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257B1 -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2257B1 KR101802257B1 KR1020170055010A KR20170055010A KR101802257B1 KR 101802257 B1 KR101802257 B1 KR 101802257B1 KR 1020170055010 A KR1020170055010 A KR 1020170055010A KR 20170055010 A KR20170055010 A KR 20170055010A KR 101802257 B1 KR101802257 B1 KR 1018022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egment
- suspension
- suspended
- she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다수 개의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현수바닥판 구조는 교량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세그먼트와, 상기 바닥세그먼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메인케이블에 의해 현수되는 현수거치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세그먼트는, 양측에 위치한 각 지지빔, 상기 지지빔의 각 상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지지빔의 각 웨브 사이 또는 각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쉘플레이트 및, 상기 쉘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쉘플레이트와 각 지지빔 및 상판을 일체화시키는 쉘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현수거치빔은, 양측단에 위치하면서 메인케이블에 연결된 행어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는 행잉부와, 중앙에 위치하면서 상기 바닥세그먼트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부로 오목한 거치홈이 형성되도록 양측의 단턱플레이트와 거치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수보도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다수 개의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구축되는 현수보도교에 있어서의 상기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의 개선 구조와 이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득의 증가에 따라 건강의 목적 내지는 도시생활에서 오는 각종 스트레스의 해소를 목적으로 한 야외에서의 다양한 레저활동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각 지자체는 산, 계곡이나 하천 등에 대한 이용자의 접근 및 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보도교들을 구축하고 있는데, 그중 현수보도교는 경관이 우수하고 자연친화성을 느끼게 하여 가장 각광받고 있는 보도교량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수보도교는 통상적으로 바닥판을 세그먼트화하여 현장에서 이들 세그먼트를 조립함으로써 구축되고 있는데, 도 1은 그 예의 하나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현수보도교의 세그먼트 바닥판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43983호에 게시된 '케이블 교량의 세그먼트 바닥판의 설치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교량의 양단부의 위치에 지지대(110)를 가설하고, 케이블(120,130)을 상기 지지대(110)까지 연장시켜 고정하는 케이블 설치단계와; 세그먼트 바닥판(140)을 양중하여 상기 케이블(120,130) 상에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140)이 지지되게 거치한 상태에서, U자형 고리부재(149)로 상기 케이블(120,130)을 감싸도록 한 후 고정 너트(149a)로 고정시키는 바닥판 거치단계와;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140)이 상기 케이블(120,130)을 타고 슬라이딩 형태로 상기 세그먼트 바닥판(140)을 정해진 설치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바닥판 이송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의 세그먼트 바닥판은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을 케이블에 직접 전달하는 구조부재로서 일체로 된 판상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휨변형이 생기기 쉽고, 케이블에 직접 거치된 상태에서 다수 개의 세그먼트 바닥판들이 케이블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이 가능하도록 연속 배치되어 있을 뿐이어서, 일부 손상된 세그먼트 바닥판만을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판 구조의 휨강성 및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켜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경량화가 가능하여 장스팬의 현수보도교를 구축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바닥판의 교체시공이 매우 용이하여 사후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교량용 주탑들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케이블에 현수되는 현수바닥판 구조에 있어서, 교량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세그먼트와, 상기 바닥세그먼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메인케이블에 의해 현수되는 현수거치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세그먼트는, 양측에 위치한 각 지지빔, 상기 지지빔의 각 상부플랜지(10a)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지지빔의 각 웨브 사이 또는 각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쉘플레이트 및, 상기 쉘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쉘플레이트와 각 지지빔 및 상판을 일체화시키는 쉘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현수거치빔은, 양측단에 위치하면서 메인케이블에 연결된 행어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는 행잉부와, 중앙에 위치하면서 상기 바닥세그먼트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부로 오목한 거치홈이 형성되도록 양측의 단턱플레이트와 거치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현수거치빔에 구비된 단턱플레이트의 높이는 바닥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지지빔의 높이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가압부와 수직체결부 및 수평체결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현수거치빔의 거치홈에 거치된 바닥세그먼트가 현수거치빔 및 인접한 바닥세그먼트와 일체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빔의 각 하부플랜지 사이에는 쉘플레이트의 내면과의 사이에 폐쇄단면공간이 형성되도록 하판을 설치하고, 상기 폐쇄단면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콘크리트 구속효과가 발생되게 하여 바닥세그먼트의 강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a) 교량용 주탑의 사이에 메인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메인케이블에 일정한 간격으로 행어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행어케이블의 단부를 현수거치빔의 양측단에 위치한 행잉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c) 상기 현수거치빔의 중앙에 위치한 거치홈에 바닥세그먼트를 거치시키는 단계; d) 현수거치빔과 바닥세그먼트를 고정시키는 단계; e) 현수거치빔과 바닥세그먼트 사이에 비틀림방지를 위한 브레이싱을 설치하는 단계; 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쉘구조의 막구조 원리를 현수바닥판 구조의 휨강성이 대폭 증대되고, 상기 쉘구조를 가진 쉘플레이트와 쉘플레이트 단부를 지지하는 양측의 지지빔 및 이들을 일체화시키는 쉘지지대는 쉘플레이트이 변형을 방지할 뿐 아니라 상기 지지빔의 국부좌굴을 방지함으로써 현수바닥판 구조의 경제적인 단면 설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수바닥판 구조의 경량화 및 장스팬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세그먼트가 현수거치빔의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거치되기 때문에 거치 및 조립 작업이 용이하여 현수보도교의 효율적인 시공 및 공기단축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현수거치빔에 바닥세그먼트를 거치시킨 후 이들을 고정브라켓으로 고정하고 브레이싱 등의 보강수단으로 비틀림 변형을 억제시키고 있어, 현수바닥판 구조가 흔들림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바닥세그먼트의 탈착이 가능하여 파손된 바닥세그먼트의 교체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블 교량의 세그먼트 바닥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수바닥판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현수바닥판 구조를 구성하는 바닥세그먼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현수바닥판 구조를 구성하는 현수거치빔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바닥세그먼트에 설치되는 쉘플레이트의 다양한 설치예를 도시한 각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쉘플레이트에 폐쇄단면공간부를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시킨 상태를 나타낸 각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현수거치빔과 바닥세그먼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수바닥판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현수바닥판 구조를 구성하는 바닥세그먼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현수바닥판 구조를 구성하는 현수거치빔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바닥세그먼트에 설치되는 쉘플레이트의 다양한 설치예를 도시한 각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쉘플레이트에 폐쇄단면공간부를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시킨 상태를 나타낸 각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현수거치빔과 바닥세그먼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수바닥판 구조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과 4는 상기 현수바닥판 구조를 구성하는 바닥세그먼트(A) 및 현수거치빔(B)을각각 나타낸 것이다.
교량용 주탑들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케이블(61)에 현수되는 본 발명의 현수바닥판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세그먼트(A)와, 이를 지지하는 현수거치빔(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세그먼트(A)는 교량에 작용하는 각종 활하중을 받아주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쉘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자중을 줄여주면서도 휨강성을 대폭 향상시켜 교량의 장스팬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상기 바닥세그먼트(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한 좌연 지지빔(11)과 우연 지지빔(12)의 각 지지빔(11,12)과, 상기 각 지지빔(11,12)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23)과, 상기 상판(23)의 하부에 설치되는 쉘플레이트(21) 및, 쉘플레이트(21)의 변형을 방지하는 쉘지지대(2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각 지지빔(11,12)은 쉘플레이트(21)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플랜지(10a,10b)와 웨브(10c)가 구비된 H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상판(23)은 상기 지지빔(11,12)의 각 상부플랜지(10a)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판(23)은 지지빔(11,12)의 각 상부플랜지(10a)의 외측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각 상부플랜지(10a)의 상면을 덮어주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빔(11,12)의 외측면에는 상부플랜지(10a)와 하부플랜지(10b)의 각 외측단을 연결하는 체결판(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판(14)은 바닥세그먼트(A)를 현수거치빔(B)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현수거치빔(B)이 위치하는 부분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지지빔(11,12)의 외측면 전체에 대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쉘플레이트(21)는 면에 분포되어 흐르는 하중(막응력)이 지점으로 전달되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면 내의 힘만으로 평형을 이루게 하고 휨모멘트의 작용을 받지 않게 한다는 쉘구조의 구조적 특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쉘지지대(22)를 통해 전달되는 교량의 활하중을 지지빔(11,12)에 안전하게 전달하거나 직접 현수거치빔(B)에 전달한다.
이러한 쉘플레이트(21)는 바닥세그먼트(A)의 폭에 따라 하나의 단일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복수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형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 쉘플레이트(21)의 사이에 중간 지지빔(13)이 더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쉘플레이트(21)는 바닥세그먼트(A)에 발생하는 응력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지지빔(11,12)의 각 웨브(10c) 사이 또는 지지빔(11,12)의 각 하부플랜지(10b) 사이에 설치된다.
도 5는 쉘플레이트(21)의 다양한 설치예를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인장응력에 대한 보강이 필요한 구간에서는 쉘플레이트(21)의 지점이 되는 단부가 웨브(10c)의 하단 또는 하부플랜지(10b)에 위치하도록 하여 단면계수를 증가시키게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쉘플레이트(21)의 상부 또는 하부에 폐쇄단면공간(s)을 형성시키고, 상기 폐쇄단면공간(s)에 콘크리트(26)를 충진시킴으로써 바닥세그먼트(A)의 강성증대를 도모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상기 폐쇄단면공간(s)을 이용하여 쉘플레이트(21)를 보강시킨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쉘플레이트(21)의 상부에서 상판(23)과의 사이에 형성된 폐쇄단면공간(s)에 콘크리트(26)를 충진시킨 예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고, (b)는 쉘플레이트(21)의 하부에 폐쇄단면공간(s)이 형성되도록 지지빔(11,12)의 각 하부플랜지(10b) 사이에 하판(25)을 설치한 예의 사시도이며, (c)는 쉘플레이트(21) 하부의 폐쇄단면공간(s)에 콘크리트(26)를 충진시킨 예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쉘플레이트(21)와 상판(23) 내지 하판(25) 사이의 폐쇄단면공간(s)에 충진된 콘크리트(26)는 상기 쉘플레이트(21)와 상판(23) 내지 하판(25)에 의해 부피증가가 구속됨으로써 보다 큰 강성의 증대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 쉘플레이트(2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상기 폐쇄단면공간(s)을 밀폐시키는 막음판(2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쉘플레이트(21)는 쉘의 곡면형태를 유지시킴으로써 보다 지속적인 하중 재하능력을 가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쉘플레이트(21)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쉘지지대(22)가 다양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쉘지지대(22)는 쉘플레이트(21)의 상면에 접합됨과 동시에 양측에 위치한 지지빔(11,12) 및 상부에 위치한 상판(23)의 하면에 접합된다. 따라서 상기 쉘지지대(22)는 쉘플레이트(21)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상판(23)과 쉘플레이트(21) 및 각 지지빔(11,12)이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일체화의 효과를 발휘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적 일체화는 바닥세그먼트(A)의 휨강성을 더욱 증대시켜 그 두께의 최소화, 장스팬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게 한다.
아울러 지지빔(11,12)의 웨브(10c)에 각 단부가 부착 설치되는 쉘지지대(22)는 웨브(10c)의 국부좌굴을 방지하여 보다 큰 강성을 가지게 하므로 지지빔(11,12)의 규격을 최소화한 경제적인 단면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현수거치빔(B)은 이에 거치된 바닥세그먼트(A)에 작용하는 모든 하중을 지지하여 이를 메인케이블(61)에 전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메인케이블(61)에 의해 현수되는 현수거치빔(B)은 상기 메인케이블(61)과의 연결을 위한 행잉부(31)와 상기 바닥세그먼트(A)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4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현수거치빔(B)은 지지빔(11,12)과 마찬가지로 상부플랜지(30a)와 하부플랜지(30b) 및 웨브(30c)로 이루어진다.
다만 현수거치빔(B)의 하부플랜지(30b)는 중앙이 하부로 볼록하면서 양측으로 대칭을 구성하는 V자형 단면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수거치빔(B)의 단면구성은 바람의 이동거리를 상부측보다 하부측에 길게 함으로써 현수거치빔(B)의 상하부에 발생하는 압력의 차이에 의해 현수거치빔(B)에 작용하는 하중이 아래로 작용하게 하여, 바람이 측면에서 불어 오더라도 현수거치빔(B)이 출렁거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V자형 단면을 예로 하고 있으나 상기한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현수거치빔(B)의 하부플랜지(30b) 구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도 있다.
행잉부(31)는 현수거치빔(B)의 양측단에 위치하면서 메인케이블(61)에 연결된 행어케이블(62)의 단부가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행잉부(31)의 상부플랜지(30a)에는 행잉브라켓(32)이 상향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거치부(41)는 현수거치빔(B)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하부로 오목한 거치홈(44)을 구비한다. 즉 상기 거치홈(44)은 행잉부(31)의 상부플랜지(30a)로부터 하향 절곡된 단턱플레이트(42)와, 양측의 상기 단턱플레이트(42) 사이에 위치한 거치플레이트(43)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바닥세그먼트(A)는 거치홈(44)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플레이트(43)의 상면에 놓여지게 된다.
이때 현수거치빔(B)에 구비된 상기 단턱플레이트(42)의 높이(h1)는 바닥세그먼트(A)를 구성하는 지지빔(11,12)의 높이(h2)보다 작게 구성시켜 바닥세그먼트(A)를 상기 거치플레이트(43)의 상면에 놓여지게 했을 때, 상기 바닥세그먼트(A)가 행잉부(31)의 상부플랜지(30a)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세그먼트(A)가 상부로 더 돌출되도록 한 구성은 후술하는 고정브라켓(C)에 의한 현수거치빔(B)과 각 바닥세그먼트(A) 사이의 체결고정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도 7은 상기 고정브라켓(C)의 구성 및 설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각 사시도이다.
상기 고정브라켓(C)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부(51)와, 상기 가압부(51)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수직체결부(52) 및, 상기 수직체결부(52)로부터 다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수평체결부(5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브라켓(C)을 이용한 현수거치빔(B)과 상기 현수거치빔(B)의 거치홈(44)에 거치된 바닥세그먼트(A)의 고정은,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브라켓(C)의 가압부(51)로 하여금 2개의 서로 인접한 바닥세그먼트(A)의 상면을 동시에 가압하게 한 상태에서, 수직체결부(52)와 바닥세그먼트(A)의 지지빔(11,12)에 구비된 체결판(14)을 볼트로 체결하고, 수평체결부(53)와 현수거치빔(B)의 상부플랜지(30a)를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현수거치빔(B) 및 이에 거치되는 2개의 인접한 바닥세그먼트(A)가 일체로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브라켓(C)의 수직체결부(52)와 수평체결부(53)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각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현수거치빔(B)의 체결판(14)과 상부플랜지(30a)의 각각에 체결공이 구비된다. 이때 고정브라켓(C)의 수평체결부(53)에 구비되는 체결공은 장공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바닥세그먼트(A)와 현수거치빔(B)사이의 시공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체결부(52)와 수평체결부(53) 사이에는 수직보강편(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의한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는 바, 다음으로는 상기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를 이용하여 현수보도교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현수보도교를 시공하는 방법은 a) 케이블의 설치단계, b) 현수거치빔(B)의 설치단계, c) 바닥세그먼트(A)의 설치단계, d) 현수거치빔(B)과 바닥세그먼트(A)의 고정단계 및, e) 보강 및 마무리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케이블(61,62)의 설치단계(도 8); 교량용 주탑의 사이에 메인케이블(61) 2개를 병렬로 설치한다.
상기한 2개의 메인케이블(61)이 배치되는 폭은 이에 의해 현수되는 현수거치빔(B)의 길이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메인케이블(61)에 대한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각 메인케이블(61)에 대하여 공지의 고정설치수단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행어케이블(62)을 일정한 간격으로 걸어 고정한다. 인접한 행어케이블(62) 사이의 상기한 간격은 바닥세그먼트(A)의 길이와 일치하게 된다.
b) 현수거치빔(B)의 설치단계(도 9); 메인케이블(61) 및 행어케이블(62)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행어케이블(62)의 단부를 현수거치빔(B)의 양측단에 위치한 행잉부(31)에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행어케이블(62)의 단부는 행잉부(31)에 구비되는 행잉브라켓(32)에 핀결합됨으로써 행어케이블(62)과 현수거치빔(B) 사이의 고정각도가 자유로워져 행어케이블(62)의 꺽임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c) 바닥세그먼트(A)의 설치단계(도 10); 현수거치빔(B)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현수거치빔(B)의 중앙에 위치한 거치홈(44)에 바닥세그먼트(A)를 거치시킨다.
상기 현수거치빔(B)의 각 거치홈(44)에는 인접하게 되는 2개의 바닥세그먼트(A)의 각 단부가 놓여지게 된다.
d) 현수거치빔(B)과 바닥세그먼트(A)의 고정단계(도 11); 가압부(51)와 수직체결부(52) 및 수평체결부(53)로 구성된 고정브라켓(C)을 이용하여 현수거치빔(B)과 상기 현수거치빔(B)에 거치된 2개의 바닥세그먼트(A)가 일체가 되도록 동시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현수거치빔(B)과 이에 거치된 2개의 바닥세그먼트(A)는 외력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일체적 거동을 하게 된다.
e) 보강 및 마무리단계(도 1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수거치빔(B)에는 바닥세그먼트(A) 2개의 각 단부가 놓여진 상태에서 고정브라켓(C)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현수거치빔(B)에 바닥세그먼트(A)들의 연결부위가 위치하게 되는 현수바닥판 구조에서 평면상 비틀림하중이 발생하게 되면 취약한 상기 연결부위에 집중하중이 발생하여 고정구조에 대한 손상이 발생할 여지가 있게 된다.
따라서 현수바닥판 구조에 바람 등의 수평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각 현수거치빔(B)과 바닥세그먼트(A) 사이의 설치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틀림 방지 보강수단이 더 설치된다. 이러한 비틀림 방지 보강수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거치빔(B)의 외측 단부와 바닥세그먼트(A)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브레이싱(71)으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수바닥판 구조의 구축이 완료되면 난간 등의 안전 및 각종 편의시설의 설치 및 도장 등의 마무리 작업을 함으로써 현수보도교의 시공을 완료한다. 물론 난간 등 일부 시설은 바닥세그먼트(A)의 제작시 미리 설치해 놓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 바닥세그먼트 11; 우연 지지빔
12; 좌연 지지빔 13; 중간 지지빔
14; 체결판 21; 쉘플레이트
22; 쉘지지대 23; 상판
24; 막음판 25; 하판
26; 콘크리트 B; 현수거치빔
31; 행잉부 41; 거치부
42; 단턱플레이트 43; 거치플레이트
44; 거치홈 C; 고정브라켓
51; 가압부 52; 수직체결부
53; 수평체결부 54; 수직보강편
61; 메인케이블 62; 행어케이블
71; 브레이싱
12; 좌연 지지빔 13; 중간 지지빔
14; 체결판 21; 쉘플레이트
22; 쉘지지대 23; 상판
24; 막음판 25; 하판
26; 콘크리트 B; 현수거치빔
31; 행잉부 41; 거치부
42; 단턱플레이트 43; 거치플레이트
44; 거치홈 C; 고정브라켓
51; 가압부 52; 수직체결부
53; 수평체결부 54; 수직보강편
61; 메인케이블 62; 행어케이블
71; 브레이싱
Claims (7)
- 교량용 주탑들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케이블(61)에 현수되는 현수바닥판 구조에 있어서,
교량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세그먼트(A)와, 상기 바닥세그먼트(A)를 지지하면서 상기 메인케이블(61)에 의해 현수되는 현수거치빔(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세그먼트(A)는, 양측에 위치한 각 지지빔(11,12), 상기 지지빔(11,12)의 각 상부플랜지(10a)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23), 상기 지지빔(11,12)의 각 웨브(10c) 사이 또는 각 하부플랜지(10b) 사이에 설치되는 쉘플레이트(21) 및, 상기 쉘플레이트(21)의 상부에서 쉘플레이트(21)와 각 지지빔(11,12) 및 상판(23)을 일체화시키는 쉘지지대(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현수거치빔(B)은, 양측단에 위치하면서 메인케이블(61)에 연결된 행어케이블(62)의 단부가 고정되는 행잉부(31)와, 중앙에 위치하면서 인접한 2개의 바닥세그먼트(A)의 각 단부가 놓여지는 하부로 오목한 거치홈(44)이 형성되도록 양측의 단턱플레이트(42)와 거치플레이트(43)가 구비되는 거치부(41)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턱플레이트(42)의 높이(h1)는 바닥세그먼트(A)를 구성하는 지지빔(11,12)의 높이(h2)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기 바닥세그먼트(A)가 행잉부(31)의 상부플랜지(30a)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도록 거치홈(44)에 거치된 상태에서, a)바닥세그먼트(A)의 상면을 눌러주는 가압부(51)와, b)가압부(51)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것으로서, 지지빔(11,12)의 외측면에 구비된 체결판(14)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구비된 수직체결부(52) 및, c)수직체결부(52)의 일측에서 수평 절곡되는 것으로서, 현수거치빔(B)의 상부플랜지(30a)와의 볼트 체결을 위해 장공으로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된 수평체결부(53),로 이루어지는 고정브라켓(C)에 의해 바닥세그먼트(A)와 현수거치빔(B) 및 인접한 바닥세그먼트(A)가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11,12)의 각 하부플랜지(10b) 사이에는 쉘플레이트(21)의 내면과의 사이에 폐쇄단면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판(25)이 설치되고, 상기 폐쇄단면공간(s)에는 콘크리트(26)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거치빔(B)의 하부플랜지(30b)는 중앙이 하부로 볼록하면서 양측으로 대칭을 구성하는 V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를 이용하여 현수보도교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교량용 주탑의 사이에 메인케이블(61)을 설치하고, 상기 메인케이블(61)에 일정한 간격으로 행어케이블(62)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행어케이블(62)의 단부를 현수거치빔(B)의 양측단에 위치한 행잉부(31)에 고정시키는 단계;
c) 상기 현수거치빔(B)의 중앙에 위치한 거치홈(44)에 바닥세그먼트(A)를 거치시키는 단계;
d) 고정브라켓(C)에 의해 동시에 현수거치빔(B)과 이에 거치되어 서로 인접하게 된 두 개의 바닥세그먼트(A)의 모두 일체가 되도록 현수거치빔(B)과 바닥세그먼트(A)를 고정시키는 단계;
e) 현수거치빔(B)과 바닥세그먼트(A) 사이에 비틀림방지를 위한 브레이싱(71)을 설치하는 단계; 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5010A KR101802257B1 (ko) | 2017-04-28 | 2017-04-28 |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5010A KR101802257B1 (ko) | 2017-04-28 | 2017-04-28 |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2257B1 true KR101802257B1 (ko) | 2017-12-28 |
Family
ID=6093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5010A KR101802257B1 (ko) | 2017-04-28 | 2017-04-28 |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225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3878B1 (ko) * | 2019-10-21 | 2020-05-21 | (주)신흥이앤지 | 복수 개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구조 |
KR102123296B1 (ko) * | 2019-12-13 | 2020-06-16 | (주)신흥이앤지 | 강관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교 |
KR102151075B1 (ko) | 2019-11-15 | 2020-09-03 | 휴먼이엔씨 주식회사 |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KR102269930B1 (ko) * | 2020-12-02 | 2021-06-28 | (주)신흥이앤지 |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6213A (ja) * | 2001-11-30 | 2003-06-13 | Nkk Corp | 吊 橋 |
JP2007023714A (ja) * | 2005-07-21 | 2007-02-01 | Jfe Engineering Kk | 形鋼を用いた合成床版、合成床版橋又は合成桁橋、及び、その施工方法 |
KR100893876B1 (ko) * | 2008-08-13 | 2009-04-20 |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세그먼트 거더 및 이의시공방법 |
-
2017
- 2017-04-28 KR KR1020170055010A patent/KR1018022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6213A (ja) * | 2001-11-30 | 2003-06-13 | Nkk Corp | 吊 橋 |
JP2007023714A (ja) * | 2005-07-21 | 2007-02-01 | Jfe Engineering Kk | 形鋼を用いた合成床版、合成床版橋又は合成桁橋、及び、その施工方法 |
KR100893876B1 (ko) * | 2008-08-13 | 2009-04-20 |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세그먼트 거더 및 이의시공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3878B1 (ko) * | 2019-10-21 | 2020-05-21 | (주)신흥이앤지 | 복수 개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구조 |
KR102151075B1 (ko) | 2019-11-15 | 2020-09-03 | 휴먼이엔씨 주식회사 |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KR102123296B1 (ko) * | 2019-12-13 | 2020-06-16 | (주)신흥이앤지 | 강관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교 |
KR102269930B1 (ko) * | 2020-12-02 | 2021-06-28 | (주)신흥이앤지 |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2257B1 (ko) |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 |
KR100891924B1 (ko) | 가설교량용 변단면 유타입 지점부 주형보 | |
KR101618787B1 (ko) | 방사형 행어 및 타정식 케이블을 이용한 복합케이블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CN108385506B (zh) | 索塔与斜塔斜拉桥 | |
KR101272278B1 (ko) |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 |
KR101804986B1 (ko) | 상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 |
WO2017129937A1 (en) | Long span suspension bridges - cable geometry | |
KR20120050940A (ko) | 내부힌지를 활용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시공법 | |
KR100422298B1 (ko) | 평면 격자형 케이블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건설공법 | |
KR101948649B1 (ko) |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62179B1 (ko) | 전단연결재 형상의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 | |
KR100974306B1 (ko) | 교량용 거더가 매달려 설치되는 지점부 구조물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EA031238B1 (ru) |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ая вантовая ферма | |
KR101001063B1 (ko) | 강관을 이용한 교량용 거더 | |
CN111139725A (zh) | 一种装配式预制拼装反吊索与拱组合人行桥及其施工方法 | |
KR101656318B1 (ko) | 변단면 복합 트러스 거더교 | |
KR102408862B1 (ko) |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 |
KR102031773B1 (ko) | 응력분배형 프리캐스트 구조의 차량진출입용 원형 램프 구조물 | |
KR102341897B1 (ko) | 케이블 보도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492077B1 (ko) | 횡방향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부재를 이용한 케이블교의 시공방법 | |
KR102244346B1 (ko) | 현장조립형 보행전망교 및 보행전망교 시공방법 | |
KR101920039B1 (ko) |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
CA3119881C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first beam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support structure in a building frame structure | |
KR101352956B1 (ko) | 다경간 인장형 사장교 시공 방법 | |
KR101431126B1 (ko) | 에이치형 강재를 이용하여 온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임시구조물용 거더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