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862B1 -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 Google Patents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862B1
KR102408862B1 KR1020210182416A KR20210182416A KR102408862B1 KR 102408862 B1 KR102408862 B1 KR 102408862B1 KR 1020210182416 A KR1020210182416 A KR 1020210182416A KR 20210182416 A KR20210182416 A KR 20210182416A KR 102408862 B1 KR102408862 B1 KR 10240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crossbeam
bridge
box modu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우
Original Assignee
(주)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신 filed Critical (주)주신
Priority to KR102021018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8Bearings being adjustable once installed; Bearings used in incremental laun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구조물(200) 및 상기 하부구조물(200)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구조물(10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구조물(100)은 거더(10); 상기 거더(1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거더(10)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박스 모듈(20); 상기 박스 모듈(20) 사이에 연결되는 가로보(30); 상기 가로보(30)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구조물을 포함하는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Girder bridge using box module}
본 발명은, 구조의 중심이 되는 거더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건설되는 거더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더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박스 모듈을 이용하여 제작과 시공이 간편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거더교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고, 사람, 차량, 열차, 수자원, 화물 등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토목구조물이다. 이중 거더교나 플레이트 거더교는 거더 중심으로 교량 상부구조물(교량의 하부구조물(교대, 교각) 위에 설치되는 구조)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교량 형식으로,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외관이 깔끔하기 때문에 국내 소규모 교량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교량 형식이다.
그러나 거더교나 플레이트 거더교는 교량의 규모에 비해 부재의 수가 많아 현장에서 부재들을 조립하고 접합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현장 작업에 숙련된 용접공을 필요로 하여 인건비가 상승하였으며, 그 결과 부재의 제작비와 공사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현장의 시공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공기를 단축시키며,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부재 간의 조립과 결합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내구성도 우수한 교량 구조를 개발해야 하는데, 그러한 구조를 가진 교량에 대한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교량 건설 작업을 쉽게 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우수하며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거더교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29502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듈화된 박스 모듈을 중심으로 부재들을 조립함으로써 현장에서 시공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거더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 내하성능이 뛰어나며 외관이 미려한 거더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거더교 제작을 위한 부품생산과 거더교 조립 작업에 있어, 모듈화에 의해 부품제작과 조립공정의 체계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구조와 완충부를 둠으로써 관광지 출렁다리로 활용할 수 있는 거더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보도교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거더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구조물(200) 및 상기 하부구조물(200)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구조물(10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구조물(100)은 거더(10); 상기 거더(1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거더(10)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박스 모듈(20); 상기 박스 모듈(20) 사이에 연결되는 가로보(30); 상기 가로보(30)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구조물을 포함하는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를 제공한다.
지점부가 아닌 지간에 고정되는 박스 모듈(20)의 하면에는 저면힌지(28)가 구비되고, 상기 저면힌지(28)에는 현수부재(90)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가로보(30)는 현수부재(9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수부재(90)와 가로보(30) 사이에는 제2완충부(6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보(30)와 상기 바닥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는 세로보(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로보(30)와 세로보(40) 사이에는 제1완충부(6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 모듈(20)에는, 브라켓 및/또는 측면힌지(24)가 구비되어 가로보, 켄틸레버보, 난간, 조명시설, 차양, 장식물, 홍보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구조물은 바닥판(5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구조물은 폭보다 길이가 긴 데크(5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더(10)의 상부에 벤치부재(80)를 구비하여 거더(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벤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더교를 관광지, 수변공원, 육상공원, 습지, 산책로, 등산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한 데크로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거더의 외부에 고정되는 박스 모듈은, 거더의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교량에 필요한 부속품들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모듈화된 박스 모듈을 중심으로 교량 부속들을 생산하고 조립하게 되므로, 교량 부속품의 생산과 교량의 조립을 모듈화에 의해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셋째, 가로보를 중심으로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를 둠으로써 교량 위를 통행하는 사람들이 교량의 출렁거림을 즐길 수 있으므로, 현수교 형식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관광지 출렁다리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교량의 바닥구조물이 거더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어 상부구조물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상하공간이 좁은 장소에도 건설이 가능하고, 거더의 상부에 바닥구조물이 형성되는 종래의 교량에 비해 교량의 높이가 낮아져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으므로 경관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다섯째, 박스 모듈과 가로보를 힌지결합으로 연결할 수 있어 휨모멘트의 전달을 억제해 주거더에 발생되는 비틀림모멘트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박스 모듈의 측면 형상을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제작하거나 박스 모듈의 상부에 (수평, 수직)보강판을 부착할 경우, 상부구조물 상부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에 저항하기 쉬워지므로, 박스 모듈이 설치되는 위치가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지점부일 경우에는 위와 같은 수단들에 의해 동일한 박스 모듈 형태를 가지고도 설치되는 위치에 맞는 효율적인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일곱째, 보도교, 인도교, 육교, 중소형 도로교 등 다양한 교량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바닥구조물로 데크를 사용할 경우 관광지, 수변공원, 육상공원, 습지, 산책로, 등산로 등에서 데크로드로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박스 모듈을 이용하여 난간, 벤치, 차양, 가로등, 장식물 등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산책로와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부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바닥구조물로 바닥판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바닥구조물로 바닥판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바닥구조물로 데크가 적용되는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바닥구조물로 데크가 적용되는 실시예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바닥구조물로 데크가 적용되는 실시예의 지점부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지점부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가로보와 세로보 사이에 제1완충부가 설치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가로보와 세로보 사이에 제1완충부가 설치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박스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박스 모듈의 상면에 수직보강판이 구비된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박스 모듈에 저면에 현수부재가 연결된 것이다.
도 21은 현수부재에 제2완충부가 구비된 것이다.
도 22는 제1, 2완충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23 내지 25는 거더 3개 이상인 경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교량의 하부구조물(200) 위에 구비되는 상부구조물(100)의 구성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부구조물(100)의 일실시예는, 거더(10), 박스 모듈(20), 가로보(30), 세로보(40), 바닥구조물을 포함한다. 바닥구조물로는 바닥판(51) 또는 데크(52)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거더는 H형강, I형강, 사각박스 단면의 형강(도 10, 16 참조), 원형강(도 15 참조)을 사용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철근콘크리트 거더도 사용 가능하다.
박스 모듈(20)은 상기 거더(1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된다. 거더와 박스 모듈의 결합은 용접, 볼트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거더를 형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더(10)와 박스 모듈(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거더의 휨강성과 비틀림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거더(10)와 박스 모듈(20) 사이에 내부보강판(29)을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4 참조).
박스 모듈(20)의 수는 거더와 교량의 제원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데, 하나의 거더 당 2개 이상의 박스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강과 형강의 접합부에 고정되는 박스 모듈(20)은 형강 사이의 결합력을 보강해주면서 형강의 (휨, 비틀림 등)강성을 증대시켜주고, 접합부 이외의 위치에 고정되는 박스 모듈은 형강의 (휨, 비틀림 등)강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박스 모듈은 거더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 뿐만 아니라, 교량에서 필요로 하는 부재들을 보다 쉽고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조립,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특별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더의 외측으로 난간(70)을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박스 모듈의 상면에 완충패드(26)를 부착한 후 그 위에 벤치부재(80)를 설치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박스 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가로보의 연결에도 사용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는 박스 모듈에 구비될 수 있는 브라켓과 측면힌지(24)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 내지 도 21에는 박스 모듈의 저면에 구비되는 저면힌지(28)가 도시되어 있다.
브라켓은 볼트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브라켓(21), T자형 슬릿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브라켓(22), 상부에 필요로 하는 부재를 올리거나 용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3브라켓(23)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1), 제2브라켓(22) 및 제3브라켓(23)은 모두 가로보 연결 뿐만 아니라, 켄틸레버보를 이용한 확폭부, 난간, 조명시설, 휴식공간을 위한 차양, 홍보물, 기타 장식물 등을 설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박스 모듈은 설치되는 위치와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방향에 따라 형상과 구조를 변형할 수 있다.
즉 부모멘트(부재를 위를 향해 볼록하게 변형시키는 모멘트)가 작용하는 지점부에 위치하는 박스 모듈은 도 13과 같이 상부로 갈수록 부재의 폭이 커지는 형상, 박스 모듈의 상부에 수평보강판(25)을 부착하는 형태, 박스 모듈의 상면에 교축방향으로 수직보강판(27)을 부착하는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휨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응력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변단면을 갖는 박스 모듈의 적용도 가능하다.
아울러 정모멘트(부재를 아래를 향해 볼록하게 변형시키는 모멘트)가 작용하는 지간 중앙에 위치하는 박스 모듈은 도 13과 반대로 하부로 갈수록 부재가 커지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박스 모듈(20)과 가로보(30)의 결합은 강결 또는 힌지결합을 할 수 있다. 강결은 용접, 가스압접, 리벳결합 또는 볼트결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거더교에 설치되는 모든 박스 모듈과 가로보의 연결을 강결로 하거나, 힌지결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교량의 지점부에서는 가로보(30)와 박스 모듈(20)을 강결하고, 지점부가 아닌 지간(지점부가 아닌 부분)에서는 힌지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할 경우 지점부에서 거더가 견고하게 지지되고, 지점부가 아닌 지간에서는 어느 하나의 거더에 발생하는 비틀림모멘트가 다른 하나의 거더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로보(30)는 I형 단면, 박스단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박스 모듈 사이에 가로보(30)가 연결되면 가로보의 상부에 세로보(40)가 설치될 수 있다. 가로보와 세로보의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할 수 있다. 세로보는 이후 놓여질 바닥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해주고, 바닥구조물의 조립을 쉽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세로보(40)가 설치된 후에는 세로보(40)의 상부에 바닥구조물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바닥구조물은 바닥판(51) 또는 데크(52)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 3에는 바닥판(51)을 설치한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5에는 데크(52)를 설치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바닥판(51)은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것을 사용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복합소재(FRP, Fiber Reinforced Polymer), 합성수지, 강재, 목재, 합성목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데크(52)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판재 형태로 데크로드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데크(52)는, 천연목재, 합성수지, 목분과 수지의 혼합형태 등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부식이나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데크 표면을 코팅처리할 수도 있다.
데크(52)는 외관이 미려하고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주는 소재이므로 본 발명에서 데크를 사용하면 산책로, 데크로드에의 사용에 더욱 적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거더교의 활용도를 더 높이기 위해, 상기 가로보(30)와 세로보(40) 사이에 제1완충부(6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완충부를 구비할 경우, 가로보 위에 놓여진 세로보가 보행자의 걸음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게 되므로 산책로 또는 관광지로서 사람들에게 재미를 선사할 수 있고, 보통의 출렁다리가 현수교 형식인데 반해, 본 발명은 거더교의 형식을 취하면서 출렁다리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형식의 출렁다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또다른 실시예로서, 박스 모듈(20)의 저면에 저면힌지(28)를 구비하고, 상기 저면힌지(28)에는 현수부재(90)를 힌지 결합하며, 가로보(30)를 상기 현수부재의 내부에 수납시켜 연결하는 것이다(도 19, 20 참조). 다만, 저면힌지와 현수부재는 지점부에서는 구비할 수 없으므로, 지점부가 아닌 지간에 설치한다.
지점부가 아닌 지간에서 현수부재에 의해 가로보를 연결할 경우, 지점부의 가로보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바닥구조물의 높이가 지점부에서는 높고, 지간에서는 낮게 형성될 수 있어, 보행자들에게 변화하는 보행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로보 위에 바닥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완충부(61)처럼 현수부재의 내부에 제2완충부(62)를 두고, 제2완충부(62)의 사이에 가로보(30)를 구비하면 지간에서는 매달린 형태의 출렁다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산책로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박스 모듈의 상부에 벤치부재(80)를 구비하여 거더(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벤치로 사용하여 보행자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휴식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박스 모듈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차양, 조명시설 등을 더 설치할 수도 있고, 벤치에 완충기능을 주기 위해 박스 모듈의 상면에 완충패드(26)를 개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완충부(61)와 제2완충부(62)는 상부고정패드(601), 하부고정패드(602) 및 스프링(603)을 포함할 수 있다(도 22 참조).
위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가로보(30) 위에 세로보(40)가 구비되고, 상기 세로보(40) 위에 바닥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바닥구조물의 재질, 강성 및 구조, 거더 및 가로보의 제원 등에 따라 세로보(40) 없이 가로보(30) 위에 바로 바닥구조물을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가로보(30) 위에 바로 바닥판이나 데크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로보 위에 제1완충부를 두고 제1완충부 위에 바닥판이나 데크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부구조물(200)은 하부구조물(100)의 위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방식, 볼트 결합으로 고정되는 방식, 교량받침을 설치하고 교량받침 위에 본 발명의 상부구조물이 거치되는 방식, 하부구조물 위에 패드를 두고 상부구조물이 설치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부구조물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거더는 2개 또는 3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거더를 2개를 사용할 경우에는 2개의 거더 사이에 바닥구조물이 설치되어 하나의 통행로를 제공할 수 있고, 3개의 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거더 사이에 바닥구조물이 설치되므로 2개의 통행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3개 이상의 거더를 사용하더라도 가로보의 결합 높이를 거더의 상단과 같이 하면 통합된 하나의 통행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도 23 참조).
도 23 내지 도 25에는 거더가 3개 이상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에는 내측거더와 외측거더의 단면이 동일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가로보(30)의 결합구조가 예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내측거더의 단면보다 외측거더의 단면이 클 경우에, 가운데에 있는 내측거더와 외측거더 사이에 가로보(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며, 도 25에는 내측거더의 단면보다 외측거더의 단면이 클 경우에, 외측거더에 고정된 박스 모듈(20) 사이에 가로보(30)가 연결되어 있고, 가로보(30)의 하부를 내측거더에 고정된 박스 모듈이 지지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23의 실시예는 가로보(30)의 위로 통합된 하나의 통행로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물론 내측거더의 상부에 분리대를 설치하여 2개의 통행로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4의 실시예는 2개의 외측거더와 1개 이상의 내측거더를 가로보로 연결하되, 가로보의 높이가 외측거더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교량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도 25의 실시예는 외측거더에 고정된 박스모듈 사이에 연결된 가로보의 하부를 내측거더와 박스모듈이 지지하되, 박스모듈에 구비된 브라켓이 상부의 가로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로보 아래의 브라켓과 박스 모듈이 아치구조를 이루게 하여 내하력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거더
20. 박스 모듈
21. 제1브라켓 22. 제2브라켓
23. 제3브라켓 24. 측면힌지
25. 수평보강판 26. 완충패드
27. 수직보강판 28. 저면힌지
29. 내부보강판
30. 가로보
40. 세로보
51. 바닥판 52. 데크
61. 제1완충부 62. 제2완충부
601. 상부고정패드 602. 하부고정패드
603. 스프링
70. 난간
80. 벤치부재
90. 현수부재
100. 상부구조물 200. 하부구조물

Claims (9)

  1. 하부구조물(200) 및 상기 하부구조물(200)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구조물(10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구조물(100)은
    거더(10);
    상기 거더(1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거더(10)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박스 모듈(20);
    상기 박스 모듈(20) 사이에 연결되는 가로보(30);
    상기 가로보(30)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구조물을 포함하고,
    지점부가 아닌 지간에 고정되는 박스 모듈(20)의 하면에는 저면힌지(28)가 구비되고, 상기 저면힌지(28)에는 현수부재(90)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가로보(30)는 현수부재(9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부재(90)와 가로보(30) 사이에는 제2완충부(6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30)와 상기 바닥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는 세로보(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로보(30)와 세로보(40) 사이에는 제1완충부(6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모듈(20)에는, 브라켓 및/또는 측면힌지(24)가 구비되어 가로보, 켄틸레버보, 난간, 조명시설, 차양, 장식물, 홍보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구조물은 바닥판(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구조물은 폭보다 길이가 긴 데크(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10)의 상부에 벤치부재(80)를 구비하여 거더(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벤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9. 제7항의 거더교를 관광지, 수변공원, 육상공원, 습지, 산책로, 등산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한 데크로드.









KR1020210182416A 2021-12-20 2021-12-20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KR102408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416A KR102408862B1 (ko) 2021-12-20 2021-12-20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416A KR102408862B1 (ko) 2021-12-20 2021-12-20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862B1 true KR102408862B1 (ko) 2022-06-15

Family

ID=8198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416A KR102408862B1 (ko) 2021-12-20 2021-12-20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911B1 (ko) * 2022-09-20 2023-01-18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기둥 보강캡이 설치된 진동 저감형 지주식 인도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502B1 (ko) 2011-07-12 2012-03-28 김석희 I 형 합성 거더
KR101240586B1 (ko) * 2012-06-18 2013-03-15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인도교용 보강 석재데크
KR101274990B1 (ko) * 2011-12-26 2013-06-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중간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거더교
JP2018053661A (ja) * 2016-09-30 2018-04-05 積水樹脂株式会社 街路構造および街路付帯工作物
KR20190050112A (ko) * 2017-11-02 2019-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트러스 교량용 강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하는 트러스 교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502B1 (ko) 2011-07-12 2012-03-28 김석희 I 형 합성 거더
KR101274990B1 (ko) * 2011-12-26 2013-06-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중간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거더교
KR101240586B1 (ko) * 2012-06-18 2013-03-15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인도교용 보강 석재데크
JP2018053661A (ja) * 2016-09-30 2018-04-05 積水樹脂株式会社 街路構造および街路付帯工作物
KR20190050112A (ko) * 2017-11-02 2019-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트러스 교량용 강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하는 트러스 교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911B1 (ko) * 2022-09-20 2023-01-18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기둥 보강캡이 설치된 진동 저감형 지주식 인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7629A (en) Deck for wide-span bridge
JPH05148818A (ja) ロングスパント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502921A (ja) 甲板及び該甲板を支持する要素とから成る橋、特に長スパンの斜張橋、並びにその構築方法
CN106988423A (zh) 一种轨道交通高架车站
CN107841934B (zh) 展翅拱斜拉桥
KR102322249B1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KR102408862B1 (ko)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KR101413058B1 (ko) 케이블 교량의 박스 거더
JP4957295B2 (ja) 制震橋脚構造
KR102035492B1 (ko) 세미 사장교 구조
KR100422298B1 (ko) 평면 격자형 케이블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건설공법
KR102408853B1 (ko) 비틀림 저항성이 우수한 박스 모듈 거더교
CN103726440B (zh) 一种圆管腹梁及其制备方法
Ito Cable-supported steel bridges: design problems and solutions
CN111139725A (zh) 一种装配式预制拼装反吊索与拱组合人行桥及其施工方法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2103624U (zh) 一种装配式预制拼装反吊索与拱组合人行桥
KR20080100976A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26057A (ko) 트러스형 교량 구조물
CN216663757U (zh) 一种人行桥梁桥跨结构
KR100899161B1 (ko) 교량의 경관용 케이블의 완충정착 장치
KR102244346B1 (ko) 현장조립형 보행전망교 및 보행전망교 시공방법
JP5062563B2 (ja) 張弦梁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624294B1 (ko) 공중 보행교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818327A (zh) 一种人行桥梁桥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