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075B1 -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Google Patents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1075B1 KR102151075B1 KR1020190146615A KR20190146615A KR102151075B1 KR 102151075 B1 KR102151075 B1 KR 102151075B1 KR 1020190146615 A KR1020190146615 A KR 1020190146615A KR 20190146615 A KR20190146615 A KR 20190146615A KR 102151075 B1 KR102151075 B1 KR 1021510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ing
- bar
- hinge
- handrail
- hing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렁다리의 주탑부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렁다리의 주탑부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부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부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기둥부에 발판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기둥부와 지지 케이블의 연결구조는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의 상면도이다.
14: 제2콘크리트 블럭 16: 케이블
18: 지지 와이어 20: 다리 유닛
22: 난간 기둥부 24: 난간부
26: 신축 연결부 28: 발판부
30: 고정유닛 32: 지지홈부
34: 고정용 파이프 38: 고정용 브라켓
50: 행거부
Claims (8)
- 양쪽에 배치되는 주탑부와, 상기 주탑부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두 주탑부 사이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통과하는 다리 유닛과, 상기 다리 유닛과 케이블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유닛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난간 기둥부;
상기 난간 기둥부들 사이에 각각 모듈 형태로 배치되고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바와,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하부 바와, 상부 바와 하부 바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 바를 포함하는 난간부;
상기 난간 기둥부들 사이에 각각 모듈 형태로 배치되는 발판부; 및
상기 난간 기둥부와 난간부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와이어는
난간 기둥부의 상측에 행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행거부는 일단은 지지 와이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난간 기둥부의 개방된 상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삽입되는 앵커 체인; 상기 난간 기둥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고 난간 기둥부에 삽입되는 앵커 체인을 통과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연결부는,
난간 기둥부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제1힌지 플레이트가 돌출되고, 타측으로 제2힌지 플레이트가 돌출되는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1힌지 플레이트의 힌지 연결되고 난간부의 상부 바 및 하부 바의 일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
상기 제2힌지 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고 난간부의 상부 바 및 하부 바의 타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는 난간 기둥부의 전면 및 후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는 제1힌지 플레이트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슬라이드 부재는 제2힌지 플레이트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단위 모듈로 형성되고, 그 양쪽 가장자리는 난간 기둥부에 힌지 브라켓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은 난간 기둥부의 하측에 고정되고 난간 기둥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발판부의 일측 가장자리가 힌지핀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제1힌지 브라켓과, 상기 난간 기둥부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발판부의 타측 가장자리가 힌지핀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제2힌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발판부의 하면에는 발판부를 지지하도록 난간부에 연결되는 지지바가 배치되며, 상기 발판부와 지지바 사이는 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발판부의 구멍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걸림 브라켓이 장착되는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브라켓은 상기 발판부의 구멍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삽입되게 배치되어 볼트의 머리 부분이 발판부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볼트 안착부와, 상기 볼트 안착부의 양쪽 측면에서 연장되어 발판부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탑부는 제1콘크리트 블럭에 고정유닛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제1콘크리트 블럭의 상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홈부;
상기 지지홈부에 삽입되고 일부분이 콘크리트 블럭의 상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되는 고정용 파이프;
상기 고정용 파이프를 콘크리트 블럭에 고정하는 결합 클램프;
상기 고정용 파이프의 외면에 고정되고 그 상면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용 브라켓; 및
상기 주탑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에 볼트 체결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브라켓은 고정용 파이프의 양쪽 측면에 고정되는 수직패널;
상기 수직패널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고정용 파이프의 상면에 고정되는 수평패널; 및
상기 수직패널에 연결되고 고정용 파이프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제1콘크리트 블럭에 매립되는 보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6615A KR102151075B1 (ko) | 2019-11-15 | 2019-11-15 |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6615A KR102151075B1 (ko) | 2019-11-15 | 2019-11-15 |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1075B1 true KR102151075B1 (ko) | 2020-09-03 |
Family
ID=7245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6615A KR102151075B1 (ko) | 2019-11-15 | 2019-11-15 |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107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6534B1 (ko) | 2020-11-02 | 2021-07-12 | 안승환 | 케이블 지지구조가 부가된 강판교 및 이의 시공 방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1341Y1 (ko) | 2005-12-21 | 2006-03-15 | 주식회사한국삭도 | 현수식 구름다리 |
KR200413989Y1 (ko) * | 2006-01-18 | 2006-04-13 | 임영삼 | 힌지연결된 플레이트 거더가 구비된 현수교 |
KR100889022B1 (ko) | 2008-04-10 | 2009-03-19 | (주)신흥이앤지 | 출렁교의 시공공법 |
KR20110002343A (ko) * | 2009-07-01 | 2011-01-07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합성 결합구조를 갖는 사장교 주탑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150457B1 (ko) * | 2011-12-28 | 2012-05-29 | (주)한가람 | 교량의 이탈방지용 도로용 난간 |
KR101802257B1 (ko) | 2017-04-28 | 2017-12-28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
KR200486786Y1 (ko) | 2018-01-05 | 2018-06-28 | 문진기 | 현수교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
JP2018204321A (ja) * | 2017-06-06 | 2018-12-27 |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 | 橋梁用恒久足場 |
-
2019
- 2019-11-15 KR KR1020190146615A patent/KR1021510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1341Y1 (ko) | 2005-12-21 | 2006-03-15 | 주식회사한국삭도 | 현수식 구름다리 |
KR200413989Y1 (ko) * | 2006-01-18 | 2006-04-13 | 임영삼 | 힌지연결된 플레이트 거더가 구비된 현수교 |
KR100889022B1 (ko) | 2008-04-10 | 2009-03-19 | (주)신흥이앤지 | 출렁교의 시공공법 |
KR20110002343A (ko) * | 2009-07-01 | 2011-01-07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합성 결합구조를 갖는 사장교 주탑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150457B1 (ko) * | 2011-12-28 | 2012-05-29 | (주)한가람 | 교량의 이탈방지용 도로용 난간 |
KR101802257B1 (ko) | 2017-04-28 | 2017-12-28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 |
JP2018204321A (ja) * | 2017-06-06 | 2018-12-27 |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 | 橋梁用恒久足場 |
KR200486786Y1 (ko) | 2018-01-05 | 2018-06-28 | 문진기 | 현수교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6534B1 (ko) | 2020-11-02 | 2021-07-12 | 안승환 | 케이블 지지구조가 부가된 강판교 및 이의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1446B1 (ko) |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 |
US20100301295A1 (en) | Crowd barrier | |
KR101449654B1 (ko) |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 안전점검시설 | |
KR200432594Y1 (ko) | 교량용 가설 인도 | |
KR200441895Y1 (ko) | 목재난간 조립구조 | |
KR102151075B1 (ko) |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 |
KR200439417Y1 (ko) | 조립식 난간 | |
KR100945041B1 (ko) |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 |
KR102104814B1 (ko) | 보행자 안전난간 및 주행차량 추락방지 기능을 겸비한 투명 경량형 캔틸레버 방풍벽 | |
KR101518210B1 (ko)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78814B1 (ko) |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 |
KR20180028216A (ko) |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 |
KR101018638B1 (ko) |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 |
KR100918828B1 (ko) |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 | |
CN112502279B (zh) | 一种大跨度悬挑框架及其施工方法 | |
KR102332738B1 (ko) |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 |
CN211815605U (zh) | 一种用于桩柱式桥墩墩系梁和盖梁的施工装置 | |
CN211037737U (zh) | 一种墩身防护平台 | |
KR200234138Y1 (ko) | 난간의 난간대 조립구조 | |
KR200403443Y1 (ko) | 조립식 난간 | |
CN112281622A (zh) | 临时悬索栈桥及其施工方法 | |
KR101690504B1 (ko) | 난간용 지주와 이를 이용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 |
KR100554474B1 (ko) | 도로 비탈면 전면부 조립식 점검로 구조 | |
KR20220001273A (ko) | 각도 조절되는 교량의 점검난간용 난간지주 | |
KR102679782B1 (ko) | 일체형 절곡브라켓을 갖는 난간 설치용 지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2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