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629Y1 - 난간 조립 유니트 - Google Patents

난간 조립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629Y1
KR200299629Y1 KR20-2002-0030539U KR20020030539U KR200299629Y1 KR 200299629 Y1 KR200299629 Y1 KR 200299629Y1 KR 20020030539 U KR20020030539 U KR 20020030539U KR 200299629 Y1 KR200299629 Y1 KR 200299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joint
assembly unit
adap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 현 윤
Original Assignee
경 현 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 현 윤 filed Critical 경 현 윤
Priority to KR20-2002-0030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6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간을 이루는 부재들을 연결하는 조립 유니트가 각도조절이 자유롭도록 하여 아파트 발코니나, 계단 등에 안전을 위해 난간을 설치할 때, 현장의 경사 기울기 특성에 관계없이 각 부재들간의 연결을 적은 인원으로 신속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고, 또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난간 조립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각도조절 가능한 난간 조립 유니트는, 난간을 이루는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컵 형상의 개구부 양측에는 부재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플랜지(32)를 갖고 바닥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반구형 홈면(33)을 가지며 이 홈면(33)에는 장공(34)이 형성된 어댑터(31)와, 상기 반구형 홈면(33)의 원호면과 일치하는 반구형상을 하여 연결되는 부재의 단부에 씌워져 결합되고 구면은 상기 어댑터(31)의 반구형 홈면(33)에 밀착되어 장공(34)으로 체결되는 나사(35)에 의해 장공(34)의 길이내에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조인트(36)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Description

난간 조립 유니트{Railing assembly unit}
본 고안은 난간의 각부재간을 연결하는 조립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유니트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구조를 갖도록 하여 아파트 발코니 또는 계단 등에 안전을 위해 난간을 설치할 때, 현장의 경사특성에 관계없이 각 부재들간의 연결을 적은 인원으로 신속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고, 또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조립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발코니 또는 계단 등과 같이 추락의 위험이 존재하는 곳에는 안전을 위해 난간을 설치한다. 난간은 크게 발코니와 같이 수평한 곳에 설치되는 난간과, 계단과 같이 경사진곳에 설치되는 난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안전을 위한 내구성 및 재질의 강도 등과 같은 요건은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건물의 품위를 위한 깔끔하고 미려함 등과 같은 디자인측면 또한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이다. 또한 시공업자 측면에서는 작업의 간편성 및 그에 따르는 재료비, 인건비절감의 문제가 만족되어야 한다.
이러한 난간은 그 구조가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는 지주와, 양측 지주를 연결하는 핸드레일, 그리고 핸드레일과 바닥 또는 상부핸드레일과 하부핸드레일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간으로 구성된다.
난간의 설치는 주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데, 바닥의 수평 또는 경사각 정도에 따라 난간의 길이를 재고, 높이를 재어 그에 따라 각 자재를 절단하여 핸드레일 및 지주를 준비하고 또 핸드레일과 바닥의 높이 또는 상부 핸드레일과 하부 핸드레일의 간격에 따라 자재를 절단하여 지지간들을 여러개 구성한 후 바닥에 앵커를 박아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의 상단 또는 지주의 상,하부에 핸드레일을 연결하고, 핸드레일과 바닥사이 또는 상부핸드레일과 하부핸드레일 사이에 건축법의 규정에 의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간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특히 바닥에서서 직접 핸드레일로 연결되는 지지간들은 바닥에 지지간이 설치될 위치로 앵커를 설치한 후 이에 이에 지지간들을 수직으로 설치하게 된다.
종래에는 지주와 핸드레일을 연결하거나 또는 핸드레일에 지지간을 단순히 용접에 의해 연결하거나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였다.
단순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구조는 연결되는 부재의 단부를 피연결 부재의 직경에 따라 호형상으로 절단해야하는데, 그 작업이 매우 까다로워 숙련자가 아니면 제대로 실시할 수 없고 또 숙련자라 하더라도 정밀한 작업이 어려워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용접이 이루어진 후에는 용접부를 매끄럽게 마무리해야하는 작업이 수반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연결부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실상 깔끔한 마무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방법은 예를 들어 도 1a와 같이 핸드레일(1)에 구멍(2)을 뚫고, 연결될 지지간(5)이 통과할 정도의 구멍(4)이 뚫린 마감캡(3)을 구비하여 마감캡(3)을 끼운 지지간(5)을 핸드레일(1)의 구멍(2)에 삽입시킨 후 마감캡(3)을 핸드레일(1)에 밀착시켜 전기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각 지지간(5)이 연결되는 핸드레일(1)부에 일일이 구멍(2)을 뚫어야하는 불편함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또 설치후 지지간이 상하로 유동 및 자회전되므로 안전의 신뢰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 1b와 같이 핸드레일의 구멍(2)에 지지간(5)의 단부가 삽입되는 캡형상의 연결구(6)를 핸드레일(1)의 구멍(2)에 삽입시키는 구조도 있으나, 이는 외관상 용접부가 보이지 않는 점은 있지만 역시 지지간이 자회전하는 문제점은 여전하므로 안전상 신뢰성문제를 가지고 있고, 또 핸드레일(1)에 지지간(5)이 연결되는 구멍(2)을 일일이 뚫어야하는 단점과, 일측부재에 타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직경이 비슷한 부재들간에는 연결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연결방법들은 많은 단점들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발코니와 같이 수평한 바닥과 같은 곳에는 그런데로 설치가 용이하나, 결정적으로 경사진 계단과 같은 곳에는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 이유는 계단의 경사도가 각 현장의 특성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그 현장의 특성에 맞게 각도를 주어 구멍을 뚫어야 하고 또 연결구 또한 경사각에 맞도록 별도로 제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결구의 구조들이 개발된 것이 있으나, 대부분 특정 각도로 정형화 되어 있어 경사각이 가변적인 각 현장에 맞게 적용할 수 없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또 경사각의 변화에 따라 연결구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연결구가 있으나, 이는 도 1c에서와 같이 연결체(7)에 세로방향의 절결구멍(8)을 뚫고 이에 연결아암(a)을 볼트로 체결한 후 아암(9a)의 단부에 고정몸체(9b)를 볼트 연결하여 이에 파이프(P)를 연결하는 구조이고, 또 연결체(7)는 지주의 상부 또는 하부에 삽입되어 핀결합되고 상부에 결합될 경우에는 캡(C)을 씌워 마무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또 부품이 많이 필요하는 등 구조가 매우 조잡하여 제품의 제조가 난해하고, 외관이 미려치 못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큰 부재간의 연결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지지간과 같은 것들을 설치하기에는 적절치 못한 방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평한 바닥은 물론이고 특히 경사진 계단과 같은 곳에서 작업현장에 따라 달라지는 경사각에도 하나의 조립 유니트로 모두 대응할 수 있는 각도조절기능을 갖고, 또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난간을 이루는 부재들을 가공하지 않고 조립 및 시공을 쉽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마감처리만으로도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는 난간 조립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난간을 이루는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컵 형상의 개구부 양측에는 연결될 부재의 외주면에 결합 고정되는 플랜지를 갖고 막힌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반구형 홈면을 가지며 이 반구형 홈면에는 장공이 형성된 어댑터와,
상기 반구형 홈면의 원호면과 일치하는 반구형상을 하여 연결될 부재의 단부에 씌워져 결합 고정되고, 구면은 상기 어댑터의 반구형 홈면에 접면되어 장공으로 체결되는 체결구에 의해 장공의 길이내에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조인트로 구성된 조립 유니트를 이용하여 난간의 각 부재 간을 연결하도록 하여 달성된다.
도 1a,1b,1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난간 조립 유니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조립 유니트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조립 유니트로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로 조립된 난간의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 조인트에 형성된 체결구멍의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 조인트에 형성된 체결구멍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 조인트에 형성된 돌기가 어댑터의 장공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조립 유니트의 또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고안 조립 유니트의 또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주 12 - 앵커
20a - 상부 핸드레일 20b - 하부 핸드레일
22 - 지지간 30 - 조립 유니트
31 - 어댑터 32 - 플랜지
33 - 홈면 34 - 장공
35 - 체결구 36 - 조인트
40 - 접속구 41 - 단턱
42 - 환형돌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조립 유니트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조립 유니트로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로 조립된 난간의 일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 조인트에 형성된 체결구멍의 구조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 조인트에 형성된 체결구멍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 조인트에 형성된 돌기가 어댑터의 장공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난간을 이루는 부재는 바닥에서 수직으로 앵커(12)에 의해 세워지는지주(10)와, 이 지주(10)를 연결하는 핸드레일(20), 그리고 양쪽 지주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핸드레일(20)에 연결되는 지지간(2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30)는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된다.
그중 하나는 피연결부재에 고정결합되는 어댑터(31)와, 다른 하나는 연결되는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인트(36)로 구성된다.
어댑터(31)는 상부가 넓어지는 컵 형상을 이루며 개구부 양측에는 부착될 부재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플랜지(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컵형상의 바닥을 이루는 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반구형 홈면(33)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반구형 홈면(33)에는 장공(34)이 형성된다. 장공(34)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주로 부착될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계단과 같이 경사진 곳에 설치되는 난간에서 경사각에 맞도록 조절기능을 갖기 위한 것이다. 물론 경사의 방향이 핸드레일의 방향과 달리할 때는 장공(34) 또한 횡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아울러 어댑터(21)의 개구부는 플랜지(32)와 함께 부착되어지는 부재와의 긴밀한 결합을 위해 길이방향은 수평을 이루고, 횡방향으로는 부재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면을 이루고 있다.
또한 조인트(36)는 어댑터(31)의 반구형 홈면(33)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내부가 빈 반구체로서 중앙부에 체결구멍(37)이 형성되어 연결될 부재의 단부에 씌워져 용접되는데, 난간의 각 부재를 연결할 때 구면은 어댑터(31)의 반구형 홈면(33)에 밀착되어 어댑터(31)의 내부에서 장공(34)을 통해 체결구멍(37)으로 체결되는 체결구(35) 즉,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결합된다. 또 결합되는 조인트(36)는 반구형상이기 때문에 장공(34)의 길이내에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하여 난간을 시공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30)를 상,하부 핸드레일(20a)(20b)을 구성하는 난간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지주부재를 적당한 높이로 절단하고, 그 간격에 맞게 상,하부 핸드레일 부재와, 상,하부 핸드레일의 간격에 맞게 지지간부재를 미리 절단하여 둔다.
그리고는 지주(10)가 설치될 바닥에 앵커(12)를 박아 이에 절단된 지주부재를 용접이나 볼트결합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 지주(10)를 구성한다.
세워진 지주(10)의 상단에 지주(10)의 직경에 맞는 조립 유니트(30)의 조인트(36)를 씌워 둘레에 스폿용접하여 결합하고, 조인트(36)의 구면을 어댑터(31)의 반구형 홈면(33)을 밀착시킨 후 장공(34)을 통해 조인트(36)의 구면 중심부 체결구멍(37)에 체결구(35)(나사, 리벳 등)를 체결하여 조립한다. 이때 난간이 수평으로 설치될 때에는 체결구(35)가 장공(34)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하고, 경사진 난간의 경우에는 그 기울기에 따라 어댑터(31)의 각도를 조절한 후 체결구(35)를 완전히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 때에 따라서는 체결구(35)가 조인트(36)의 중심이 아닌 부분에도 결합될 수가 있다. - 그리고 상부 핸드레일(31)을 조립 유니트(30)의 어댑터(31)에 밀착시킨 후 양측의 플랜지(32)를 체결구(35)로 결합하거나 스폿용접에 의해 결합시킨다.
그리고 양측 지주(10)사이의 간격에 맞게 절단된 하부 핸드레일(20b)의 양단에 조인트(36)를 씌워 그 둘레를 스폿용하여 결합한 후 이에 어댑터(31)의 홈면(33)을 밀착시켜 내부로부터 장공(34)을 통해 체결구(35)를 틀어박는다. 그리고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떨어진 양측 지주(20)에 어댑터(31)의 플랜지(32)를 접면시킨 후 체결구(35)를 체결하거나 스폿용접으로 결합한다.
이어서 상,하부 핸드레일(20a)(20b)의 간격에 맞게 절단된 지지간 부재의 양단부에 조립 유니트(30)의 조인트(36)를 씌워 스폿용접하고, 그 상부에 어댑터(31)의 반구형 홈면(33)을 접면시킨다. 그리고 어댑터(31) 내부에서 장공(34)을 통해 조인트(36)로 체결구(35)를 틀어박은 다음 경사각에 따라 어댑터(31)를 움직여 각도조절을 하고, 어댑터(31)의 플랜지(32)를 상,하부 핸드레일(20a)(20b)에 밀착시켜 체결구(35) 또는 스폿용접으로 결합하면 간단히 완성된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조립체(30)는 난간의 경사도에 맞게 현장에서 조립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연결 유니트 제조공장에서 난간의 경사도에 맞게 어댑터(31)의 반구형 홈면(33)에 체결구멍(37)이 가공된 조인트(36)의 구면을 밀착시켜 각도조절한 후 장공(34)으로 리벳팅 또는 나사체결한 후 이를 현장에서 막바로 각 부재와 결합시켜 난간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난간 조립 유니트(30)는 조립완료후 조인트(36)와 결합고정된 부재를 회전시키면 체결구멍(37)을 축으로 회전될 수가 있어 난간의 견고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조인트(36)의 체결구멍(37)을 편심되게 형성한다. 체결구멍(37)이 부재의 축방향과 엇갈리기 때문에 부재의 자회전이 억제되는 효과를 득할 수가 있다. 이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가공할 때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을 접어 올려 구멍의 지름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어댑터(31)의 장공(34)부 두께정도의 높이를 갖는 돌편(38)을 형성하며 그 방향은 장공(34)과 나란하거나 직각방향을 이룬다. 양측 돌편(38)의 길이는 장공(34)의 간격을 갖도록 하여 결국 돌편(38)이 장공(34)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조립 유니트(30)는 조립시 조인트(36)의 돌편(38)을 어댑터(31)의 장공(34)에 삽입시킨 후 나사 또는 리벳팅을 하게 되면 나사머리나 리벳머리가 돌기(34)의 단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완전 체결 고정되지 않고 약간의 유동여유를 갖기 때문에 조립 후 현장에서 각부재의 연결작업시 각도변형을 주고자 할 때에는 힘을 가하여 조인트(36)를 회동시키면 억지 슬라이딩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어서 난간의 각부재들 사이에 개재시켜 연결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조인트(36)가 결합된 부재를 회전시키더라도 조인트(36)의 돌편(38)이 장공(34)내에서 회전이 억제되기 때문에 부재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돌편(38)이 형성된 조인트(36)는 그 체결구멍(37)의 위치가 중앙부에 있더라도 조인트(36)와 부착된 부재의 회전은 발생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조인트(36)의 체결구멍(37)에 편심을 주게되면 더욱더 회전은 어려우므로 실제 적용시에는 편심된 구조를 갖는게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에 의해 완성된 난간은 부재와 부재간의 연결부가 매끄러운 라운드부분만 눈에 띄므로 깔끔한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단지 스폿용접부가 거칠게 이루어진 부분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그 부분만 마무리 처리하면 되기 때문에 마무리작업이 간단해짐은 물론이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가 있다. 특히 자재를 티타늄으로 사용하게 되면 더욱더 미려하고 고급스러움을 가질 수가 있다.
한편, 난간의 구조상 핸드레일이 상부 핸드레일(22a)만 있고, 하부 핸드레일(22b)이 없는 경우에는 지주(10)와 핸드레일 그리고 핸드레일과 지지간(22) 상단의 연결은 동일하고, 다만 지지간(22)의 하단만 바닥에 앵커를 박아 이에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면된다.
하지만, 지지간(22)을 바닥에 앵커로 설치하는 난간의 경우에는 건물의 시공시 난간의 설치후 바닥을 시공하기 때문에 지지간(22)의 간섭으로 인하여 바닥시공에 많은 애로점이 있으며, 시공 후 바닥을 청소할 때에도 많은 간섭을 받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상,하부 핸드레일(20a)(20b) 사이에 지지간(22)이 결합되는 구조는 양측의 지주(10)만 바닥에 앵커(12)로 고정하기 때문에 바닥시공시 지지간(22)에 의한 간섭을 전혀 받지 않기 때문에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사용에 따른 청소시에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고안의 난간은 주로 상,하부 핸드레일(20a)(20b)이 구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계단과 같은 경사진 곳이 아닌 바닥이 수평한 곳에 난간을 설치할 때에는 조립 유니트(30)의 어댑터(31)의 반구형 홈면(33)에 조인트(36)를 정 중앙에 위치시켜 즉, 수직으로 밀착시킨 후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더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조립 유니트(30)는 그 자체로도 완벽한 구조 및 기능을 갖고 있지만, 디자인 측면을 더 보강하고자 한다면 조립 유니트(30)의 조인트(36) 및 이와 연결되는 부재 사이에는 직경의 차이에 의해 결합후 조인트(36)의 두께만큼 턱이 발생한다. 이 턱은 조인트(36)가 상향 결합시에는 보이지 않으나 하향 결합시나 횡방향의 결합시에는 보이게 되므로 이를 좀더 보강하기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조인트(36) 및 조인트가 결합되는 부재사이에 별도의 접속구(40)를 더 구비한다.
이 접속구(40)는 부재와 같은 외경을 가지면서 일측단부는 외경이 좁아져 부재 내에 삽입되고 외경이 좁아진 부분에는 단턱(41)이 형성되어 조립시 연결되는 부재와 동일한 높이차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접속구(40)의 다른 일단은 조인트(36)의 단부가 보이지 않도록 외부로 돌출된 돌기(42)가 형성되어 조립시 돌기(42)가 조인트(36) 단부의 노출을 방지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가 있다.
한편, 조립 유니트의 구조는 도 9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조립 유니트와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플랜지(52)를 갖는 어댑터(51)의 중앙부를 반구형상으로 돌출시키고, 그 반구면에 조인트(56)와 결합 고정되는 체결구멍(53)을 가지며,
이와 대응되는 조인트(56)는 중앙부에 어댑터(51)의 볼록한 반구부와 접하는반구형 홈면(57)을 이루고, 이 반구형 홈면(57)에는 장홈(58)을 갖도록 하여 반구형 홈면(57)을 통해 체결구멍(53)으로 체결구를 체결하여 장공(58)의 간격내에서 각도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작동은 도 2에 도시한 조립 유니트와 동일한 작동 기능을 갖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립 유니트의 구조가 단순히 어댑터와 조인트 및 이를 연결하는 나사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난간 부재를 별도로 가공하는 일 없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각도가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바닥이 수평한 곳은 물론이고 경사가 다양한 건물의 계단 난간의 시공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시공완료 후 마무리처리 또한 거칠게 스폿용접된 부분만 마무리 가공을 하면 되므로 큰 기술을 갖지 않은 작업자라 하더라도 혼자서도 쉽고 빠르게 시공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재료비 및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시공후에는 체결부나 용접부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부품간의 접면부는 매끄러운 라운드처리 되어 있으므로 깔끔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외관 또한 미려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난간을 이루는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컵 형상의 개구부 양측에는 피연결 부재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플랜지(32)를 갖고 막힌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호형상의 구형 홈면(33)을 가지며 이 구형 홈면(33)에는 장공(34)이 형성된 어댑터(31)와,
    상기 구형 홈면(33)의 원호면과 일치하는 반구형상을 하여 연결하는 부재의 단부에 씌워져 결합되고 구면은 체결구멍(37)을 형성하여 상기 어댑터(31)의 구형 홈면(33)에 밀착되어 장공(34)으로 체결구에 의해 장공(34)의 길이내에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조인트(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1)의 개구부는 플랜지(32)와 함께 부착될 부재와의 긴밀한 결합을 위해 길이방향은 수평을 이루고, 횡방향으로는 연결당하는 부재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36) 및 조인트가 결합되는 부재사이에
    상기 부재와 같은 직경을 가지면서 일측단부는 단턱(41)을 이루면서 외경이좁아져 부재 내에 삽입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조인트(36)의 단부가 보이지 않도록 외부로 돌출된 환형 돌기(42)가 형성된 접속구(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 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36)의 구면상에 체결구(35)가 결합되는 체결구멍(37)이 편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 유니트.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36)의 체결구멍(37)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장공(34)내에 삽입되는 돌편(3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 유니트.
  6. 난간을 이루는 부재를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반구형상의 개구부 양측에는 피연결 부재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플랜지(52)를 갖고 볼록한 구면에는 체결구멍(53)을 갖는 어댑터(51)와,
    피연결부재의 단부에 씌워져 결합 고정되고, 상기 어댑터(51)의 볼록한 반구면과 접하는 면부는 반구형 홈면(57)을 이루고 상기 반구형 홈면(57)에는 체결구(54)를 통해 상기 체결구멍(53)으로 결합고정되는 장공(58)을 갖는 조인트(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조립 유니트.
KR20-2002-0030539U 2002-10-14 2002-10-14 난간 조립 유니트 KR200299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539U KR200299629Y1 (ko) 2002-10-14 2002-10-14 난간 조립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539U KR200299629Y1 (ko) 2002-10-14 2002-10-14 난간 조립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629Y1 true KR200299629Y1 (ko) 2003-01-03

Family

ID=4932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539U KR200299629Y1 (ko) 2002-10-14 2002-10-14 난간 조립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62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747Y1 (ko) * 2007-06-24 2008-06-30 송창열 프레임 조립용 용접고정형 슬리브와 이를 이용한 에어컨실외기용 거치대 및 난간 조립구조
KR100955424B1 (ko) 2008-02-28 2010-05-04 정웅선 앵커 지주
KR101703929B1 (ko) * 2016-02-23 2017-02-08 주식회사 비와이물산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KR101833211B1 (ko) * 2017-11-10 2018-03-02 주식회사 딕누리 간살 연결 지지구
KR102195073B1 (ko) * 2020-07-16 2020-12-24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지면의 높낮이 및 수평방향 선형에 대응하여 레일설치를 제공하는 울타리용 유동 브라켓을 구비하는 울타리
KR102195071B1 (ko) * 2020-07-16 2020-12-24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울타리용 유동 브라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747Y1 (ko) * 2007-06-24 2008-06-30 송창열 프레임 조립용 용접고정형 슬리브와 이를 이용한 에어컨실외기용 거치대 및 난간 조립구조
KR100955424B1 (ko) 2008-02-28 2010-05-04 정웅선 앵커 지주
KR101703929B1 (ko) * 2016-02-23 2017-02-08 주식회사 비와이물산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KR101833211B1 (ko) * 2017-11-10 2018-03-02 주식회사 딕누리 간살 연결 지지구
KR102195073B1 (ko) * 2020-07-16 2020-12-24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지면의 높낮이 및 수평방향 선형에 대응하여 레일설치를 제공하는 울타리용 유동 브라켓을 구비하는 울타리
KR102195071B1 (ko) * 2020-07-16 2020-12-24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울타리용 유동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3295C (en) Railing with pivotally connected pickets
US7044450B2 (en) Quick rail system with adjustable support
KR20000068157A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US6860472B2 (en) Quick rail system
JPH08506864A (ja) プレファブ方式で製造された規格部品から成る保護柵
US20200032565A1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KR200299629Y1 (ko) 난간 조립 유니트
US20050127346A1 (en) Bracket system for attaching elongated members
KR102149413B1 (ko) 계단난간
KR102049362B1 (ko) 난간 연결구조체
KR101663738B1 (ko) 계단용 난간
EP234239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alustrade and balustrade
KR200443024Y1 (ko) 계단용 난간 지주
CA2687925C (en) Extendable baluster assembly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US20050224777A1 (en) Connector fitting for railing components
CA2471161C (en) Quick rail system with adjustable support
KR200236798Y1 (ko) 건축물의 계단 난간봉
KR102620886B1 (ko) 난간
KR102254953B1 (ko) 계단 난간용 지주의 각도조절구조체
KR102293307B1 (ko)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조체
JP3081170B2 (ja) 手摺りの支柱構造
KR101910747B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
KR200189726Y1 (ko) 계단 난간의 핸드바와 모서리 보호대 연결장치
KR200259036Y1 (ko) 계단난간 제작용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