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828B1 - 교량점검통로 - Google Patents

교량점검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828B1
KR101045828B1 KR1020080093861A KR20080093861A KR101045828B1 KR 101045828 B1 KR101045828 B1 KR 101045828B1 KR 1020080093861 A KR1020080093861 A KR 1020080093861A KR 20080093861 A KR20080093861 A KR 20080093861A KR 101045828 B1 KR101045828 B1 KR 101045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ixed
frame
bridge inspection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633A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93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8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점검통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고정면의 경사도에 관계없이 발판을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교량점검통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는 지지 프레임, 지지 프레임의 한쪽 끝으로부터 고정되는 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고정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다른 한쪽 끝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난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포스트; 및 가변 체결구에 의하여 서로 다른 경사로 지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발판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 가변체결구, 받침대, 교각, 하중 지지 부재

Description

교량점검통로{Passage for Inspecting the Pier of a Bridge}
본 발명은 교량점검통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고정면의 경사도에 관계없이 발판을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교량점검통로에 관한 것이다.
교량점검통로는 고소용 접근장비를 이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부재의 점검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설치되는 통로 형태의 접근 시설을 말한다. 고정식 점검시설에 해당하는 점검통로는 예를 들어 사장교, 현수교 또는 트러스교와 같이 교량의 상부나 하부로부터 이동식 접근장비에 의한 점검이 불가능한 교량에 설치될 수 있다. 점검 통로는 또한 교량에 설치된 방음벽과 펜스(fence)와 같은 연속적인 부속물의 설치로 인하여 이동식 접근장비에 의한 점검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이동식 접근 장비로 인하여 교통 혼잡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에 설치된 교량에도 설치될 수 있다.
점검통로는 교각의 둘레를 따라 점검자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량점검통로에 대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2-0049114 “교각 점검대”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시공이 용이하고 그리고 부분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보수가 용이한 교각 점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선행기슬은 교각에 부착되는 브래킷; 브래킷에 고정되는 사각파이프; 사각파이프의 끝에 조립되는 채널 바; 채널 바에 조립되는 포스트; 및 채널 바 사이에 고정되어 발판을 형성하는 앵글, 받침판, 난간 파이프 및 클램프로 분할되어 조립될 수 있는 조립방식의 교각 점검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교량점검통로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693482호 “조립식 교량점검대”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앵커볼트의 매설로 인하여 발생하는 균열과 부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가진 교각 점검대를 제공한다.
공지된 교량점검통로는 코핑(coping) 면이 예를 들어 수직면이 아닌 경우 설치가 어렵고 그리고 발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키면서 점검통로가 고정되는 지지 면에 관계없이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고정되는 면에 따른 설치가 어렵고 그리고 발판의 수평 유지가 어렵다는 공지의 교량점검통로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임의의 각으로 연장되는 지지 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 발판의 고정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교량점검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교량점검통로는 지지 프레임, 지지 프레임의 한쪽 끝으로부터 고정되는 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고정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다른 한쪽 끝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난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포스트; 및 가변 체결구에 의하여 서로 다른 경사로 지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발판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교량점검통로는 지지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받침대; 및 발판 부재를 지지하는 하중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받침대는 지지 프레임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가변 위치 고정 형태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받침대는 지지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중 지지 부재는 T자형 부 재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스트는 일체형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은 아치형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스트 및 발판부재는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는 프레임 형상의 변화를 통하여 임의의 교각에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발판이 교량점검통로가 설치되는 코핑 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수평을 이루면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어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며,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10, 10a)의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교량점검통로(10)는 예를 들어 교각의 코핑 면과 같은 지지 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111), 고정 프레임(111)으로부터 연장되고 통로의 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112) 및 지지 프레임(112)으로부터 연장되고 난간을 지지하기 위한 난간 프레임(113)으로 이루어진 포스트(11); 지지 프레임(112)에 고정되어 발판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발판 부재(12); 각각의 발판 부재(12)를 지지 프레임(112)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가변 체결구(15a,15b); 지지 프레임(112)의 중앙 부분에 고정된 받침대(13); 및 발판 부재(12)와 받침대(13)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중 지지 부재(131)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111)은 교량점검통로(10) 전체가 교각(P)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 프레임(111)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앵커볼트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1)이 고정되는 교각 면(W)은 반드시 지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프레임(111)은 교량의 형태 또는 교각의 형상에 따라 수직이 아닌 경사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경사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111)의 형상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지지 프레임(112)은 발판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프레임(111)으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필요에 따라 고정 프레임(111)에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111)과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고정 프레임(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2)의 내부 면 또는 발판이 형성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으로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아치형이 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2)을 따라 각각의 발판 부재(12)가 가변 체결구(15a, 15b)에 의하여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112)과 발판 부재(12)의 기하학적 형태가 도 1a에 A로 표시된 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의 A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112) 양끝의 일정 부분은 아치형의 가변 부분(112a)으로 되고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다. 가변 부분(112a)에 각각 발판부재(12)의 한쪽 끝 및 다른 쪽 끝이 고정될 수 있다. 아래의 B로 표시된 것처럼 각각의 발판 부재(12)는 12a, 12b 및 12c로 표시된 것처럼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도록 지지 프레임(112)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가변 부분(112a)은 하중 지지 부재(131)의 끝점을 기준으로 대칭점을 형성하고 그리고 가변 부분(112a)의 경사면 또는 아치형은 하나의 위치와 대칭 위치에 이르는 거리와 다른 하나의 위치와 대칭위치에 이르는 거리가 서로 같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각각의 발판 부재(12)는 하중 지지 부재(131)의 끝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지지 프레임(112)에 고정될 수 있다.
가변 체결구(15a, 15b)는 각각의 발판 부재(12)를 가변 부분(112a)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가변 체결구(15a, 15b)는 발판 부재(12)를 고정하기 위한 홈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발판 부재(12)는 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시된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발판 부재(12)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가변 체결구(15a, 15b)에 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가변 체결구(15a, 15b)는 가변 부분(112a)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위치의 고정을 위하여 도 1a의 C에서 표시된 것처럼, 가변 부분(112a)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변 체결구(15a, 15b)가 고정될 수 있는 장공 또는 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난간 프레임(113)은 지지 프레임(112)의 한쪽 끝으로부터 연장된다. 난간 프레임(113)은 임의의 형상으로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리고 일정 위치에 핸드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 구멍(113a)이 형성될 수 있다. 난간 프레임(113)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높이 및 견고성을 가진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받침대(13)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판 부재(12)가 2개의 포스트(11)만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는 강성 소재라면 받침대(13)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소재의 견고성이 보장되기 어려운 경우 발판 부재(12)의 추가적인 지지를 위하여 받침대(13)가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13)는 하중 지지 부재(131)를 통하여 전달되는 발판 부재(12)의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발판 부재(1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아래쪽의 면적이 위쪽 부분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받침대(13)는 지지 프레임(11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받침대(13)에 의해 지지되는 하중 지지 부재(131)는 발판 부재(12)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고 아래쪽이 좁은 역‘T'자형 부재가 될 수 있다. 하중 지지 부재(131)는 지지 프레임(112)에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도 1a에서 지지 프레임(112)에 형성된 여분의 구멍(H)은 중량의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체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크기 및 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112) 또는 난간 프레임(113)에 형성된 삽입 구멍(I)은 작업자의 추락방지 및 미관 개선을 위한 보조 레일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적당한 위 치에 임의의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10a)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의 실시 예는 도 1a의 실시 예에 비하여 받침대(13a) 및 하중 지지 부재(131a)의 형상 및 설치 형태에서 차이를 가진다.
도 1b를 참조하면, 받침대(13a)의 아래쪽 면은 지지 프레임(112)의 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지지 프레임(112)의 내부 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1a와 관련하여 설명을 한 것처럼, 발판 부재(12)는 경사각이 다르게 지지 프레임(112)에 고정될 수 있다. 발판 부재(12)의 경사각이 변하게 되면 하중 지지 부재(131)의 위쪽 부분 전체가 발판 부재(12)에 접하지 않거나 또는 하중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 하중 지지 부재(131)의 위쪽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의 균일한 분산을 위하여 하중 지지 부재(131)와 발판 부재(12)는 수직으로 접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도 1b에 제시된 실시 예의 경우, 받침대(13a)는 가변 체결구(15a, 15b)와 마찬가지로 지지 프레임(112)의 내부 면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받침대(13a)가 지지 프레임(112)과 접하는 부분은 지지 프레임(112)의 내부 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하중의 분산을 위하여 받침대(13a)는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각뿔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하중부재(131a)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받침대(13a)의 윗부분에 안내 구멍(132)이 형성될 수 있다. 역‘T’자 형태의 하중 지지 부재(131a)의 위쪽 부분은 발판 부재(12)에 접하고 그리고 하중 지지 부재(131a)의 아래쪽 부분은 안내 구멍(132)으로 삽입되어 받침대(13a)의 바닥 면 또는 지지 프레임(112)에 고정될 수 있다. 받침대(13a)가 서로 다른 위치의 지지 프레임(1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위에서 가변 체결구(15a, 15b)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장공 또는 홈이 받침대(13a)의 아래쪽 면과 접하는 지지 프레임(112)의 내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10, 10a)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10, 10a)는 설치되는 교각의 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발판이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래에서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진 면에 고정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2b 및 2c는 서로 다른 고정 면을 가진 교각에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20a, 20b, 20c)가 설치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a, 2b 및 2c를 참조하면, 교량점검통로(20a, 20b, 20c)가 고정되는 교각 면(Wa, Wb, Wc)은 지면에 대하여 직각, 예각 및 둔각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실시 예에서 포스트(11)의 지지 프레임(112)은 지면에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2)은 경사면 또는 아치형으로 연장되므로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연장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연장된다는 것’은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 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높이로 연장되고 그리고 적어도 일부 특히 끝 부분이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지지 프레임(112)은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거의 동일한 높이로 연장되고 그리고 가변 부분이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므로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연장된 것’의 예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칭이란 외형의 대칭을 포함하지만 구조적인 대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a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동일한 길이의 받침 부재(12)가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양 끝 부분이 형성되는 것은 구조적인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고정 프레임(111a, 111b, 111c)은 지지 프레임(112)의 한쪽 끝으로부터 각각의 교각 면(Wa, Wb, Wc)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난간 프레임(113)은 지지 프레임(112)의 다른 한쪽 끝으로부터 위쪽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정한 길이는 작업자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의미한다.
받침대(13)는 지지 프레임(112)의 중간 부분에 지지 프레임(112)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지지 프레임(112)에 고정될 수 있는 가변 위치 고정 형태가 될 수 있다. 발판 부재(12)는 가변 체결구(15a,15b)에 의하여 각각의 지지 프레임(112)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하중 지지 부재(131)는 도 2b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원뿔 또는 각뿔 형태의 받침대(13)에 고정되어 발판 부재(12)의 하중을 지지 프레임(112)에 전달하면서 발판 부재(12)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2a 내지 2c에 도시된 실시 예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20a, 20b, 20c)는 고정 면의 경사에 관계없이 교각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발판이 지면에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정성 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20a, 20b, 20c)는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되거나 또는 미리 다수 개의 부분 완성품을 만들어서 현장에서 조립되어 완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설치되어야 할 교각의 고정 면(Wa, Wb, Wc)의 형상을 고려하여 고정 프레임(111a, 111b, 111c), 지지 프레임(112) 및 난간 프레임(113)이 일체로 형성된 포스트(11)가 현장으로 이송된다. 또한 발판 부재(12), 받침대(13), 하중 지지 부재(131) 및 가변 체결구(15a, 15b)가 별도로 제조되어 현장으로 이송된다. 이와 함께 난간을 형성하는 핸드 레일, 보조 레일 부재와 기타 시공을 위하여 필요한 재료들이 현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공사 현장에서 먼저 일체로 제조된 포스트(11)의 고정 프레임(111a, 111b, 111c)이 고정 면(Wa, Wb, Wc)에 고정되고 그리고 받침대(13)가 지지 프레임(112)에 결합된다. 그리고 발판 부재(12)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가변 체결구(15a, 15b)로 지지 프레임(112)에 설치된다. 발판 부재(12)의 설치 과정에서 받침대(13)의 고정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후 핸드 레일을 난간 프레임(113)에 고정하고 그리고 보조 레일 부재를 지지 프레임(112) 또는 난간 프레임(113)에 설치하여 교량점검통로(20a, 20b, 20c)를 완성할 수 있다. 교량에 설치된 교량점검통로가 아래에서 제시되어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에 설치된 교량검검통로(2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3b는 정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교좌(S)와 같은 교량 구조물의 안전을 점검하기 위한 교량점검통로(20)는 교각(P)의 둘레 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교량점검통 로(20)는 단위체(U)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다수 개의 단위체(U)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단위체(U)는 예를 들어 2개의 포스트(11) 및 발판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받침대 및 하중 지지 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11)가 교각(P)의 둘레 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그리고 발판 부재가 가변 결합구(15a, 15)에 의하여 2개의 포스트(11)에 고정될 수 있다. 가변 결합구(15a, 15b)는 교각(P)의 둘레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하나의 단위체(U)에서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중 지지 부재(131)도 동일하게 하나의 단위체(U)에서 둘레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발판 부재의 경사 방향은 단위체(U)를 기준으로 수평이 조절될 수 있고 그리고 단위체(U)의 개수는 교각(P)의 둘레 면을 전체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위체(U)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발판 부재가 고정되면, 단위체(U)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 앵글(31)이 설치되어 교량점검통로(20)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에서 발판 부재는 예를 들어 익스펜디드 메탈(expanded metal), 용접철망, 메탈라스, 타공판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구조물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의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a, 2b 및 2c는 서로 다른 고정 면을 가진 교각에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가 설치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에 설치된 교량검검통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3b는 정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Claims (8)

  1. 교각의 코핑 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11), 고정 프레임(111)으로부터 연장되며 양쪽 끝의 일정 부분에 아치형 또는 경사면 형태의 가변 부분(112a)이 형성된 지지 프레임(112) 및 지지 프레임(112)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난간 프레임(113)으로 이루어진 포스트(11);
    지지 프레임(112)에 고정되어 발판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발판 부재(12);
    각각의 발판 부재(12)를 지지 프레임(112)의 가변 부분(112a)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가변 체결구(15a,15b);
    지지 프레임(112)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받침대(13); 및
    발판 부재(12)와 받침대(13)의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 부재(12)를 지지하는 하중 지지 부재(131)를 포함하며,
    고정 프레임(111)의 양쪽 끝에 형성된 가변 부분(112a)은 각각 하중 지지 부재(131)를 기준으로 같은 거리에 위치하도록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받침대(13)는 지지 프레임(112)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가변 위치 고정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4. 제1 항에 있어서,
    받침대(13)는 지지 프레임(1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5. 제1 항에 있어서,
    하중 지지 부재(131)는 역T자형 부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6. 제1 항에 있어서,
    포스트(11)는 일체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7. 제1 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112)은 아치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8.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포스트(11) 및 발판부재는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KR1020080093861A 2008-09-24 2008-09-24 교량점검통로 KR101045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861A KR101045828B1 (ko) 2008-09-24 2008-09-24 교량점검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861A KR101045828B1 (ko) 2008-09-24 2008-09-24 교량점검통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633A KR20100034633A (ko) 2010-04-01
KR101045828B1 true KR101045828B1 (ko) 2011-07-01

Family

ID=4221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861A KR101045828B1 (ko) 2008-09-24 2008-09-24 교량점검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8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702B1 (ko) 2012-01-26 2012-09-19 (주)건교산업 관로 및 점검로 지지대
CN110685230A (zh) * 2019-11-11 2020-01-14 四川铁创科技有限公司 一种泡沫夹芯一体灌注复合材料桥墩吊篮
KR102379541B1 (ko)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매립 앵커의 위치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교량 점검시설 결속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875Y1 (ko) 2000-11-29 2001-05-15 민형선 이동식 비계
KR20020050321A (ko) * 2000-12-21 2002-06-27 오풍영 안전발판 시스템
KR100798615B1 (ko) 2006-10-26 2008-01-28 비씨태창산업(유) 만능 발판 경사 조절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875Y1 (ko) 2000-11-29 2001-05-15 민형선 이동식 비계
KR20020050321A (ko) * 2000-12-21 2002-06-27 오풍영 안전발판 시스템
KR100798615B1 (ko) 2006-10-26 2008-01-28 비씨태창산업(유) 만능 발판 경사 조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702B1 (ko) 2012-01-26 2012-09-19 (주)건교산업 관로 및 점검로 지지대
CN110685230A (zh) * 2019-11-11 2020-01-14 四川铁创科技有限公司 一种泡沫夹芯一体灌注复合材料桥墩吊篮
KR102379541B1 (ko)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매립 앵커의 위치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교량 점검시설 결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633A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059B1 (ko)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46304B1 (ko)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KR101922889B1 (ko) 조립식 발판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101290296B1 (ko) 교량 점검로 접근용 계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KR101511290B1 (ko)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EP0832339B1 (fr) Escalier modulable modulaire
KR102221132B1 (ko) 절토부 비탈면 점검로 및 그 시공방법
KR101045828B1 (ko) 교량점검통로
CN110093856B (zh) 一种用于轨道交通桥梁中的栏板连接结构
KR200361531Y1 (ko)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FI126773B (fi) Kattotyöskentelyn kaiderakenteen pystytukirakenne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100547484B1 (ko) H빔을 다층으로 연결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교량거더와 낙교방지장치 및 다중 지점 지지장치로 이루어진 가설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336997B1 (ko) 교량 점검로
KR20160118703A (ko) 종방향 교량 점검대
KR101265098B1 (ko) 조립형 난간
JP5807883B1 (ja) 吊足場
KR200371107Y1 (ko) 리브 결합형 교량 점검통로
KR200397402Y1 (ko) 교량시설물 점검용 지주대
JP2016204983A (ja) 階段仮設足場
KR20020025131A (ko)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KR200303255Y1 (ko) 교각 점검대용 난간 및 그 난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