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493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493A
KR20090126493A KR1020080052598A KR20080052598A KR20090126493A KR 20090126493 A KR20090126493 A KR 20090126493A KR 1020080052598 A KR1020080052598 A KR 1020080052598A KR 20080052598 A KR20080052598 A KR 20080052598A KR 20090126493 A KR20090126493 A KR 20090126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fixing
abdomen
prestress
precas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엽
백승덕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5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6493A/ko
Publication of KR2009012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에 관한 것으로, I형 또는 벌브 티형의 거더부재(1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되, 긴장부재(60)의 양 단을 각각 고정하는 제 1, 2 정착부(20, 30)를 복수의 쌍으로 구비하여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발생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거더부재(1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부재(60)를 복수로 분산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거더부재(10)의 내하력을 증대시키고, 단면을 일정하게 제조하여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제조 시 원가를 절감하고, 무게를 경량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PRECAST CONCRETE GIRDER}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긴장부재를 복수로 분산하여 정착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제조가 용이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거더는 간격을 두고 지면에 쌍으로 세워진 기둥의 상부에 양 단이 올려져 설치되는 보로, 교량의 슬라브 또는 건축물 바닥 또는 천장을 지지하는 지지 보로 주로 사용된다.
상기 콘크리트 거더는 통상 복부의 상, 하부에 플랜지부가 구비된 I형 또는 H형으로 형성되는데, 주로 상부 측에서 하중을 받아 지지하는 구조로, 하중을 받는 상부 플랜지 측으로 압축력이 발생하고, 하부 플랜지 측으로 상기 압축력에 대응되는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콘크리트 거더는 교량 또는 건축, 토목 구조물에서 사용될 경우 하부 플랜지 측에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하부 플랜지 측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고 있는 실정이 다.
콘크리트 거더는 하부 플랜지부의 양 단에 프리스트레스 강선을 정착시킬 수 있는 정착부를 구비하여, 정착부에 프리스트레스 강선의 양 단을 정착한 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거더는 프리스트레스 강선을 정착하는 정착부가 양단부에만 위치되어 단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균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과도한 단부보강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거더는 하중이 집중되는 단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양 단부의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제조되므로, 무게가 무겁고 제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콘트리트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에 있어 프리스트레스 강선을 분산 정착하여 내하력을 증대시키는 구조로 국내 특허 등록 제0455471호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및 국내 특허 등록 제554026호 '외부로 노출된 교량용 강선 긴장 시스템', 국내 특허 등록 제384772호 '긴장력을 분산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보강장치'에서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 특허 등록 제0455471호의 콘크리트 거더 및 국내 특허 등록 제554026호의 콘크리트 거더, 국내 특허 등록 제384772호의 콘크리트 거더는 양 단부에 프리스트레스 강선이 정착되는 정착구가 복수로 집중되어 정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거더는 프리스트레스 강선의 정착으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양 단부의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거나, 임의의 두께를 가지는 정착 보강부를 형성하므로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형상, 즉, I형 또는 벌브 T형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 없어 제조 시 원가가 증대되고,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계로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하중을 분산시켜, 내하력을 증대시키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면이 일정한 형상으로 제조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전체 길이에 걸쳐 복부의 상, 하부에 상, 하부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I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전체 길이에 걸쳐 복부의 어느 한 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벌브 T형으로 형성되는 거더부재와;
거더부재의 일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되며, 거더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부재의 일단이 정착되는 제 1 정착부와;
거더부재의 타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되며, 거더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부재의 타단이 정착되는 제 2 정착부를 포함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부재를 복수로 분산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거더의 내하력을 증대시키고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면을 일정하게 제조하여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제조 시 원가를 절감하고, 무게를 경량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부의 상부에 각각 복수의 제 1, 2 정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복부의 상부에 각각 복수의 제 1, 2 정착부로 긴장부재가 장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로서, 제 1 정착부와 제 2 정착부가 각각 복부의 양 측에 대칭되게 쌍으로 구비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로서, 복부 및 상, 하부 플랜지부에 각각 제 1, 2 단부 정착부가 구비되고, 복부의 상부 양 측에 제 1 정착부가 쌍으로 구비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2의 A-A'단면도로서, 거더부재의 중앙에서 긴장부재가 각각 하부 플랜지를 통과하여 제 1, 2 정착부로 정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로서, 제 1 정착부와 제 2 정착부가 각각 복부의 양 측에 서로 이격된 쌍으로 구비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6의 B-B'단면도로서, 거더부재의 중앙에서 긴장부재가 각각 하부 플랜지를 통과하여 제 1, 2 정착부로 정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7의 C-C'단면도로서, 긴장부재가 삽입되는 제 2 가이드 관부재가 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게 장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부의 하부에 각각 복수의 제 1, 2 정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복부의 하부에 각각 복수의 제 1, 2 정착부로 긴장부재가 장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로서, 제 1 정착부와 제 2 정착부가 각각 복부의 양 측에 대칭되게 쌍으로 구비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로서, 복부 및 상, 하부 플랜지부에 각각 단부 정착부가 구비되고, 복부의 하부 양 측에 제 1 정착부가 쌍으로 구비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도 11의 D-D'단면도로서, 거더부재의 중앙에서 긴장부재가 각각 하부 플랜지를 통과하여 제 1, 2 정착부로 정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로서, 제 1 정착부와 제 2 정착부가 각각 복부의 양 측에 서로 이격된 쌍으로 구비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도 15의 E-E'단면도로서, 거더부재의 중앙에서 긴장부재가 각각 하부 플랜지를 통과하여 제 1, 2 정착부로 정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도 16의 F-F'단면도로서, 긴장부재가 삽입되는 제 2 가이드 관부재 가 하부 플랜부의 상부 내로 일부 삽입되게 장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로서, 제 1 정착부와 제 2 정착부가 하부 플랜지부의 내부로 구비되는데, 하부 플랜지부의 상부 양 측에 서로 이격된 쌍으로 구비되고, 제 1, 2 가이드 관부재는 하부 플랜지부의 중앙을 통과하여 제 1, 2 정착부를 연결하게 장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은 도 19의 G-G'단면도로서, 거더부재의 중앙에서 긴장부재가 각각 하부 플랜지를 통과하여 제 1, 2 정착부로 정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도 20의 H-H' 단면도로서, 하부 플랜지부의 내부로 제 1 정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연속교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더부재(10)는 전체 길이에 걸쳐 복부(11)의 양 단에 상, 하부 플랜지부(12, 13)가 구비된 I형 또는 H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는 거더부재(10)는 전체 길이에 걸쳐 복부(11)의 양 단 중 어느 한 측에 플랜지부가 구비되는 벌브 T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거더부재(10)의 양 단부에는 거더부재(1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부재(60)의 양 단부가 각각 정착되는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는 상부 플랜지부(12), 복부(11), 하부 플랜지부(13)에 각각 복수로 구비되며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 거더부재(10)의 내부에는 양 단이 각각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에 연결되며, 내부로 긴장부재(60)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관형상의 제 1 가이드 관부재(40)가 구비된다.
복부(11)의 상부에는 거더부재(10)의 양 단부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 1, 2 정착부(20, 3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2 정착부(20, 30)는 거더부재(1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부재(60)의 양 단부가 각각 정착되는 것이다.
또한 거더부재(10)의 내부에는 양 단이 각각 제 1, 2 정착부(20, 30)에 연결되며, 내부로 긴장부재(60)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관형상의 제 2 가이드 관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2 가이드 관부재(40, 50)는 거더부재(10)의 제조 시 함께 매립되어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와, 제 1, 2 정착부(20, 30)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긴장부재(60)는 제 1 가이드 관부재(40) 내로 삽입되어 양 단부가 각각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에 정착된 후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이다.
또한 긴장부재(60)는 제 2 가이드 관부재(50) 내로 삽입되어 양 단부가 각각 제 1, 2 정착부(20, 30)에 정착된 후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이다.
상기 긴장부재(60)는 스트랜드, 강선, 케이블 등과 같이 프리스트레스를 도 입하여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가지는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정착부(20)는 복부(11)의 상부에서 양 측에 구비되는데, 서로 대칭되는 쌍으로 구비되고, 제 2 정착부(30)는 복부(11)의 상부에서 양 측에 구비되는데,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2 정착부(20, 30)는 거더부재(10)의 양 단이 지지되는 단순교의 경우에 거더부재(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2 정착부(20, 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부(11)의 상부 양 측에서 상부 플랜지부(12)와 일체로 돌출되어 제 2 가이드 관부재(50)가 내부로 삽입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2 정착부(20, 30)는 긴장부재(60)가 정착되는 고정면을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긴장부재(60)의 정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2 가이드 관부재(40, 5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더부재(10)의 중앙에서 복부(11)의 하부 및 하부 플랜지부(13)의 하부를 통과하게 배관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정착부(20) 및 제 2 정착부(30)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복부(11)의 상부에서 양 측에 구비되는데, 서로 이격되는 쌍으 로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제 1, 2 정착부(20, 30)는 거더부재(10)의 양 단이 지지되는 단순교의 경우에 거더부재(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제 1 정착부(20) 및 제 2 정착부(30)는 각각 복부(11)의 양 측에 서로 이격된 쌍으로 구비되어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되고 안정적인 프리스트레스 도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거더부재(10)의 내부에는 양 단이 각각 제 1, 2 정착부(20, 30)에 연결되며, 내부로 긴장부재(60)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관형상의 제 2 가이드 관부재(50)가 구비되는데,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더부재(10)의 중앙에서 복부(11)의 하부 및 하부 플랜지부(13)의 하부를 통과하게 배관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정착부(20)와 제 2 정착부(30)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부(11)의 상부 양 측에서 상부 플랜지부(12)와 일체로 돌출되어 제 2 가이드 관부재(50)가 내부로 삽입 장착되는데, 제 2 가이드 관부재(50)가 일부분 복부(11)로 삽입되게 장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긴장부재(60)는 상기한 예에서 설명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정착부(20, 30)는 복부(11)의 양 단에 상, 하부 플랜지부(12, 13)가 구비되어 I형 또는 H형으로 형성되는 거더부재(10)에서 복부(11)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정착부(20)는 복부(11)의 하부에서 양 측에 구비되는데, 서로 대칭되는 쌍으로 구비되고, 제 2 정착부(30)는 복부(11)의 하부에서 양 측에 구비되는데,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2 정착부(20, 30)는 거더부재(10)의 양 단이 지지되는 단순교의 경우에 거더부재(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2 정착부(20, 30)는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부(11)의 상부 양 측에서 상부 플랜지부(12)와 일체로 돌출되어 제 2 가이드 관부재(50)가 내부로 삽입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2 정착부(20, 30)는 긴장부재(60)가 정착되는 고정면을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긴장부재(60)의 정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2 가이드 관부재(40, 50)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더부재(10)의 중앙에서 복부(11)의 하부 및 하부 플랜지부(13)의 하부를 통과하게 배관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정착부(20) 및 제 2 정착부(30)는 도 15 내지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복부(11)의 하부에서 양 측에 구비되는데, 서로 이격되는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제 1, 2 정착부(20, 30)는 거더부재(10)의 양 단이 지지되는 단순교의 경우에 거더부재(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제 1 정착부(20) 및 제 2 정착부(30)는 각각 복부(11)의 양 측에 서로 이격된 쌍으로 구비되어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되고 안정적인 프리스트레스 도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거더부재(10)의 내부에는 양 단이 각각 제 1, 2 정착부(20, 30)에 연결되며, 내부로 긴장부재(60)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관형상의 제 2 가이드 관부재(50)가 구비되는데,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더부재(10)의 중앙에서 복부(11)의 하부 및 하부 플랜지부(13)의 하부를 통과하게 배관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정착부(20)와 제 2 정착부(30)는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부(11)의 하부 양 측에서 하부 플랜지부(13)와 일체로 돌출되어 제 2 가이드 관부재(50)가 내부로 삽입 장착되는데, 제 2 가이드 관부재(50)가 일부분 하부 플랜지부(13)로 삽입되게 장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9 내지 도 22에서는 제 1, 2 정착부(20, 30)가 하부 플랜지부(13)에 구비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 1, 2 정착부(20, 30)는 하부 플랜지부(13)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장착홈(13a) 내에 구비되는데, 상기 장착홈(13a)은 하부 플랜지부(13)의 상부 양측에 서로 이격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즉, 제 1, 2 정착부(20, 30)는 각각 복부(11)를 중심으로 쌍으로 구비되되, 서로 이격되는 쌍으로 구비되어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되고 안정적인 프리스트레스 도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하부 플랜지부(13)의 내부에 양 단이 각각 제 1, 2 정착부(20, 30)에 연결되며, 내부로 긴장부재(60)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관형상의 제 2 가이드 관부재(50)가 구비되는데, 도 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더부재(10)의 중앙에서 복부(11)의 하부 및 하부 플랜지부(13)의 하부를 통과하게 배관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점 이상의 지지점을 가지는 즉, 양 단부의 제 1, 2 단부 지지점(1, 2) 및 중간 부분의 중간 지지점(3)이 구비되는 연속교에서 사용되는 경우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는 하기와 같다.
도 2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단부 지지점(1)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 및 제 2 단부 지지점(2)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에는 제 1, 2 정착부(20, 30)가 각각 복부(11)의 상부에서 두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제 2 가이드 관부재(50)로 연결됨으로써 제 1 단부 지지점(1)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 및 제 2 단부 지지점(2)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또한 거더부재(10)의 양 단부의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는 제 1 가이드 관부재(40)로 연결되는데, 제 1 가이드 관부재(40)는 제 1 단부 지지점(1)과 중간 지지점(3) 사이의 중앙에서 하부 플랜지부(13)를 통과한 후 중간 지지점(3)에서 상 부 플랜지부(12)를 통과하고, 중간 지지점(3)과 제 2 단부 지지점(2) 사이의 중앙에서 하부 플랜지부(13)를 통과하여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를 연결하도록 배관되어 거더부재(10)의 전체 양 단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도 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단부 지지점(1)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 및 제 2 단부 지지점(2)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에는 제 1, 2 정착부(20, 30)가 각각 복부(11)의 상부 및 하부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제 2 가이드 관부재(50)로 연결됨으로써 제 1 단부 지지점(1)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 및 제 2 단부 지지점(2)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또 중간 지지점(3)의 양 측에는 중간 지점을 통과해서 제 1 가이드 관부재(40)로 연결되는 제 1, 2 정착부(20, 30)를 복부(11)의 상부에 구비하여 중간 지점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또한, 거더부재(10)의 양 단부의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는 제 1 가이드 관부재(40)로 연결되는데, 제 1 가이드 관부재(40)는 제 1 단부 지지점(1)과 중간 지지점(3) 사이의 중앙에서 하부 플랜지부(13)를 통과한 후 중간 지지점(3)에서 상부 플랜지부(12)를 통과하고, 중간 지지점(3)과 제 2 단부 지지점(2) 사이의 중앙에서 하부 플랜지부(13)를 통과하여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를 연결하도록 배관되어 거더부재(10)의 전체 양 단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도 2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단부 지지점(1)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 및 제 2 단부 지지점(2)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에는 제 1, 2 정착부(20, 30)가 각각 복부(11)의 중간 및 하부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제 2 가이드 관부재(50)로 연결됨으로써 제 1 단부 지지점(1)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 및 제 2 단부 지지점(2)과 중간 지지점(3)의 사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또 중간 지지점(3)의 양 측에는 중간 지점을 통과해서 제 1 가이드 관부재(40)로 연결되는 제 1, 2 정착부(20, 30)를 복부(11)의 중간에 구비하여 중간 지점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또한, 거더부재(10)의 양 단부의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는 제 1 가이드 관부재(40)로 연결되는데, 제 1 가이드 관부재(40)는 제 1 단부 지지점(1)과 중간 지지점(3) 사이의 중앙에서 하부 플랜지부(13)를 통과한 후 중간 지지점(3)에서 상부 플랜지부(12)를 통과하고, 중간 지지점(3)과 제 2 단부 지지점(2) 사이의 중앙에서 하부 플랜지부(13)를 통과하여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를 연결하도록 배관되어 거더부재(10)의 전체 양 단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도 2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지지점(3)의 양 측에는 중간 지점을 통과하는데 상부 플랜지부(12)를 통과하는 제 1 가이드 관부재(40)로 연결되는 제 1, 2 정착부(20, 30)를 복부(11)의 중간에 구비하여 중간 지점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또한, 거더부재(10)의 양 단부의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는 제 1 가이드 관부재(40)로 연결되는데, 제 1 가이드 관부재(40)는 제 1 단부 지지점(1)과 중간 지지점(3) 사이의 중앙에서 하부 플랜지부(13)를 통과한 후 중간 지지점(3)에서 상부 플랜지부(12)를 통과하고, 중간 지지점(3)과 제 2 단부 지지점(2) 사이의 중앙에서 하부 플랜지부(13)를 통과하여 제 1, 2 단부 정착부(14, 15)를 연결하도록 배관되어 거더부재(10)의 전체 양 단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거더부재(1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에 있어 도입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내하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거더부재(10)의 몸체를 전체 길이에 걸쳐 단면이 I형상, H형상, T형상으로 일정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A-A'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B-B'단면도
도 9는 도 7의 C-C'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
도 14는 도 11의 D-D'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
도 17은 도 15의 E-E'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F-F'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
도 21은 도 19의 G-G'단면도
도 22는 도 20의 H-H' 단면도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거더부재 11 : 복부
12 : 상부 플랜지부 13 : 하부 플랜지부
14 : 제 1 단부 정착부 15 : 제 2 단부 정착부
20 : 제 1 정착부 30 : 제 2 정착부
40 : 제 1 가이드 관부재 50 : 제 2 가이드 관부재
60 : 긴장부재

Claims (7)

  1. 전체 길이에 걸쳐 복부의 상, 하부에 상, 하부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I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전체 길이에 걸쳐 복부의 어느 한 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벌브 T형으로 형성되는 거더부재와;
    거더부재의 일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되며, 거더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부재의 일단이 정착되는 제 1 정착부와;
    거더부재의 타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되며, 거더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부재의 타단이 정착되는 제 2 정착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더부재의 양 단부에는 거더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부재의 양 단부가 각각 정착되는 제 1, 2 단부 정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더부재의 내부에는 양 단이 각각 제 1, 2 단부 정착부에 연결되며, 내부로 긴장부재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관형상의 제 1 가이드 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착부는 복부의 양 측에 서로 이격된 쌍으로 구비되고 제 2 정착부는 복부의 양 측에 서로 이격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더부재의 내부에는 양 단이 각각 제 1, 2 정착부에 연결되며, 내부로 긴장부재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관형상의 제 2 가이드 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관부재는 거더부재의 하부 플랜지부를 통과하게 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정착부는 긴장부재가 정착되는 고정면을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20080052598A 2008-06-04 2008-06-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90126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98A KR20090126493A (ko) 2008-06-04 2008-06-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98A KR20090126493A (ko) 2008-06-04 2008-06-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493A true KR20090126493A (ko) 2009-12-09

Family

ID=4168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598A KR20090126493A (ko) 2008-06-04 2008-06-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649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69B1 (ko) * 2010-09-06 2011-06-29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돌출보가 부착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140433B1 (ko) * 2011-08-11 2012-04-30 삼우건설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제작방법
KR101146825B1 (ko) * 2011-06-30 2012-05-22 한국도로공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텐던 프로파일링 방법
KR101439867B1 (ko) * 2012-12-12 2014-09-17 주식회사 포스코 콤팩트 텐던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474726B1 (ko) * 2013-11-25 2014-12-22 주식회사 한화건설 I형 거더
CN105369729A (zh) * 2015-12-11 2016-03-02 河南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体外预应力波形钢腹板t梁及施工方法
CN112391931A (zh) * 2020-10-30 2021-02-23 山东高速城投绕城高速公路有限公司 一种采用uhpc剪力键的装配式连续t梁桥拼接段及施工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69B1 (ko) * 2010-09-06 2011-06-29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돌출보가 부착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146825B1 (ko) * 2011-06-30 2012-05-22 한국도로공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텐던 프로파일링 방법
KR101140433B1 (ko) * 2011-08-11 2012-04-30 삼우건설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제작방법
KR101439867B1 (ko) * 2012-12-12 2014-09-17 주식회사 포스코 콤팩트 텐던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474726B1 (ko) * 2013-11-25 2014-12-22 주식회사 한화건설 I형 거더
CN105369729A (zh) * 2015-12-11 2016-03-02 河南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体外预应力波形钢腹板t梁及施工方法
CN112391931A (zh) * 2020-10-30 2021-02-23 山东高速城投绕城高速公路有限公司 一种采用uhpc剪力键的装配式连续t梁桥拼接段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6493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0989586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366903B1 (ko) 트러스 단면을 갖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및 육교 시공 방법
KR20190119715A (ko) 서포트블록과 인장재가 보강된 강합성거더교의 구조, 이의 시공방법
KR20100052728A (ko) 초고강도 콘크리트 날개형 캔틸레버부를 구비한 교량용 콘크리트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박스 거더 교량
KR20130031937A (ko) 아치형 교량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US5152112A (en)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90127077A (ko) 프리스트레스 강선 정착 장치
KR101060566B1 (ko) 플레이트형 긴장재를 이용한 다경간 피에스씨 빔의 연속화방법
KR20100085509A (ko) 연속 피에스씨 거더 교량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90068754A (ko) 연속화 거더 및 거더의 연속화 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1396440B1 (ko) 프리스트레스트 단부 보강 복합 보
KR20100007300A (ko) 콘크리트 크로스 빔을 이용하여 강 주형을 연결한 강 합성교량 및 시공방법
KR20100069866A (ko) 강합성 거더
KR20130107870A (ko) 연결부 정착단을 구비한 피에스씨 거더 세그먼트,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 및 모듈러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KR20130040652A (ko)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연속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64997B1 (ko) 프리캐스트 t 타입 모듈형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합성 라멘교, 그리고 그 합성 라멘교를 시공하기 위한 구조물
KR101536659B1 (ko) 프리스트레스 철골합성 구조물
JP4056540B2 (ja) 橋桁の架設方法
KR10134482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트 빔
KR20130127305A (ko) 조인트 하이브리드 보강 교량용 거더
JP2006207209A (ja)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KR101321699B1 (ko) 이중관을 이용한 강합성 트러스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KR20060057233A (ko) 슬래브 단부 보강이 용이하고 유지보수시 재긴장이 가능한피에스씨 아이빔 및 그 피에스씨 아이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보수 방법
JP4493245B2 (ja)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404

Effective date: 2011120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09

Effective date: 2012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