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738B1 - 계단용 난간 - Google Patents

계단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738B1
KR101663738B1 KR1020160021093A KR20160021093A KR101663738B1 KR 101663738 B1 KR101663738 B1 KR 101663738B1 KR 1020160021093 A KR1020160021093 A KR 1020160021093A KR 20160021093 A KR20160021093 A KR 20160021093A KR 101663738 B1 KR101663738 B1 KR 101663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bracket
fixing
fixed
balustr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도
Original Assignee
노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도 filed Critical 노상도
Priority to KR102016002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난간대와, 난간대의 상부에 직교상태로 설치되어 경사를 이루는 핸드레일 및 난간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는 일측 및 설치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경사를 갖는 핸드레일이나 계단의 지면에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연결되는 타측이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난간대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고정브래킷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을 중심으로 편축회전된 상태로 경사를 갖는 핸드레일이나 계단의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모션브래킷과 모션브래킷의 일측을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와, 모션브래킷의 타측을 관통하고, 핸드레일의 저면이나 계단의 지면에 설치된 체결구에 체결되어 모션브래킷을 핸드레일이나 계단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고정브래킷은 난간대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난간대와 일체를 이루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 돌출형성되어 난간대와 일렬로 정렬되는 폴을 포함하고, 모션브래킷은 힌지에 의해 일측이 고정브래킷에 고정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고정볼트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나사공이 타측에 형성된 막대형의 회전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난간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계단용 난간{BALUYSTRADE FOR STAIRWAY}
본 발명은 계단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단의 경사와 평행하게 핸드레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여 난간의 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계단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계단이나 베란다 및 다르 등의 난간에 설치되어 보행하거나 서 있는 사람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시공된다.
특히, 계단에 시공되는 난간은 계단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수직 포스트와 수직 포스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평 포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 포스트와 수평 포스트는 원형이나 타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계단에 시공되는 난간은 수직 포스트의 외주면에 수평 포스트의 양단부를 용접하여 수직 포스트에 수평 포스트를 결합하거나 수직 포스트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수직 포스트의 삽입공으로 수평 포스트를 삽입하고 나서 삽입공의 주변을 용접하여 수직 포스트와 수평 포스트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계단용 난간은 수직 포스트의 외주면에 수평 포스트를 용접하기 때문에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 수직 포스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수평 포스트의 양단부를 경사지게 절단하고, 절단된 단부를 수직 포스트의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하기 때문에 계단의 경사도에 부합하게 수평 포스트의 양단부를 경사지게 절단 및 용접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수평 포스트에 대한 양단부의 절단이 불량하거나 절단된 수평 포스트와 수직 포스트의 용접이 불량한 경우 난간의 변형이나 손상되기 때문에 난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43024호의 "계단용 난간 지주"가 있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계단의 코너부 측면에 타설한 앵커볼트로 난간부재가 조립되는 지주를 결합함에 있어서, 계단의 코너부 측면 상하측에 타설한 2개의 메인 앵커볼트 및 상측 메인 앵커볼트의 옆에 타설되는 보조 앵커볼트와, 상기 메인 앵커볼트 및 보조 앵커볼트에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메인 앵커볼트에 결합한 고정구에 조립되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 기초지주와, 상기 기초지주에 끼워지며 메인지주의 하단에 절곡 형성한 연결부 및 연결부 상측에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상/하측에 용접하여 메인지주와 일체로 형성한 결합구와, 상기 보조 앵커볼트에 결합된 고정구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결부에 마련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조립공을 통해서 고정구에 내장 설치된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난간 지주가 개시되지만, 상기와 같은 계단용 난간 지주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77663호의 "계단난간"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계단난간은 계단의 코너부 측면에 계단과 수평방향으로 타설된 2개의 앵커볼트에 지주고정봉을 결합 고정하고, 상기 지주고정봉에는 결합공이 하단부에 마련된 지주를 결합하여 고정나사로 고정하며, 상기 지주의 상하 좌우측에는 난간을 결합할 수 있게 선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난간결합봉을 고정하고, 상기 난간고정봉에는 난간에 형성된 결합공을 결합하여 너트로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이 개시되지만 상기와 같은 계단난간은 계단의 경사와 평행하게 핸드레일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한 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01185호의 "계단용 핸드바의 코너링"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엘보관의 사이에 커버관체를 씌운 연결관체를 삽설하므로서 엘보관의 경사도가 임의 조절되게 하고 엘보관의 외단에는 커넥터를 끼워서 통상의 핸드바에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계단용 핸드바의 코너링이 개시되지만 연결관체가 고정되지 않아 엘보관의 각도를 임의 조절한 후 이를 고정할 수 없어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한 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01187호의 "계단용 핸드바 고정장치", 공고실용신안 제20-1994-0008462호의 "건축용난간지주대", 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01186호의 "건축용난간지주대"는 핸드바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축지편, 장식부재의 가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KR 10-1570672 B (2015.11.16) KR 20-0443024 B (2008.12.22) KR 20-0277663 B (2002.05.27) KR 20-1994-0001185 A (1994.01.03) KR 20-1994-0001186 A (1994.01.03) KR 20-1994-0001187 A (1994.01.03) KR 10-0797190 B (2008.01.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계단의 경사와 평행하게 핸드레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여 난간의 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계단용 난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난간대와, 상기 난간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경사를 이루는 핸드레일 및 상기 난간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는 일측 및 설치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경사를 갖는 상기 핸드레일이나 상기 계단의 지면에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연결되는 타측이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난간대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을 중심으로 편축회전된 상태로 경사를 갖는 상기 핸드레일이나 상기 계단의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모션브래킷과 상기 모션브래킷의 일측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와, 상기 모션브래킷의 타측을 관통하고, 상기 핸드레일의 저면이나 상기 계단의 지면에 설치된 체결구에 체결되어 상기 모션브래킷을 상기 핸드레일이나 상기 계단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난간대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난간대와 일체를 이루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난간대와 일렬로 정렬되는 폴을 포함하고, 상기 모션브래킷은 상기 힌지에 의해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나사공이 타측에 형성된 막대형의 회전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난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그 상단이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모션브래킷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고정브래킷의 곡면에 안내되도록 상기 회전블록에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모션브래킷과 일체로 형성되되 모션브래킷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양 갈래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난간대에 각각 설치된 핸드레일과 핸드레일을 일체로 연결하는 코너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 체결유닛은 상기 핸드레일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대를 향해 절곡되며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한 쌍의 앵글 관과, 상기 앵글 관이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암수형의 결합체로 이루어져 결합된 부분이 한 쌍의 앵글 관 사이에 위치하는 제1부시 및 제2부시와, 상기 제1부시와 제2부시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앵글 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부시와 제2부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마감 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부시 및 제2부시는 상기 앵글 관의 중공에 접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드레일은 계단이 위치한 벽면에 고정되어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제1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유닛은 상부가 상기 핸드레일에 고정되며 하부에 결속 홀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결속 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된 연결파이프와, 하단이 계단이 위치한 벽면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연결파이프에 연결되는 제1앵커볼트와, 상기 연결파이프에 관통되어 상기 벽면에 밀착되는 제1스커트 및 상기 연결부를 상기 핸드레일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측으로 상기 연결파이프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결속 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돌출부와 직교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제1체결공이 형성된 직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결속 홀에 삽입된 연결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볼트와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간대와 난간대 사이에 마련되는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펜스는 상기 난간대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핸드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 수평대와, 상기 하부 수평대와 핸드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난간대에 고정되는 상부 수평대 및 상기 하부 수평대와 상부 수평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수평대와 상부 수평대는 제각기 고정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스트는 그 하단이 상기 계단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계단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관통파이프와, 선단이 상기 계단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파이프의 중공에 은폐되는 제2앵커볼트와, 상기 관통파이프에 관통되어 상기 계단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스커트 및 상기 관통파이프의 자유단을 마감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앵커볼트는 그 일부가 상기 계단의 측면에 매립 시공되는 매립부 및 상기 계단의 측면으로 노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로 구성된 고정부 및 상기 나사부에 관통되며 상기 계단의 측면에 밀착되는 부시플랜지와, 상기 나사부와 나사산 체결되어 상기 부시플랜지를 상기 계단의 측면으로 가압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플랜지는 상기 관통파이프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파이프의 외주면이 펀칭되어 외주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관통파이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에 의하면, 난간대에 설치된 커넥터의 모션브래킷이 고정브래킷과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게 되어 계단의 경사에 따라 모션브래킷을 회전시켜 핸드레일과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계단의 경사도에 따른 핸드레일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션브래킷이 고정브래킷과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때 힌지가 양 갈래로 갈라져 힌지가 고정브래킷의 조립 홀에 설치되었을 때 힌지의 양 갈래가 조립 홀의 외측으로 벌어져 모션브래킷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게 될 때 모션브래킷이 자중에 의해 계단의 지면을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션브래킷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이로부터 핸드레일을 계단의 경사와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모션브래킷의 회전블록에 가이드가 형성됨으로써 모션브래킷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될 때 회전블록의 가이드가 고정브래킷의 상단에 형성된 곡면과 마주하여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션브래킷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회전블록에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은 모션브래킷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여타 다른 형상에 비해 가공이 용이하여 모션브래킷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핸드레일과 핸드레일을 연결하는 코너 체결유닛의 제1부시와 제2부시가 앵글 관의 중공에 접착 고정되어 핸드레일과 코너 체결유닛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포스트를 계단의 측면에 고정할 때 제2앵커볼트를 계단의 측면에 밀착시키는 부시플랜지와 포스트를 제2앵커볼트와 연결시키는 관통파이프를 펀칭가공에 의해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난간대와 핸드레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난간대와 핸드레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B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코너 체결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7은 코너 체결유닛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C부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핸드레일에 마련되는 제1고정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제1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포스트의 고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D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은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난간대(100), 난간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핸드레일(200), 난간대(100)의 앙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어 계단의 경사에 맞게 각도가 조절되는 커넥터(3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난간대(100)는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계단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어 핸드레일(200)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난간대(10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난간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포스트(500) 및 펜스(400)에 의해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난간대(100)의 하단이 계단의 지면에 시공되어 계단의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난간대(100)는 계단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핸드레일(200)을 고정하게 되는데, 핸드레일(200)은 난간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핸드레일(200)은 중공된 관의 형상을 갖되 저면에 커넥터(300)가 삽입되는 개구(203)가 형성되는데, 이때 개구(203)는 핸드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핸드레일(200)은 그 내부를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수평격벽(201)이 형성되며, 수평격벽(201)과 일체로 형성되며 개구(203)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격벽(202)이 형성되어 핸드레일(20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203)를 통해 커넥터(300)가 핸드레일(200)에 삽입될 때 한 쌍의 수직격벽(202)이 커넥터(300)의 양측에서 커넥터(300)를 안내하게 된다.
또한, 핸드레일(200)의 내부에 형성된 수평격벽(201)은 그 일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운 보강부(201a)를 형성하게 되는데, 보강부(201a)는 한 쌍의 수직격벽(202) 사이에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커넥터(300)와 핸드레일(200)을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볼트(340)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고정볼트(340)에 의해 커넥터(300)와 핸드레일(200)이 고정될 때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보강부(20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八'와 같은 형태의 노치가 중앙에 형성된다. 노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브래킷(320)을 관통한 고정볼트(340)의 단부가 삽입된다.
한편, 커넥터(300)는 난간대(100)와 핸드레일(200)을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 난간대(10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는 일측 및 설치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경사를 갖는 핸드레일(200)이나 계단의 지면에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연결되는 타측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300)는 난간대(100)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브래킷(310), 고정브래킷(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션브래킷(320), 모션브래킷(320)이 고정브래킷(3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330), 모션브래킷(320)을 핸드레일(200) 또는 계단의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볼트(3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300)의 구조를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난간대와 핸드레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난간대와 핸드레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브래킷(310)은 난간대(100)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베이스(311)와 폴(312)로 구성되는데, 베이스(311)는 난간대(100)의 단부에 위치하며 그 상단이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단에 반원의 곡면을 형성한 베이스(311)는 힌지(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조립 홀(313)이 형성된다.
또한, 폴(312)은 베이스(311)와 난간대(100)의 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베이스(31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난간대(100)와 베이스(311)를 일렬로 정렬하게 된다. 이러한 폴(312)은 난간대(100)의 외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즉 난간대(100)에 끼움가능한 지름을 갖는 숄더부(312a)가 형성되어 난간대(100)의 단부에 숄더부(312a)가 억지끼움되거나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브래킷(31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모션브래킷(320)은 일측이 고정브래킷(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을 중심으로 편축 회전된 상태로 경사를 갖는 핸드레일(200)이나 계단의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이러한 모션브래킷(320)은 힌지(330)에 의해 일측이 고정브래킷(310)에 고정되어 힌지(330)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고정볼트(340)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나사공(321a)이 타측에 형성된 막대형의 회전블록(321)으로 구성된다. 이때, 회전블록(321)의 폭은 핸드레일(20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203)의 폭과 동일하거나 개구(203)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모션브래킷(320)이 핸드레일(200)에 고정될 때 회전블록(321)의 상면이 핸드레일(200)의 수평격벽(201)과 면접촉하게 된다.
특히, 모션브래킷(320)은 힌지(3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될 때 고정브래킷(310)의 베이스(311) 상단에 형성된 반원의 형상을 갖는 곡면에 안내되도록 회전블록(321)에 가이드(321b)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321b)는 고정브래킷(310)의 베이스(311) 상단에 형성된 반원의 형상을 갖는 곡면에 부합하는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블록(321)에 가이드(321b)가 형성되면 모션브래킷(320)이 힌지(3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될 때 회전블록(321)의 가이드(321b)가 고정브래킷(310)의 상단에 형성된 곡면과 마주하여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션브래킷(32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회전블록(321)에 가이드(321b)를 형성하는 것은 모션브래킷(32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여타 다른 형상에 비해 가공이 용이하여 모션브래킷(32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즉, 모션브래킷(320)의 회전블록(321)에 가이드(321b)를 형성하는 것은 고정브래킷(310)의 상단 곡면에 부합하게 회전블록(321)의 일부를 곡면으로 절삭하는 것으로 가이드(321b)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브래킷(310)과 모션브래킷(320)은 힌지(330)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330)를 중심으로 모션브래킷(320)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힌지(330)는 모션브래킷(320)의 일측에 형성되어 고정브래킷(310)의 베이스(311)에 형성된 조립 홀(313)에 결합된다. 이때, 힌지(330)는 모션브래킷(320)의 일측과 일체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힌지(330)는 모션브래킷(32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양 갈래로 분할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힌지(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브래킷(320)의 일측에서 베이스(311)에 형성된 조립 홀(313)을 향해 돌출되는데, 이때 힌지(330)는 중공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되 양 갈래로 양분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힌지(330)가 양 갈래로 양분된 형상을 갖게 되면 모션브래킷(320)이 고정브래킷(310)의 베이스(311)에 형성된 조립 홀(3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330)의 자유단에 형성된 중공에 정과 같은 도구를 삽입하고 타격하는 것으로 힌지(330)의 자유단이 조립 홀(313)의 외측으로 벌어져 힌지(330)가 베이스(311)의 조립 홀(313)로부터 무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모션브래킷(320)이 고정브래킷(310)의 조립 홀(31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힌지(330)가 양 갈래로 양분된 형상을 갖고 고정브래킷(310)의 조립 홀(3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타격하는 것에 따라 힌지(330)의 양 갈래가 조립 홀(313)의 외측으로 벌어져 조립 홀(313)과 밀착되어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모션브래킷(3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게 될 때 모션브래킷(320)이 자중에 의해 계단의 지면을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션브래킷(320)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고정볼트(340)는 모션브래킷(320)의 타측을 관통하고 핸드레일(200)의 저면이나 계단의 지면에 설치된 체결구(미도시)에 체결되어 모션브래킷(320)을 핸드레일(200)이나 계단에 일체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특히, 핸드레일(200)과 모션브래킷(320)이 고정볼트(340)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될 때 고정볼트(340)는 모션브래킷(320)을 관통하여 핸드레일(200)의 내부에 형성된 수평격벽(201)의 보강부(201a)와 나사산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핸드레일(200)의 보강부(201a)는 핸드레일(200)의 다른 부분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모션브래킷(320)의 회전블록(321)에 형성된 나사공(321a)을 관통한 고정볼트(340)가 핸드레일(200)과 고정될 때 고정볼트(340)와 보강부(201a)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안정적으로 모션브래킷(320)을 핸드레일(20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은 난간대(100)와 핸드레일(200)이 상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상층부) 및 하층으로 내려가는 계단(하층부)에 제각기 설치되고 상층부 및 하층부가 만나는 중간층에 위치한 핸드레일(200)을 연결하는 코너 체결유닛(210)이 마련된다. 이를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B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코너 체결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7은 코너 체결유닛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코너 체결유닛(210)은 난간대(100)에 각각 설치된 핸드레일(200)과 핸드레일(200)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으로, 한 쌍의 앵글 관(211), 제1부시(212) 및 제2부시(213), 체결부재(214), 마감 링(215)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한 쌍의 앵글 관(211)은 핸드레일(200)의 단부에 제각기 설치되며 상대편 앵글 관(211)을 향해 절곡되고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제1부시(212) 및 제2부시(213)는 한 쌍의 앵글 관(211)이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제각기 마련되며 암수형의 결합체로 이루어져 결합된 부분이 한 쌍의 앵글 관(21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1부시(212) 및 제2부시(213)는 체결부재(21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데, 체결부재(214)는 제1부시(212)의 일측에서 제1부시(212)의 축선과 동일한 방향에서 제1부시(212) 및 제2부시(213)를 관통하는 볼트(214a)와 제2부시(213)를 관통한 볼트(214a)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214b)로 구성된다.
이때, 제1부시(212) 및 제2부시(213)의 외경 지름은 앵글 관(211)의 내경에 부합하게 형성되어 제1부시(212) 및 제2부시(213)에 의해 한 쌍의 앵글 관(211)이 일체적으로 연결될 때 제1부시(212) 및 제2부시(213) 각각은 앵글 관(211)의 중공에 접착 고정된다.
또한, 체결부재(214)가 제1부시(212) 및 제2부시(213)를 관통하여 일체로 연결하게 될 때 체결부재(214)의 볼트(214a) 및 너트(214b)가 무단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부시(212) 및 제2부시(213)에 의해 한 쌍의 앵글 관(211)이 일체로 연결될 때 앵글 관(211)과 앵글 관(211)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제1부시(212) 및 제2부시(21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마감 링(215)이 설치된다. 이러한 마감 링(215)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관(211)과 앵글 관(211)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200)과 앵글 관(211)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핸드레일(200)이 난간대(100)에 고정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 계단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200)은 제1고정유닛(220)이 마련된다. 이를 도 8 및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2의 C부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핸드레일에 마련되는 제1고정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제1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고정유닛(220)은 연결부(221), 연결파이프(222), 제1앵커볼트(223), 제1스커트(224), 체결볼트(225)로 구성된다.
연결부(221)는 상부가 핸드레일(200)에 고정되며 하부에 결속 홀(221a)이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부(221)는 일측으로 연결파이프(222)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결속 홀(221a)이 형성된 하우징(221b)과 하우징(221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221c), 돌출부(221c)의 단부에서 돌출부(221c)와 직교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체결볼트(225)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제1체결공(221e)이 형성된 직교부(221d), 하우징(221b)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결속 홀(221a)에 삽입된 연결파이프(222)를 가압하는 가압볼트(221f)와 나사체결되도록 하우징(221b)에 형성된 제2체결공(221g)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221)는 하우징(221b)에 형성된 결속 홀(221a)에 연결파이프(22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계단이 위치한 벽면과 핸드레일(200)을 연결하게 된다. 또한, 계단이 위치한 벽면에는 제1앵커볼트(223)가 시공되며, 이러한 제1앵커볼트(223)는 상단이 연결파이프(222)에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1앵커볼트(223)가 시공된 계단의 벽면에는 연결파이프(222)에 관통되어 벽면에 밀착되는 제1스커트(224)가 마련되어 연결파이프(222)와 계단의 벽면이 맞닿는 부분을 은폐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볼트(225)는 연결부(221)를 핸드레일(200)에 일체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볼트(225)는 앞서 설명한 커넥터의 모션브래킷(320)을 핸드레일(20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340)와 유사하다.
즉, 체결볼트(225)는 연결부(221)의 직교부(221d)에 형성된 제1체결공(221e)을 관통하여 핸드레일(200)의 내부에 형성된 수평격벽(201)의 보강부(201a)와 나사산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체결공(221e)이 형성된 직교부(221d)는 그 폭이 핸드레일(20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203)의 폭과 동일하거나 개구(203)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결부(221)의 직교부(221d)가 핸드레일(200)에 고정될 때 직교부(221d)의 상면이 핸드레일(200)의 수평격벽(201)과 면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고정유닛(220)은 연결부(221)의 하우징(221b)에 형성된 결속 홀(221a)에 연결파이프(22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핸드레일(200)이 설치되는 각도에 따라 연결부(221)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핸드레일(200) 각도에 부합하여 핸드레일(200)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은 난간대(100)와 난간대(100) 사이에 펜스(400)가 마련되어 난간대(100)와 난간대(100) 사이로 보행자가 빠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펜스(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의 상층과 하층에 제각기 설치된 난간대(100)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하여 보행자가 난간대(100)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펜스(400)는 난간대(100)의 하단과 연결되며 핸드레일(20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 수평대(410)와, 하부 수평대(410)와 핸드레일(200) 사이에 설치되며 난간대(100)에 고정되는 상부 수평대(420) 및 하부 수평대(410)와 상부 수평대(420)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대(430)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 수평대(410), 상부 수평대(420), 수직대(43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은 앞서 설명한 펜스(400)를 지지하기 위해 포스트(500)가 마련된다. 포스트(500)는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펜스(400)의 하부 수평대(410) 및 상부 수평대(420)와 연결되는데, 하부 수평대(410) 및 상부 수평대(420)가 포스트(500)와 연결되기 위해 하부 수평대(410) 및 상부 수평대(420)는 제각기 고정파이프(510)가 형성되어 포스트(500)와 연결된다.
또한, 포스트(500)는 그 하단이 계단의 측면에 고정되어 펜스(400)를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포스트(500)는 제2고정유닛에 의해 계단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포스트의 고정을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 중 포스트의 고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스트를 계단의 측면에 고정하기 위해 관통파이프(520), 제2앵커볼트(530), 제2스커트(540), 캡(550)으로 구성된 제2고정유닛이 포스트의 하단에 마련된다.
관통파이프(520)는 포스트(500)의 하단을 관통하여 계단의 측면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관통파이프(52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포스트(500)의 하단이 위치하는 계단의 측면에는 제2앵커볼트(530)가 시공되는데, 제2앵커볼트(530)의 선단은 계단의 측면에 매립 시공되며, 타단이 관통파이프(520)의 중공에 은폐된다.
이때, 제2앵커볼트(530)는 그 일부가 계단의 측면에 매립 시공되는 매립부(531) 및 계단의 측면으로 노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로 구성된 고정부(532) 및 나사부에 관통되며 계단의 측면에 밀착되는 부시플랜지(533)와 나사부와 나사산 체결되어 부시플랜지(533)를 계단의 측면으로 가압하는 너트(5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앵커볼트(530)는 매립부(531)가 계단의 측면에 매립 시공된 상태에서 나사부에 조립된 너트의 조임에 따라 부시플랜지(533)가 계단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제2앵커볼트(530)가 견고하게 계단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계단의 측면에 시공된 제2앵커볼트(530)의 나사부에 관통된 부시플랜지(53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파이프(520)와 고정되기 위해 관통파이프(520)의 중공에 부시플랜지(533)가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파이프(520)의 외주면이 펀칭되어 펀칭된 부분이 부시플랜지(533)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관통파이프(520)와 부시플랜지(533)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2앵커볼트(530)가 계단의 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에 따라 포스트를 관통한 관통파이프(520)가 견고하게 포스트(50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앵커볼트(530)가 시공된 계단의 측면에는 관통파이프(520)에 관통되어 계단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스커트(540)가 마련되어 관통파이프(520)와 계단의 측면이 맞닿는 부분을 은폐하게 된다. 그리고, 포스트(500)를 관통한 관통파이프(520)의 자유단은 캡(550)에 의해 마감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난간은 난간대(100)에 설치된 커넥터(300)의 모션브래킷(320)이 고정브래킷(310)과 힌지(330)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게 되어 계단의 경사에 따라 모션브래킷(320)을 회전시켜 핸드레일(200)과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계단의 경사도에 따른 핸드레일(20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션브래킷(320)이 고정브래킷(310)과 힌지(3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때 힌지(330)가 양 갈래로 갈라져 힌지(330)가 고정브래킷(310)의 조립 홀(313)에 설치되었을 때 힌지(330)의 양 갈래가 조립 홀(313)의 외측으로 벌어져 모션브래킷(3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게 될 때 모션브래킷(320)이 자중에 의해 계단의 지면을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션브래킷(320)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이로부터 핸드레일(200)을 계단의 경사와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모션브래킷(320)의 회전블록(321)에 가이드(321b)가 형성됨으로써 모션브래킷(320)이 힌지(3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될 때 회전블록(321)의 가이드(321b)가 고정브래킷(310)의 상단에 형성된 곡면과 마주하여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션브래킷(32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회전블록(321)에 가이드(321b)를 형성하는 것은 모션브래킷(32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여타 다른 형상에 비해 가공이 용이하여 모션브래킷(32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핸드레일(200)과 핸드레일(200)을 연결하는 코너 체결유닛(210)의 제1부시(212)와 제2부시(213)가 앵글 관(211)의 중공에 접착 고정되어 핸드레일(200)과 코너 체결유닛(21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포스트(500)를 계단의 측면에 고정할 때 제2앵커볼트(530)를 계단의 측면에 밀착시키는 부시플랜지(533)와 포스트(500)를 제2앵커볼트(530)와 연결시키는 관통파이프(520)를 펀칭가공에 의해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난간대(100)의 상단에 커넥터(300)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난간대(100)의 하단에 커넥터(300)가 설치되고, 커넥터(300)의 모션브래킷(320)이 계단의 지면에 고정되어 난간대(100)가 커넥터(320)의 힌지(33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 난간대 200 : 핸드레일
201 : 수평격벽 201a : 보강부
202 : 수직격벽 203 : 개구
210 : 코너 체결유닛 211 : 앵글 관
212 : 제1부시 213 : 제2부시
214 : 체결부재 215 : 마감 링
220 : 제1고정유닛 221 : 연결부
221a : 결속 홀 221b : 하우징
221c : 돌출부 221d : 직교부
221e : 제1체결공 221f : 가압볼트
221g : 제2체결공 222 : 연결파이프
223 : 제1앵커볼트 224 : 제1스커트
225 : 체결볼트 300 : 커넥터
310 : 고정브래킷 311 : 베이스
312 : 폴 312a : 숄더부
313 : 조립홀 320 : 모션브래킷
321 : 회전블록 321a : 나사공
321b : 가이드 330 : 힌지
340 : 고정볼트 400 : 펜스
410 : 하부 수평대 420 : 상부 수평대
430 : 수직대 500 : 포스트
510 : 고정파이프 520 : 관통파이프
530 : 제2앵커볼트 531 : 매립부
532 : 고정부 533 : 부시플랜지
534 : 너트 540 : 제2스커트
550 : 캡

Claims (8)

  1.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난간대;
    상기 난간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경사를 이루는 핸드레일; 및
    상기 난간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는 일측 및 설치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경사를 갖는 상기 핸드레일이나 상기 계단의 지면에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연결되는 타측이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난간대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을 중심으로 편축회전된 상태로 경사를 갖는 상기 핸드레일이나 상기 계단의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모션브래킷;
    상기 모션브래킷의 일측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
    상기 모션브래킷의 타측을 관통하고, 상기 핸드레일의 저면이나 상기 계단의 지면에 설치된 체결구에 체결되어 상기 모션브래킷을 상기 핸드레일이나 상기 계단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난간대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난간대와 일체를 이루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난간대와 일렬로 정렬되는 폴;을 포함하고,
    상기 모션브래킷은
    상기 힌지에 의해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나사공이 타측에 형성된 막대형의 회전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그 상단이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모션브래킷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고정브래킷의 곡면에 안내되도록 상기 회전블록에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모션브래킷과 일체로 형성되되 모션브래킷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양 갈래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난간대에 각각 설치된 핸드레일과 핸드레일을 일체로 연결하는 코너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 체결유닛은
    상기 핸드레일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대를 향해 절곡되며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한 쌍의 앵글 관;
    상기 앵글 관이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암수형의 결합체로 이루어져 결합된 부분이 한 쌍의 앵글 관 사이에 위치하는 제1부시 및 제2부시;
    상기 제1부시와 제2부시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앵글 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부시와 제2부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마감 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시 및 제2부시는,
    상기 앵글 관의 중공에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난간대와 난간대 사이에 마련되는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펜스는,
    상기 난간대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핸드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 수평대;
    상기 하부 수평대와 핸드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난간대에 고정되는 상부 수평대; 및
    상기 하부 수평대와 상부 수평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수평대와 상부 수평대는 제각기 고정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포스트는 그 하단이 상기 계단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계단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관통파이프;
    선단이 상기 계단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파이프의 중공에 은폐되는 제2앵커볼트;
    상기 관통파이프에 관통되어 상기 계단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스커트; 및
    상기 관통파이프의 자유단을 마감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앵커볼트는
    그 일부가 상기 계단의 측면에 매립 시공되는 매립부 및 상기 계단의 측면으로 노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로 구성된 고정부; 및
    상기 나사부에 관통되며 상기 계단의 측면에 밀착되는 부시플랜지;
    상기 나사부와 나사산 체결되어 상기 부시플랜지를 상기 계단의 측면으로 가압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플랜지는 상기 관통파이프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파이프의 외주면이 펀칭되어 외주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관통파이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넥터의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폴의 단부에 동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난간대의 단부에 끼움가능한 지름을 갖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난간대의 단부에 끼움으로 고정되는 숄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힌지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조립 홀에 삽입되어 양갈래로 분할된 단부가 조립 홀의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브래킷에 상기 모션브래킷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모션브래킷이 삽입되는 개구가 저면에 형성된 중공관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수평을 이루는 수평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격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향해 이격 상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격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평격벽은,
    상기 수직격벽들 사이에 형성되고,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모션브래킷을 관통한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가 삽입되는 노치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핸드레일을 계단이 위치한 벽면에 고정하여 상기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제1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유닛은,
    상기 핸드레일에 상부가 고정되며 하부에 결속 홀이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결속 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된 연결파이프;
    상기 계단이 위치한 벽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연결파이프에 연결되는 제1앵커볼트;
    상기 연결파이프에 관통되어 상기 벽면에 밀착되는 제1스커트; 및
    상기 연결부를 상기 핸드레일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파이프가 일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결속 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돌출부와 직교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제1체결공이 형성된 직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결속 홀에 삽입된 연결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볼트와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계단용 난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21093A 2016-02-23 2016-02-23 계단용 난간 KR101663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93A KR101663738B1 (ko) 2016-02-23 2016-02-23 계단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93A KR101663738B1 (ko) 2016-02-23 2016-02-23 계단용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738B1 true KR101663738B1 (ko) 2016-10-07

Family

ID=5714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093A KR101663738B1 (ko) 2016-02-23 2016-02-23 계단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7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6776A (zh) * 2018-11-27 2019-02-05 中建二局第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扶手节点连接配件及扶手
KR20210000211U (ko) * 2019-07-18 2021-01-27 홍승표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CN113431273A (zh) * 2021-05-11 2021-09-24 南京银城建设发展股份有限公司 可分体安装的安全扶手固定安装件
US11136764B2 (en) * 2018-05-04 2021-10-05 Vinylast, Inc. Bracket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swivel capabilitie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185A (ko) 1992-06-24 1994-01-10 디. 씨. 에이블스 다면체의 주 차폐체 및 제거할 수 있는 원자로용기 단열재를 갖는 원자로
KR940001187A (ko) 1992-06-24 1994-01-11 고든 에이치. 텔퍼 발전소 펌프모터의 보수장치
KR19980059578U (ko) * 1998-07-18 1998-10-26 백종호 계단 핸드바용 코너링의 연결수단
KR200277663Y1 (ko) 2002-03-05 2002-06-07 노상도 계단난간
KR100797190B1 (ko) 2006-12-19 2008-01-23 노상도 계단난간
KR200443024Y1 (ko) 2007-07-06 2009-01-07 노상도 계단용 난간 지주
KR20150031511A (ko) * 2013-09-16 2015-03-25 최범식 계단 난간대의 지주 각도조절장치
KR101570672B1 (ko) 2015-07-08 2015-11-20 주식회사 승일실업 난간대 각도 조절용 지주 체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185A (ko) 1992-06-24 1994-01-10 디. 씨. 에이블스 다면체의 주 차폐체 및 제거할 수 있는 원자로용기 단열재를 갖는 원자로
KR940001187A (ko) 1992-06-24 1994-01-11 고든 에이치. 텔퍼 발전소 펌프모터의 보수장치
KR19980059578U (ko) * 1998-07-18 1998-10-26 백종호 계단 핸드바용 코너링의 연결수단
KR200277663Y1 (ko) 2002-03-05 2002-06-07 노상도 계단난간
KR100797190B1 (ko) 2006-12-19 2008-01-23 노상도 계단난간
KR200443024Y1 (ko) 2007-07-06 2009-01-07 노상도 계단용 난간 지주
KR20150031511A (ko) * 2013-09-16 2015-03-25 최범식 계단 난간대의 지주 각도조절장치
KR101570672B1 (ko) 2015-07-08 2015-11-20 주식회사 승일실업 난간대 각도 조절용 지주 체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6764B2 (en) * 2018-05-04 2021-10-05 Vinylast, Inc. Bracket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swivel capabilities
CN109306776A (zh) * 2018-11-27 2019-02-05 中建二局第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扶手节点连接配件及扶手
KR20210000211U (ko) * 2019-07-18 2021-01-27 홍승표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KR200494590Y1 (ko) * 2019-07-18 2021-11-11 홍승표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CN113431273A (zh) * 2021-05-11 2021-09-24 南京银城建设发展股份有限公司 可分体安装的安全扶手固定安装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738B1 (ko) 계단용 난간
CA2413295C (en) Railing with pivotally connected pickets
US20220333401A1 (en) Vertical cable rail barrier
CN100465403C (zh) 一种包括扶手、面板和柱子的组件及其连接器
US7044450B2 (en) Quick rail system with adjustable support
US11692383B2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US6860472B2 (en) Quick rail system
US20050127346A1 (en) Bracket system for attaching elongated members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102049362B1 (ko) 난간 연결구조체
KR101181673B1 (ko) 평철간살 밴딩형 조립식 발코니난간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CA2687925C (en) Extendable baluster assembly
KR101852139B1 (ko) 계단용 난간지주
KR0132118Y1 (ko)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
KR19990004731U (ko) 계단용 난간기둥과 가이드레일의 연결구조
KR20100001977U (ko) 난간의 고정구조
KR102451668B1 (ko) 난간 구조체
KR102293307B1 (ko)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조체
KR102526473B1 (ko) 안전난간
KR200463290Y1 (ko) 핸드레일코너 연결구조
KR200259035Y1 (ko) 계단 난간기둥과 가이드레일 연결구
KR102620886B1 (ko) 난간
KR0132119Y1 (ko) 건물계단용난간
KR101994679B1 (ko) 난간용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