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932B1 - 목재 기둥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목재 기둥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932B1
KR100868932B1 KR1020070063406A KR20070063406A KR100868932B1 KR 100868932 B1 KR100868932 B1 KR 100868932B1 KR 1020070063406 A KR1020070063406 A KR 1020070063406A KR 20070063406 A KR20070063406 A KR 20070063406A KR 100868932 B1 KR100868932 B1 KR 10086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wooden
insertion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규
Original Assignee
윤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규 filed Critical 윤병규
Priority to KR102007006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E04H12/2223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상부에 콘크리트 기초를 타설하지 않더라도 목재 기둥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목재 기둥 하단의 부식 발생이 최소화됨으로써 목재 기둥을 이용하는 시설물의 수명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기둥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는,
저면 중앙에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원형 삽입구(11)가 형성된 목재 기둥(10)과, 상단부 외주면에 연속되는 톱니형태의 요철(21)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나선(22)이 형성되며 상면의 폭 중간에 상면으로부터 중간 높이에 이르기까지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트임(23)이 형성된 연결체(20)와, 상면 중앙에 연결체(20) 하단 직경에 상응하는 결합구(31)가 형성되고 결합구(31) 일측에 결합구(31)와 대응되는 방향이되 하부로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는 고정못삽입구(32)가 형성된 고정체(30)와, 바닥판(41)의 폭 중간에 바닥판(41)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편(42)이 형성된 지지프레임(40)과, 상기 고정체(30)의 고정못삽입구(32)상에 결합되는 별도 고정못(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재 기둥(10)과 연결체(20)는 목재 기둥(10) 측면 외부로부터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고, 연결체(20)와 고정체(30)는 연결체(20) 하단의 나선(22)이 고정체(30) 결합구(31)의 내주면 나선(31a)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이 며, 고정체(30)와 지지프레임(40)은 지지프레임(40)의 결합편(42) 외부로부터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목재 기둥, 삽입구, 볼트체결공, 볼트관통공, 연결체, 요철, 나선, 트임, 결합구, 고정못삽입구, 단턱, 볼트결합공, 고정체, 바닥판, 결합편, 볼트삽입공, 지지프레임

Description

목재 기둥 설치구조{institution structure of timber colum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의 설치구조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에서 연결체 트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에서 연결체 나선을 통한 높이조절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재 기둥 11 : 삽입구
12 : 볼트체결공 12a : 단턱
13 : 볼트관통공 20 : 연결체
21 : 요철 22 : 나선
23 : 트임 24 : 볼트체결공
25 : 볼트관통공 30 : 고정체
31 : 결합구 31a : 나선
32 : 고정못삽입구 33 : 단턱
34 : 볼트결합공 40 : 지지프레임
41 : 바닥판 42 : 결합편
43 : 볼트삽입공 50 : 고정못
a : 볼트 b : 너트
본 발명은 목재 기둥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면 상부에 콘크리트 기초를 타설하지 않더라도 목재 기둥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목재 기둥 하단의 부식 발생이 최소화됨으로써 목재 기둥을 이용하는 시설물의 수명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기둥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원, 놀이터, 아파트 단지 내에서는 지역주민 특히,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이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은 철골 구조물 또는 목재 구조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최근에는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위해 대다수의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이 목재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있는바, 시설물의 설치에 있어 목재 기둥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시설물 설치에 목재 기둥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에는 목재 기둥 하단을 지면 상부에 마련되는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하거나 직접 지중에 매립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목재 기둥 하단 자체를 콘크리트 기초 또는 지중에 매립하여 고정하는 경우 목재 하단부가 습기에 의해 쉽게 부식되었으므로 시설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고, 시설물 자체의 수명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하는 경우 콘크리트 기초 타설을 위한 작업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의 목재 시설물에 사용되는 목재 기둥의 고정은 그 하단에 별도 고정구를 결합하고 고정구를 콘크리트 기초 또는 지중에 매립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고정구를 이용한 목재 기둥 고정 방식은 목재 기둥 하단 자체를 콘크리트 기초 또는 지중에 매립하는 방식에 비해 습기에 의한 목재 기둥의 부식이 일부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었으나 고정구와 목재 기둥 결합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아니어서 습기에 의한 부식 감소 효과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고정구를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하는 경우 여전히 콘크리트 기초 타설을 위한 작업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정구를 이용한 목재 기둥 고정 방식은 그 설치구조가 복잡한 것이어서 목재 기둥 고정 작업 자체가 번거로우므로 그 작업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면 상부에 콘크리트 기초를 타설하지 않더라도 목재 기둥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목재 기둥 하단에 습기가 차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목재 기둥 하단의 부식 발생이 최소화되어 목재 기둥을 이용하는 시설물의 수명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기둥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는,
저면 중앙에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원형 삽입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삽입구 상단부에 삽입구 좌,우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 하단부에 삽입구 좌,우로 관통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목재 기둥과;
상단이 상기 목재 기둥에 형성된 삽입구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부 외주면에 연속되는 톱니형태의 요철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며, 상면의 폭 중간에 상단으로부터 중간 높이에 이르기까지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트임이 형성되고, 트임 중간 높이에 트임을 좌,우로 관통하되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며, 트임 하측에 좌,우로 관통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중앙에 연결체 하단 직경에 상응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결합구 어느 일측에 결합구와 대응되는 방향이되 하부로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는 고정못삽입구가 형성되며, 전,후,좌,우 각 면의 중간 높이 에 단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단턱 하부에 한 쌍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전,후,좌,우 어느 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판 상면의 폭 중간에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 좌,우 양단에 고정체의 볼트결합공과 상응하는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체의 고정못삽입구상에 결합되는 고정못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의 설치구조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에서 연결체 트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에서 연결체 나선을 통한 높이조절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는 목재 기둥(10)과, 연결체(20)와, 고정체(30)와, 지지프레임(40)과, 고정못(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목재 기둥(10)은 저면 중앙에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원형 삽입구(11)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삽입구(11) 상단부에 삽입구(11) 좌,우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12)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삽입구(11) 하단부에 삽입 구(11) 좌,우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볼트관통공(13)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목재 기둥(10)의 볼트체결공(12)과 볼트관통공(13) 입구에는 볼트머리 및 너트의 삽입 정도를 구속하는 단턱(12a, 1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체(20)는 일체형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단부 외주면에 상,하로 연속되는 톱니형태의 요철(21)이 형성된 것이고, 하단부 외주면에 나선(22)이 형성된 것이며, 상면의 폭 중간부에 상단으로부터 중간 높이에 이르기까지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트임(23)이 형성된 것이고, 트임(23) 중간 높이에 트임(23) 좌,우를 관통하는 볼트체결공(24)이 형성된 것이며, 트임(23) 하단으로부터 아래에 좌,우로 이어지는 볼트관통공(25)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체(20)에서 볼트체결공(24)은 내주면에 나선(24a)이 형성되는 것이고, 연결체(20)의 볼트체결공(24)과 볼트관통공(25)은 목재 기둥(1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12)과 볼트관통공(13) 사이의 높이 차등과 동일한 높이 차등을 갖는 것이다.
한편, 연결체(20)의 직경은 목재 기둥(10)의 삽입구(11) 직경에 상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연결체(20)가 목재 기둥(10)의 삽입구(11) 내측에 끼워질 수 있게 되므로 연결체(20)와 목재 기둥(1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체(30)는 일체형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면 중앙에 내주면에 나선(31a)이 형성된 결합구(31)가 마련된 것이고, 결합구(31) 일측에 결합구(31)와 대응되는 방향 하부로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는 고정못삽입구(32)가 형성된 것이며, 전,후,좌,우 각 면의 중간 높이에 단턱(33)이 형성됨과 아울러 단턱(33) 하부에 일 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볼트결합공(34)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고정체(30) 결합구(31)의 직경은 연결체(20) 나선(22)부의 직경에 상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연결체(20) 하단의 나선(22)이 결합구(31) 내주면의 나선(31a)과 물려 연결체(20)와 고정체(3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고정체(30)의 고정못삽입구(32)는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는 것이되 하방향으로 45°경사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바닥판(41) 상면의 폭 중간에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편(42)이 형성된 것이고, 결합편(42) 좌,우 양단부 각각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볼트삽입공(43)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한 쌍의 볼트삽입공(43) 사이의 간격은 고정체(30)의 전,후,좌,우 각 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볼트결합공(34)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 고정못(5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선단이 날카로운 각을 이루는 것이며, 선단이 하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고정체(30)의 고정못삽입구(32)를 통과하여 지면에 박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에 따른 목재 기둥의 설치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프레임(40)의 각 모서리부에 고정체(30)를 설치한다.
고정체(30)의 전,후,좌,우 각 면에는 단턱(33)이 형성되어 있는바, 단턱(33) 하단에 지지프레임(40)의 결합편(42) 상단이 밀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편(42)에 형성된 각 볼트삽입공(43)으로 볼트를 끼워넣어 고정체(30)에 형성된 볼트결합공(34)에 체결함으로써 지지프레임(40)상에 고정체(3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고정체(30)는 고정못삽입구(32) 하단이 지지프레임(40)의 내부 중심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하단이 지지프레임(40)의 중심을 향하는 각 고정못삽입구(32)상에 고정못(50)을 끼워넣어 지면에 박음으로써 지지프레임(40)이 지면에 고정된다.
고정체(30)가 결합된 지지프레임(40)을 지면에 고정함에 앞서 지면은 당연히 평탄작업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체(30)가 결합된 지지프레임(40)을 지면에 고정한 후에는 고정체(30) 상단과 동일 높이로 흙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평탄작업을 거친 지면상에 고정되는 고정체(30)가 결합된 지지프레임(40)은 고정못(50)에 의해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고, 고정체(30) 상단에 이르기 까지에 흙이 덮이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목재기둥 설치구조는 콘크리트 기초를 타설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지지프레임(40)에 고정체(30)가 설치되고, 고정못(50)에 의해 지지프레임(40)이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체(30)에 연결체(20)가 결합된다.
연결체(20) 하단에는 나선(22)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체(30)에는 연결체(20) 하단의 직경과 상응하되 내주면에 나선(31a)이 형성된 결합구(31)가 마련되어 있는바, 고정체(30) 결합구(31)에 연결체(20) 하단이 나선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 체(30)와 연결체(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여기서, 연결체(20)는 고정체(30)와 나선 결합된 것이므로 연결체(20) 하단이 결합구(31)에 삽입되는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제한된 범위 이내에서 연결체(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20)를 회전시켜 연결체(20) 하단이 결합구(31) 상단으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연결체(20)의 설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20)를 회전시켜 연결체(20) 하단이 결합구(31) 상단에 가까워지게 함으로써 연결체(20)의 설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체(20)의 나선(22)에는 별도 너트(26)가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연결체(20)의 나선(22)에 별도 너트(26)가 결합됨으로써 너트(26)를 통해 연결체(20)의 삽입 정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되며, 연결체(20)의 나선(22)이 고정체(30)의 결합구(31)상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고정체(30)에 연결체(20)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연결체(20)와 목재 기둥(10)이 결합된다.
연결체(20) 직경은 목재 기둥(10)의 삽입구(11) 직경에 상응하는 것인 바, 연결체(20)를 삽입구(11)에 끼워 넣은 후 목재 기둥(10) 하단 양측에 마련된 볼트체결공(12)과 볼트관통공(13)으로 볼트를 끼워 넣음으로써 연결체(20)와 목재 기둥(1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목재 기둥(10)의 볼트체결공(12)에 끼워지는 볼트 선단은 연결체(20) 의 볼트체결공(24)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24a)에 물려 연결체(20)에 결합되며, 목재 기둥(10)의 볼트관통공(13)에 끼워지는 볼트 선단은 연결체(20)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5)을 거쳐 대향 방향 목재 기둥(10)의 볼트관통공(13)에 끼워지는 너트와 결합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목재 기둥(10)의 볼트체결공(12)으로 끼워져 연결체(20)의 볼트체결공(24)과 결합하는 볼트는 결합 과정에서 연결체(20) 상단을 좌,우로 벌리게 된다.
연결체(20)의 볼트체결공(24)에 볼트가 결합될 때 볼트 선단은 연결체(20)의 볼트체결공(24) 나선(24a)에 물리게 되는 것이어서 볼트 체결 과정에서 볼트 머리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미치게 되는데, 연결체(20) 상단부에는 트임(23)이 형성되어 있는바, 트임(23)을 기준으로 연결체(20) 상단은 좌,우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목재 기둥(10)의 볼트체결공(12)에 끼워지는 볼트에 의해 연결체(20) 상단이 좌,우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도 4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20)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21)은 목재 기둥(10)의 삽입구(11) 내면에 밀착하게 되므로 연결체(20)와 목재 기둥(10)이 결합될 때 그 결합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체(20) 상단이 좌,우로 벌어지게 되는 경우 삽입구(11)를 기준으로 목재 기둥(10) 또한 좌,우로 벌어지게 되는데, 목재 기둥(10)의 볼트관통공(13)으로 끼워지는 볼트는 선단이 연결체(20)의 볼트관통공(25)을 거친 후 대향 방향 목재 기둥(10)의 볼트관통공(13)에 끼워지는 너트에 체결되는바, 목재 기둥(10) 하 단이 좌,우로 벌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기둥 설치구조는 고정체가 지지플임에 설치되어 고정못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것인 바, 지면 상부에 콘크리트 기초를 타설하지 않더라도 목재 기둥의 설치가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이고, 연결체 상단이 목재 기둥 내측에 형성된 삽입구에 결합됨으로써 목재 기둥 하단 외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목재 기둥 하단의 부식 발생이 최소화되어 목재 기둥을 이용하는 시설물의 수명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저면 중앙에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원형 삽입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삽입구 상단부에 삽입구 좌,우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 하단부에 삽입구 좌,우로 관통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목재 기둥과;
    상단이 상기 목재 기둥에 형성된 삽입구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부 외주면에 연속되는 톱니형태의 요철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며, 상면의 폭 중간에 상단으로부터 중간 높이에 이르기까지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트임이 형성되고, 트임 중간 높이에 트임을 좌,우로 관통하되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며, 트임 하측에 좌,우로 관통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중앙에 연결체 하단 직경에 상응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결합구 일측에 결합구와 대응되는 방향이되 하부로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는 고정못삽입구가 형성되며, 전,후,좌,우 각 면의 중간 높이에 단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단턱 하부에 한 쌍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전,후,좌,우 어느 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판 상면의 폭 중간에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 좌,우 양단에 고정체의 볼트결합공과 상응하는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체의 고정못삽입구상에 결합되는 고정못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목재 기둥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기둥의 볼트체결공과 볼트관통공 입구에는 볼트머리 또는 너트의 삽입을 제한하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의 볼트체결공과 볼트관통공은 목재 기둥에 형성된 볼트체결공과 볼트관통공 사이의 높이 차등과 동일한 높이 차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고정못삽입구는 하방향으로 45°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 설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볼트삽입공 사이의 간격은 고정체의 전,후,좌,우 각 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볼트결합공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 설치구조.
KR1020070063406A 2007-06-27 2007-06-27 목재 기둥 설치구조 KR10086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406A KR100868932B1 (ko) 2007-06-27 2007-06-27 목재 기둥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406A KR100868932B1 (ko) 2007-06-27 2007-06-27 목재 기둥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932B1 true KR100868932B1 (ko) 2008-11-17

Family

ID=4028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406A KR100868932B1 (ko) 2007-06-27 2007-06-27 목재 기둥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9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06B1 (ko) * 2009-08-19 2010-02-02 주식회사 보운 데크 설치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설치방법
CN101829419B (zh) * 2009-08-07 2012-08-01 江苏金陵体育器材股份有限公司 用在健身器材上的立柱
KR101517418B1 (ko) * 2014-11-12 2015-05-04 (주)원앤티에스 시설물 기초 구조
KR102679931B1 (ko) * 2023-07-17 2024-07-01 이지팀버지앤씨 주식회사 원목기둥의 결합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223Y1 (ko) 2003-04-25 2003-08-06 정양기 조합시설물용 목재기둥의 고정구조
JP2006169912A (ja) 2004-12-20 2006-06-29 Hitachi Housetec Co Ltd 柱フレーム台座及び浴室ユニット
KR200437673Y1 (ko) 2007-03-22 2007-12-17 서삼덕 이동식 정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223Y1 (ko) 2003-04-25 2003-08-06 정양기 조합시설물용 목재기둥의 고정구조
JP2006169912A (ja) 2004-12-20 2006-06-29 Hitachi Housetec Co Ltd 柱フレーム台座及び浴室ユニット
KR200437673Y1 (ko) 2007-03-22 2007-12-17 서삼덕 이동식 정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9419B (zh) * 2009-08-07 2012-08-01 江苏金陵体育器材股份有限公司 用在健身器材上的立柱
KR100940106B1 (ko) * 2009-08-19 2010-02-02 주식회사 보운 데크 설치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설치방법
KR101517418B1 (ko) * 2014-11-12 2015-05-04 (주)원앤티에스 시설물 기초 구조
KR102679931B1 (ko) * 2023-07-17 2024-07-01 이지팀버지앤씨 주식회사 원목기둥의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479B1 (en) Method for anchoring a hollow fence post
US9909337B1 (en) Fencing system
KR101973330B1 (ko)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0868932B1 (ko) 목재 기둥 설치구조
KR101079406B1 (ko)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KR101754932B1 (ko) 주춧돌 위의 목재기둥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와 그에 따른 정자 및 퍼걸러
KR102273524B1 (ko) 우드펜스
KR101323380B1 (ko) 매립형 고정 브라켓
KR20070090736A (ko) 커튼월 고정장치
KR101310006B1 (ko) 펜스용 브라켓 및 상기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KR101439789B1 (ko) 기둥 설치장치
KR200400470Y1 (ko) 휀스 프레임 결합구조
KR20041411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설치구조
KR100840624B1 (ko) 휀스용 포스트
JP5520191B2 (ja) 音鳴り防止支柱
KR200322223Y1 (ko) 조합시설물용 목재기둥의 고정구조
KR101881515B1 (ko) 경사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
KR20230072613A (ko) 직립성이 향상된 목재기둥
KR102451668B1 (ko) 난간 구조체
KR200415619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JP2000204676A (ja) 柱脚金物及び柱脚と基礎との接合構造
KR102172877B1 (ko) 난간 및 울타리용 지주
JPH10159395A (ja) 転落防止柵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KR200472605Y1 (ko) 건축용 기둥
KR101269984B1 (ko) 시공 호환성을 향상시킨 합성목재 난간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