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590Y1 -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590Y1
KR200494590Y1 KR2020190003017U KR20190003017U KR200494590Y1 KR 200494590 Y1 KR200494590 Y1 KR 200494590Y1 KR 2020190003017 U KR2020190003017 U KR 2020190003017U KR 20190003017 U KR20190003017 U KR 20190003017U KR 200494590 Y1 KR200494590 Y1 KR 200494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dle
handle member
handrail
flexib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211U (ko
Inventor
홍승표
Original Assignee
홍승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표 filed Critical 홍승표
Priority to KR2020190003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9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2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04F11/184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of variable curvature; flex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85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 E04F2011/1897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mainly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계단의 난간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도록 고정되는 하부서포트와, 손잡이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서포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로 이루어지는 서포트부재; 상기 서포트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계단의 난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게 플렉시블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재;를 마련하여 계단 난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연속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의 표면을 매끈하게 유지하여 보행자가 손으로 잡을 경우 상해 등을 입지 않도록 하며, 획일적인 계단 난간의 손잡이를 보다 미려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Handrail for stair railing}
본 고안은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단 난간대의 손잡이를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계단 난간대의 손잡이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계단 난간대의 손잡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계단에 설치하여 통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계단난간에는 계단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핸드레일과 하부에 상기 핸드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로대, 그리고 상기 핸드레일과 가로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세로대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하층계단 난간과 상층계단 난간의 접속지점에는 서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코너 연결구조가 구비된다.
즉, 한쪽은 하층계단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다른 한쪽은 상층계단을 따라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각 핸드레일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계단난간은 상층 핸드레일과 하층 핸드레일을 연결하기 위해 상층 핸드레일 및 하층 핸드레일 사이의 코너부에 연결되는 관을 볼트에 의한 연결이나 관의 면을 각도를 내어 절단 후 맞대기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였다.
이러한 연결방법은 상층 핸드레일 및 하층 핸드레일 사이의 코너부에 관을 연결할 때 상층 핸드레일 및 하층 핸드레일의 상하 각도에 맞추어 연결하게 된다.
계단의 경사도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핸드레일과 핸드레일을 받쳐주면서 계단의 단에 입설되는 수직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파이프는 그 하단이 각 계단의 단과 계단참에 매설된 앵커볼트의 머리에 밀착되어 밀착부의 외주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용접을 하여 계단참, 층계의 중심에 수직으로 직립 되게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직파이프 설치방식은 수직파이프와 앵커볼트의 밀착부를 일일이 용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용접 부위로 인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므로 다시 별도의 보호캡으로 마감처리를 하여야 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직파이프를 계단의 단마다 설치되면서 난간 설치 시간이 증가하면서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또한 설치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수직파이프를 현장에서 직접 용접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좁은 계단에서 용접작업을 진행하다 보니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경사진 계단 난간을 용접 시공하기 위해서는 숙련자가 아니면 쉽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일정 각도로 경사진 계단 난간을 시공하기도 어렵고, 그만큼 시공 시간과 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원가절감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계단 난간에는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함은 물론 노약자 등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계단 난간의 상부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있으나, 손잡이를 용접 등으로 시공함에 따라 용접 비드에 의해 손을 다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계단용 난간 지주'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계단용 난간 지주는 계단의 코너부 측면에 타설한 앵커볼트로 난간부재가 조립되는 지주를 결합함에 있어서, 계단의 코너부 측면 상하측에 타설한 2개의 메인 앵커볼트 및 상측 메인 앵커볼트의 옆에 타설되는 보조 앵커볼트와, 상기 메인 앵커볼트 및 보조 앵커볼트에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메인 앵커볼트에 결합한 고정구에 조립되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 기초지주와, 상기 기초지주에 끼워지며 메인지주의 하단에 절곡 형성한 연결부 및 연결부 상측에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상/하측에 용접하여 메인지주와 일체로 형성한 결합구와, 상기 보조 앵커볼트에 결합된 고정구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결부에 마련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조립공을 통해서 고정구에 내장 설치된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계단 난간용 핸드레일'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계단 난간용 핸드레일은 알루미늄제로 되어 벽체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에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부착부에서 외측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 상단에서 위를 향해 굽어지는 고정돌부가 형성되며 부착부 외면에 합성수지제카버가 피복되는 고정구와, 알루미늄제로 되어 중심부에서 저면으로 개방되게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 하단부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핸드레일심재와 핸드레일 심재 외면에 피복되도록 PVC 소재로 성형되어 개방부 내측에 내향으로 걸림부가 형성되어 결합홈에 결합하는 핸드레일외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고정돌부 상단 중심에서 내측으로 향하게 형성되는 절개홈과 절개홈의 외측 표면에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톱니형으로 요철된 결착면과 핸드레일심재의 결합홈 내벽에 형성되어 결착면과 결합하도록 톱니형으로 요철된 결착면과 결합홈의 개방부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 외면에 형성되어 핸드레일 외피 내면에 접촉하는 볼록곡면돌출부와 핸드레일외피의 표면에 형성되는 여러개의 요철선으로 된 미끄럼방지돌조와 반사테이프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3024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325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6708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계단의 난간을 구성하는 손잡이부재를 용접 작업 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재를 플렉시블관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계단 난간의 손잡이를 건물의 여러 층에 연속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재의 외면에 일정 두께를 갖는 수지관으로 형성하여 손잡이의 파지 시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의 외면에 무늬지를 부착하여 손잡이의 디자인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는 계단의 난간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도록 고정되는 하부서포트(11)와, 손잡이부재(20)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서포트(11)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15)로 이루어지는 서포트부재(10); 상기 서포트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계단의 난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게 플렉시블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재(1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하부서포트(11); 상기 상부서포트(12)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서포트(11)의 상단에 체결되는 체결봉(12); 상기 체결봉(12)의 상면에 체결되는 체결수직봉(16)과, 상기 체결프레임(16)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봉(17)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서포트(15); 상기 손잡이부재(20)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상부서포트(15)의 일측에 설치되는 안착프레임(18); 상기 손잡이부재(20)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프레임(18)의 상면에 형성되는 원호면(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재(20)는 계단 난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변형공간이 형성된 플렉시블관(21);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되는 연질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관(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렉시블관(21)은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내면에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변형부(21a);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신장부(2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내면에 형성되는 절연지관(23); 상기 수지관(22)의 외면에 피복되는 무늬지(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에 의하면, 계단 난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연속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의 표면을 매끈하게 유지하여 보행자가 손으로 잡을 경우 상해 등을 입지 않도록 하며, 획일적인 계단 난간의 손잡이를 보다 미려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에 의하면, 길이가 대략 25m의 길이로 형성된 손잡이부재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재를 절단하지 않고서 건물의 다수 층에 연속되게 설치할 수 있어 손잡이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에 의하면, 손잡이부재를 1층에서부터 설치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손잡이부재로 대략 5층까지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계단 난간의 설치 시 절단 작업, 용접 작업 없이 볼트 또는 리벳 등의 고정수단으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계단 난간의 시공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수가 대폭 줄어들어 계단 난간의 설치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는 계단의 난간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도록 고정되는 하부서포트(11)와, 손잡이부재(20)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서포트(11)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15)로 이루어지는 서포트부재(10), 상기 서포트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계단의 난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게 플렉시블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재(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는 계단 난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연속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의 표면을 매끈하게 유지하여 보행자가 손으로 잡을 경우 상해 등을 입지 않도록 하며, 획일적인 계단 난간의 손잡이를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는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부재(10)와, 상기 서포트부재(10)의 상면에 보행자를 보호하면서 보행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부재(1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하부서포트(11), 상기 상부서포트(12)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서포트(11)의 상단에 체결되는 체결봉(12), 상기 체결봉(12)의 상면에 체결되는 체결수직봉(16)과, 상기 체결프레임(16)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봉(17)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서포트(15), 상기 손잡이부재(20)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상부서포트(15)의 일측에 설치되는 안착프레임(18), 상기 손잡이부재(20)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프레임(18)의 상면에 형성되는 원호면(19)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부재(10)는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하부서포트(11)와, 상기 하부서포트(11)의 상면에 손잡이부재(20)를 안착시키는 상부서포트(1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서포트(11)는 계단의 난간을 형성하고자 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서포트(11)의 상부에는 상부서포트(15)를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체결봉(12)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서포트(15)는 하부서포트(11)에 결합되어 손잡이부재(20)를 안전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상부서포트(15)는 체결봉(12)에 체결되는 수직봉(16)과, 상기 수직봉(16)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봉(1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지지봉(17)의 산단에는 안착프레임(18)이 결합되고, 상기 안착프레임(18)에는 수평지지봉(17)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원호면(19)이 형성된다.
상기 원호면(19)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는 손잡이부재(20)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원호프레임(19)에는 손잡이부재(20)를 고정시키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관통되도록 관통구멍(19a)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재(20)는 계단 난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변형공간이 형성된 플렉시블관(21)과,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되는 연질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관(22)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손잡이부재(10)를 연속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재(2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계단을 따라 연속되게 설치되게 함으로써, 건물의 각 층과 층 사이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설치하지 않고서 다수의 층 사이에 하나의 손잡이부재(20)가 연속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계단 난간에 설치되는 손잡이는 건물의 층과 층 사이에 해당되는 길이로 절단하여 난간을 설치하고,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은 대략 "U"자 형상을 갖는 파이프 등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건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손잡이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이들 손잡이를 U자형 파이프로 연결하기 위한 용접 작업없이 계단 난간의 손잡이를 1층에서부터 대략 5층의 높이까지 하나의 플렉시블관(21)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렉시블관(21)은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내면에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변형부(21a)와,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신장부(21b))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관(21)은 계단을 따라 자유로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플렉시블관(21)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관(21)에는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플렉시블관(21)의 내즉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이격되는 변형부(21a)가 형성된다.
상기 변형부(21a)는 플렉시블관(21)의 내면에서부터 외면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는 플렉시블관(21)의 변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계단 난간에 연속된 손잡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변형부(21a)는 플렉시블관(21)을 변형하고자 하는 변형량에 따라 변형부(21a)의 폭과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변형량이 큰 경우에는 변형부(21a)의 폭을 넓게 형성함은 물론 플렉시블관(2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변형부(21a)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변형향이 작은 경우에는 변형부(21a)의 이격되는 폭을 좁게 형성함을 물론 플렉시블관(2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변형부(21a)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관(21)에는 상기 변형부(21a)와 대응되게 신장부(21b)가 형성된다. 상기 신장부(21b)는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변형부(21a)의 변형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변형 시 플렉시블관(21)의 내면은 변형부(21a)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플렉시블관(21)의 외면은 신장부(21b)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렉시블관(21)의 변형이 원하는 형상으로 자유로이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내면에 형성되는 절연지관(23)와, 상기 수지관(22)의 외면에 피복되는 무늬지(24)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수지관(22)이 결합된다. 상기 수지관(22)은 플렉시블관(21)의 외면을 감싸주어 보행자 등이 손잡이를 잡는 경우,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신축성을 주어 손으로 파지 시 손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나이가 든 노양작 등이 손잡이를 잡는 경우 손잡이로부터 손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여 줌으로써 보행자가 넘어지는 상황에서 손잡이를 보다 확실하게 잡아 넘어지는 전도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지관(22)은 밀착력을 높은 PVC 연질 수지 또는 우레탄 연질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VC 또는 우레탄 외의 연질 수지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내면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절연지관(23)이 설치되며, 상기 수지관(22)의 외면에는 종이 재질의 무늬지(24)가 설치된다.
상기 무늬지(24)에는 나무의 무늬 또는 기타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져 손잡이부재(20)의 외면을 보다 미려하게 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는 하부서포트(11)의 길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하부서포트(11)의 상부에는 상부서포트(15)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봉(12)을 체결한다.
또 상기 체결봉(12)에는 상부서포트(15)의 수직봉(16)를 체결하여 결합하고, 상기 수직봉(16)의 상단에는 손잡이부재(20)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수평지지봉(17)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수직지지봉(17)의 선단에는 손잡이부재(20)가 안착되도록 안착프레임(18)을 결합하고, 상기 안착프레임(18)에는 손잡이부재(2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또는 손잡이부재(20)의 직경보다 큰 원호를 갖는 원호면(19)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안착프레임(18)에는 손잡이부재(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또는 피스 등의 고정수단이 결합되도록 관통구멍(19a)을 형성한다. 이러한 관통구멍(19a)은 원호프레임(18)의 양측에 형성되어 손잡이부재(20)를 양측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일정 직경을 갖는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재(20)는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플렉시블관(21) 및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 형성되는 수지관(22)으로 형성한다.
상기 플렉시블관(21)은 대략 25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관(21)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플렉시블관(21)의 내면에는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이격되게 변형부(21a)를 형성하며, 사기 변형부(21a)는 플렉시블관(21)을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한다.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는 변형부(21a)와 대응되어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신장부(21b)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관(21)에 형성되는 변형부(21a)와 신장부(21b)에 의해 자유로운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수지관(22)을 형성하며, 상기 수지관(22)은 보행자가 손잡이부재(20)의 파지 시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보행자가 위급 상황 시 손잡이를 잡게 되면 손이 밀착되어 전도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내면에는 절연지로 플렉시블관(21)을 감싸주어 손잡이를 잡을 때 정전기 등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 즉 수지관(22)의 외면에는 다양한 디자인이 인쇄된 무늬지(24)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손잡이부재(20)는 계단에 설치된 서포트부재(10)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서포트(15)의 안착프레임(18) 상면에 안착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재(20)가 안착프레임(18)에 안착된 상태에서 관통구멍(19a)에 볼트 또는 리벳 등을 끼운 다음 볼트 또는 리벳으로 손잡이부재(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부재(20)는 그 길이가 대략 25m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재(20)를 절단하지 않고서 건물의 다수 층에 연속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재(20)를 1층에서부터 설치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손잡이부재(20)로 대략 5층까지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계단 난간의 설치 시 절단 작업, 용접 작업 없이 볼트 또는 리벳 등의 고정수단으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계단 난간의 시공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수가 대폭 줄어들어 계단 난간의 설치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서포트부재 11: 하부서포트
12: 체결봉 15: 상부서포트
16: 수직봉 17: 수평지지봉
18: 안착프레임 19: 원호면
19a: 관통구멍
20: 손잡이부재 21: 플렉시블관
21a: 변형부 21b: 신장부
22: 수지관 23: 절연지관
24: 무늬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계단의 난간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도록 고정되는 하부서포트(11)와, 손잡이부재(20)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서포트(11)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15)로 이루어지는 서포트부재(10);
    상기 서포트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계단의 난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게 플렉시블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재(20)는,
    계단 난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변형공간이 형성된 플렉시블관(21);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 소정의 두께로 피복되는 연질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관(22);을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관(21)은,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내면에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변형부(21a) 및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플렉시블관(21)의 외면에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신장부(21b)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재(1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하부서포트(11);
    상기 상부서포트(15)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서포트(11)의 상단에 체결되는 체결봉(12);
    상기 체결봉(12)의 상면에 체결되는 체결수직봉(16)과, 상기 체결수직봉(16)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봉(17)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서포트(15);
    상기 손잡이부재(20)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상부서포트(15)의 일측에 설치되는 안착프레임(18);
    상기 손잡이부재(20)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프레임(18)의 상면에 형성되는 원호면(19);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상기 플렉시블관(21)의 내면에 형성되는 절연지관(23);
    상기 수지관(22)의 외면에 피복되는 무늬지(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KR2020190003017U 2019-07-18 2019-07-18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KR200494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17U KR200494590Y1 (ko) 2019-07-18 2019-07-18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17U KR200494590Y1 (ko) 2019-07-18 2019-07-18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11U KR20210000211U (ko) 2021-01-27
KR200494590Y1 true KR200494590Y1 (ko) 2021-11-11

Family

ID=7423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017U KR200494590Y1 (ko) 2019-07-18 2019-07-18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9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175B1 (ko) * 2006-12-01 2008-05-08 이도춘 계단 핸드레일 장치
JP2009150068A (ja) * 2007-12-19 2009-07-09 Takaharu Kuroyanagi 電気ケーブル内装手すり
KR101263171B1 (ko) 2011-04-28 2013-05-10 김현구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1663738B1 (ko) * 2016-02-23 2016-10-07 노상도 계단용 난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708Y1 (ko) 2006-12-08 2007-09-21 임명자 계단난간
KR200443024Y1 (ko) 2007-07-06 2009-01-07 노상도 계단용 난간 지주
KR200443256Y1 (ko) 2008-06-03 2009-02-04 최병현 계단 난간용 핸드레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175B1 (ko) * 2006-12-01 2008-05-08 이도춘 계단 핸드레일 장치
JP2009150068A (ja) * 2007-12-19 2009-07-09 Takaharu Kuroyanagi 電気ケーブル内装手すり
KR101263171B1 (ko) 2011-04-28 2013-05-10 김현구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1663738B1 (ko) * 2016-02-23 2016-10-07 노상도 계단용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11U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084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KR200494590Y1 (ko)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KR102454852B1 (ko)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200492570Y1 (ko) 조립식 계단장치를 위한 발판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JPH1018255A (ja) ガードレール
KR0132118Y1 (ko)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
US20060102886A1 (en) Hand rail for stairs and inclined corridors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KR101499015B1 (ko) 휀스 포스트
KR20180003898A (ko)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어셈블리
KR200279221Y1 (ko) 난간
KR101798585B1 (ko) 핸드레일 난간지주
KR101867332B1 (ko) 조립식 핸드 레일 설치방법
KR101344064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KR200390716Y1 (ko) 계단 난간용 기둥
CN211817532U (zh) 一种用于不同身高人群的楼梯扶手
JP3827510B2 (ja) 歩行者プロテクトレール付き防護柵
KR102650561B1 (ko) 안전 난간대
KR200490267Y1 (ko)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KR200452952Y1 (ko) 문양이 성형되고 강도를 보강하는 무늬레일이 포함된 발코니 난간
KR102673237B1 (ko) 경사 거푸집 설치용 작업대
JPH0827988A (ja) 斜め段付階段用縦型手摺り
KR200274991Y1 (ko)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