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561B1 - 안전 난간대 - Google Patents

안전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561B1
KR102650561B1 KR1020230008457A KR20230008457A KR102650561B1 KR 102650561 B1 KR102650561 B1 KR 102650561B1 KR 1020230008457 A KR1020230008457 A KR 1020230008457A KR 20230008457 A KR20230008457 A KR 20230008457A KR 102650561 B1 KR102650561 B1 KR 102650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elding
transverse
horizontal pipe
safety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식
임양신
박소민
박민준
박이은
Original Assignee
박경식
임양신
박소민
박민준
박이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식, 임양신, 박소민, 박민준, 박이은 filed Critical 박경식
Priority to KR102023000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88Brackets for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세워지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는 제1기둥 용접부와, 횡파이프가 안착되는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가 각각 형성된 제1파이프 받침부재; 및 어느 일부분이 상기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에 안착된 후 용접되는 횡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종래에 설치된 각종 통신시설, 냉난방시설, 방송시설, 환기시설용 배관과 전선을 회피하여 기둥부재(200)에 용접된 파이프 받침부재의 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에 횡파이프를 안착한 후 용접함으로써, 최대길이(6m)로 마련되는 횡파이프를 구비한 안전 난간대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 난간대{Safety handrail}
본 발명은 최대길이(6m)의 횡파이프를 구비한 사다리형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학교 옥상 안전 난간대는 옥상 이용자들의 추락을 예방하기 위한 시설이라기보다는 미관상 또는 옥상의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하였고, 옥상을 사용하는 사람이 적다는 이유로 별도의 규격이나 안전기준이 없이 0.2m ~ 1m 내외로 설치되었다. 이후 학교 관리자들은 건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옥상에 각종 통신시설, 냉난방시설, 방송시설, 환기시설용 배관과 전선을 집중적으로 설치하었고, 이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인력과 장비가 옥상에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옥상 이용자들의 추락과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 옥상에 난간대 설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 '견고한 조립이 가능한 펜스 및 조립 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07189호(23. 01. 12 공개)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른 견고한 조립이 가능한 펜스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와, 원형, 다각형 단면을 이루는 매쉬의 각 변에 결합되어 지주에 메시를 연결하는 프레임부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의 신체조건이 커짐에 따라 학교 옥상에 설치하는 안전 난간대의 높이를 높여 재설치하는 사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일부 교육청에서는 상기 안전시설물을 꾸준하게 발주하고 있다. 그동안 학교 옥상에 설치되는 안전 난간대는 기둥과 기둥과의 간격이 1m, 1.5m, 2m 간격으로 제작된 기존에 도로에 설치하는 휀스 또는 울타리를 그대로 사용하여 설치하였으나 종래 제품을 설치할 경우 옥상에 설치된 상기 각종 통신시설, 냉난방시설, 방송시설, 환기시설용 배관과 전선을 피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제작된 휀스 또는 울타리의 길이를 절단하거나 용접하여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절단 및 용접을 반복해야 함으로써, 시공 시간과 자재 손실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전에 실측을 하여 제작한 후 설치한다고 하여도 제작한 안전 난간대의 위치를 순서에 맞게 재배치한 후 설치해야 하므로 제작 시간과 자재 손실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 옥상에 설치된 시설물을 회피하면서, 최대길이(6m)의 횡파이프를 구비한 사다리형 안전 난간대를 빠르고 안전하게 설치하고, 경제적이고 효율성 높은 안전 난간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세워지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는 제1기둥 용접부와, 횡파이프가 안착되는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가 각각 형성된 제1파이프 받침부재; 및 어느 일부분이 상기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에 안착된 후 용접되는 횡파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받침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는 제1-1기둥 용접부와, 상면에 횡파이프가 안착되는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가 각각 형성된 제1받침부와,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는 제1-2기둥 용접부와, 상면에 횡파이프가 안착되는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가 각각 형성된 제2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 용접부 상에 제1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파이프 받침부재와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절개홈에 끼워지는 제2절개홈이 형성된 보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의 형상은 상기 횡파이프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받침부재는 상기 기둥부재 상에 복수 개가 마련됨에 따라, 상기 횡파이프는 복수 개가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파이프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파이프는,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에서 폭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파이프 사이에 상기 횡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종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파이프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파이프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부재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상기 횡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고, 시설물을 회피하며 상기 횡파이프가 상기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제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가 형성된 제2파이프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횡파이프는 상기 제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에 안착된 후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 난간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에 설치된 각종 통신시설, 냉난방시설, 방송시설, 환기시설용 배관과 전선을 회피하여 기둥부재(200)에 용접된 파이프 받침부재의 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에 횡파이프를 안착한 후 용접함으로써, 최대길이(6m)로 마련되는 횡파이프를 구비한 안전 난간대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파이프 받침부재와 기둥부재와 베이스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1파이프 받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제1파이프 받침부재가 기둥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횡파이프와 종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횡파이프와 종파이프가 설치된 상태의 안전 난간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파이프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제1파이프 받침부재가 기둥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횡파이프와 종파이프가 설치된 상태의 안전 난간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파이프 받침부재와 제2파이프 받침부재와 기둥부재와 베이스판을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서 횡파이프와 종파이프가 설치된 상태의 안전 난간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베이스판(100), 기둥부재(200),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a), 횡파이프(400), 종파이프(500)를 포함한다.
바닥면(G)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00)에는 셋트앙카와 같은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체결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판(100)은 원형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둘레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재(200)는 베이스판(100)의 상면에 세워지며, 본 실시예에서 기둥부재(200)는 원형관이 절단된 형태로 구성되고, 기둥부재(200)의 절단면이 베이스판(100)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둥부재(200)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관으로 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기둥부재(200)는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관으로 될 수도 있다.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a)는 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고, 횡파이프(400)가 안착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받침부(310a)와 제2받침부(320a)와 보강부(330a)를 포함한다.
제1받침부(310a)의 일측에는 제1-1기둥 용접부(311a)가 형성된다. 제1받침부(310a)의 타측의 상측에는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가, 제1받침부(310a)의 타측의 하측에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제1-1기둥 용접부(311a)와 가까워지도록 마련된 제1-1경사부(315a)가 형성된다. 제1-1기둥 용접부(311a)는 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도록 일자형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는 횡파이프(4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횡파이프(40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횡파이프(400)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관으로 마련됨에 따라,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는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는 횡파이프(400) 둘레면의 1/2 이하가 안착되도록 원호 형상의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받침부(320a)는 제1받침부(310a)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제2받침부(320a)의 타측의 상측에는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23a)가, 제2받침부(320a)의 타측의 하측에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제1-2기둥 용접부(321a)와 가까워지도록 마련된 제1-2경사부(325a)가 형성된다. 제1-1기둥 용접부(311a)는 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도록 일자형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는 횡파이프(4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횡파이프(40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23a)는 횡파이프(400) 둘레면의 1/2 이하가 안착되도록 원호 형상의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받침부(310a)의 제1-1경사부(315a)와 제2받침부(320a)의 제1-2경사부(325a)를 연결하는 보강부(330a)는 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보강부(330a)의 상측(331a)은 제1받침부(310a)의 제1-1경사부(315a)와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의 상부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보강부(330a)의 상측(331a)은 제2받침부(320a)의 제1-2경사부(325a)와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23a)의 상부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횡파이프(400)가 원형관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 및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23a)가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지만,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 및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23a)의 형상은 횡파이프(4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시예에 따라서 횡파이프(400)가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 파이프와 같이 각관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 및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23a)의 형상은 각관의 횡파이프(4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횡파이프(400)는 도 5와 같이 베이스판(100)이 설치되는 바닥면(G)과 평행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횡파이프(400)의 어느 일부분이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a)의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와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23a)에 안착된 후 용접된다. 이렇게, 횡파이프(400)가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와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23a)에 안착될 때, 도 6과 같이 보강부(330a)의 상측(331a)이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와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23a)의 상부로 더 돌출되어 있어,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a)는 횡파이프(4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a)는 기둥부재(200) 상에 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됨에 따라, 복수의 횡파이프(400)는 기둥부재(200) 상에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횡파이프(400)의 개수에 따라 기둥부재(200) 상에 마련되는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a)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횡파이프(400) 사이에는 복수의 종파이프(50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도 4와 같이 횡파이프(4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종파이프 결합홀(410)이 형성되어 있고, 종파이프(500)의 상단은 상측에 배치되는 횡파이프(400)의 종파이프 결합홀(410)에 끼워지고, 종파이프(500)의 하단은 하측에 배치되는 횡파이프(400)의 종파이프 결합홀(410)에 끼워진다.
실시예에 따라서, 종파이프(500)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관으로 되거나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관으로 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기둥부재(200)는 횡파이프(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는데, 이때 시설물을 회피하며 횡파이프(400)는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b)에 안착될 수 있다. 즉, 횡파이프(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기둥부재(200)의 간격을 현장에서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의 다른 실시예를 도 7 및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는 일측에 제1기둥 용접부(311b)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b)가 형성된다. 제1기둥 용접부(311b)는 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도록 일자형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b)는 횡파이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횡파이프(40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횡파이프(400)가 원형관으로 마련됨에 따라,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b)는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b)는 횡파이프(400) 둘레면의 1/2 이상이 안착되도록 원호 형상의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기둥 용접부(311b) 상에는 제1절개홈(312b)이 형성된다.
기둥부재(200)에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보강편(340)이 마련된다. 보강편(340)의 일측에는 기둥부재(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된 기둥 배치부(341)가 형성되고, 보강편(340)의 타측에는 제1절개홈(312b)에 끼워지는 제2절개홈(34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7과 같이 보강편(340)의 제2절개홈(343)과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의 제1절개홈(312b)이 서로 끼워져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의 보강편(340)과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결합된 상태의 보강편(340)과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는 도 8과 같이 기둥부재(200) 상에 고정되는데, 보강편(340)의 기둥 배치부(341)가 기둥부재(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용접되고,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의 제1기둥 용접부(311b)가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용접된다.
이와 같이,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에 보강편(340)이 결합됨으로써,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는 기둥부재(200)에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에 형성된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b)는 횡파이프(400) 둘레면의 1/2 이상이 안착되도록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9와 같이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b)에 횡파이프(400)가 안착될 때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b)는 횡파이프(4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를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베이스판(100), 기둥부재(200),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c), 제2파이프 받침부재(350), 횡파이프(400), 종파이프(500)를 포함한다.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c)는 일측에 제1기둥 용접부(311c)가 형성된다.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c) 타측의 상측에는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c)가 형성되고,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c) 타측의 하측에는 횡파이프 용접용 지지부(314c)가 형성된다. 제1기둥 용접부(311c)는 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도록 일자형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c)는 횡파이프(4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횡파이프(40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c)는 횡파이프(400) 둘레면의 1/4 이하가 안착되도록 원호 형상의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횡파이프 용접용 지지부(314c)는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c)와 동일한 형상이되,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c)는 아래로 볼록한 형상인 반면, 횡파이프 용접용 지지부(314c)는 위로 볼록한 형상이다.
제2파이프 받침부재(350)의 하면은 기둥부재(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제2파이프 받침부재(350)의 상면에는 제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60)가 형성된다. 제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60)는 횡파이프(40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복수의 횡파이프(400)는 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기둥부재(200)의 폭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횡파이프(400)가 마련되는데, 위에 위치하는 횡파이프(400)는 제2파이프 받침부재(350)의 제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60)에 안착된 후 용접되고, 아래에 위치하는 횡파이프(400)는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c)의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c)에 안착된 후 용접된다. 따라서, 위에 위치하는 횡파이프(400)는 기둥부재(200)의 폭방향 상에서 기둥부재(200)의 중앙에 위치하고, 아래에 위치하는 횡파이프(400)는 기둥부재(200)의 폭방향 상에서 기둥부재(2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횡파이프(400)가 기둥부재(200)의 폭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면, 종파이프(5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기둥부재(200)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종파이프(5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기둥부재(200)의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기둥부재(20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횡파이프(400)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횡파이프(400)는 추가될 수도 있다. 횡파이프(400)가 추가될 경우 기둥부재(200) 상에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c)가 추가되며, 추가되는 횡파이프(400)의 상측은 횡파이프 용접용 지지부(314c)에 지지되고, 추가되는 횡파이프(400)의 하측은 추가되는 제1파이프 받침부재(300c)의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c)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안전 난간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에 설치된 각종 통신시설, 냉난방시설, 방송시설, 환기시설용 배관과 전선을 회피하여 기둥부재(200)에 용접된 파이프 받침부재(300a, 300b, 300c)의 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313a, 323a, 313b)에 횡파이프(400)를 안착한 후 용접함으로써, 최대길이(6m)로 마련되는 횡파이프(400)가 구비되는 안전 난간대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판
200 : 기둥부재
300a, 300b, 300c : 제1파이프 받침부재
310a : 제1받침부
311a : 제1-1기둥 용접부
313a :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
320a : 제2받침부
321a : 제1-2기둥 용접부
323a :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
330a : 보강부
311b : 제1기둥 용접부
312b : 제1절개홈
313b :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
340 : 보강편
343 : 제2절개홈
350 : 제2파이프 받침부재
400 : 횡파이프
500 : 종파이프

Claims (13)

  1.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세워지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고 제1절개홈이 형성된 제1기둥 용접부와,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가 각각 형성된 제1파이프 받침부재;
    어느 일부분이 상기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에 안착된 후 용접되는 횡파이프; 및
    상기 기둥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파이프 받침부재와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절개홈에 끼워지는 제2절개홈이 형성된 보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받침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는 제1-1기둥 용접부와, 상면에 횡파이프가 안착되는 제1-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가 각각 형성된 제1받침부와,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는 제1-2기둥 용접부와, 상면에 횡파이프가 안착되는 제1-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가 각각 형성된 제2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의 형상은 상기 횡파이프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받침부재는 상기 기둥부재 상에 복수 개가 마련됨에 따라,
    상기 횡파이프는 복수 개가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파이프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파이프는,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에서 폭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제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가 형성된 제2파이프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횡파이프는 상기 제2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에 안착된 후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파이프 사이에 상기 횡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종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파이프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파이프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부재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상기 횡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고,
    시설물을 회피하며 상기 횡파이프가 상기 제1횡파이프 용접용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대.
KR1020230008457A 2023-01-20 2023-01-20 안전 난간대 KR102650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457A KR102650561B1 (ko) 2023-01-20 2023-01-20 안전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457A KR102650561B1 (ko) 2023-01-20 2023-01-20 안전 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561B1 true KR102650561B1 (ko) 2024-03-26

Family

ID=9047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457A KR102650561B1 (ko) 2023-01-20 2023-01-20 안전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5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35A (ja) * 1997-06-30 1999-01-26 Sekisui House Ltd 手摺ステー
KR101457633B1 (ko) * 2014-05-12 2014-11-07 주식회사 이진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KR200488192Y1 (ko) * 2018-03-06 2018-12-26 주식회사 부영물산 난간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35A (ja) * 1997-06-30 1999-01-26 Sekisui House Ltd 手摺ステー
KR101457633B1 (ko) * 2014-05-12 2014-11-07 주식회사 이진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KR200488192Y1 (ko) * 2018-03-06 2018-12-26 주식회사 부영물산 난간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858B1 (ko)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15330B1 (ko)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US8944414B2 (en) Component rail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US4413361A (en) Deck and fence structure for above ground swimming pools
KR101727124B1 (ko) 행어를 이용한 교량용 보도 및 그 시공 방법과, 경관용 인도교 및 그 시공 방법
US7168689B2 (en) Apparatus for pedestrian railing with snap-in spacer and method of making
KR102650561B1 (ko) 안전 난간대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US4813651A (en) Fence post with saddle support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fore
KR101946494B1 (ko) 데크로드 난간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101664284B1 (ko) 케이블과 벤트 일체형 구조의 교량 시공 공법
KR101457633B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KR102504725B1 (ko) 조립식 와이어리스 신호등주
KR101045828B1 (ko) 교량점검통로
JP2021032043A (ja) プレハブ式階段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21983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2193738B1 (ko) 조립식 난간
KR102269930B1 (ko) 우수한 내풍 특성을 갖는 출렁다리 및 이의 시공공법
CN112502279B (zh) 一种大跨度悬挑框架及其施工方法
KR102315853B1 (ko) 데크용 난간의 설치구조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KR20220138259A (ko) 코너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