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930B1 -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930B1
KR102269930B1 KR1020200166164A KR20200166164A KR102269930B1 KR 102269930 B1 KR102269930 B1 KR 102269930B1 KR 1020200166164 A KR1020200166164 A KR 1020200166164A KR 20200166164 A KR20200166164 A KR 20200166164A KR 102269930 B1 KR102269930 B1 KR 102269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irder
handrail
cabl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지에스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지에스웹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20016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계곡 등에 설치되는 출렁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며, 바람의 영향을 덜 받는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로서, 복수의 하부 케이블; 복수의 상부 케이블;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를 포함하되, 상기 난간 일체형 거더는, 역삼각형을 이루되 좌우측 양단의 윙파트와 상기 윙파트 사이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밸리파트의 하면은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거더부; 상기 거더부의 상기 윙파트 근처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난간부; 상기 윙파트와 상기 밸리파트에서 상기 한 쌍의 거더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부 케이블과 구속되는 하부 케이블 연결체; 상기 한 쌍의 난간부 상단측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 케이블과 구속되는 상부 케이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A Suspension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ith Excellent Wind Resistance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계곡 등에 설치되는 출렁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며, 바람의 영향을 덜 받는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에 관한 기술이다.
관광지나 경치가 좋은 계곡, 산 등에는 이용자들이 계곡을 쉽게 건너면서 경치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출렁다리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계곡을 건너갈 수 있도록 산과 산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출렁다리는 험난한 지형에 설치되므로 자재의 운반에서부터 시공작업 하나하나가 매우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6968호의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이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계곡 등을 가로질러 연결하고자 하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위치에 설치된 지지대(110)와, 서로 이격된 지지대(110)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된 하측 주케이블(130)과, 하측 주케이블(130)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지지대(110)를 2열 이상으로 연결 설치된 상측 주케이블(120)과, 하측 주케이블(13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통행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세그먼트 바닥판(140)과, 세그먼트 바닥판(14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세그먼트 바닥판(140)과 일체 고정된 난간 기둥(150)과, 난간 기둥(150)에 고정되어 통행로의 바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펜스(160)와, 하측 주케이블(130)과 상측 주케이블(120)을 고정시키면서 상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가이드 프레임(190)으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세그먼트 바닥판(140)을 서로 연결하여 통행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교량의 중량이 너무 무겁고 이로 인해 취급에 어려움이 따르고 그만큼 굵고 많은 케이블을 사용해야 한다는 부담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6968호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 난간 일체형 거더간 거리를 조정하여 시공이 가능하므로 전반적인 여건을 고려하여 적정 갯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를 사용하도록 하고 상부케이블의 배치를 경사진 각도로 설치되게 하여 바람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는, 복수의 하부 케이블; 복수의 상부 케이블;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를 포함하되, 상기 난간 일체형 거더는, 역삼각형을 이루되 좌우측 양단의 윙파트와 상기 윙파트 사이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밸리파트의 하면은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거더부; 상기 거더부의 상기 윙파트 근처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난간부; 상기 윙파트와 상기 밸리파트에서 상기 한 쌍의 거더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부 케이블과 구속되는 하부 케이블 연결체; 상기 한 쌍의 난간부 상단측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 케이블과 구속되는 상부 케이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더부는. 소정 폭의 판재로 내부가 비어있는 개구부를 갖도록 역삼각형을 이루되, 상기 윙파트와 상기 밸리파트의 사이 영역으로 일측단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테두리; 상기 테두리의 타측단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되게 하는 막음판;을 포함하며, 상기 난간부는, 하단측이 상기 절개홈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단측은 소정각도로 외측으로 벌어지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외측단에 복수의 함몰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케이블 연결체는, 상기 한 쌍의 거더부의 윙파트 사이 및 밸리파트 사이에서 결합되며, 하면에 복수의 제1케이블홈이 형성되는 하부블록; 상기 하부블록 하측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1케이블홈에 대응하는 제2케이블홈이 형성되는 하부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블 연결체는, 상기 한 쌍의 난간부의 상기 절곡부 사이에서 결합되며,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홈과 동축상으로 제3케이블홈이 형성되는 상부블록; 상기 상부블록 외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제3케이블홈에 대등하는 제4케이블홈이 형성되는 상부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의 시공공법은, 시공현장의 양안에 기초 및 교각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제1단계; 상기 기초에 복수의 하부케이블을 연결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교각의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높이를 달리하면서 설치되는 새들에 걸쳐지면서 상기 기초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상부케이블을 연결하도록 하는 제3단계; 한 쌍의 거더부, 한 쌍의 난간부, 하부 케이블 연결체, 상부 케이블 연결체로 이루어지는 난간 일체형 거더를 준비하여 상기 복수의 상부케이블 중 가장 높은 위치의 상부케이블에 상기 상부 케이블 연결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케이블홈 중 가장 높은 위치의 제3케이블홈에 걸어 상기 기초의 좌우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상기 난간 일체형 거더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4단계; 이송완료된 상기 복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의 하부 케이블 연결체에 상기 하부케이블을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케이블 연결체에 상기 상부케이블들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제5단계; 상기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6단계; 상기 복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를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 케이블 연결체와 하부 케이블 연결체를 조여 상기 상부케이블 및 하부케이블과 고정되게 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가장 높은 위치의 제3케이블홈을 따라 상기 난간부 외면에 구름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난간 일체형 거더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에 의하면 미리 제작되어 준비된 다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를 현장에서 상부케이블 중 어느 하나에 걸어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들이 난간 일체형 거더와 체결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고 어느 하나의 케이블에 문제가 있더라도 전체적인 안정성에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출렁다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특한 케이블들의 배치 및 구조를 통해 바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렁다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난간 일체형 거더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제1난간부와 제2난간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제1거더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하부 케이블 연결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상부 케이블 연결체의 분해사시도.
도 9는 거더부를 이루는 테두리의 사시도.
도 10은 난간부에 구름롤러가 장착되는 예시도.
도 11은 기초에 연결되는 상부케이블들의 설치각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난간부에 보강블록이 설치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의 시공 공정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난간 일체형 거더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제1난간부와 제2난간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제1거더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하부 케이블 연결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상부 케이블 연결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거더부를 이루는 테두리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난간부에 구름롤러가 장착되는 예시도이며, 도 11은 기초에 연결되는 상부케이블들의 설치각도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12는 난간부에 보강블록이 설치되는 경우의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의 시공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하부 케이블(100), 상부 케이블(200), 난간 일체형 거더(300)를 포함하게 되며, 하부 케이블(100)과 상부 케이블(200)은 복수개로 이루어져 난간 일체형 거더(300)와 연결된다.
난간 일체형 거더(300)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도록 하부 케이블(100)과 상부 케이블(200)과 연결 구속되면서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출렁다리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하부 케이블(100) 및 상부 케이블(200)과 연결되는 난간 일체형 거더(300)에 큰 특징이 있는 바, 난간 일체형 거더(300)에 대해 보다 자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난간 일체형 거더(300)는 한 쌍의 거더부(310), 한 쌍의 난간부(320), 하부 케이블 연결체(330) 및 상부 케이블 연결체(340)로 이루어지며, 주요 구성요소들의 결합에 의해 하나의 난간 일체형 거더(300)가 완성된다.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거더부(310)는 복수의 하부 케이블 연결체(330)와 결합되며, 한 쌍의 거더부(310)는 설명의 편의상 제1거더부(310a)와 제2거더부(310b)라 부르도록 한다.
제1거더부(310a)와 제2거더부(310b) 사이에 하부 케이블 연결체(330)가 끼워져 서로 연결 구속되며, 제1거더부(310a)와 제2거더부(310b)는 전체적으로 역삼각형 형상을 이루는데, 상면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하면은 윙파트(311)와 밸리파트(312)로 구분된다. 각 거더부(310)의 좌우 양단에 윙파트(311)가 마련되고, 두 윙파트(311) 사이로 밸리파트(312)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거더부(310)의 양 끝단을 이루는 윙파트(311)의 하면은 수평면을 이루고, 밸리파트(312)와 윙파트(311)는 경사면으로 연결되고, 밸리파트(312)의 하면 역시 수평면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더부(310)는 테두리(301)와 막음판(302)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테두리(301)는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판상띠를 절곡 또는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하되, 내부가 비어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테두리(301)의 외측 일측단에 윙파트(311)와 밸리파트(312) 사이 영역으로 절개홈(G)이 형성되게 한다. 절개홈(G)은 후술할 난간부(32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테두리(301)에 형성되는 절개홈(G)은 테두리(301)의 최상단면에 형성되게 하고, 난간부(320)의 하단면은 윙파트(311)와 밸리파트(312)를 연결하는 경사면에 맞닿도록 한 후 체결되도록 한다.
테두리(301)의 내부는 개구부가 형성되는데, 막음판(302)으로 테두리(301)의 내측인 타측단에 끼워서 개구부가 밀폐되게 결합시키도록 함으로써 거더부(310)가 제작된다.
거더부(310)의 윙파트(311) 근처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난간부(3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난간부(320)는 각 거더부(310)에 두 개씩 결합되는 길다란 부재로서, 설명의 편의상 제1난간부(321), 제2난간부(322), 제3난간부(323), 제4난간부(324)라 부르도록 한다. 제1난간부(321)와 제2난간부(322)는 제1거더부(310a)에 연결되며, 제3난간부(323)와 제4난간부(324)는 제2거더부(310b)에 연결된다.
각 난간부(320)는 판상체를 재단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하단측은 폭이 넓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난간부(320)의 하단측은 절개홈(G)에 끼워진 후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마주보는 다른 난간부(320)와 일체로 구속된다.
난간부(320)의 하단측은 제1절개홈(G1)을 통해 삽입된 후 끝단 부위가 제2절개홈(G2)에 끼워지도록 하고, 제1난간부(321)와 제3난간부(323)가 다수의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게 하고 제2난간부(322)와 제4난간부(324)가 다수의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게 한다.
한편, 각 난간부(320)는 길이가 긴 형상이되, 상단측은 소정각도로 외측으로 벌어지는 절곡부(K)가 형성되며, 절곡부(K)의 외측단에 복수의 함몰된 가이드홈(K1)이 형성된다. 가이드홈(K1)은 상부 케이블(200)의 설치시 상부 케이블(200)이 지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거더부(310) 사이에 하부 케이블 연결체(330)가 끼워져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윙파트(311)와 밸리파트(312)에 하나씩의 하부 케이블 연결체(330)가 배치된다. 하부 케이블 연결체(330)는 두 개의 파트로 나누어지며, 하부블록(331)과 하부덮개(332)로 구성된다.
하부블록(331)은 한 쌍의 거더부(310), 즉 제1거더부(310a)와 제2거더부(310b) 사이에 끼워지는 소정 두께의 블록체이되, 하부블록(331)의 하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케이블홈(C1)이 형성되고, 하부블록(331) 하측에서 하부덮개(332)가 연결되도록 하되 제1케이블홈(C1)에 대응하는 제2케이블홈(C2)이 형성된다. 하부블록(331)과 하부덮개(332)는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도록 하면 된다. 하부블록(331)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케이블홈(C1)에 하부 케이블(100)이 부분적으로 끼워지게 되고, 하부덮개(332)의 제2케이블홈(C2)에 의해서 하부 케이블(100)의 나머지 부분이 감싸여진다. 하부블록(331)의 하단은 거더부(310)의 하단 보다 하방으로 다소 돌출되게 하여 하부케이블(100)이 거더부(310)와 직접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부 케이블(200)을 난간부(320) 상단측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상부 케이블 연결체(340)가 마련되며, 상부 케이블 연결체(340)는 한 쌍의 난간부(320) 사이에 배치되어 일체로 연결되어 상부 케이블(200)과 구속되는 부위이다.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블 연결체(340)는 상부블록(341)과 상부덮개(342)로 이루어지며, 상부블록(341)은 마주보는 난간부(320)의 절곡부(K) 사이공간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블록체로서 외측면에 가이드홈(K1)과 동축상으로 오목한 제3케이블홈(C3)이 형성된다. 상부블록(341) 외측에서 결합되는 상부덮개(342)는 제3케이블홈(C3)에 대응하는 제4케이블홈(C4)이 형성되어 제3케이블홈(C3)과 제4케이블홈(C4)에 의해 상부 케이블(200)이 감싸여지면서 구속이 이루어진다.
상부블록(341)을 난간부(320)의 절곡부(K)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마주보는 난간부(320)의 절곡부(K)를 관통하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부블록(341)을 고정 연결되게 하며, 상부블록(341)과 상부덮개(342)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볼트너트가 사용된다.
난간부(320)의 절곡부(K)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절곡부(K)에 연결되는 상부블록(341)도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고, 이에 따라 상부블록(341)에 형성되는 제3케이블홈(C3)들은 높이를 달리하게 되어 상부 케이블(200)들은 서로 평행하면서 경사각을 이루면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는 시공현장의 양안에 기초 및 교각이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블(100)과 상부 케이블(200)을 가설한 후 소요되는 난간 일체형 거더(300)를 상부 케이블(200) 중 하나의 상부 케이블(200)에 걸어 자중에 의해 이동되게 한 후 적정 위치에 난간 일체형 거더(300)를 하부 케이블(100) 및 상부 케이블(200)과 연결 구속시키도록 한다.
거더부(310)의 상부로 보행을 위한 데크를 설치하도록 하며, 추락 사고 등의 방지를 위해 난간부 중간에 소정높이의 펜스를 연결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초(400) 위에 마주보면서 설치되는 한 쌍의 교각(500)은 소정 높이를 갖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교각(500)의 상단면은 난간부(320)의 절곡부(K) 형상과 같이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다수의 상부케이블(200)의 위치를 고려하여 다수의 새들(미도시)이 설치되어 상부케이블(200)이 새들을 거쳐서 기초(400) 위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교각(500) 상단면에 설치되는 새들이 경사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교각 상단에 새들을 덮을 수 있는 새들덮개(510)를 설치하여 상부케이블(200)이 새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기초(400)에 연결되는 상부케이블(200) 및 하부케이블(100) 각각은 턴버클(10)과 같은 장력조절수단으로 연결시켜서 상부케이블(200) 및 하부케이블(100) 각각에 대한 장력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기초에서 턴버클(10)과 연결되는 상부케이블(200) 각각은 서로 다른 설치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씩의 상부케이블(200)이 난간부(320) 상단측에서 상부 케이블 연결체(340)에 의해 구속되면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교각(500)의 새들을 거쳐서 기초(400)로 향하게 되는데, 가장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순차적으로 제1상부케이블(200a), 제2상부케이블(200b), 제3상부케이블(200c), 제4상부케이블(200d)이라 부르도록 한다.
교각(500) 상단의 새들로부터 기초(400)로 연결되는 각 케이블(200a,200b,200c,200d)들의 설치각도는 도 11 같이 제1상부케이블(200a)이 가장 작은 설치각도를 갖도록 하고, 제2상부케이블(200b), 제3상부케이블(200c), 제4상부케이블(200d)은 순차적으로 보다 큰 설치각도를 형성하도록 한다.
각 상부케이블(200)들의 설치각도를 달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부케이블(200)에 의해 감당할 수 있는 총 하중을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출렁다리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난간부 중간부분에 보강블록(600)을 끼워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격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난간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는 거더부(310)와 난간부(320)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면서 다수의 하부 케이블(100)과 상부 케이블(2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난간 일체형 거더(300)가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므로 풍압에 의한 영향이 덜하므로 내풍 특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사상인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의 시공공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단계(S100)에서는 시공현장의 양안에 기초(400) 및 교각(500)을 형성시키도록하며, 교각(500)은 하단측이 상단측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게 하고, 교각(500)의 상단면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하여 새들을 설치하도록 한다.
제2단계(S200)에서는 기초에 복수의 하부케이블(100)들을 연결하도록 하며, 거더부(310)의 형상을 고려하여 적정한 위치에 복수의 하부케이블(100)들을 설치하도록 한다.
제3단계(S300)에서는 교각(500)의 상단면에 설치되는 새들에 걸쳐지면서 기초(400)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상부케이블(200)을 설치하도록 하는데, 교각(500)의 상단면은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여 그 경사면에 새들을 설치토록 하고, 각 상부케이블(200)의 새들에 걸쳐지되, 높이를 달리하면서 상부케이블(200)들이 배치되게 한다.
제4단계(S400)에서는 준비된 난간 일체형 거더(300)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데, 복수의 상부케이블(200) 중 가장 높은 위치의 상부케이블(제4상부케이블(200d))에 상부 케이블 연결체(3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케이블홈(C3) 중 가장 높은 위치의 제3케이블홈(C3)에 걸어서 기초(400)의 좌우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난간 일체형 거더(300)를 보내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3케이블홈(C3) 중 하나의 홈에 상부케이블(200)을 걸어서 난간 일체형 거더(300)를 이송시킬 때 상부케이블(2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3케이블홈(C3)을 따라 난간부(320) 외면에 구름롤러(R)를 설치하여 무리없이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요구되는 적정 갯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300)를 이송시킨 다음에는 제5단계(S500)로서 난간 일체형 거더(300)의 하부 케이블 연결체(330)에 하부케이블(100)을 연결하도록 하고, 또한 상부 케이블 연결체(340)에 상부케이블(200)들을 연결시키도록 한다.
제5단계(S500)에서는 하부 케이블 연결체(330)를 이루는 하부블록(331)의 제1케이블홈(C1)에 대응하는 하부케이블(100)을 안착시킨 후 하부덮개(332)를 하부블록(331)과 연결하면서 제2케이블홈(C2)으로 하부케이블(100)이 감싸여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 케이블 연결체(340) 역시 상부블록(341)의 제3케이블홈(C3)에 대응하는 상부케이블(200)을 안착시킨 후 상부덮개(342)를 상부블록(341)과 연결하면서 제4케이블홈(C4)으로 상부케이블(200)이 감싸여지게 한다.
이어서 제6단계(S600)에서는 상부케이블(200)과 하부케이블(100)의 장력을 적절히 조정하도록 하고, 제7단계(S700)에서는 복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300)를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부 케이블 연결체(340)와 하부 케이블 연결체(330)를 조여 상부케이블(200) 및 하부케이블(100)과 고정되게 한다.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의 위치를 잡은 후에는 거더부 위에 데크를 설치하여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외 난간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펜스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행을 위한 출렁다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100 : 하부케이블
200 : 상부케이블
200a : 제1상부케이블 200b : 제2상부케이블
200c : 제3상부케이블 200d : 제4상부케이블
300 : 난간 일체형 거더
310 : 한 쌍의 거더부 310a : 제1거더부
310b : 제2거더부 301 : 테두리
302 : 막음판 G : 절개홈
311 : 윙파트 312 : 밸리파트
320 : 한 쌍의 난간부
321 : 제1난간부 322 : 제2난간부
323 : 제3난간부 324 : 제4난간부
330 : 하부 케이블 연결체 331 : 하부블록
332 : 하부덮개 340 : 상부 케이블 연결체
341 : 상부블록 342 : 상부덮개
400 : 기초 500 : 교각
510 : 새들덮개 600 : 보강블록
K : 절곡부 K1 : 가이드홈
C1 : 제1케이블홈 C2 : 제2케이블홈
C3 : 제3케이블홈 C4 : 제4케이블홈
R :구름롤러
10 : 턴버클
S100 : 제1단계
S200 : 제2단계
S300 : 제3단계
S400 : 제4단계
S500 : 제5단계
S600 : 제6단계
S700 : 제7단계

Claims (5)

  1. 복수의 하부 케이블과 복수의 상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며,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
    기초 위에 마주보면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면서 상단면은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에 설치되는 새들에 상기 상부 케이블들이 걸쳐져 새들덮개에 의해 덮이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교각;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상부 케이블은 상기 기초에서 턴버클과 연결되며, 각각의 상부 케이블은 서로 다른 설치각도를 이루게 되고,
    상기 난간 일체형 거더는,
    역삼각형을 이루되 좌우측 양단의 윙파트와 상기 윙파트 사이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밸리파트의 하면은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거더부;
    상기 거더부의 상기 윙파트 근처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난간부;
    상기 윙파트와 상기 밸리파트에서 상기 한 쌍의 거더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부 케이블과 구속되는 하부 케이블 연결체;
    상기 한 쌍의 난간부 상단측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 케이블과 구속되는 상부 케이블 연결체;를 포함하되,
    상기 거더부는,
    소정 폭의 판재로 내부가 비어있는 개구부를 갖도록 역삼각형을 이루되, 상기 윙파트와 상기 밸리파트의 사이 영역으로 일측단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테두리;
    상기 테두리의 타측단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되게 하는 막음판;을 포함하며,
    상기 난간부는,
    하단측이 상기 절개홈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단측은 소정각도로 외측으로 벌어지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외측단에 복수의 함몰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블 연결체는,
    상기 한 쌍의 거더부의 윙파트 사이 및 밸리파트 사이에서 결합되며, 하면에 복수의 제1케이블홈이 형성되는 하부블록;
    상기 하부블록 하측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1케이블홈에 대응하는 제2케이블홈이 형성되는 하부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블 연결체는,
    상기 한 쌍의 난간부의 상기 절곡부 사이에서 결합되며,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홈과 동축상으로 제3케이블홈이 형성되는 상부블록;
    상기 상부블록 외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제3케이블홈에 대등하는 제4케이블홈이 형성되는 상부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4. 시공현장의 양안에 기초 및 교각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제1단계;
    상기 기초에 복수의 하부케이블을 연결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교각의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높이를 달리하면서 설치되는 새들에 복수의 상부케이블이 걸쳐지도록 하되, 상기 상부케이블들의 각 단부는 상기 기초와 서로 다른 설치각도를 이루도록 턴버클로 연결되게 하는 제3단계;
    난간 일체형 거더를 준비하되, 상기 난간 일체형 거더는 역삼각형을 이루되 좌우측 양단의 윙파트와 상기 윙파트 사이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밸리파트의 하면은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거더부와, 상기 거더부의 상기 윙파트 근처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난간부와, 상기 윙파트와 상기 밸리파트에서 상기 한 쌍의 거더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부 케이블과 구속되는 하부 케이블 연결체와, 상기 한 쌍의 난간부 상단측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 케이블과 구속되는 상부 케이블 연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상부케이블 중 가장 높은 위치의 상부케이블을 상기 상부 케이블 연결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케이블홈 중 가장 높은 위치의 제3케이블홈에 걸어 상기 기초의 좌우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상기 난간 일체형 거더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4단계;
    이송완료된 상기 복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의 상기 하부 케이블 연결체에 상기 하부케이블을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케이블 연결체에 상기 상부케이블들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제5단계;
    상기 상부케이블과 상기 하부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6단계;
    상기 복수의 난간 일체형 거더를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 케이블 연결체와 상기 하부 케이블 연결체를 조여 상기 상부케이블 및 하부케이블과 고정되게 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가장 높은 위치의 제3케이블홈을 따라 상기 난간부 외면에 구름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난간 일체형 거더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의 시공공법.
  5. 삭제
KR1020200166164A 2020-12-02 2020-12-02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KR10226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64A KR102269930B1 (ko) 2020-12-02 2020-12-02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64A KR102269930B1 (ko) 2020-12-02 2020-12-02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930B1 true KR102269930B1 (ko) 2021-06-28

Family

ID=7660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164A KR102269930B1 (ko) 2020-12-02 2020-12-02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4749B1 (ja) * 2022-07-05 2022-11-01 株式会社シラヤマ 地覆ユニッ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341Y1 (ko) * 2005-12-21 2006-03-15 주식회사한국삭도 현수식 구름다리
KR101556968B1 (ko) 2014-07-04 2015-10-06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KR101802257B1 (ko) * 2017-04-28 2017-12-28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KR101945159B1 (ko) * 2018-10-08 2019-04-18 신상훈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KR101948649B1 (ko) * 2018-05-31 2019-05-02 선풍종합건설 주식회사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113878B1 (ko) * 2019-10-21 2020-05-21 (주)신흥이앤지 복수 개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341Y1 (ko) * 2005-12-21 2006-03-15 주식회사한국삭도 현수식 구름다리
KR101556968B1 (ko) 2014-07-04 2015-10-06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KR101802257B1 (ko) * 2017-04-28 2017-12-28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KR101948649B1 (ko) * 2018-05-31 2019-05-02 선풍종합건설 주식회사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945159B1 (ko) * 2018-10-08 2019-04-18 신상훈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KR102113878B1 (ko) * 2019-10-21 2020-05-21 (주)신흥이앤지 복수 개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4749B1 (ja) * 2022-07-05 2022-11-01 株式会社シラヤマ 地覆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27287A1 (en) Scaffolding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US6256946B1 (en) Adjustable stairway for use with an overcast in a mine
KR101546304B1 (ko)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US20100293875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US20090100614A1 (en) Device for a Gangway
CA2567141A1 (en) Modular multilevel access platform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KR102269930B1 (ko)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US4413361A (en) Deck and fence structure for above ground swimming pools
KR102305330B1 (ko) 케이블 보도 현수교 및 이에 사용되는 새들
US4736553A (en) Roof structure
US8959849B1 (en) Light steel frame structure for deck
US6527081B1 (en) Embankment stairway
EP0698154B1 (en) A building structure
CA1234269A (en) Roof structure
KR101514220B1 (ko) 아치형 차도교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아치형 차도교
US20060135005A1 (en) Snappy structural system
US11885142B2 (en) Stair and walkway system and method
KR101045828B1 (ko) 교량점검통로
US4562603A (en) Cable supported pool structure
US4506487A (en) Steel truss
KR102641650B1 (ko) 경량모듈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232680B1 (ko) 체험시설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JPH1030211A (ja) 簡易人道吊橋
US11028541B2 (en) Modular bridge system
KR102221518B1 (ko) 무주탑 보도 현수교의 세그먼트 교량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