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875Y1 - 이동식 비계 - Google Patents

이동식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875Y1
KR200222875Y1 KR2020000033422U KR20000033422U KR200222875Y1 KR 200222875 Y1 KR200222875 Y1 KR 200222875Y1 KR 2020000033422 U KR2020000033422 U KR 2020000033422U KR 20000033422 U KR20000033422 U KR 20000033422U KR 200222875 Y1 KR200222875 Y1 KR 200222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support
scaffolding
mobi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형선
김철하
Original Assignee
민형선
김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형선, 김철하 filed Critical 민형선
Priority to KR2020000033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875Y1/ko

Links

Landscapes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비계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이동비계는 작업발판의 높이 및 그 크기가 규격화되어 조절할 수 없었는데,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발판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동식 비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최하단부에 캐스터가 형성된 비계기둥을 네 모퉁이에 수직으로 세우고, 연결소켓으로 인접한 두개의 비계기둥을 연결하며, 내측을 향하도록 발판 지지대를 요철부에 고정지지하고, 이 발판 지지대 위에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판 지지대는 그 자중으로 인해 고정축과 지지축이 요철부와 그 반대측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그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이동식 비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소켓의 지지로드가, 내접하는 두개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각 파이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구가 형성되어, 고정핀이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어 두개의 파이프를 고정지지 함으로써,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조립이 쉽고, 작업발판의 높이 및 비계의 크기를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비계{A movable type scaffolding}
본 고안은 이동식 비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발판의 높이조절 및 그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이동식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신축하거나 보수할 때 실내의 높은 벽면 및 천장에 대한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이 자유롭고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이동식 비계를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이동식 비계는 여러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주로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립식 이동비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이동비계는 일측면의 양 기둥과 상부를 이루는 기본 프레임(1) 한쌍을 양쪽에 세우고, 이 한쌍의 기본 프레임(1) 좌우 측면을 한쌍의 'X'자 형상의 가새(2)로 연결하며, 상기 기본 프레임(1)의 상측에 발판 지지대(3)를 설치한 후, 그 위에 작업발판(4)을 올려놓아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프레임(1)의 최하단부에는 자유로이 회전 및 구름이 가능한 공지의 캐스터(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립식 이동비계는 비교적 조립이 쉽고, 튼튼하며,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이동비계는 작업하고자하는 벽면이나 천정의 높이가 변했을 때에는 비계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작업공간이나 동시에 작업하는 작업자의 숫자에 따라 비계크기를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좁은 작업발판(4) 위에서 여러명의 작업자가 함께 작업을 하거나 별도의 조립식 이동비계를 붙여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판 지지대의 높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동식 비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식 비계에 있어서, 길이가 긴 중공의 사각주 형상으로 일측면에 올록볼록한 요철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가 한쌍씩 상호 마주보도록 네 모퉁이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지며, 최하단부에 자유로이 회전 및 구름이 가능한 공지의 캐스터가 형성된 비계기둥과; 인접하는 두개의 비계기둥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로드의 양 단부 상하면에 상하 두개의 비계기둥에 결합되어 이들을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돌기가 형성된 연결소켓과; 사각주 형상의 지지대 일단부 양측에서 한쌍의 고정편이 마주보도록 연장형성되고, 고정편의 지지대측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고정축 지지구에 고정축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편의 단부측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축 지지구에 분할핀으로 지지축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이 비계기둥의 요철부에 고정지지되고 지지축이 그 반대측에 지지되는 발판 지지대와;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 지지대 위에 설치되는 작업발판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지로드의 길이를 변화시켜 비계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이동식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연결소켓의 지지로드가, 내접하는 두개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각 파이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구가 형성되어, 고정핀이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어 두개의 파이프를 고정지지 함으로써,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발판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발판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지지로드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비계 및 작업발판의 크기를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립식 이동비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발판 지지대 분리 사시도
도 5는 발판 지지대 결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비계기둥 11 : 요철부
12 : 오목부 13 : 볼록부
14 : 캐스터 20 : 연결소켓
21 : 지지로드 22 : 연결돌기
23 : 고정구 24 : 고정핀
30 : 발판 지지대 31 : 지지대
32 : 고정편 33 : 고정축 지지구
34 : 고정축 35 : 지지축 지지구
36 : 지지축 37 : 분할핀
40 : 작업발판
이하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참조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사시도이며, 도 4는 발판 지지대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발판 지지대 결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면에 요철부(11)가 형성된 비계기둥(10)을 네 모퉁이에 수직으로 세우고, 연결소켓(20)으로 인접한 두개의 비계기둥(10)을 연결하며, 내측을 향하도록 발판 지지대(30)를 요철부(11)에 고정지지하고, 이 발판 지지대(30) 위에 작업발판(40)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자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비계기둥(10)은 길이가 긴 중공의 사각주 형상으로 일측면에 오목부(12)와 볼록부(13)가 올록볼록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철부(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형상을 가진 네개의 비계기둥(10)이 네 모퉁이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지는데, 두 개가 한 쌍을 이뤄 각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세워진다. 또한 각 비계기둥(10)의 최하단부에는 자유로이 회전 및 구름이 가능한 공지의 캐스터(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소켓(20)은 상기와 같이 네 모퉁이에 세워진 비계기둥(10)을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호 연결·지지하는 것으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개의 비계기둥(10)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로드(21)의 양 단부 상하면에 연결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돌기(22)는 두개의 비계기둥(10)을 상하로 결합하여 이들을 수직으로 연결하게 되므로, 여러개의 비계기둥(10)을 연결하여 비계기둥(10)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판 지지대(30)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게될 작업발판(40)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사각주 형상의 지지대(31)의 일단부 양측에서 한쌍의 고정편(32)이 마주보도록 연장형성되고, 이 한쌍의 고정편(32)에 고정축(34)과 지지축(3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축(34)은 상기 고정편(32)의 지지대(31)측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고정축 지지구(33)에 삽입고정되고, 지지축(36)은 상기 고정편(32)의 단부측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축 지지구(35)에 분할핀(37)으로 고정지지되고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발판 지지대(30)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계기둥(10)에 조립되는데, 그 자세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비계기둥(10)이 마주보는 한쌍의 고정편(32) 내측에 위치하도록 대향시킨 후, 상측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로 하방으로 삽입하게 되면 고정축(34)과 지지축(36) 사이 공간으로 비계기둥(10)이 삽입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발판 지지대(30)를 비계기둥(10)과 수직이 되도록 놓게되면, 고정축(34)이 요철부(11)의 오목부(12)에 안착된 상태로 볼록부(13)에 지지되어 고정되고, 지지축(36)은 요철부(11) 반대측 면에 지지되므로, 발판 지지대(30)가 자체무게와 중력에 의해 항상 아래로 힘을 받게 되어 발판 지지대(30)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튼튼하게 고정지지되게 된다. 한편, 지지축(36)은 분할핀(37)으로 고정되므로 그 조립 방향을 바꾸거나 여러가지 장애물로 인해 비계기둥(10)에 삽입설치가 어려울 때에는 분할핀(37)을 해제한 후 지지축(36)을 빼어내고 다시 조립하면 되므로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발판 지지대(30) 위에는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도록 공지의 작업발판(4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비계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발판(40) 위에 올라가 작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각 비계기둥(10) 최하단부에 형성된 캐스터(14)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하고자 하는 벽면이나 천정의 높이가 변경되면 작업발판(40)을 발판 지지대(30)로부터 잠시 해제하고 각 비계기둥(10)에 지지고정된 발판 지지대(30)의 높이를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작업발판(40)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먼저, 발판 지지대(30)를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31) 측을 약간 기울여 들어 올리게 되면 요철부(11)로부터 고정축(34)의 고정지지가 해제되며,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다시 지지대(31) 측을 비계기둥(10)과 수직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키면 고정축(34)이 요철부(11)에 지지고정된다. 그리고 각 비계기둥(10)에 지지고정된 발판 지지대(30)를 상기의 과정을 거쳐 같은 높이로 조정한 후 작업발판(40)을 다시 설치하면 높이 조정이 완료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비계는 작업공간이나 동시에 작업하는 작업자의 숫자에 따라 그 크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쉽게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인접한 두개의 비계기둥(10)을 연결지지하는 연결소켓(20)의 지지로드(21) 길이를 변화시키는 비계기둥(10) 상호간의 거리가 조정되므로 쉽고 편리하게 본 고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그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지지로드(21)의 길이가 다른 규격의 연결소켓(미도시)으로 교환하여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연결소켓(20)의 다른 일실시예를 통해 지지로드(21)를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소켓(20)의 지지로드(21)를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접하는 두개의 파이프로 구성하고, 각 파이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구(23)를 형성하며, 원하는 길이만큼 지지로드(21)의 길이를 맞춘 후 두개의 파이프가 동시에 고정지지되도록 고정핀(24)을 상기 고정구(23)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그러면 비계기둥(10)의 상호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그 크기에 맞는 작업발판(40)을 발판 지지대(30)에 설치하게 되면 언제든지 작업공간과 동시에 작업하는 작업자의 숫자에 맞도록 비계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비계는 작업발판의 높이조절 및 그 크기조절이 매우 쉽고 편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명백한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비계는 작업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벽면이나 천정의 높이에 맞게 작업발판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비계는 인접하는 비계기둥을 연결 지지하는 연결소켓의 지지로드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작업공간 및 동시에 작업하는 작업자의 숫자에 맞추어 비계 및 작업발판의 크기를 쉽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동식 비계에 있어서,
    길이가 긴 중공의 사각주 형상으로 일측면에 올록볼록한 요철부(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11)가 한쌍씩 상호 마주보도록 네 모퉁이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지며, 최하단부에 자유로이 회전 및 구름이 가능한 공지의 캐스터(14)가 형성된 비계기둥(10)과;
    인접하는 두개의 비계기둥(10)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로드(21)의 양 단부 상하면에 상하 두개의 비계기둥(10)에 결합되어 이들을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돌기(22)가 형성된 연결소켓(20)과;
    사각주 형상의 지지대(31) 일단부 양측에서 한쌍의 고정편(32)이 마주보도록 연장형성되고, 고정편(32)의 지지대(31)측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고정축 지지구(33)에 고정축(34)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편(32)의 단부측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축 지지구(35)에 분할핀(37)으로 지지축(36)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34)이 비계기둥(10)의 요철부(11)에 고정지지되고 지지축(36)이 그 반대측에 지지되는 발판 지지대(30)와;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 지지대(30) 위에 설치되는 작업발판(4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20)의 지지로드(21)가, 내접하는 두개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각 파이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구(23)가 형성되어, 고정핀(24)이 상기 고정구(23)에 삽입되어 두개의 파이프를 고정지지 함으로써,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KR2020000033422U 2000-11-29 2000-11-29 이동식 비계 KR200222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422U KR200222875Y1 (ko) 2000-11-29 2000-11-29 이동식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422U KR200222875Y1 (ko) 2000-11-29 2000-11-29 이동식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875Y1 true KR200222875Y1 (ko) 2001-05-15

Family

ID=7309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422U KR200222875Y1 (ko) 2000-11-29 2000-11-29 이동식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8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828B1 (ko) 2008-09-24 2011-07-01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점검통로
KR102362409B1 (ko) 2020-10-08 2022-02-15 (주)코스텍 천정 무대장치 설치작업용 발판유닛
CN115324320A (zh) * 2022-08-24 2022-11-11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便于复杂场景下使用的移动式脚手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828B1 (ko) 2008-09-24 2011-07-01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점검통로
KR102362409B1 (ko) 2020-10-08 2022-02-15 (주)코스텍 천정 무대장치 설치작업용 발판유닛
CN115324320A (zh) * 2022-08-24 2022-11-11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便于复杂场景下使用的移动式脚手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1586B (zh) 梁挂接件、建筑框架结构及安装方法
CN102261130A (zh) 建筑框架结构的挂接件及建筑框架结构
KR200222875Y1 (ko) 이동식 비계
CN210105279U (zh) 支架节点及支架
KR20140068641A (ko) 곡선구간 최적화 설치가 가능한 시스템 비계
CN211037889U (zh) 装配式建筑施工墙板搭建支撑装置
JP2001200632A (ja) 仮設構造物の構築方法
CN216690258U (zh) 一种插接式脚手架
CN102277905A (zh) 一种梁挂接件、建筑框架结构及安装方法
CN214117434U (zh) 一种便于安装的建筑结构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JP2003056187A (ja) 支保工システム
CN215253869U (zh) 一种装配式吊顶装置及装饰吊顶
CN215717242U (zh) 民用建筑数字模板及顶撑活动架
CN216713845U (zh) 墙体模板斜撑装置
CN216476201U (zh) 一种基于地铁车站土建施工用安全脚手架
JPH05505Y2 (ko)
KR20200114593A (ko) 이동식 틀 비계용 알루미늄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틀비계
CN213297058U (zh) 一种便于拆装的装配式建筑施工平台
JPS6349460Y2 (ko)
CN216379971U (zh) 一种简易房屋的钢结构框架
CN214461241U (zh) 装配式建筑底部连接结构
CN218060693U (zh)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
JPS6348752Y2 (ko)
JP3029125U (ja) 建築用型枠パネルの桁梁支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