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05Y1 - 건축용 기둥 - Google Patents

건축용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05Y1
KR200472605Y1 KR2020120004371U KR20120004371U KR200472605Y1 KR 200472605 Y1 KR200472605 Y1 KR 200472605Y1 KR 2020120004371 U KR2020120004371 U KR 2020120004371U KR 20120004371 U KR20120004371 U KR 20120004371U KR 200472605 Y1 KR200472605 Y1 KR 200472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illar
support
support portion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942U (ko
Inventor
송의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휴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휴플러스
Priority to KR2020120004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0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9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9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 체결 기구에 관한 것으로, 제1 고정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제1 고정홀이 형성된 받침부, 받침부에 수직으로 받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2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제2 고정홀을 갖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지지부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버팀 부재가 체결되며, 한 쌍의 지지부 외측에 한 쌍의 기둥 목재가 체결된다.

Description

건축용 기둥{BUILDING POLE}
본 고안은 건축용 기둥에 관한 것으로, 목재 난간 설치 시에 지지부재의 양쪽에 기둥 목재를 설치하여 기둥 목재가 지지부재를 감싸는 구조를 가져 지지부재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고, 외부환경으로 인한 지지부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용 기둥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서양식 목조주택의 건축이 많아지면서, 목재담장과 외부마루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이 되었는데, 이러한 목재 담장의 설치를 위해서는 기둥 목재를 세워야한다. 이 경우, 흙바닥에 구덩이를 파고 기둥을 세운 후 구덩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어 버팀목으로 고정하거나, 거푸집을 가설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지지부재에 기둥 목재를 고정시키고 지지부재를 땅에 매몰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에 기둥 목재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지지 부재에 기둥 목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다수의 결합부재를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지지부재가 외부로 노출된다.
지지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면 지지부재가 부식되고, 녹이 슬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부재의 외측에 한 쌍의 기둥 목재를 설치하여 기둥 목재가 지지부재를 감싸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외부노출 및 외부환경으로 인한 지지부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기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기둥의 일 형태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수직으로 상기 받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고정홀을 갖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에 수직으로 상기 받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2 고정홀을 갖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는 버팀 목재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상기 제2 지지부의 반대쪽에 부착되는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상기 제1 지지부의 반대쪽에 부착되는 제2 기둥 목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둥 목재는 상기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제1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기둥 목재는 상기 제2 기둥 목재와 상기 제2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버팀 목재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기둥 목재와 상기 버팀 목재에 의해 감싸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팀 목재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기둥의 다른 형태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수직으로 상기 받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홀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 기둥 목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둥 목재는 상기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기둥 목재는 상기 제2 기둥 목재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제2 기둥 목재에 의해 감싸진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부재의 외측에 한 쌍의 기둥 목재를 설치하여 기둥 목재가 지지부재를 감싸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외부노출을 방지하여 지지부재의 부식을 방지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이들이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체결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체결 기구의 적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체결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체결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체결 기구의 적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목재 체결 기구(100)는 받침부(10), 제1 고정홀(15), 지지부(20) 및 제2 고정홀(25)을 포함한다.
받침부(10)는 지면 또는 기둥 목재(20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이하, 지면으로 통칭함)에 편평하게 설치된다. 받침부(10)에는 복수개의 제1 고정홀(15)이 형성되어, 지면에 받침부(10)를 제1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재는 볼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로 받침부(10)를 지면에 고정한다.
받침부(10)는 I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목재 체결 기구(100)에 체결되는 기둥 목재(20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받침부(10)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받침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부(20)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부(20)가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20)에는 복수개의 제2 고정홀(25)이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부(20) 사이에 존재하는 특정 간격에는 제1 버팀부재(150)가 삽입된다. 이는 도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1 버팀부재(150)에는 지지부(20)에 형성된 제2 고정홀(25)과 체결될 수 있는 제3 고정홀(160)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 버팀부재(150)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지지부(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20)와 동일한 형상의 삽입홈(170)이 형성되어 지지부(20)의 사이에 밀착되도록 삽입된다. 이때, 제1 버팀부재(150)의 길이는 받침부(10)의 도면부호 b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삽입홈(170)은 지지부(20)의 밑단 길이인 도면부호 c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도 2에서와 같이 한 쌍의 기둥 목재(200)은 지지부(20)의 외측에 하나씩 체결되는데, 지지부(20)와의 체결을 위해 기둥 목재(200)의 하단에는 한 쌍의 지지부(20)에 형성된 제2 고정홀(25), 제1 버팀부재(150)에 형성된 제3 고정홀(160)과 동일한 위치에 제4 고정홀(210)이 형성된다. 기둥 목재(200)의 길이는 제1 버팀부재(150)와 같이 받침부(10)의 도면부호 b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기둥 목재(200)의 상부에는 제1 버팀부재(150)와 동일한 크기의 제2 버팀부재(150a)가 위치된다. 이는 한 쌍의 기둥 목재(200)을 지지부(20) 및 제1 버팀부재(150)와 체결한 이후에 기둥 목재(200)이 가운데로 기울어지는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지지부(20), 제1 버팀부재(150), 한 쌍의 기둥 목재(200)을 체결하는 제2 고정부재(250)는 도 3a와 같이 하나의 볼트(251) 및 두 개의 너트(252)로 구성되어 기둥 목재(200)을 체결할 수 있고, 도 3b와 같이 두 개의 볼트(253)가 한 쌍의 기둥 목재(200)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 목재(200) 외부로 제2 고정부재(25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기둥 목재(200)과 제1 버팀부재(150)를 목재 체결 기구(100)에 체결하면 체결된 두께가 받침부(10)의 도면부호 a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목재 체결 기구(100)의 양 측면에 한 쌍의 기둥 목재(200)을 체결함으로써, 목재 체결 기구(100)가 기둥 목재(200)에 숨겨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목재 체결 기구(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목재 체결 기구(100)가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부식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목재 체결 기구(100)의 부식 및 변형으로 인한 심미감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외부노출로 인해 어린아이들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체결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체결 기구(100)는 받침부(10), 제1 고정홀(15), 지지부(20) 및 제2 고정홀(25)을 포함한다.
이때, 받침부(10) 및 제1 고정홀(15)은 도 1 내지 도 3b에서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부(20)는 받침부(25)의 정 가운데에 받침부(10)와 수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20)에는 복수개의 제2 고정홀(25)이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3b와는 다르게 제1 버팀부재(150) 및 제2 버팀부재(150a) 없이 한 쌍의 기둥 목재(200)가 지지부(20)의 외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한 쌍의 기둥 목재(200)가 지지부(20)를 기준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될 때, 지지부(20)로 인한 기둥 목재(200) 사이의 간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기둥 목재(200)의 측면 즉, 지지부(20)에 맞닿게 되는 측면에 지지부(20)와 동일한 형상의 삽입홈(2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둥 목재(200)는 지지부(20)와의 체결을 위해 제4 고정홀(210)을 갖는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목재 체결 기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목재 체결 기구 10: 받침부
15: 제1 고정홀 20: 지지부
25: 제2 고정홀 150: 제1 버팀부재
150a: 제2 버팀부재 160: 제3 고정홀
170, 220: 삽입홈 200: 기둥 목재
210: 제4 고정홀 250: 제2 고정부재
251, 253: 볼트 252: 너트

Claims (3)

  1.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수직으로 상기 받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고정홀을 갖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에 수직으로 상기 받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2 고정홀을 갖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는 버팀 목재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상기 제2 지지부의 반대쪽에 부착되는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상기 제1 지지부의 반대쪽에 부착되는 제2 기둥 목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둥 목재는 상기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제1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기둥 목재는 상기 제2 기둥 목재와 상기 제2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버팀 목재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기둥 목재와 상기 버팀 목재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 목재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둥.
  3.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수직으로 상기 받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홀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 기둥 목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 목재는 상기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기둥 목재는 상기 제2 기둥 목재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기둥 목재와 상기 제2 기둥 목재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둥.
KR2020120004371U 2012-05-24 2012-05-24 건축용 기둥 KR200472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371U KR200472605Y1 (ko) 2012-05-24 2012-05-24 건축용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371U KR200472605Y1 (ko) 2012-05-24 2012-05-24 건축용 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42U KR20130006942U (ko) 2013-12-04
KR200472605Y1 true KR200472605Y1 (ko) 2014-05-14

Family

ID=5148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371U KR200472605Y1 (ko) 2012-05-24 2012-05-24 건축용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07B1 (ko) * 2014-01-06 2015-04-07 (주)하랑그룹 목재 펜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182Y1 (ko) 2004-07-08 2004-10-19 김완수 U앵커
KR20100018378A (ko) * 2008-08-06 2010-02-17 권기병 건축용 지주의 지지부재
KR200448363Y1 (ko) 2009-08-31 2010-04-07 박대희 골조용 마감부재
KR101083119B1 (ko) 2011-03-25 2011-11-16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목재 데크 구조물 및 그 친환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182Y1 (ko) 2004-07-08 2004-10-19 김완수 U앵커
KR20100018378A (ko) * 2008-08-06 2010-02-17 권기병 건축용 지주의 지지부재
KR200448363Y1 (ko) 2009-08-31 2010-04-07 박대희 골조용 마감부재
KR101083119B1 (ko) 2011-03-25 2011-11-16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목재 데크 구조물 및 그 친환경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42U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499B1 (ko) 고층목조건물용 목재 결합조립체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101681079B1 (ko)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KR102168881B1 (ko)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JP2010059765A (ja) 土台と柱の締結構造
KR101054956B1 (ko) 조립형 방음패널
KR200472605Y1 (ko) 건축용 기둥
KR100689978B1 (ko) 건축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KR20130010529A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JP4592497B2 (ja) 支柱の基礎構造
KR100868932B1 (ko) 목재 기둥 설치구조
KR102071825B1 (ko) 코어형 pc 계단실 골조의 시공방법
KR20140093418A (ko) 토목건축용 조립식 친환경 목재
JP5399361B2 (ja) 間仕切り壁の取付け構造
KR100595811B1 (ko) 건축물 옥상 벽체 보강구조
JP2007303214A (ja) 木製壁
JP3149343U (ja) 木造建築用、筋交受け金具付き柱脚金物の付属するコンクリート製ブロック化土台。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JP6004892B2 (ja) 手摺構造および支柱補強部材
JP2010037782A (ja) 既存住宅に耐震性を付与する装置
KR20090007333U (ko) 난간 지지장치
JP2008208609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耐力壁の補強構造、及び鉄骨部材
US11732481B2 (en) Cantilever stair assembly
KR101115015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리모델링 프리캐스트 패널 연결구조
JP2008184886A (ja) 木造住宅のコンクリート基礎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