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362B1 - 난간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난간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362B1
KR102049362B1 KR1020170165986A KR20170165986A KR102049362B1 KR 102049362 B1 KR102049362 B1 KR 102049362B1 KR 1020170165986 A KR1020170165986 A KR 1020170165986A KR 20170165986 A KR20170165986 A KR 20170165986A KR 102049362 B1 KR102049362 B1 KR 102049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handrails
connection
be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343A (ko
Inventor
이승로
김지형
Original Assignee
이승로
김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로, 김지형 filed Critical 이승로
Priority to KR102017016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3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난간유니트를 연결하는 계단 현장에서의 난간 연결 시공시 별도의 용접작업없이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또는 경사각으로도 연결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난간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계단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중공을 갖는 중간난간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좌,우 양측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경사진 각도로 천공되어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좌,우측 지지공과; 상기 좌,우측 지지공을 통해 상기 중공 내에 진입되며, 상기 중간난간기둥보다 돌출된 일측 단부에 제1상,하부난간대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중간난간기둥보다 돌출된 타측 단부에 제2상,하부난간대가 연결되도록 상면의 좌,우 양측으로 절곡된 좌,우측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계단의 상부에 기립되고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2상,하부난간대와 다른 각도를 갖는 제3상,하부난간대가 연결되고 상기 중공에 연통되는 좌,우측 연결공이 형성되는 상부난간기둥과; 상기 상부난간기둥의 상,하부에 형성된 우측 연결공에 상기 제3상,하부난간대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면의 좌,우 양측에 제1절곡부가 하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상부난간기둥의 상,하부에 형성된 좌측 연결공에 상기 제2상,하부난간대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면의 좌,우 양측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절곡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된 제2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2연결브라켓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난간 연결구조체{CONNECTING ELEMENTS IN BALUSTRADE}
본 발명은 난간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난간유니트를 연결하는 계단 현장에서의 난간 연결 시공시 별도의 용접작업없이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또는 경사각으로도 연결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난간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 난간은 지주와 지주사이에 수평바를 연결하여 사용하되, 상기 수평바는 상부 수평바와 하부 수평바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수평바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수직바가 결합된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난간의 경우 지주와 지주의 하부에 베이스플레이트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먼저 지면에 고정하여 지주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지주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바를 양측 지주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지주와 지주간의 간격과 수평바의 길이가 동일하여야만 정확하게 난간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난간을 설치할 경우, 현장에 미리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립되어지는 수평바의 길이가 정확하게 컷팅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수평바의 길이가 연장된 경우 현장에서 컷팅하여 조립함으로서 별다른 문제점은 없으나 상기 수평바의 길이가 짧은 경우 지주와 지주사이에 볼팅 결합되는 볼트가 외측으로 드러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음은 물론 상기 수평바가 지주와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아 접합력이 저하되어 난간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 것이다.
기존 난간 연결구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실0132118호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등록일자 : 1998.09.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계단의 난간을 이루는 휀스의 지지봉을 연결할 수 있도록 휀스 양단에 설치되는 지주봉의 상단과 일정높이에 휀스 지지봉이 이루는 경사각도에 맞추어 자유롭게 경사 조절될 수 있도록 양편으로 분리되어 힌지부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연결구를 결합 설치하고, 상기 지주봉의 하단을 현장의 바닥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삽입부를 갖는 고정편을 나사로 고정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편의 연결삽입부에 볼트공으 형성하여 U자 형상의 걸이구를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기존 난간 연결구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 0129098호 "난간 연결구조"(등록일자 : 1998.08.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난간연결구조에 있어서, 통상의 지주관 상단에 장식구를 형성하되, 상기 장식구는 반구형 장식캡과 횡관 연결관체로 분리 구성하여 상단 중앙부에 장식돌부와 하단주연부에는 돌출테두리를 형성하고, 횡관 연결관체는 상단부로부터 삽입부, 횡관연결용 내향만곡부, 돌출테두리 및 삽입관을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횡관 연결관체의 상단 삽입부를 장식캡의 돌출테두리에 끼운다음, 돌출테두리 끝단을 내향절곡시킴으로서, 장식구가 구성되게 하며, 상기 내향만곡부에는 수평횡관 연결구와 경사 횡관연결구를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주주관의 내향만곡부에 수평 횡관연결구와 경사 횡관연결구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기존 난간 연결구조는 외관상 돌출 부위를 줄이기 위해 내향만곡부를 형성시키고, 현장에서 수평횡관 연결구와 경사 횡관연결구를 지주관의 내향만곡부 내에 용접고정시켜야 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실0132118호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등록일자 : 1998.09.2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 0129098호 "난간 연결구조"(등록일자 : 1998.08.13)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난간유니트를 연결하는 계단 현장에서의 난간 연결 시공시 별도의 용접작업없이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또는 경사각으로도 연결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난간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계단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중공을 갖는 중간난간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좌,우 양측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경사진 각도로 천공되어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좌,우측 지지공과; 상기 좌,우측 지지공을 통해 상기 중공 내에 진입되며, 상기 중간난간기둥보다 돌출된 일측 단부에 제1상,하부난간대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중간난간기둥보다 돌출된 타측 단부에 제2상,하부난간대가 연결되도록 상면의 좌,우 양측으로 절곡된 좌,우측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계단의 상부에 기립되고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2상,하부난간대와 다른 각도를 갖는 제3상,하부난간대가 연결되고 상기 중공에 연통되는 좌,우측 연결공이 형성되는 상부난간기둥과; 상기 상부난간기둥의 상,하부에 형성된 우측 연결공에 상기 제3상,하부난간대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면의 좌,우 양측에 제1절곡부가 하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상부난간기둥의 상,하부에 형성된 좌측 연결공에 상기 제2상,하부난간대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면의 좌,우 양측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절곡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된 제2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2연결브라켓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좌,우측지지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테두리가 내측으로 돌출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2버어부를 구비한 제3결합공과, 상기 중간난간기둥을 통해 제3결합공에 결합되는 연결볼트와, 상기 제1,2상,하부난간대의 단부에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좌,우측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연결브라켓의 제1절곡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과, 상기 제2연결브라켓의 제2절곡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과, 상기 제1연결브라켓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좌,우측의 제1절곡부 사이를 연결하는 굴곡부와, 상기 제1결합공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1버어부와, 상기 제1,2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버어부의 암나사산에 체결되는 연결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면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중앙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계단의 하부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상,하부 우측에 고정공이 형성되는 하부난간기둥과, 상기 하부난간기둥의 고정공에 일단이 진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공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상,하부난간대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연결볼트에 의해 상기 하부난간기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면의 좌,우 양측에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좌,우측 측면부와, 상기 좌,우측 측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테두리가 내측으로 돌출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3버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볼트와 체결되는 제4결합공과, 상기 좌,우측 측면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상,하부난간대의 타단부가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결합구멍 및 상기 상면의 타측 단부에는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부가 상기 제1,2,3상부난간대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가 제1,2,3하부난간대에 연결되는 복수의 난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각 난간동자의 하단부를 상기 제1,2,3하부난간대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2,3상부난간대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난간동자의 상부가 압입되는 조립공과, 상기 조립공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노치부를 더 구비하여서, 상기 제1,2,3상부난간대와 난간동자가 압입방식으로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2연결브라켓의 제1,2절곡부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2,3상,하부난간대를 지지하는 덮개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용접작업없이 경사진 계단에서 복수의 난간유니트를 횡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평이나 경사진 계단의 현장 상황에 관계없이 시공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좌,우측 지지공(212,214)은 중간난간기둥의 좌,우측에 상이한 높낮이를 갖는 경사진 각도로 천공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단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제1,2상,하부난간대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연결브라켓(320A)은 상면 일단부에 제1절곡부(325A)를 연결하는 굴곡부(326)가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으면서 제1연결브라켓(320A)의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제1연결브라켓(320A)의 단부를 감싸는 제2연결브라켓(320B)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각 난간동자(140)의 하단부를 상기 제1,2,3하부난간대(115,125,135)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145)을 더 구비함으로써, 계단의 기울기에 따라 난간동자(14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의 하측면에 난간동자(140)의 상부가 압입되도록 조립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114)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노치부(114a)가 구비됨에 따라,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와 난간동자(140)가 압입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구조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a와 도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기둥의 연결부위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브라켓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와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 제1,2연결브라켓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지지브라켓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1,2연결브라켓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고정브라켓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난간 연결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난간 연결구조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본 발명은 상기한 난간유니트를 연결하기 위한 난간 연결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경사진 계단이나 수평으로도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계단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중공을 갖는 중간난간기둥(210)의 상,하부에 좌,우 양측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경사진 각도로 천공되어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좌,우측 지지공(212,214)과, 상기 좌,우측 지지공(212,214)을 통해 상기 중공 내에 진입되며 상기 중간난간기둥(210)보다 돌출된 일측 단부에 제1상,하부난간대(110,115)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중간난간기둥(210)보다 돌출된 타측 단부에 제2상,하부난간대(120,125)가 연결되도록 상면(318)의 좌,우 양측으로 절곡된 좌,우측 지지부(315)가 구비된 지지브라켓(310)과, 상기 계단의 상부에 기립되고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2상,하부난간대(120,125)와 다른 각도를 갖는 제3상,하부난간대(130,135)가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에 상기 중공에 연통되는 좌,우측 연결공(222,224)이 형성되는 상부난간기둥(220)과, 상기 상부난간기둥(220)의 상,하부에 형성된 좌,우측 연결공(222,224)에 진입되어 제2,3상,하부난간대(120,125)(130,135)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320)으로 구성된다.
또한, 계단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난간기둥(230)에 제1상,하부난간대(110,115)를 연결하는 고정브라켓(330)이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난간유니트는 난간기둥의 상부에 배치되어 난간기둥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난간대와, 난간기둥의 하부에 배치되어 난간기둥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부난간대와, 상기 상부난간대와 하부난간대를 연결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난간동자(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난간대는 계단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로 구분되고, 하부난간대는 계단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2,3하부난간대(115,125,135)로 구분된다.
또한, 난간기둥은 계단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중간난간기둥(210), 상부난간기둥(220), 하부난간기둥(230)으로 구분된다.
또한, 각 난간기둥의 상측에는 결합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되는 손잡이레일(150)이 구비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브라켓(310)은 중간난간기둥(210)의 좌,우측에 경사지게 천공된 좌,우측 지지공(212,214)을 통해 상기 중공 내에 진입되어 좌,우측 단부가 중간난간기둥(210)의 좌,우측(일측 및 타측)으로 돌출되어 제1,2상,하부난간대에 체결볼트(420)로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브라켓(320)은 상기 상부난간기둥(220)의 상,하부에 형성된 우측 연결공(224)에 상기 제3상,하부난간대(130,135)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면(328A)의 좌,우 양측에 제1절곡부(325A)가 하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1연결브라켓(320A)과, 상기 상부난간기둥(220)의 상,하부에 형성된 좌측 연결공(222)에 상기 제2상,하부난간대(120,125)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면(328B)의 좌,우 양측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절곡부(325A)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절곡부(325B)가 형성된 제2연결브라켓(320B), 및 상기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은 좌,우측 연결공(222,224)에 진입됨에 따라 상면(328A,328B)이 상부난간기둥(220)의 좌,우측 연결공(222,224)의 상측면에 접촉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브라켓(310)은 상면(318)의 좌,우 양측에 하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318)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중앙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314)이 각각 형성되며,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의 단부가 체결볼트(420)에 의해 체결되도록 좌,우 양측에 관통구멍(313)이 형성된 좌,우측 지지부(315)가 구비된다.
상기 좌,우측 지지부(315)는 중앙부에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와의 결합시 연결볼트(410)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3결합공(311)이 형성되고, 제3결합공(311)의 천공을 위한 버어가공 중에 제3결합공(311)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돌출되고 내주면에 상기 연결볼트(410)가 중간난간기둥(210)을 통해 제3결합공(311)에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을 갖는 제2버어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10)은 상부면이 좌,우측 지지공(212,214)의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의 결합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지지부(315)의 하단을 연결하고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덮개(3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덮개(317)가 구비된 경우에는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반면에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반대로 하부덮개(317)가 생략된 경우에는 조립성이 좋은 반면에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에 대한 지지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작업자가 설치 환경에 따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은 상면(328A,328B)의 좌,우측에 절곡되는 제1,2절곡부(325A,325B)와, 상기 제1,2절곡부(325A,325B)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323)과, 상기 체결공(323)을 통과하여 상기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의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체결볼트(420)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은 연결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계단의 상부에 마련된 제2상,하부난간대(120,125)와 제3상,하부난간대(130,135)의 경사각에 따라 대응되는 회전 각도로 조절한 후에 상부난간기둥(220)의 좌.우측 연결공(222,224)에 진입되고 제2,3상,하부난간대(120,125)(130,135)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상,하부난간대(120,125)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진 각도로 제2연결브라켓(320B)에 연결되고, 제3상,하부난간대(130,135)는 수평으로 제1연결브라켓(320A)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2,3상,하부난간대(120,125)(130,135)의 연결 경사각에 따라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의 연결 각도를 대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상기 제1연결브라켓(320A)의 제1절곡부(325A)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321A)과, 상기 제2연결브라켓(320B)의 제2절곡부(325B)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321B)과, 상기 제1연결브라켓(320A)의 단부에 연장되고 좌,우측의 제1절곡부(325A) 사이를 연결하는 굴곡부(326)와, 상기 제1결합공(321A)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1버어부(322)와, 상기 제1,2결합공(321A,321B)을 관통하여 상기 제1버어부(322)의 암나사산에 체결되는 연결볼트(410)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수단은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을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볼트(410)가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을 상부난간기둥(220)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절곡부(325A,325B)의 하부에 덮개부재(327)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덮개부재(327)가 구비된 경우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은 전,후측이 개방된 구조의 사각단면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덮개부재(327)는 제2,3상,하부난간대(120,125)(130,135)와의 조립시 제2,3상,하부난간대(120,125)(130,135)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제2,3상,하부난간대(120,125)(130,135)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버어부(322)는 버어(burr)가공을 통해 제1결합공(321A)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제1결합공(321A)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버어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제1버어부(322)는 내주면에 상기 연결볼트(410)와의 체결을 위해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의 좌,우측면에 체결공(32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23)을 통과하여 상기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의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체결볼트(420)를 더 구비한다.
도 2c 및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 난간 연결구조체는 계단의 하부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상,하부 우측에 고정공(232)이 형성되는 하부난간기둥(230)과, 상기 하부난간기둥(230)의 고정공(232)에 일단이 진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공(23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상,하부난간대(110,115)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연결볼트(410)에 의해 상기 하부난간기둥(2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33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볼트(410)가 체결되도록 상면(338)의 좌,우 양측에 하측으로 좌,우측 측면부(335)가 절곡되고, 상기 상면(338)의 타측 단부에는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336)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측면부(335)의 일측에 제4결합공(331)이 천공되고, 제4결합공(331)의 테두리가 버어 가공으로 제3버어부(332)가 형성된다.
즉, 제3버어부(332)는 제4결합공(331)의 천공 중에 제4결합공(331)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버어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고정브라켓(330)의 좌,우측 측면부(335) 타측에는 제1상,하부난간대(110,115)의 타단부가 체결볼트(420)에 의해 체결되도록 결합구멍(33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측면부(335)의 하부를 연결하며 제1상,하부난간대(110,115)의 타단부 하측을 지지하는 덮개부(3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난간 연결구조체는 계단 등의 경사진 위치에서 난간유니트들을 연결하거나, 수평상태에서의 지면에서 횡방향으로 난간유니트들을 연결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난간기둥은 공장에서의 제작시 계단의 하부, 중간, 상부에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고정브라켓(330), 지지브라켓(310) 및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이 설치되도록 3가지 타입으로 제조하게 된다.
공장에서 제조된 난간기둥은 계단 위치 등의 현장 조건에 따라 3가지 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현장 시공하게 된다.
중간난간기둥(210)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의 연결과정은 지지브라켓(310)을 중간난간기둥(210)의 상,하부 좌,우측에 형성된 좌,우측 지지공(212,214)을 통해 중공 내에 진입시키고, 중간난간기둥(210)의 좌,우측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310)의 좌,우 양측에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를 연결시킨다.
이때,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는 좌,우측 지지부(315)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멍(313)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420)에 의해 체결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부난간기둥(220)은 연결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을 상부난간기둥(220)의 상,하부 좌,우측에 형성된 좌,우측 연결공(222,224) 중에 하나를 통해 상부난간기둥(220)의 중공 내에 진입시킨 후에, 상부난간기둥(220)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제1연결브라켓(320A)의 체결공(323)에 체결볼트(420)를 관통시켜 제3상,하부난간대(130,135)에 체결시키고, 상부난간기둥(220)의 좌측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브라켓(320B)의 체결공(323)에 체결볼트(420)를 관통시켜 제2상,하부난간대(120,125)에 체결시킴으로써, 제2,3상,하부난간대(120,125)(130,135)가 상부난간기둥(220)과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을 매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제1연결브라켓(320A)의 제1절곡부(325A)가 제2연결브라켓(320B)의 제2절곡부(325B) 내에 진입되도록 한 후에, 제1절곡부(325A)와 제2절곡부(325B)의 제1,2결합공(321A,321B) 내에 연결볼트(410)를 진입시켜 제1버어부(322)의 암나사산에 체결시킴으로써,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을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한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좌,우측 연결공(222,224) 중 하나를 통해 중공 내에 진입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연결브라켓(320B)의 단부를 우측 연결공(224)을 통해 중공 내로 진입시킨 후에 좌측 연결공(222)을 통해 상부난간기둥(220)의 좌측으로 출몰되도록 결합시킨다.
이후에, 상부난간기둥(220)의 좌측으로 돌출된 제2연결브라켓(320B)의 타측 부위에 제2상,하부난간대(120,125)를 체결볼트(420)로 연결하고, 상부난간기둥(220)의 우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브라켓(320A)의 타측 부위에 제3상,하부난간대(130,135)를 체결볼트(420)로 연결하여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을 매개로 상부난간기둥(220)의 좌,우측에 복수의 난간유니트를 횡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연결브라켓(320A,320B)과 제2,3상,하부난간대(120,125)(130,135)의 결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420)를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의 체결공(323)을 관통시켜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체결시킴으로써,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에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상,하부난간대(120,125)가 포함된 난간유니트와 제3상,하부난간대(130,135)가 포함된 다른 난간유니트가 상부난간기둥(220)을 중심으로 별도의 용접작업없이 좌,우측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간난간기둥(210)의 상,하부 좌,우측에 형성된 좌,우측 지지공(212,214)을 통해 중공 내에 지지브라켓(310)을 진입시켜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를 연결시키고, 상부난간기둥(220)에 제2상,하부난간대(120,125)와 제3상,하부난간대(130,135)를 체결볼트(420)로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에 연결시켜 상부난간기둥(220)의 좌,우측에 기존의 용접작업없이 복수의 난간유니트를 횡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하부난간기둥(230)의 상,하부에 고정브라켓(330)을 매개로 제1상,하부난간대(110,115)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수평이나 경사진 현장 상황에 관계없이 시공 가능하고 용접작업없이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좌,우측 지지공(212,214)은 중간난간기둥(210)의 좌,우측에 상이한 높낮이를 갖는 경사진 각도로 천공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단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연결브라켓(320A)은 상면(328A) 일단부에 제1절곡부(325A)를 연결하는 굴곡부(326)가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으면서 제1연결브라켓(320A)의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제1연결브라켓(320A)의 단부를 감싸는 제2연결브라켓(320B)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각 난간동자(140)의 하단부를 상기 제1,2,3하부난간대(115,125,135)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145)을 더 구비함으로써, 계단의 기울기에 따라 난간동자(14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의 하측면에 난간동자(140)의 상부가 압입되도록 조립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114)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노치부(114a)가 구비됨에 따라,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와 난간동자(140)가 압입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이점을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부가 상기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가 제1,2,3하부난간대(115,125,135)에 연결되는 복수의 난간동자(140)를 구비하되, 상기 각 난간동자(140)의 하단부를 상기 제1,2,3하부난간대(115,125,135)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145)을 더 구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힌지핀(145)은 각각의 난간동자(140)의 하부를 제1,2,3하부난간대(115,125,13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계단의 경사각도에 따라 난간동자(140)의 기울기 각도를 임의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난간동자(140)의 상부가 압입되는 조립공(114)과, 상기 조립공(114)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노치(notch)부(114a)를 더 구비하여서, 상기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와 난간동자(140)가 압입방식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난간동자(140)의 상단부는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의 하측면에 형성된 조립공(114)에 조립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난간동작의 상단부 테두리 부위가 노치부(114a)의 산 부위에 접촉되고, 이 경우 노치부(114a)의 산 부위가 접촉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난간동자(140)의 상단부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게 되므로, 난간동자(140)를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 제1상부난간대 114 : 조립공
114a : 노치부 115 : 제1하부난간대
120 : 제2상부난간대 125 : 제2하부난간대
130 : 제3상부난간대 135 : 제3하부난간대
140 : 난간동자 145 : 힌지핀
150 : 손잡이레일 210 : 중간난간기둥
212,214 : 좌,우측 지지공 220 : 상부난간기둥
222,224 : 좌,우측 연결공 230 : 하부난간기둥
232 : 고정공 310 : 지지브라켓
311 : 제3결합공 312 : 제2버어부
313 : 관통구멍 315 : 좌,우측 지지부
318 : (지지브라켓의)상면 320 : 연결브라켓
320A,320B : 제1,2연결브라켓 321A,321B : 제1,2결합공
322 : 제1버어부 323 : 체결공
325A,325B : 제1,2절곡부
328A,328B : (제1,2연결브라켓의)상면
330 : 고정브라켓 331 : 제4결합공
332 : 제3버어부 333 : 결합구멍
335 : 좌,우측 측면부 338 : (고정브라켓의)상면
410 : 연결볼트 420 : 체결볼트

Claims (7)

  1. 계단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중공을 갖는 중간난간기둥(210)의 상부와 하부에 좌,우 양측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경사진 각도로 천공되어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좌,우측 지지공(212,214)과;
    상기 좌,우측 지지공(212,214)을 통해 상기 중공 내에 진입되며, 상기 중간난간기둥(210)보다 돌출된 일측 단부에 제1상,하부난간대(110,115)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중간난간기둥(210)보다 돌출된 타측 단부에 제2상,하부난간대(120,125)가 연결되도록 상면(318)의 좌,우 양측으로 절곡된 좌,우측 지지부(315)가 구비된 지지브라켓(310)과;
    상기 계단의 상부에 기립되고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2상,하부난간대(120,125)와 다른 각도를 갖는 제3상,하부난간대(130,135)가 연결되고 상기 중공에 연통되는 좌,우측 연결공(222,224)이 형성되는 상부난간기둥(220)과;
    상기 상부난간기둥(220)의 상,하부에 형성된 우측 연결공(224)에 상기 제3상,하부난간대(130,135)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면(328A)의 좌,우 양측에 제1절곡부(325A)가 하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1연결브라켓(320A)과;
    상기 상부난간기둥(220)의 상,하부에 형성된 좌측 연결공(222)에 상기 제2상,하부난간대(120,125)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면(328B)의 좌,우 양측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절곡부(325A)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절곡부(325B)가 형성된 제2연결브라켓(320B); 및
    상기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브라켓(310)은 상기 좌,우측지지부(315)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테두리가 내측으로 돌출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2버어부(312)를 구비한 제3결합공(311)과, 상기 중간난간기둥(210)을 통해 제3결합공(311)에 결합되는 연결볼트(410)와, 상기 제1,2상,하부난간대(110,115)(120,125)의 단부에 체결볼트(420)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좌,우측지지부(315)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구멍(3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연결브라켓(320A)의 제1절곡부(325A)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321A)과, 상기 제2연결브라켓(320B)의 제2절곡부(325B)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321B)과, 상기 제1연결브라켓(320A)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좌,우측의 제1절곡부(325A) 사이를 연결하는 굴곡부(326)와, 상기 제1결합공(321A)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1버어부(322)와, 상기 제1,2결합공(321A,321B)을 관통하여 상기 제1버어부(322)의 암나사산에 체결되는 연결볼트(4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310)은 상면(318)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중앙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3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의 하부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상,하부 우측에 고정공(232)이 형성되는 하부난간기둥(230)과,
    상기 하부난간기둥(230)의 고정공(232)에 일단이 진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공(23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상,하부난간대(110,115)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연결볼트(410)에 의해 상기 하부난간기둥(2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3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330)은 상면(338)의 좌,우 양측에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좌,우측 측면부(335)와,
    상기 좌,우측 측면부(335)의 일측에 형성되며 테두리가 내측으로 돌출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3버어부(332)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볼트(410)와 체결되는 제4결합공(331)과,
    상기 좌,우측 측면부(335)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상,하부난간대(110,115)의 타단부가 체결볼트(420)에 의해 체결되는 결합구멍(333) 및
    상기 상면(338)의 타측 단부에는 일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3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가 상기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가 제1,2,3하부난간대(115,125,135)에 연결되는 복수의 난간동자(140)를 구비하되,
    상기 각 난간동자(140)의 하단부를 상기 제1,2,3하부난간대(115,125,135)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145)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난간동자(140)의 상부가 압입되는 조립공(114)과,
    상기 조립공(114)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노치부(114a)를 더 구비하여서,
    상기 제1,2,3상부난간대(110,120,130)와 난간동자(140)가 압입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브라켓(320A,320B)의 제1,2절곡부(325A,325B)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2,3상,하부난간대(120,125)(130,135)를 지지하는 덮개부재(327)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구조체.
KR1020170165986A 2017-12-05 2017-12-05 난간 연결구조체 KR102049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986A KR102049362B1 (ko) 2017-12-05 2017-12-05 난간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986A KR102049362B1 (ko) 2017-12-05 2017-12-05 난간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343A KR20190066343A (ko) 2019-06-13
KR102049362B1 true KR102049362B1 (ko) 2019-11-28

Family

ID=6684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986A KR102049362B1 (ko) 2017-12-05 2017-12-05 난간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719B1 (ko) 2021-01-11 2021-04-30 제일에스티(주) 난간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952B1 (ko) * 2019-06-28 2021-05-24 이승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KR102495324B1 (ko) * 2022-07-15 2023-02-06 (주)천우인터내셔널 각도 조절 브라켓을 이용한 난간
KR102676258B1 (ko) * 2023-10-19 2024-06-17 권용길 링 대체용 내측 부재를 구비한 배연창용 체인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278B1 (ko) * 2003-03-24 2006-02-14 고광희 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구조
KR100915629B1 (ko) * 2009-03-23 2009-09-04 (주)신명세이프티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KR101028334B1 (ko) * 2010-08-20 2011-04-11 (주)도경이앤씨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098B1 (ko) 1994-07-25 1998-04-09 최정우 보일러의 이상화염 감지 제어장치
KR0132118Y1 (ko) 1995-08-30 1998-12-15 권영만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
KR20110105629A (ko) * 2010-03-19 2011-09-27 대지금속 주식회사 계단난간용 포스트와 핸드바의 연결구조
KR20150032982A (ko) * 2013-09-23 2015-04-01 우정기업(주) 계단 난간용 난간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278B1 (ko) * 2003-03-24 2006-02-14 고광희 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구조
KR100915629B1 (ko) * 2009-03-23 2009-09-04 (주)신명세이프티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KR101028334B1 (ko) * 2010-08-20 2011-04-11 (주)도경이앤씨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719B1 (ko) 2021-01-11 2021-04-30 제일에스티(주) 난간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343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362B1 (ko) 난간 연결구조체
KR20000068157A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KR20200053252A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US20050127346A1 (en) Bracket system for attaching elongated members
JP4751624B2 (ja) 締結具
KR200443024Y1 (ko) 계단용 난간 지주
KR101614689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난간
CA2687925C (en) Extendable baluster assembly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EP234239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alustrade and balustrade
KR101852139B1 (ko) 계단용 난간지주
KR10126317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1712376B1 (ko)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US7246792B2 (en) Ornamental fence insert
KR200382475Y1 (ko) 계단난간 임시 고정구조
KR200299629Y1 (ko) 난간 조립 유니트
KR102254952B1 (ko)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KR102293307B1 (ko)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조체
KR200322170Y1 (ko) 난간대
JPS6323341B2 (ko)
JP7390175B2 (ja)
KR200259035Y1 (ko) 계단 난간기둥과 가이드레일 연결구
KR200378136Y1 (ko) 조립식 계단 난간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101344064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