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259A - 코너 연결구 - Google Patents

코너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259A
KR20220138259A KR1020210044202A KR20210044202A KR20220138259A KR 20220138259 A KR20220138259 A KR 20220138259A KR 1020210044202 A KR1020210044202 A KR 1020210044202A KR 20210044202 A KR20210044202 A KR 20210044202A KR 20220138259 A KR20220138259 A KR 20220138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angle
coupled
frame
corn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시아
Priority to KR102021004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259A/ko
Publication of KR2022013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는, 펜스 또는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며, 펜스 또는 가드레일을 이루는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원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으로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펜스 또는 핸드레일의 수평 프레임을 소정 깊이 수용하도록 소정 깊이를 이루는 삽입구 및 상기 원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전단면이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볼트 삽입홀과 볼트 체결되되, 볼트 삽입 가이드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에 체결된 삽입부재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너 연결구 {Corner connector}
본 발명은 코너 연결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펜스 또는 가드레일의 수평 프레임을 결속하는 연결구의 삽입부재를 지주와 결합되는 고정부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펜스 또는 가드레일의 시공시 작업자의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코너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과 펜스는 건물이나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민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시설물이다.
먼저, 상기 가드레일은 건축물의 계단이나 베란다 및 다리의 외측 상단에 설치되어 건물의 미관을 미려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보행자의 보행을 보조해주어, 보행자의 계단 미끄러짐 사고,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펜스는 공설운동장 또는 일반 가정집의 울타리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낯선이의 출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설 내부에 있는 사람과 시설 외부에 있는 사람의 분리를 위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드레일과 펜스는 바닥에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 즉, 지주와, 각 수직 프레임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의 소정 높이에서 수평 프레임을 고정하도록 삽입부재의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예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8576호 "핸드레일 연결구"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290호 "핸드레일코너 연결구조"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가드레일 또는 펜스는, 작업자가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단단히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필연적으로 용접에 의해 결합시킴에 따라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간의 결합 작업이 불편하고, 시공상 어려움은 물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시공상 소모되는 비용 및 인력 손실로 인한 작업 효율성,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드레일 또는 펜스를 일정 각도로 경사진 계단 또는 바닥과 수평한 상태인 베란다와 다리 등에 설치할 때 상기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가드레일 또는 펜스의 수평 프레임 간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결합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할 경우, 작업이 매우 불편하여 가드레일 또는 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자의 안전성도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설치된 가드레일 또는 펜스를 이루는 각 구성 중 일부의 구성(수평 프레임 또는 수직 프레임)이 손상이나 파손되었을 때, 가드레일 또는 펜스의 수평 프레임이 수직 프레임과 용접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 전체를 떼어내어 교체하여야 하므로 인해 상기 가드레일의 각 구성을 교체하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있었으며, 이에 따라, 시공 편의성이 증대된 코너 연결구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을 통해 펜스 또는 가드레일을 설치하는 것이 아닌, 펜스 또는 가드레일의 중단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코너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시공자의 작업 편의성과 효율성이 증대된 코너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는, 펜스 또는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며, 펜스 또는 가드레일을 이루는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원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으로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펜스 또는 핸드레일의 수평 프레임을 소정 깊이 수용하도록 소정 깊이를 이루는 삽입구 및 상기 원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전단면이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볼트 삽입홀과 볼트 체결되되, 볼트 삽입 가이드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에 체결된 삽입부재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 연결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과 결합된 고정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제 2 프레임이 제 1 프레임과 결합되는 단부를 기준으로 제 1 프레임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 연결구는, 상기 고정부재와 삽입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상부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흙막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 부재는, 고정부재를 사이에 두고 고정부재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삽입부재의 상부에 개재되며, 삽입부재의 각도 가변에 따라 길이가 변형될 수 있는 유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 연결구는, 상기 고정부재와 삽입부재가 맞닿는 면의 사이에 끼워져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유연 재질로 형성되되, 미끄럼 방지부재의 표면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강철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어 맞닿는 면의 소정 면적이 강철 소재로 형성되되, 펜스 또는 가드레일의 수평 프레임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를 가진 삽입구의 재질은 합성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된 삽입부재의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각도 표시부의 소정 위치를 가리켜 삽입부재의 각도를 지시하는 각도 지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직경보다 소정 직경 작은 직경을 가지는 삽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는 열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는 삽입구의 내부 둘레에는, 삽입부재에 열을 인가함으로써 삽입구의 직경을 조절하는 발열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는 펜스 또는 가드레일의 설치시, 각도 가변 및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코너 연결구를 통해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킨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는 고정부재와 삽입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상부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흙막이 부재로 하여, 코너 연결구의 용이한 관리를 도와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는, 미끄럼 방지부재로 하여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서 미끄러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가 적용된 펜스의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의 분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와 삽입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의 각도가 가변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 부재가 구비된 코너 연결구의 예시도이다.
도 8 은 흙막이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코너 연결구의 모습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코너 연결구의 분해도이다.
도 10 은 코너 연결구에 적용된 소재의 범위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표시부와 각도 지시부가 구비된 코너 연결구의 예시도이다.
도 12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열수단이 구비된 코너 연결구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2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가 적용된 펜스의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의 분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와 삽입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5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의 각도가 가변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는, 고정부재(100) 및 삽입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부재(100)는, 펜스 또는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PF), 즉, 지주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 프레임(PF)에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펜스 또는 핸드레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심미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일정 패턴 혹은 문양을 가지는 브라켓이 소정 길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수직 프레임(PF)의 내측 혹은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방향인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어, 고정부재(10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고정부재(100)의 하방에는, 수직 프레임(HP)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프레임(101)이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결합 프레임(101)의 소정 위치에는, 고정부재(100)를 수직 프레임(PF)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1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102)은, 수직 프레임(PF)에 마련된 결합부와의 핀 체결을 통해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고정부재(100)를 수직 프레임(PF)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팅 방식과 같은 결합 방법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프레임(PF)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고정부재(100)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PF)의 내측으로 소정 각도 치우쳐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즉, 최상단에 위치된 수평 프레임(HP)은 하방에 위치한 수평 프레임(HP)들 보다 내측으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삽입부재(20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0)를 중심으로, 고정부재(10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200)는, 펜스 또는 가드레일을 이루는 수평 프레임(HF)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삽입부재(200)는, 수평 프레임(HF)을 소정 깊이 수용할 수 있는 삽입구(20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구(201)의 형상은, 작업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펜스 또는 가드레일의 수평 프레임(HF)의 단면과 상응하는 단면의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00)에는,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볼트 삽입홀(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재(200)에는, 고정력 형성과 더불어 삽입부재(200)의 각도를 가이드 하는 볼트 삽입 가이드(2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1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원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부재(100)의 양측으로는 볼트 삽입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볼트 삽입홀(110)과 볼트(B)와 너트(N)로 체결되되, 고정부재(100)에 체결된 삽입부재(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볼트 삽입 가이드(21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트 삽입 가이드(210)는,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00)의 형상과 맞물릴 수 있도록 함몰된 반원의 형상을 가지는 함몰부(202)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202)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길이가 뚫려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는, 고정부재(100)와 볼트(B) 체결된 삽입부재(200)의 각도를 도 5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삽입 가이드(210)의 반경을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펜스 또는 가드레일을 설치하고, 각도를 조절하는 작업에 있어 보다 수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도 6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상기 수직 프레임(PF)과 결합된 고정부재(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부(300)는, 제 1 프레임(310), 제 2 프레임(320) 및 각도 조절 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프레임(310)은, 상기 고정부재(100)에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320)은, 상기 수직 프레임(PF)과 결합되어 고정부재(100)의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2 프레임(320)에는, 수직 프레임(PF)과의 결합을 위하여 앞서 서술되었던 체결홀(102)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330)는, 상기 제 1 프레임(310)과 제 2 프레임(320)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 1 프레임(310)의 각도를 제 2 프레임(320)과 결합되는 단부를 기준으로 제 1 프레임(310)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도 6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320)과 각도 조절부(330)가 생략하고, 제 1 프레임(310)만을 수직 프레임(PF)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는, 수직 프레임(PF)에서 수평 프레임(HF)을 소정 간격 떨어뜨린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시키고 싶을 때, 제 1 프레임(310)에 제 2 프레임(320)과 각도 조절부(330)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함과 동시에 수평 프레임(HF)의 각도를 용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 부재가 구비된 코너 연결구의 예시도이고, 도 8 은 흙막이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코너 연결구의 모습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는, 상기 고정부재(100)와 삽입부재(200)가 결합되는 부분, 즉, 고정부재(100)와 삽입부재(200)의 결합부 상부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흙막이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흙막이 부재(400)는, 고정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고정부재(100)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삽입부재(200)의 상부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흙막이 부재(400)는, 삽입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해, 흙막이 부재(400)의 양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결합을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구멍인 체결고리홀(4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용부재(200)의 소정 위치의 둘레에는, 체결고리홀(410)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고리(4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흙막이 부재(400)는, 상기 고정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결합되는 삽입부재(200)의 각도가 가변되었을 시, 가변된 길이에 대응하여 함께 그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유연하고 탄성력을 가진 유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는, 고정부재(100)와 삽입부재(200)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상부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흙막이 부재(400)로 하여, 코너 연결구(1)의 용이한 관리를 도와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코너 연결구의 분해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는, 상기 고정부재(100)와 삽입부재(200)가 맞닿는 면의 사이에 끼워져 삽입부재(200)가 고정부재(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500)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유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재질로는 미끄럼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재(500)의 표면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미끄럼 방지 돌기(5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반복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510)의 형상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한 돌기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자동차 타이어의 트레드(Tread)와 같이 일정하게 반복되는 돌출부와, 함몰부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510)의 중심에는, 볼트(B)가 관통될 수 있는 볼트 체결홀(50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51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부재(500)의 표면에서 일정한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삽입부재(200)에 끼워진 수평 프레임(HF)의 하중으로 인해 삽입부재(200)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방으로 점점 치우쳐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짐과 동시에, 고정부재(100)와 삽입부재(200)의 회전시, 직접 마찰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가 이루는 구성들의 수명을 연장시켜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0 은 코너 연결구에 적용된 소재의 범위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강철 소재(S)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와 결합되어 맞닿는 면의 소정 면적, 가장 바람직하게는 함몰부(202)의 소재가 강철(Steel) 소재(S)로 형성될 수 있으며, 펜스 또는 가드레일의 수평 프레임(HF)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를 가진 삽입구(201)의 재질은, 합성 플라스틱(Synthetic plastic)의 소재(SP)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는, 코너 연결구(1)를 이루는 구성(고정부재(100), 삽입부재(200))들이 직접 접촉되는 결합면이 강철 소재(S)로 형성되어, 보다 연장된 수명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수평 프레임(HF)이 삽입되는 삽입구(201)를 이루는 재질은 다소 가벼운 무게를 가지는 합성 플라스틱 소재(SP)로 형성됨으로써, 삽입부재(200)에 수평 프레임(HF)을 꽂아 넣어 고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정 길이를 가진 삽입부재(200)의 무게로 인해 하방으로 점점 기울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표시부와 각도 지시부가 구비된 코너 연결구의 예시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각도 표시부(600)를 더 포함하고, 삽입부재(200)는, 각도 지시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각도 표시부(60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된 삽입부재(200)의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 표시부(60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구의 형상을 형성되되, 양측으로 결합되는 삽입부재(200)의 중심 반경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삽입부재(200)간에 형성된 각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각도를 표시하는 화살표의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각도 지시부(61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형성된 각도 표시부(600)의 소정 위치를 가리킴으로써, 삽입부재(200)의 각도를 지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 지시부(610)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재(200)의 소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삽입부재(200)가 고정부재(100)와 결합되는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둘레의 사방에 음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표시부(600)와 각도 지시부(610)는, 상기 고정부재(100)와 삽입부재(200)의 둘레에서, 90도의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는, 고정부재(100)의 양단에 결합되는 삽입부재(200)의 각도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원하고자 하는 각도로 코너 연결구(1)를 조정하는 작업에 있어서 수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2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열수단이 구비된 코너 연결구의 예시도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입부재(200)는, 상기 수평 프레임(HF)의 직경보다 소정 직경 작은 직경을 가지는 삽입구(201)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201)는 열변형이 가능한 강철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HF)이 결합되는 삽입구(201)의 내부 둘레에는, 삽입부재(200)에 열을 인가함으로써 삽입구(201)의 직경을 조절하는 발열 수단(7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 수단(700)은, 케이블을 통해 전기를 인가받아 동작하는 열선(heat coil)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전기를 인가받아 발열하는 가열 수단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시공 예를 들어 위의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2 의 (a) 와 같이, 수평 프레임(HF)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삽입구(201)를 삽입구(201)의 내부에 마련되는 발열 수단(700)을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삽입구(201)의 직경을 도 12 의 (b) 와 같이 수평 프레임(HF) 보다 큰 직경으로 만든 이후, 수평 프레임(HF)을 삽입구(201)에 꽂아 넣은 후, 발열 수단(700)의 발열을 중지시켜, 삽입구(201)의 직경을 다시 줄어들게 만들어, 삽입구(201)가 수평 프레임(HF)을 단단하게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입부재(200)는, 발열 수단(700)으로 하여 직경을 넓힌 이후, 수평 프레임(HF)을 꽂아 넣는 작업 이후 삽입부재(200)의 직경을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삽입부재(200)가 수평 프레임(HF)을 보다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코너 연결구
100 : 고정부재 101 : 결합 프레임
102 : 체결홀 110 : 볼트 삽입홀
200 : 삽입부재 201 : 삽입구
202 : 함몰부 210 : 볼트 삽입 가이드
300 : 각도 조절부 310 : 제 1 프레임
320 : 제 2 프레임 330 : 각도 조절 수단
400 : 흙막이 부재 410 : 체결고리홀
420 : 체결고리 500 : 미끄럼 방지부재
501 : 볼트 체결홀 510 : 미끄럼 방지 돌기
600 : 각도 표시부 610 : 각도 지시부
700 : 발열 수단
PF : 수직 프레임 HF : 수평 프레임
B : 볼트 N : 너트
S : 강철 SP : 합성 플라스틱

Claims (7)

  1. 펜스 또는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며, 펜스 또는 가드레일을 이루는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원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으로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펜스 또는 핸드레일의 수평 프레임을 소정 깊이 수용하도록 소정 깊이를 이루는 삽입구 및
    상기 원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전단면이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볼트 삽입홀과 볼트 체결되되, 볼트 삽입 가이드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에 체결된 삽입부재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연결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과 결합된 고정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제 2 프레임이 제 1 프레임과 결합되는 단부를 기준으로 제 1 프레임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연결구는,
    상기 고정부재와 삽입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상부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흙막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 부재는,
    고정부재를 사이에 두고 고정부재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삽입부재의 상부에 개재되며, 삽입부재의 각도 가변에 따라 길이가 변형될 수 있는 유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연결구는,
    상기 고정부재와 삽입부재가 맞닿는 면의 사이에 끼워져 삽입부재가 고정부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유연 재질로 형성되되, 미끄럼 방지부재의 표면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강철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어 맞닿는 면의 소정 면적이 강철 소재로 형성되되,
    펜스 또는 가드레일의 수평 프레임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를 가진 삽입구의 재질은 합성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된 삽입부재의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각도 표시부의 소정 위치를 가리켜 삽입부재의 각도를 지시하는 각도 지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직경보다 소정 직경 작은 직경을 가지는 삽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는 열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는 삽입구의 내부 둘레에는, 삽입부재에 열을 인가함으로써 삽입구의 직경을 조절하는 발열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구
KR1020210044202A 2021-04-05 2021-04-05 코너 연결구 KR20220138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202A KR20220138259A (ko) 2021-04-05 2021-04-05 코너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202A KR20220138259A (ko) 2021-04-05 2021-04-05 코너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259A true KR20220138259A (ko) 2022-10-12

Family

ID=8359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202A KR20220138259A (ko) 2021-04-05 2021-04-05 코너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2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074B1 (ko) * 2023-03-17 2024-01-09 주식회사 중동 곡선부 적용이 용이한 기능성 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074B1 (ko) * 2023-03-17 2024-01-09 주식회사 중동 곡선부 적용이 용이한 기능성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317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US20140318891A1 (en) System and components for safely enclosing handrails, stairways, walkways and platforms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US20120080655A1 (en) Safety hand rail
KR101421901B1 (ko) 교량의 점검통로용 출입계단
KR20220138259A (ko) 코너 연결구
KR101511290B1 (ko)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KR10219911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KR101966440B1 (ko)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454852B1 (ko)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KR101668977B1 (ko) 경사각도에 따른 가변형 발판 및 난간을 구비한 안전계단
KR100689998B1 (ko) 건축물 계단 논슬립 구조
KR100674664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
KR20200001225U (ko) 조립식 계단장치를 위한 발판
KR101878647B1 (ko) 난간 기둥장치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KR20190094675A (ko) 교량 점검로
CN210113336U (zh) 一种建筑楼梯临时护栏
KR102638109B1 (ko) 태양광 설치용 경사지붕 안전발판 조립체
KR101122283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KR200279221Y1 (ko) 난간
KR101197134B1 (ko) 계단용 자전거레일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