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245B1 -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 Google Patents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245B1
KR101742245B1 KR1020160003910A KR20160003910A KR101742245B1 KR 101742245 B1 KR101742245 B1 KR 101742245B1 KR 1020160003910 A KR1020160003910 A KR 1020160003910A KR 20160003910 A KR20160003910 A KR 20160003910A KR 101742245 B1 KR101742245 B1 KR 10174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ent
bending
parallel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배
Original Assignee
(주) 나무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무들 filed Critical (주) 나무들
Priority to KR102016000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4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 멍에(10)에 고정되는 난간기둥고정장치(400)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는 외측관삽입홀(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관삽입홀(5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서로 평행하게 평행돌출부(512)가 양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행돌출부(512)의 선단에 평행돌출부(512)와 직교한 방향 외측으로 제1절곡부(513)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의 선단에 상기 평행돌출부(5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2절곡부(514)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2절곡부(514) 사이에 제1삽입홈(5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와 평행돌출부(512)가 만나는 모서리에 상기 제1절곡부(513)와 반대 방향으로 제3절곡부(516)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3절곡부(516) 사이에 제2삽입홈(517)이 형성되되, 제2삽입홈(517)은 장선(2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면에 형성되는 기둥프레임(510)과;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 절곡부끼움홈(521)이 형성되어 있어 절곡부끼움홈(521)이 상기 제2절곡부(514)에 끼워진 채 일측은 상기 제1삽입홈(5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연결되는 일측수직마감목재(520)와; 상기 제2삽입홈(517)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양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절곡부(516) 사이 거리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제2삽입홈(5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2삽입홈(517)에 다수 개로 나뉘어져 상하로 서로 이격된 채 삽입되는 타측수직마감목재(530)와;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일측수직마감목재(520) 및 타측수직마감목재(5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내측으로 상기 기둥프레임(510), 일측수직마감목재(520),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상단을 수용하면서 끼움 결합되는 상부마감캡(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난간기둥고정치와 고정되는 금속재의 기둥프레임의 외곽에 목재 재질의 마감재가 결합되도록 하되, 기둥프레임에는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마감재는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특히, 난간보가 연결되는 면에는 목재에 홈 가공이 없는 상태로 끼움 결합되고, 다수가 분할되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난간보의 연결 위치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난간보 시공이 용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Guardrail column for deck road system}
본 발명은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에 관한 것으로, 난간보가 볼팅 등의 방법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의 난간보의 설치가 용이하고 난간보의 보수가 용이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는 등산로나 공원 내에 위치한 산책로 또는 호수 주변을 따라 형성한 보도, 전원주택이나 팬션 등의 테라스 등에 많이 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산로에 목재로 되어 있는 장방형의 데크로드를 계단식으로 깔고, 데크로드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난간을 설치하여, 등산객들이 안전하게 등산 및 하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데크로드는 다수 개의 데크가 H빔 위에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데크재의 양측면에는 난간기둥 및 난간보가 설치되어 보행자가 데크로드를 안전하게 지나다닐 수 있다.
난간기둥은 난간보들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난간보를 잡고 기대거나 할 때 부러지지 않아야 되며, 난간보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취해야 한다.
이러한 데크로드용 난간기둥과 관련된 기술로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고정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0716호, 특허문헌 1)에는 난간기둥을 내부가 빈 강재로 형성하고, 난간기둥 상부에 홀 가공을 한 상태에서 난간보를 가공된 홀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방식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방식은 강재로 된 금속 기둥을 난간기둥으로 활용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시켰다.
그러나, 강재로 된 난간기둥은 그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데크로드 설치 위치가 차량 통행이 어려운 지역의 경우 무거운 무게로 인해 운반이 어려워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데크로드는 목재로 구성되어 보행자로 하여금 목재 소재로 이루어진 느낌을 통해 시각적 거부감을 줄이는 것 역시 중요한 바이나, 특허문헌 1은 이러한 요구 조건 역시 만족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시스템화된 유격 방지형 목재 데크 구조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7580호, 특허문헌 2)에서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난간기둥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서 난간기둥은 감싸는 클램프형 고정 장치에 의해 멍에에 고정되는 한편, 난간보의 연결을 위해 양측에 홈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목재를 소재로 한 특허문헌 2의 경우 난간보 연결을 위해 타공된 홈 부분에 수분이 침투하거나, 그 자체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강도가 저하되어 난간보가 연결된 지점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특허문헌 1과 2의 경우 난간보의 연결 위치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난간보 디자인을 제공하기 어렵고, 유지 보수를 위한 교체 작업 역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450716 KR 10-1137580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난간기둥고정치와 고정되는 금속재의 기둥프레임의 외곽에 목재 재질의 마감재가 결합되도록 하되, 기둥프레임에는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마감재는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특히, 난간보가 연결되는 면에는 목재에 홈 가공이 없는 상태로 끼움 결합되고, 다수가 분할되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난간보의 연결 위치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난간보 시공이 용이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멍에와의 연결 방식에 있어 금속재의 기둥프레임과 끼움결합되는 난간기둥고정장치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마감을 이루는 목재들에 볼트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마감 목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마감 목재의 변형과 관계없이 기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난간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난간기둥고정장치와의 연결은 수직 이동과 나선 결합 방식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 이동과 나선 결합은 상부와 하부에서 이중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볼트 가공 없이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고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기둥 프레임과 마감 목재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 빗물이 원할히 배수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게 함으로써 마감 목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 멍에(10)에 고정되는 난간기둥고정장치(400)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는 외측관삽입홀(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관삽입홀(5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서로 평행하게 평행돌출부(512)가 양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행돌출부(512)의 선단에 평행돌출부(512)와 직교한 방향 외측으로 제1절곡부(513)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의 선단에 상기 평행돌출부(5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2절곡부(514)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2절곡부(514) 사이에 제1삽입홈(5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와 평행돌출부(512)가 만나는 모서리에 상기 제1절곡부(513)와 반대 방향으로 제3절곡부(516)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3절곡부(516) 사이에 제2삽입홈(517)이 형성되되, 제2삽입홈(517)은 기둥프레임(51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고, 장선(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기둥프레임(510)과;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 절곡부끼움홈(521)이 형성되어 있어 절곡부끼움홈(521)이 상기 제2절곡부(514)에 끼워진 채 일측은 상기 제1삽입홈(5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연결되는 일측수직마감목재(520)와; 상기 제2삽입홈(517)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양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절곡부(516) 사이 거리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제2삽입홈(5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2삽입홈(517)에 다수 개로 나뉘어져 상하로 서로 이격된 채 삽입되는 타측수직마감목재(530)와;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일측수직마감목재(520) 및 타측수직마감목재(5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내측으로 상기 기둥프레임(510), 일측수직마감목재(520),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상단을 수용하면서 끼움 결합되는 상부마감캡(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고정장치(400)는, 하부에 멍에수용홈(411)이 형성되어 있어 멍에(10) 상부가 삽입된 채 고정되는 멍에연결부재(410)와;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있되, 상부 외주면에는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하향되게 절개된 수직절개부(4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연결된 채 하방으로 나선형으로 절개된 나선절개부(4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내측관나사산(423)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관체(420)와; 내부가 상기 내측관체(420)의 외측으로 끼워져 회전 결합되고, 외부는 상기 외측관삽입홀(511) 하부에 끼움 결합되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 내주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끼움부재(4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431)는 하향 이동 및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수직절개부(421) 및 나선절개부(422)에 끼워져 이동 및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내측관나사산(423)과 나사결합되는 외측관나사산(432)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체(4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해, 난간기둥고정치와 고정되는 금속재의 기둥프레임의 외곽에 목재 재질의 마감재가 결합되도록 하되, 기둥프레임에는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마감재는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특히, 난간보가 연결되는 면에는 목재에 홈 가공이 없는 상태로 끼움 결합되고, 다수가 분할되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난간보의 연결 위치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난간보 시공이 용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멍에와의 연결 방식에 있어 금속재의 기둥프레임과 끼움결합되는 난간기둥고정장치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마감을 이루는 목재들에 볼트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마감 목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마감 목재의 변형과 관계없이 기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난간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난간기둥고정장치와의 연결은 수직 이동과 나선 결합 방식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 이동과 나선 결합은 상부와 하부에서 이중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볼트 가공 없이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고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기둥 프레임과 마감 목재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 빗물이 원할히 배수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게 함으로써 마감 목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이 설치된 데크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데크 구조물의 부분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이 멍에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난간기둥의 설치 예를 나타낸 정면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기둥이 설치된 바람직한 데크 구조물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의 데크 구조물은 기초구조물(100), 멍에고정장치(200), 멍에(10), 장선(20), 장선고정클립(300), 난간기둥고정장치(400), 본 발명의 난간 기둥(500), 난간보(600), 데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초구조물(10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연결판(111)이 설치되어 있는 강관 말뚝(110), 관 형상을 취하여 상기 말뚝(110)의 중간 또는 하부를 감싼 채 볼트(123) 또는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말뚝(110)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12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돌출부(121)의 선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향절곡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말뚝보강부재(120),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말뚝보강부재(120)를 감싼 채 지중에 삽입되는 기초블록(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멍에고정장치(20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210)와 멍에수용부재(220)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부재(21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는 판상을 이루고, 그 상부에 구 형상의 회전축부가 구비되며, 하부는 강관 말뚝(110)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멍에수용부재(220)는 두 개의 멍에수용부(226)가 서로 맞대어 볼트 고정됨으로써 상측으로는 멍에(10)가 수용되어 고정되고, 하부측벽부에는 회전축부에 대응되는 축삽입홈이 형성되어 회전축부를 기준으로 수직,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멍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 형태, H 형강 등 다양한 구조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크로드의 길이 방향 멍에(10)들의 사이에 직교한 방향으로 보조 멍에가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강재로 이루어진 장선(20)은 상기 멍에(10) 상부에 데크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장선(20) 역시 각관이나 H형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선고정클립(3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 장선수용홈(310)이 형성되어 있어 장선수용홈(310)에 상기 장선(20) 상부가 끼워지고, 양 측벽면(320) 하단에 날개부(33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날개부(330)는 멍에(10) 상면에 맞대어진 채 볼트 결합되어 상기 장선(20)을 멍에(10)에 고정시켜주게 된다.
더불어, 난간기둥고정장치(400) 및 본 발명의 난간 기둥(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간기둥고정장치(400)는 멍에연결부재(410), 내측관체(420) 및 외측관체(430)로 구성되어 있다.
멍에연결부재(410)는 하부에 멍에수용홈(411)이 형성되어 있어 멍에(10) 상부가 삽입된 채 고정되며, 내측관체(420)는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있되, 상부 외주면에는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하향되게 절개된 수직절개부(4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연결된 채 하방으로 나선형으로 절개된 나선절개부(4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내측관나사산(423)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외측관체(430)는 내부가 상기 내측관체(420)의 외측으로 끼워져 회전 결합되고, 외부는 난간기둥(500) 하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 내주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끼움부재(4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431)는 하향 이동 및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수직절개부(421) 및 나선절개부(422)에 끼워져 이동 및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내측관나사산(423)과 나사결합되는 외측관나사산(43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난간 기둥은 난간 기둥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기둥프레임(510), 일측수직마감목재(520), 타측수직마감목재(530) 및 상부마감캡(5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데크(30)는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된 데크고정클립(700)에 의해 상기 장선(20)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기둥프레임(510)은 강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상기 외측관체(430)가 끼움 결합되는 외측관삽입홀(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관삽입홀(5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서로 평행하게 평행돌출부(512)가 양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평행돌출부(512)의 선단에 평행돌출부(512)와 직교한 방향 외측으로 제1절곡부(513)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의 선단에 상기 평행돌출부(5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2절곡부(514)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2절곡부(514) 사이에 제1삽입홈(515)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절곡부(513)와 평행돌출부(512)가 만나는 모서리에 상기 제1절곡부(513)와 반대 방향으로 제3절곡부(516)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3절곡부(516) 사이에 제2삽입홈(517)이 형성되되, 제2삽입홈(517)은 기둥프레임(51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고, 장선(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기둥프레임(510)의 외측관삽입홀(511) 외곽에 볼트체결홀(51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측수직마감목재(520)는 열처리목, 합성목재, 일반 목재와 같은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 절곡부끼움홈(521)이 형성되어 있어 절곡부끼움홈(521)이 상기 제2절곡부(514)에 끼워진 채 일측은 상기 제1삽입홈(5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연결된다.
타측수직마감목재(530)는 상기 제2삽입홈(517)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양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절곡부(516) 사이 거리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제2삽입홈(5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2삽입홈(517)에 다수 개로 나뉘어져 상하로 서로 이격된 채 삽입된다.
상부마감캡(540)은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일측수직마감목재(520) 및 타측수직마감목재(5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내측으로 상기 기둥프레임(510), 일측수직마감목재(520),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상단을 수용하면서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난간 기둥은 기둥프레임(510)의 외측관삽입홀(511)에 외측관체(430)를 끼운 상태에서 이 상태에서 데크로드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절곡부(514)에 일측수직마감목재(520)의 절곡부끼움홈(521)를 끼워지도록 위에서 아래로 끼워 설치하고, 타측수직마감목재(530)를 제2삽입홈(517)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 설치한다.
이때, 타측수직마감목재(530)는 난간보(600)가 설치되는 면에 대응되는데, 각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사이마다 난간보(600)를 끼워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부마감캡(540)을 상부에 설치하게 되면, 특별한 볼트 고정 구조 없이도 난간보(600)의 설치가 가능해지게 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으로 슬라이딩 끼움 결합하는 구조로 인해 다양한 형상의 난간보(600)를 임의의 디자인으로 구비하여 설치하고, 손쉽게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난간보(600)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보수 교체가 용이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난간 기둥에 추가로 연결 설치되는 난간기둥고정장치(5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멍에연결부재(410)은 도 1의 우측 하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형의 잔넬 형상을 취하여 하부에 하부에 멍에수용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관 등으로 이루어진 멍에(10) 상부가 멍에수용홈(411)에 끼워지고 도시된 볼트구멍을 통해 미도시된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멍에(10)가 멍에연결부재(410)에 고정된다.
내측관체(420)는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부에 일체로 고정된 채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내측관체(420)는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부 외주면에는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하향되게 절개된 수직절개부(4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연결된 채 하방으로 나선형으로 절개된 나선절개부(4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나선절개부(422)는 내측관체(420) 중심으로부터 90°의 각도로 하향되게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내측관체(420)의 하부 외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관나사산(423)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관나사산(423) 역시 나선절개부(422)와 마찬가지로 내측관체(420) 중심으로부터 90°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진 각도 역시 내측관나사산(423)과 동일한 경사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측관체(430)는 도 1,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는 상기 내측관체(420)의 외측으로 끼워져 회전 결합되고, 외부는 난간 기둥 하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외측관체(430)에는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 내주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끼움부재(4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부재(431)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절개부(421)의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이 외측관체(430)를 내측관체(420) 외측으로 하향 이동하게 되면 끼움부재(431)가 수직절개부(421)에 끼워져 하향 이동하게 된다.
더불어, 외측관체(430)에는 하부 내주면에 상기 내측관나사산(423)과 나사결합되는 외측관나사산(4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절개부(421)를 타고 끼움부재(431)가 하향 이동하여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 방향에 따라 회전시키게 되면 끼움부재(431)가 나선절개부(422)를 타고 이동함과 동시에 외측관나사산(432)이 내측관나사산(423)에 나사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외측관나사산(432)의 위치는 내측관나사산(423)의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평면상에서 90°의 각도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외측관체(430)와 내측관체(420)이 일정 깊이까지는 서로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되, 서로 치합되는 내측관나사산(423)과 외측관나사산(432)에 의해 일정 깊이부터는 나사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끼움부재(431)는 수직이동시에는 수직절개부(421)를 타고 이동하고, 나선 결합시에는 나선절개부(422)를 타고 가이드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외측관체(430)를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끼움부재(431)가 나선절개부(422)에 끼워져 있어 상향 이동이 억제되어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한 구성에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관체(420) 내부에는 수직절개부(421) 및 나선절개부(422)에 끼워져 하향 이동하는 끼움부재(431)에 의해 가압되는 스프링(424)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424)는 외측관체(430)가 난간 기둥에 결합된 채 조립할 때, 수직절개부(421)를 따라 이동하는 끼움부재(431)가 조립 과정에서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충격을 가해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 과정에서 적정한 압박을 받으면서 조립이 이루어지고 내측관체(420)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해준다.
상술한 구성은 나선절개부(422)가 90°의 각도 범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난간보의 설치 위치에 맞게 지정된 회전 각도만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멍에 20 : 장선
30 : 데크 100 : 기초구조물
110 : 말뚝 111 : 연결판
200 : 멍에 고정 장치 210 : 회전축부재
220 : 멍에수용부재 226 : 멍에수용부
300 : 장선고정클립
310 : 장선수용홈 320 : 측벽면
330 : 날개부 400 : 난간기둥고정장치
410 : 멍에연결부재 411 : 멍에수용홈
420 : 내측관체 421 : 수직절개부
422 : 나선절개부 423 : 내측관나사산
424 : 스프링 430 : 외측관체
431 : 끼움부재 432 : 외측관나사산
433 : 고정볼트
500 : 난간기둥
510 : 기둥프레임 511 : 외측관삽입홀
512 : 평행돌출부 513 : 제1절곡부
514 : 제2절곡부 515 : 제1삽입홈
516 : 제3절곡부 517 : 제2삽입홈
518 : 볼트체결홀 520 : 일측수직마감목재
521 : 절곡부끼움홈 530 : 타측수직마감목재
540 : 상부마감캡 600 : 난간보
700 : 데크고정클립

Claims (5)

  1. 삭제
  2.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 멍에(10)에 고정되는 난간기둥고정장치(400)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는 외측관삽입홀(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관삽입홀(5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서로 평행하게 평행돌출부(512)가 양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행돌출부(512)의 선단에 평행돌출부(512)와 직교한 방향 외측으로 제1절곡부(513)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의 선단에 상기 평행돌출부(5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2절곡부(514)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2절곡부(514) 사이에 제1삽입홈(5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와 평행돌출부(512)가 만나는 모서리에 상기 제1절곡부(513)와 반대 방향으로 제3절곡부(516)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3절곡부(516) 사이에 제2삽입홈(517)이 형성되되, 제2삽입홈(517)은 기둥프레임(51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고, 장선(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이루도록 형성된 기둥프레임(510)과;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 절곡부끼움홈(521)이 형성되어 있어 절곡부끼움홈(521)이 상기 제2절곡부(514)에 끼워진 채 일측은 상기 제1삽입홈(5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연결되는 일측수직마감목재(520)와;
    상기 제2삽입홈(517)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양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절곡부(516) 사이 거리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제2삽입홈(5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2삽입홈(517)에 다수 개로 나뉘어져 상하로 서로 이격된 채 삽입되는 타측수직마감목재(530)와;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일측수직마감목재(520) 및 타측수직마감목재(5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내측으로 상기 기둥프레임(510), 일측수직마감목재(520),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상단을 수용하면서 끼움 결합되는 상부마감캡(5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난간기둥고정장치(400)는,
    하부에 멍에수용홈(411)이 형성되어 있어 멍에(10) 상부가 삽입된 채 고정되는 멍에연결부재(410)와;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있되, 상부 외주면에는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하향되게 절개된 수직절개부(4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연결된 채 하방으로 나선형으로 절개된 나선절개부(4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내측관나사산(423)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관체(420)와;
    내부가 상기 내측관체(420)의 외측으로 끼워져 회전 결합되고, 외부는 상기 외측관삽입홀(511) 하부에 끼움 결합되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 내주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끼움부재(4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431)는 하향 이동 및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수직절개부(421) 및 나선절개부(422)에 끼워져 이동 및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내측관나사산(423)과 나사결합되는 외측관나사산(432)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체(4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03910A 2016-01-12 2016-01-12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KR10174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910A KR101742245B1 (ko) 2016-01-12 2016-01-12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910A KR101742245B1 (ko) 2016-01-12 2016-01-12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245B1 true KR101742245B1 (ko) 2017-06-01

Family

ID=5922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910A KR101742245B1 (ko) 2016-01-12 2016-01-12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2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30B1 (ko) * 2018-08-20 2019-04-26 조광덕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31078B1 (ko) 2019-03-08 2019-10-11 이창수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KR102148932B1 (ko) 2020-04-03 2020-08-28 (주) 현대그린 구조강화지주
US11371258B2 (en) * 2016-08-05 2022-06-28 Sportaflex,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ortable fence
KR102417040B1 (ko) * 2022-02-14 2022-07-05 주식회사 아라우드 데크로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1258B2 (en) * 2016-08-05 2022-06-28 Sportaflex,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ortable fence
KR101973330B1 (ko) * 2018-08-20 2019-04-26 조광덕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31078B1 (ko) 2019-03-08 2019-10-11 이창수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KR102148932B1 (ko) 2020-04-03 2020-08-28 (주) 현대그린 구조강화지주
KR102417040B1 (ko) * 2022-02-14 2022-07-05 주식회사 아라우드 데크로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245B1 (ko)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KR101848014B1 (ko)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고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간 기둥 구조물
KR101716721B1 (ko)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93243B1 (ko) 블록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로드
KR101861048B1 (ko) 데크로드 조립식 난간
KR102122981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US20200032565A1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KR101940788B1 (ko) 데크로드용 멍에 고정 장치
KR101385630B1 (ko)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102049362B1 (ko) 난간 연결구조체
KR102156673B1 (ko) 목재 펜스용 하이브리드 브래킷
KR101870676B1 (ko) 조립형 울타리
KR101612078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경사 구조물용 지지 구조체
KR200397791Y1 (ko) 조립식 펜스
KR102451666B1 (ko)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KR101754121B1 (ko)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
KR101712376B1 (ko)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KR101631566B1 (ko)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031078B1 (ko) 데크로드용 조립형 난간기둥
KR101758449B1 (ko) 레벨조정이 가능한 압출형 안전난간
US3239196A (en) Handrail structure
KR102032697B1 (ko) 내충격 및 내진 기능이 향상된 기둥 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조립식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