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502B1 - I 형 합성 거더 - Google Patents
I 형 합성 거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9502B1 KR101129502B1 KR1020110069090A KR20110069090A KR101129502B1 KR 101129502 B1 KR101129502 B1 KR 101129502B1 KR 1020110069090 A KR1020110069090 A KR 1020110069090A KR 20110069090 A KR20110069090 A KR 20110069090A KR 101129502 B1 KR101129502 B1 KR 101129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beams
- girders
- plate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I 형 합성 거더는, 2개 이상의 I 빔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2개 이상의 거더체(10)와; 상기 2개 이상의 거더체를 연결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0)를 포함하고, 상기 거더체는 2개 이상의 I 빔이 일렬로 배열되면서 서로 밀착되어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2개 이상의 거더체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접 결합되거나 상기 2개 이상의 거더체들의 저부에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I 빔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빔 보강판(14,18)이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거더체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거더체 보강판(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빔 보강판들의 사이 및/또는 상기 거더체 보강판들의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I 형 합성 거더에 적용된 거더체의 결합 상태 예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I 형 합성 거더 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적용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I 형 합성 거더에 보강판이 적용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I 형 합성 거더에 거더체 보강판이 적용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I 형 합성 거더에 적용된 거더체의 다른 예시도.
도 8은 도 7에 적용된 보강판의 결합 상태 정면도.
도 9는 도 7과 도 8에 적용된 콘크리트 보강부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I 형 합성 거더에 적용된 거더체 보강판의 다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I 형 합성 거더에 보강판과 거더체 보강판이 함께 적용된 예시도.
13 : 스터드 볼트, 14 : 빔 보강판
15 : 볼트, 16 : 너트
17,19 : 콘크리트 보강부, 18 : 빔 보강판
20 : 베이스 플레이트, 30 : 거더체 보강판
Claims (12)
- 삭제
- 2개 이상의 I 빔 또는 2개 이상의 H 빔이 I 형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2개 이상의 거더체(10)와;
상면에 상기 거더체를 구성하는 I 빔 사이 또는 H 빔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다수의 전단키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거더체의 I 빔 사이 또는 H 빔 사이에 상기 I 빔 또는 H 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I 빔 사이 또는 H 빔을 지지하면서 상기 I 빔 사이 또는 H 빔 사이에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빔 보강판과;
상기 거더체들의 사이에 상기 거더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더체들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거더체들 사이에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거더체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빔 보강판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공간 중에서 하나 이상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거더체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콘크리트가 일체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 형 합성 거더. - 삭제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더체 보강판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에서 하나 이상의 공간에 타설되어 일체로 합성되는 콘크리트 보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 형 합성 거더.
- 삭제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더체는 2개의 I 빔 또는 H 빔으로 구성되며, 상기 빔 보강판은 일측이 상기 거더체의 I 빔 또는 H 빔 중에서 근접되는 I 빔 또는 H 빔에 용접 고정되고 타측이 다른 I 빔 또는 H 빔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 형 합성 거더.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더체의 2개 이상의 I 빔 또는 H 빔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빔 보강판은 좌우 양측에 상기 I 빔 또는 H 빔에 고정되는 날개부(18a)가 턱(18b)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턱이 근접되는 I 빔 또는 H 빔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I 빔 또는 H 빔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 형 합성 거더.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빔 보강판과 거더체 보강판은 상기 거더체의 I 빔 또는 H 빔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열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 형 합성 거더.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더체의 내부와 상기 거더체들 사이 중 일측 이상에는 상기 거더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관(40,40-1)이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 형 합성 거더.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더체의 내부와 상기 거더체들 사이 중 일측 이상에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거더체와 상기 거더체들 사이의 처짐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인장선(50,50-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 형 합성 거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9090A KR101129502B1 (ko) | 2011-07-12 | 2011-07-12 | I 형 합성 거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9090A KR101129502B1 (ko) | 2011-07-12 | 2011-07-12 | I 형 합성 거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9502B1 true KR101129502B1 (ko) | 2012-03-28 |
Family
ID=4614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9090A KR101129502B1 (ko) | 2011-07-12 | 2011-07-12 | I 형 합성 거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950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8773B1 (ko) * | 2013-03-15 | 2013-10-18 | 박정환 | I형 콘크리트 충진거더와 바닥판을 일체로 결합한 t형 합성 단위거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
KR101869458B1 (ko) * | 2017-07-27 | 2018-06-20 | 김태균 | 강재빔을 이용한 강합성박스거더 및 그 시공방법 |
KR102408862B1 (ko) | 2021-12-20 | 2022-06-15 | (주)주신 |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
KR102408853B1 (ko) | 2021-12-20 | 2022-06-15 | (주)주신 | 비틀림 저항성이 우수한 박스 모듈 거더교 |
KR20230084771A (ko) * | 2021-12-06 | 2023-06-13 |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 강성 조절이 용이한 거더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7063A (ko) * | 2002-12-24 | 2004-07-02 | 주식회사 포스코 | 콘크리트가 충전된 이중복부판 구조를 갖는 강합성 교량의프리스트레스트 주형간의 연속결합구조 |
KR100621928B1 (ko) | 2004-09-17 | 2006-09-1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이중합성 철도 판형교 시공방법 |
KR100646208B1 (ko) | 2005-03-16 | 2006-11-23 | 김학수 | 소음 및 진동 저감형 플레이트거더교 구조 |
KR101013021B1 (ko) * | 2010-01-18 | 2011-02-14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종방향으로 일부 구간이 박스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2011
- 2011-07-12 KR KR1020110069090A patent/KR1011295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7063A (ko) * | 2002-12-24 | 2004-07-02 | 주식회사 포스코 | 콘크리트가 충전된 이중복부판 구조를 갖는 강합성 교량의프리스트레스트 주형간의 연속결합구조 |
KR100621928B1 (ko) | 2004-09-17 | 2006-09-1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이중합성 철도 판형교 시공방법 |
KR100646208B1 (ko) | 2005-03-16 | 2006-11-23 | 김학수 | 소음 및 진동 저감형 플레이트거더교 구조 |
KR101013021B1 (ko) * | 2010-01-18 | 2011-02-14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종방향으로 일부 구간이 박스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8773B1 (ko) * | 2013-03-15 | 2013-10-18 | 박정환 | I형 콘크리트 충진거더와 바닥판을 일체로 결합한 t형 합성 단위거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
KR101869458B1 (ko) * | 2017-07-27 | 2018-06-20 | 김태균 | 강재빔을 이용한 강합성박스거더 및 그 시공방법 |
KR20230084771A (ko) * | 2021-12-06 | 2023-06-13 |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 강성 조절이 용이한 거더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 |
KR102627241B1 (ko) * | 2021-12-06 | 2024-01-23 |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 강성 조절이 용이한 거더 구조물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 |
KR102408862B1 (ko) | 2021-12-20 | 2022-06-15 | (주)주신 |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
KR102408853B1 (ko) | 2021-12-20 | 2022-06-15 | (주)주신 | 비틀림 저항성이 우수한 박스 모듈 거더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23757B1 (ko) |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030419B1 (ko) |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 |
KR102079008B1 (ko) |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 |
KR101270733B1 (ko) | 강상판데크 일체식 복합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129502B1 (ko) | I 형 합성 거더 | |
KR101586385B1 (ko) | 고하중 장스팬 바닥구조를 위한 병렬 pc 복합보 및 이의 시공 방법 | |
WO2011122466A1 (ja) | 吊橋の補剛桁および吊橋の補剛桁の施工方法 | |
KR101375382B1 (ko) | 프리캐스트 무거푸집 합성보 및 이의 제조공법 | |
KR100949828B1 (ko) | 층고절감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 |
KR102018767B1 (ko) | 현장 타설 병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 |
KR101176846B1 (ko) |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 |
KR20080093261A (ko) |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 |
KR101038291B1 (ko) | 슬림플로어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315365B1 (ko) | 복합보 구조 | |
JP4437064B2 (ja) | 合成床版橋のコンクリート床版の構築方法および型枠構造 | |
KR101878762B1 (ko) |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 |
JP2006183286A (ja) | 波形鋼板ウエブuコンポ橋における波形鋼板ウエブの接合構造 | |
KR101591808B1 (ko) |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 |
KR101629743B1 (ko) | Pc거더와 pc빔 연결구조 | |
KR102247787B1 (ko) | 직물섬유 보강 콘크리트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548215B1 (ko) | 보춤이 높은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 |
KR101545329B1 (ko) |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 | |
KR101083062B1 (ko) | 복합보 | |
KR101143056B1 (ko) | 조립형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80004752U (ko) |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7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