019-04-12 2019-11-04 박경룡 복합 지지 구조의 케이블 현수 보도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8907A (en) * 1943-12-27 1945-02-06 Whitnall William Cox Suspension bridge
KR20000016175A (ko) * 1996-05-29 2000-03-25 마르코니 일렉트로닉 시스템즈 리미티드 브리지 안정체_
KR101556968B1 (ko) 2014-07-04 2015-10-06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JP2019143377A (ja) * 2018-02-21 2019-08-29 日本橋梁株式会社 吊材取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吊材取替工法
KR102022083B1 (ko) * 2019-04-12 2019-11-04 박경룡 복합 지지 구조의 케이블 현수 보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96173B (zh) 用于拱结构的梁连接器
US7299813B2 (en) Foldable tent
US5146719A (en) Space tension chord arch dome reinforced with tension members and method for building same
US8572787B2 (en) Aligned support bridge
CA1067273A (en) Framework and like structures
ZA200100250B (en) Prefabricated building systems.
JP5457289B2 (ja) 大スパン屋根構造建築物
KR101664990B1 (ko) 모듈로 조립되는 복합 터널 방식 교량
EP0267909A1 (en) FRAMEWORK STRUCTURES.
KR102191163B1 (ko)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을 위한 상판용 연결프레임과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 및 내풍 기능을 갖는 교량의 시공공법
US20040123408A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plane lattice typed cable structure
KR101794745B1 (ko) 비대칭 사장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반원형의 하늘길 교량
KR102269930B1 (ko)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US5584330A (en) Flexible partition
WO1989007696A1 (en) Collapsible frameworks for free standing awnings
KR101521810B1 (ko) 압축 부재를 이용한 솔라셀 패널 현수구조시스템
KR101920039B1 (ko)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381012B1 (ko)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지체 모듈 및 이의 시공공법
US3906685A (en) Roof structure
JP4916426B2 (ja) 仮設用テント及びその重り床
CN214833540U (zh) 一种张弦梁与圆管柱连接节点
SU887763A1 (ru) Вис чее покрытие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пр моугольное в плане
WO20020818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recting a lamp post or the like
JPH0693603A (ja) 逆アーチ状弧部材及び斜張構造を用いた梁構築装置及び該梁構築装置に用いる逆アーチ状弧部材
JP2769490B2 (ja) 小規模吊橋のアンカ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