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278B1 -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 Google Patents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278B1
KR101272278B1 KR1020120113263A KR20120113263A KR101272278B1 KR 101272278 B1 KR101272278 B1 KR 101272278B1 KR 1020120113263 A KR1020120113263 A KR 1020120113263A KR 20120113263 A KR20120113263 A KR 20120113263A KR 101272278 B1 KR101272278 B1 KR 101272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truss
flat
arch member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환
정계연
Original Assignee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구조와 아치구조를 프리스트레스 도입과정을 통해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경간을 크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려한 외관미를 창출할 수 있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아치부재와, 상기 아치부재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시키기 위한 평면트러스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의 도입은 상기 평면트러스부재에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평면트러스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아치부재를 부착시킨 후, 상기 평면트러스부재에 가해진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러스-아치 복합교량{Truss-Arch type composite bridge}
본 발명은 트러스구조와 아치구조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복합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치부재와 평면트러스부재가 결합하면서 어느 한 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켜 경간을 크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려한 외관미를 창출할 수 있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에 관한 것이다.
트러스구조는 상현재와 하현재 및 이들을 연결하는 사재로 구성되어 수직하중을 상기 부재들의 축방향의 인장력 및 압축력만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서, 짧고 가벼운 부재를 조합하여 장대교량을 건설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상기 각 부재들 간의 결합형상이 주는 규칙성, 부재들 사이의 개방성 등으로 외관이 화려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아치구조와 더불어 외관을 중시하는 교량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트러스구조는 수직하중에 의하여 부재에 휨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 부재간의 결합을 핀구조로 가정하여 응력을 계산하나, 사실상 각 부재간의 결합은 강결합이 이루어져 어느 정도 휨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전체적인 좌굴이 고려되어야 하고 진동이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트러스구조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트러스구조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켜 좌굴의 방지 및 장스팬화를 도모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트러스부재의 외부에 긴장재를 정착시키고 상기 긴장재를 긴장시킴으로서 트러스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거나, 트러스부재의 일부 부재를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시키고 여기에 긴장재를 정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2011. 9. 20.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65633호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강관 트러스 보'라는 명칭의 발명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에 의한 트러스구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상현재(210); 상기 상현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현재(220); 상기 상현재(210)와 하현재(220)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웨브재(230); 상기 복수개의 상현재(210)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재; 상기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상현재(210)의 단부에서 상기 상현재(210)를 서로 연결하는 단부 버팀부재(252); 및 외부로부터 상기 하현재(220)의 단면 중심부 위치에서 상하부를 통과하여 상기 단부 버팀부재(252)로 연결되는 긴장재(260)로 구성된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2004. 3. 22. 공고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23757호의 '프리스트레스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에 의한 트러스구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현부재(110)를 콘크리트로 형성시키고,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에 프리텐션닝 공법에 의해 소정 프리스트레스가 가해진 다수의 와이어형 긴장재(111)가 마련되도록 하여, 상기 하현재(110)의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는 경우, 긴장재의 긴장 및 정착을 위한 작업으로 인하여 공정이 번잡하고 까다로울 뿐 아니라, 긴장장치가 외부에 돌출되어 유지관리가 어렵고 외관을 저해하거나 콘크리트에 의한 교량의 자중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치구조 역시 곡선의 아름다운 외관을 형성할 뿐 아니라, 수직하중을 부재의 수직방향보다는 수평방향, 즉 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압축응력을 통해 지점에 전달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지간을 넓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치구조는 지점에 큰 반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지점부가 붕괴되면 아치구조 자체가 붕괴되기 때문에 상기 지점부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먼저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2010. 8. 6. 공고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74306호의 '교량용 거더가 매달려 설치되는 지점부 구조물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아치구조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의 상부지지부재(130)가 행거케이블(140)을 통해 상판이 결합된 하부지지부재(120)를 지지하되, 상부지지부재(130)의 지점부에 발생되는 휨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점부에 긴장재(511)를 설치하여 지점부에 상향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와 함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부재(130))에 긴장재(600)를 설치하여 상부지지부재(130)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긴장재를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공이 번잡하고 까다로우며, 장기 크리프에 의한 응력손실 등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교량에 작용하는 이동하중은 점점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큰 이동하중은 아치의 일부에 인장응력을 발생시켜 이에 대한 강도 보강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을 포함한 지금까지는 트러스구조와 아치구조는 구조형식의 차이로 인하여 각 구조가 가지고 있는 통상적인 외관을 그대로 유지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외관에 변화를 주는 경관설계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구조형식인 트러스구조와 아치구조가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통한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구조역학적으로 서로 보완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경량부재만으로도 장스팬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식상한 형상을 벗어나 새로운 외관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의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치부재와, 상기 아치부재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시키기 위한 평면트러스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의 도입은 상기 평면트러스부재에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평면트러스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아치부재를 부착시킨 후, 상기 평면트러스부재에 가해진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평면트러스부재와, 상기 평면트러스부재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기 위한 아치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의 도입은 상기 아치부재에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아치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평면트러스부재를 부착시킨 후, 상기 아치부재에 가해진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치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아치부재보다 규모가 작은 보조아치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평면트러스부재를 구성하는 상현재와 아치부재의 각 상단면은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 서로 일치하도록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치부재와 평면트러스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치부재와 평면트러스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치부재와 보조아치부재는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 공용되는 중첩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치부재와 보조아치부재는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 상하로 면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트러스구조와 아치구조를,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통해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각 구조의 단점을 극복시켜 장대교량의 구축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우수한 형하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미려한 외관을 다양하게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러스구조와 아치구조를 결합시킴으로써 행거부재, 난간지주부재 등 일부 부재의 설치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각 부재를 경량부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자재비가 절감되고, 공기가 단축되는 등 경제적인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트러스구조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아치구조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제작과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이 아치부재와 보조아치부재가 함께 구성된 각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의 변형실시예에 관한 제작과정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다경간교량에 적용시킨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트러스-아치 복합교량(10)은 평면트러스부재(20)와 아치부재(30)를 결합시키는 것을 첫 번째 기술적 특징의 하나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평면트러스라 함은 부재의 구성면이 평면으로 된 것으로서, 하우 트러스, 플랫트러스, 워랜트러스, 핑크트러스 등의 모든 것이 포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워랜트러스의 구조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한 첫 번째 기술적 특징에 의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대별하여, 평면트러스부재(20)의 일면에 아치부재(30)를 부착시킨 형상의 제1실시예, 평면트러스부재(20)의 양면에 아치부재(30)를 부착시킨 제2실시예, 아치부재(30)의 양면에 평면트러스부재(20)를 부착시킨 형상의 제3실시예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평면트러스부재(20)와 아치부재(30)에 대하여 모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을 두 번째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두 번째 기술적 특징이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결합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도 3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제작과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아치부재(30)와, 상기 아치부재(30)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기 위한 평면트러스부재(20)로 이루어진다. 아치부재(30)에 대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은 평면트러스부재(20)를 탄성변형의 범위내로 변형시킨 후,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의 복원력을 아치부재(30)에 전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는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의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평면트러스부재(20)를 제작한다.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는 상현재(21)와, 하현재(22) 및, 상현재(21)와 하현재(22)를 연결하는 사재(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작된 평면트러스부재(20)의 양 단부를 고정대에 거치시킨 후,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에 대하여 탄성한도의 범위 내에서 처짐이 발생하도록 수직하중을 가한다. 평면트러스부재(20)에 가해진 탄성변형은 상부쪽으로 솟으려는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평면트러스부재(20)에 가해진 수직하중을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의 어느 일면에 아치부재(30)를 용접으로 부착시켜,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와 아치부재(30)가 일체적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평면트러스부재(20)와 아치부재(30)중 어느 하나가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평면트러스부재(20)를 구성하는 상현재(21)와 아치부재(30)의 각 상단면은 도 3a 및 도 4의 (c)에서와 같이,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 서로 일치되도록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현재(21)와 아치부재(30)의 일치된 결합은 평면트러스부재(20)에 가해진 하중이 아치부재(30)에 충분히 전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리스트레싱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응력전달을 명확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를 발휘하게 한다.
또한 평면트러스부재(20)의 사재(23)와 아치부재(30)가 교차되는 각 지점에서도 이들이 일체적 거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재(23)와 아치부재(30)의 일체적 결합은 사재(23)로 하여금 상판을 포함한 교량의 고정 및 이동하중의 일부를 아치부재(30)에 부담시키기 위한 행거부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치부재(30)의 하부에는 상기 아치부재(30)보다 규모가 작은 보조아치부재(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아치부재(40)는 트러스-아치의 복합구조를 보강하여 경간의 길이를 크게 늘릴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교량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한다.
도 5a와 도 5b는 상기 아치부재(30)와 보조아치부재(40)가 함께 구성된 형상의 각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아치부재(30)와 보조아치부재(40)는 일체적 거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아치부재(30)와 보조아치부재(40)는 도 5a와 같이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 공용되는 중첩부위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도 5b와 같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 아치부재(30)와 보조아치부재(40)가 상하로 면접합되는 형태로 결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탄성변형된 평면트러스부재(20)와 아치부재(30)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면,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의 상향 복원력은 하중의 지지에 의해 벌어지려고 하는 아치부재(30)의 지점부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감소시켜 아치부재(30)로 하여금 보다 큰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아울러 평면트러스부재(20)의 탄성변형된 변위중 아치부재(30)와의 평형에 의해 미처 복원되지 못한 변위는 평면트러스부재(20)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싱력으로 작용하여 평면트러스부재(20) 자체에 대한 횡좌굴의 저항력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평면트러스부재(20)와 아치부재(30)의 응력변화는 이들 각 부재에 의해 형성시킬 수 있는 경간의 길이보다 훨씬 긴 경간을 가지는 장대교량을 구축할 수 있게 하며,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매우 우수한 형하공간을 제공하게 한다.
상기한 제1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평면트러스부재(20)를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의 일면에 아치부재(3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아치부재(30)를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아치부재(30)의 일면에 평면트러스부재(20)를 결합시켜 아치부재(30)로 하여금 평면트러스부재(20)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도록 하는 변형실시예도 가능한다. 도6은 상기 변형실시예의 제작과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변형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응력전달구조 내지 그에 따른 작용효과도 다르지 아니하므로, 이에 대하여는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아치부재(3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기 위한 평면트러스부재(20)와,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의 양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아치부재(30)로 이루어진다.
아치부재(30)에 대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면트러스부재(20)를 탄성변형의 범위내로 변형시킨 후,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의 복원력을 그 양면에 부착된 아치부재(30)에 전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한 쌍의 아치부재(30)의 각 하부에는 상기 아치부재(30)보다 규모가 작은 보조아치부재(4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치부재(30)와 보조아치부재(40)의 각 결합은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 공용되는 중첩부위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이들이 서로 상하로 면접합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의 트러스-아치 복합구조의 하중에 대한 응력전달방식은, 평면트러스의 탄성복원력을 한 쌍의 아치에 전달한다는 점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크게 다르지 아니하다. 다만, 한 쌍의 아치부재(30)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사용되는 각 아치부재(30)의 규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중 아치구조의 새로운 경관을 창출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3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평면트러스부재(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기 위한 아치부재(30)와, 상기 아치부재(30)의 양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평면트러스부재(20)로 이루어진다.
평면트러스부재(20)에 대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은, 제1실시예의 변형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아치부재(30)를 탄성변형의 범위내로 변형시킨 후, 상기 아치부재(30)의 복원력을 그 양면에 부착된 평면트러스부재(20)에 전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아치부재(30)의 하부에는 상기 아치부재(30)보다 규모가 작은 보조아치부재(4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치부재(30)와 보조아치부재(40)의 결합구조는 상기한 제1, 2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의 트러스-아치 복합구조의 하중에 대한 응력전달방식 역시 제1, 2실시예와 크게 다르지 아니하며, 한 쌍의 평면트러스부재(20)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평면트러스부재(20)를 구성하는 상현재(21), 하현재(22) 및 사재(23) 등의 각 부재 규격을 줄일 수 있고, 다중 트러스에 의한 또 다른 경관을 창출할 수 있게 한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 각 실시예의 평면트러스부재(20)와 아치부재(30)는 사각파이프, 원형파이프, I빔 또는 H빔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예컨대, 평면트러스부재(20)와 아치부재(30)를 모두 사각파이프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평면트러스부재(20)와 아치부재(30)중 어느 한 부재에 대하여는 사각파이프로 구성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재에 대하여는 원형파이프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파이프부재의 사용은 강재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단면력에 의한 강성을 증가시키는 구조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사각단면과 원형단면에 의한 조형미를 창출시키고 구조부재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I빔 또는 H빔을 특히 경량 I빔 또는 H빔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함께 경량부재사용에 따른 재료비 및 제작, 시공비를 다른 구조에 비해 현저히 절감시키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아치 복합구조는 별도의 난간작업을 생략 가능하게 하여 교량의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경제적인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즉 트러스-아치 복합구조에 의한 교량에 있어서는, 평면트러스부재(20)를 구성하는 각 사재(23)가 난간의 지주기능을 겸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레일(51)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사재(23)에 부착시킴으로써 난간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하나의 평면트러스부재(20)에 다수 개의 아치를 결합시켜 2경간 이상의 교량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상기와 같은 변형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에 의하면, 연속경간의 경우 본 발명은 두 개의 경간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평면트러스부재(20)에 각 경간 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아치부재(30)를 결합시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속경간의 트러스-아치 복합구조는, 상기 두 개의 아치부재(30)에 하중을 가하여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아치부재(3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평면트러스부재(20)가 부착됨으로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아치부재(30)의 하부에 보조아치부재(40)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20: 평면트러스부재
21: 상현대 22: 하현재
23: 사재 30: 아치부재
40: 보조아치부재 51: 핸드레일

Claims (10)

  1. 아치부재(30)와, 상기 아치부재(30)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시키기 위한 평면트러스부재(20)로 이루어지되,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는 상현재(21), 하현재(22) 및 사재(23)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의 도입은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에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평면트러스부재(20)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아치부재(30)를 부착시킨 후,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에 가해진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2. 상현재(21), 하현재(22) 및 사재(23)로 이루어지는 평면트러스부재(20)와,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기 위한 아치부재(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은 상기 아치부재(30)에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아치부재(30)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평면트러스부재(20)를 부착시킨 후, 상기 아치부재(30)에 가해진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재(30)의 하부에는 상기 아치부재(30)보다 규모가 작은 보조아치부재(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를 구성하는 상현재(21)와 아치부재(30)의 각 상단면은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 서로 일치하도록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재(30)와 평면트러스부재(20)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재(30)와 평면트러스부재(20)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재(30)와 평면트러스부재(20)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I빔 또는 H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재(30)와 보조아치부재(40)는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 공용되는 중첩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재(30)와 보조아치부재(40)는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 상하로 면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트러스부재(20)에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핸드레일(51)이 설치되되, 상기 핸드레일(51)은 평면트러스부재(20)를 구성하는 각 사재(23)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KR1020120113263A 2012-10-12 2012-10-12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KR101272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263A KR101272278B1 (ko) 2012-10-12 2012-10-12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263A KR101272278B1 (ko) 2012-10-12 2012-10-12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278B1 true KR101272278B1 (ko) 2013-06-10

Family

ID=4886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263A KR101272278B1 (ko) 2012-10-12 2012-10-12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2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14B1 (ko) * 2016-06-23 2017-01-03 표옥근 트러스-케이블 복합구조의 거더
CN109024225A (zh) * 2018-07-25 2018-12-18 湖南大学 超高性能混凝土桁架拱片单元、桁架拱片桥梁及施工方法
CN112443043A (zh) * 2020-11-25 2021-03-05 浙大城市学院 一种内嵌正交向小桁架的多层通高大空间悬挑桁架结构及应用
CN113233324A (zh) * 2021-04-30 2021-08-10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桁架式大梁的制作方法、桁架式大梁以及伸缩式岸桥
KR20220038876A (ko) * 2020-09-21 2022-03-29 박옥경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1399A (en) 1985-11-21 1987-09-08 Kim Jai B Rehabilitation of steel truss bridges by means of reinforcing arch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1399A (en) 1985-11-21 1987-09-08 Kim Jai B Rehabilitation of steel truss bridges by means of reinforcing arch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14B1 (ko) * 2016-06-23 2017-01-03 표옥근 트러스-케이블 복합구조의 거더
CN109024225A (zh) * 2018-07-25 2018-12-18 湖南大学 超高性能混凝土桁架拱片单元、桁架拱片桥梁及施工方法
KR20220038876A (ko) * 2020-09-21 2022-03-29 박옥경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09255B1 (ko) * 2020-09-21 2022-06-14 박옥경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2443043A (zh) * 2020-11-25 2021-03-05 浙大城市学院 一种内嵌正交向小桁架的多层通高大空间悬挑桁架结构及应用
CN112443043B (zh) * 2020-11-25 2022-02-22 浙大城市学院 一种内嵌正交向小桁架的多层通高大空间悬挑桁架结构及应用
CN113233324A (zh) * 2021-04-30 2021-08-10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桁架式大梁的制作方法、桁架式大梁以及伸缩式岸桥
CN113233324B (zh) * 2021-04-30 2023-02-28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桁架式大梁的制作方法、桁架式大梁以及伸缩式岸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5721B1 (en) Structural system for arch bridges, with mobilization of external reactions through definitive ties
KR101272278B1 (ko)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CN104988844A (zh) 二次张拉预应力装配式波形钢腹板组合梁及其施工方法
KR20090126493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492078B1 (ko)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부재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CZ2019435A3 (cs) Mostní konstrukce pro mosty na pozemních komunikacích
KR100912584B1 (ko) 횡방향 좌굴을 방지하는 피에스씨 빔의 제조방법 및 횡방향좌굴 방지장치
KR101458088B1 (ko) 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부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JP2014227754A (ja) 橋桁および橋桁の施工方法
CN104847016A (zh) 斜拉索梁悬挂转换层
KR20120050940A (ko) 내부힌지를 활용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시공법
KR101347555B1 (ko)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교량에서의 연속지점부의 시공방법
KR101980187B1 (ko)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JP4056540B2 (ja) 橋桁の架設方法
KR101536659B1 (ko) 프리스트레스 철골합성 구조물
JPH11323841A (ja) 上路式吊構造橋の架設方法
KR101198116B1 (ko) 교량용 강재 거더
JP3877995B2 (ja) 張弦桁橋の構築方法
KR20130127305A (ko) 조인트 하이브리드 보강 교량용 거더
KR101664100B1 (ko) 조립식 가교
US9657477B2 (en) Structural support beam
KR20180011528A (ko) 트러스 작용을 활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하이브리드 합성보
KR20080087250A (ko) 연속교의 프리스트레싱 장치
JP2004156343A (ja) 複合トラス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458091B1 (ko) 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부재를 이용한 케이블교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