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134B1 - 계단용 자전거레일 - Google Patents

계단용 자전거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134B1
KR101197134B1 KR1020100008232A KR20100008232A KR101197134B1 KR 101197134 B1 KR101197134 B1 KR 101197134B1 KR 1020100008232 A KR1020100008232 A KR 1020100008232A KR 20100008232 A KR20100008232 A KR 20100008232A KR 101197134 B1 KR101197134 B1 KR 101197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icycle
stairs
hole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640A (ko
Inventor
윤종훈
이건우
박희정
Original Assignee
(주)에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맥스 filed Critical (주)에코맥스
Priority to KR1020100008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1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7Ramp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1)은, 계단(S)의 각 층의 상면(F)에 고정되어 경사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며 다음에 기재하는 레일(200)을 받치도록 구성된 서포터(100)와, 상기 서포터(100)의 상부에 부착되어 계단(S)의 경사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200)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20)은 단면이 U형으로서 상부로 개방된 안내홈(2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빔(beam) 형상인 것으로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치수와 경사도를 구비한 기존의 계단(S)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200)의 안내홈(210)에 자전거의 바퀴(T)가 안내되기 때문에 평지에서처럼 원활하게 자전거를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전거를 놓쳤다 하더라도 자전거는 측방으로 넘어지면서 바퀴(T)가 상기 레일(200)의 안내홈(210)에 지지되어 끼이기 때문에 하방으로 자전거가 미끄러져 이송되면서 행인에게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단용 자전거레일{Bicycle rail for stairs}
본 발명은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계단에 설치하여, 자전거를 계단에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탄소(CO₂)의 배출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 그리고 이로 인한 지구 환경의 이상 현상, 대기 오염, 석유 자원의 고갈, 시급한 대체 에너지의 모색 등, 오늘날 인류는 환경과 에너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하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중에 지금 대두 되고 있는 것이 바로 자전거이다. 자전거는 일절 이산화탄소 등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운전자의 건강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전거의 경우 평지를 주행하는 것은 원활하지만, 육교나 지하도, 건물 등의 계단을 오르내리기에는 큰 불편이 있다. 즉, 운전자가 자전거를 끌면서 계단을 오르거나 내릴 경우, 바퀴가 각진 계단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반동으로 상방으로 튀었다가 다시 하방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반복됨으로써 운전자는 원활하게 자전거를 이송시킬 수 없고, 자전거에도 충격이 가해져서 볼트가 느슨해지거나 바퀴에 펑크를 유발하기도 하고, 바퀴의 변형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에 언급한 것처럼 자전거를 끌고 계단을 오르내릴 경우, 큰 반동이 수반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자전거를 놓치는 경우가 많고, 이때 자전거가 계단 아래로 미끄러지면서 행인과 충돌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계단 측방에 평평한 경사로를 시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기존의 계단에 적용할 수 없으므로 실현 가능성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계단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자전거를 끌고서 원활하게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으며, 만약 자전거를 놓쳤더라도 자전거가 하방으로 미끄러져서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계단용 자전거레일을 제공함으로써 자전거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은, 계단의 각 층의 상면에 고정되어 경사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며 다음에 기재하는 레일을 받치도록 구성된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상부에 부착되어 계단의 경사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단면이 U형으로서 상부로 개방된 안내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빔(beam) 형상인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계단의 각 층의 상면(F)에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 회동하도록 축이음되고 상기 레일의 하면에 부착되는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은 하단에 볼트홀이 관통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홀이 형성되고 측방으로 관통하는 볼트홀이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고 측방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삽입축과, 상기 볼트홀과 관통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레일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축에 축이음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이 삽입되도록, 레일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양 측면에 상기 부착판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슬릿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은, 다양한 치수와 경사도를 구비한 기존의 계단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의 안내홈에 자전거의 바퀴가 안내되기 때문에 평지에서처럼 원활하게 자전거를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전거를 놓쳤다 하더라도 자전거는 측방으로 넘어지면서 바퀴가 상기 레일의 안내홈에 지지되어 끼이기 때문에 하방으로 자전거가 미끄러져 이송되면서 행인에게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구성되는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이 계단에 시공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구성되는 레일의 홈에 자전거타이어가 안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구성되는 레일의 홈에 자전거타이어가 안내되다가 넘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구성되는 레일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안내홈이 운전자 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구성되는 레일에 있어서, 운전자 쪽의 측면에 야간표식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 그리고 설치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구성되는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이 계단에 시공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구성되는 레일의 홈에 자전거타이어가 안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구성되는 레일의 홈에 자전거타이어가 안내되다가 넘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구성되는 레일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안내홈이 운전자 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에 구성되는 레일에 있어서, 운전자 쪽의 측면에 야간표식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계단(S)에 설치가 용이하고, 계단(S)에서 자전거(도시하지 않음)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계단용 자전거레일(1)은, 계단(S)의 각 층의 상면(F)에 고정되어 경사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며 아래에 기재하는 레일(200)을 받치도록 구성된 서포터(100)가 구성되고, 상기 서포터(100)의 상부에 부착되어 계단(S)의 경사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200)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200)은 단면이 U형으로서 상부로 개방된 안내홈(2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빔(beam) 형상이다. 상기 안내홈(210)은 수직으로 상방을 향할 수도 있고, 도 8에서처럼 운전자쪽(계단에서 보행자가 다니는 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안내홈(210)이 기울어진 경우에는 도 8에서처럼 자전거를 운전자 쪽으로 기울여서 몸에 밀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2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서처럼, 운전자 쪽의 측면(K)에 야간표식수단(P)을 더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야간표식수단(P)은 야광판, 축광판, 반사판, 야광시트, 축광시트, 반사시트 등이 가능하며, 야광 내지는 축광물질을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포터(100)는 계단(S)의 각 층의 상면(F)에 고정되는 지지축(110)과, 상기 지지축(110)의 상부에 회동하도록 축이음되고 상기 레일(200)의 하면에 고정되는 브래킷(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110)은 하단에 볼트홀(113)이 관통된 플랜지(111)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홀(117)이 형성되고 측방으로 관통하는 볼트홀(119)이 형성된 파이프(11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15)의 삽입홀(117)에 끼워지고 측방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33)가 형성된 삽입축(1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홀(119)과 관통구(133)를 관통하는 볼트(B)와 상기 볼트(B)에 체결되는 너트(N)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120)은 상기 레일(200)에 고정되는 지지판(121)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121)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축(130)에 축이음되는 수직판(1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판(123)은 2개가 구성되어 상기 수직판(123) 사이에 삽입축(130)이 개재되도록 축이음되어 구성된다. 상기에서 축이음은 수직판(123)과 삽입축(130)을 통과하는 샤프트(L)에 의해 회동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회동방향은 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115)에는 볼트홀(119)이 상하방으로 다수 개가 배열되어 형성됨으로써 삽입축(13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볼트홀(119)은 상기 파이프(115)의 일측에서 상대측방까지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홀(117)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향하는 볼트홀(119)이 대응된다.
상기 브래킷(120)이 상기 레일(200)의 하면에 고정되기 위한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지지판(121)의 상면에 고정되는 부착판(300)이 구성되고, 상기 부착판(300)이 삽입되도록, 레일(20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홈(230)이 형성되고나서 상기 홈(230)의 양 측면(220)에 상기 부착판(300)이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슬릿(240, slit)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21)이 부착판(300)에 고정되기 위한 일례로서는 상기 부착판(300)에 슬로트 등의 통공(31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21)에 역시 상기 통공(315)에 대응되는 통공(1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통공(315, 125)을 관통하는 리벳(R)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지지판(121)과 부착판(300)을 용접에 의해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판(121)과 부착판(300)이 어떤 구성에서든지 부착만 되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리벳(R)으로 지지판(121)을 부착판(300)에 고정할 경우, 상기 리벳(R)의 머리가 상기 홈(230)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상기 부착판(300)을 일례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부착판(30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310)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310)의 깊이는 상기 리벳(R)의 머리 높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310)에 상기 통공(315)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부착판(300)을 상기 양측 슬릿(240)에 끼우게 되면 리벳(R)의 머리가 상기 레일(200)의 홈(230)을 통과하게 되어 원활하게 부착판(300)을 레일(200)에 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판(300)의 하면에는 폭(a)이 상기 홈(230)의 폭(b)보다 작고 부착판(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21)이 부착되는 돌출부(32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320)는 하면이 레일(200)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돌출됨으로써, 여기에 부착되는 지지판(121)도 레일(200)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121)이 돌출부(320)의 하면에 부착되면, 지지판(121)과 레일(200)의 하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판(121)이 레일(200)의 하면에 부딪히지 않고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320)는 레일(200)의 홈(230) 사이로 통과할 수 있도록 위치가 조정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착판(300)의 길이는 레일(200)의 길이만큼 단일 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레일(200)보다 짧은 길이로 다수 개로 나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설치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단(S)의 상면에 기초볼트(A)가 시공되도록 한 후, 상기 파이프(115)의 플랜지(111)에 형성된 볼트홀(113)이 상기 기초볼트(A)를 통과하도록 하고나서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계단(S)에 서포터(10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기초볼트(A)가 계단(S)의 경사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서포터(100) 또한 일렬로 배열됨은 당연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삽입축(130)이 적정높이가 되도록, 삽입축(130)의 관통구(133)가 상기 파이프(115)의 볼트홀(119) 중 하나에 부합되도록 한 후, 상기 관통구(133)와 볼트홀(119)을 볼트(B)가 통과하도록 하고나서 너트로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부착판(300)이 상기 브래킷(120)의 지지판(121)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브래킷(120)은 자유자재로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부착판(300)은 계단(S)의 경사 방향을 따라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렇게 서포터(100)에 장착된 부착판(300)이 상기 레일(200)의 슬릿(240)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서포터(100)에 레일(200)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이미 조성된 계단(S)은 다양한 치수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레일(200)의 각도 조정 및 상기 삽입축(130)의 높이 가변성으로 인해서 각 계단(S)에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계단(S)의 치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도 5에서처럼, 상기 레일(200)은 서포터(100)에 의해서도 지지되고, 계단(S)의 모서리에 밀착되어 지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레일(200)이 미끌리어 하방으로 이송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서처럼, 레일(200)의 하단이 지면에 닿도록 하여 하강이 저지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존의 계단(S)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특히, 상기 삽입축(13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브래킷(120)의 회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다양한 치수 및 경사도를 구비한 계단(S)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이 계단(S)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5에서처럼, 자전거(도시하지 않음)의 바퀴(T)가 상기 레일(200)의 안내홈(210)에 들어가도록 한다. 그러면, 바퀴(T)는 도 6에서처럼, 안내되어 평지에서처럼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만약 자전거를 놓치게 된다 하더라도, 자전거는 측방으로 넘어지면서 도 7에서처럼 바퀴(T)가 안내홈(210)에 지지되어 끼이게 된다. 따라서,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이송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행인에게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서포터 110: 지지축
111: 플랜지 115: 파이프
120: 브래킷 121: 지지판
123: 수직판 130: 삽입축
200: 레일 210: 안내홈
230: 홈 240: 슬릿
300: 부착판

Claims (5)

  1. 계단(S)의 각 층의 상면(F)에 고정되어 경사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며 다음에 기재하는 레일(200)을 받치도록 구성된 서포터(100)와,
    상기 서포터(100)의 상부에 부착되어 계단(S)의 경사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200)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200)은 단면이 U형으로서 상부로 개방된 안내홈(2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빔(beam) 형상이고,
    상기 레일(200)은 운전자 쪽 측면(K)에 야간표식수단(P)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자전거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100)는 계단(S)의 각 층의 상면(F)에 고정되는 지지축(110)과,
    상기 지지축(110)의 상부에 회동하도록 축이음되고 상기 레일(2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브래킷(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자전거레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110)은 하단에 볼트홀(113)이 관통된 플랜지(111)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홀(117)이 형성되고 측방으로 관통하는 볼트홀(119)이 형성된 파이프(115)와,
    상기 삽입홀(117)에 끼워지고 측방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33)가 형성된 삽입축(130)과,
    상기 볼트홀(119)과 관통구(133)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B) 및 너트(N)로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120)은 상기 레일(200)에 고정되는 지지판(121)과,
    상기 지지판(121)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축(130)에 축이음되는 수직판(1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자전거레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21)의 상면에 고정되는 부착판(300)과,
    상기 부착판(300)이 삽입되도록, 레일(20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홈(230)의 양 측면(220)에 상기 부착판(300)이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슬릿(24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자전거레일.
  5. 계단(S)의 각 층의 상면(F)에 고정되어 경사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며 다음에 기재하는 레일(200)을 받치도록 구성된 서포터(100)와,
    상기 서포터(100)의 상부에 부착되어 계단(S)의 경사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200)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200)은 단면이 U형으로서 상부로 개방된 안내홈(2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빔(beam) 형상이고,
    상기 서포터(100)는 계단(S)의 각 층의 상면(F)에 고정되는 지지축(110)과,
    상기 지지축(110)의 상부에 회동하도록 축이음되고 상기 레일(2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브래킷(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축(110)은 하단에 볼트홀(113)이 관통된 플랜지(111)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홀(117)이 형성되고 측방으로 관통하는 볼트홀(119)이 형성된 파이프(115)와,
    상기 삽입홀(117)에 끼워지고 측방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33)가 형성된 삽입축(130)과,
    상기 볼트홀(119)과 관통구(133)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B) 및 너트(N)로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120)은 상기 레일(200)에 고정되는 지지판(121)과,
    상기 지지판(121)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축(130)에 축이음되는 수직판(123)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121)의 상면에 고정되는 부착판(300)과,
    상기 부착판(300)이 삽입되도록, 레일(20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홈(230)의 양 측면(220)에 상기 부착판(300)이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슬릿(24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자전거레일.
KR1020100008232A 2010-01-29 2010-01-29 계단용 자전거레일 KR101197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32A KR101197134B1 (ko) 2010-01-29 2010-01-29 계단용 자전거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32A KR101197134B1 (ko) 2010-01-29 2010-01-29 계단용 자전거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40A KR20110088640A (ko) 2011-08-04
KR101197134B1 true KR101197134B1 (ko) 2012-11-07

Family

ID=4492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232A KR101197134B1 (ko) 2010-01-29 2010-01-29 계단용 자전거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761B1 (ko) * 2012-09-05 2013-06-17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자전거레일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JP2016151157A (ja) * 2015-02-18 2016-08-22 株式会社桐井製作所 支持金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136Y1 (ko) 2004-12-01 2005-03-10 이윤철 조립식 계단 난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136Y1 (ko) 2004-12-01 2005-03-10 이윤철 조립식 계단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40A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6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91142B1 (ko) 가드레일용 지주 고정장치
KR101199429B1 (ko) 설치각도와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난간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200468253Y1 (ko) 교량 및 법면의 확장형 인도교
KR102264470B1 (ko) 데크로드 시스템
KR101421901B1 (ko) 교량의 점검통로용 출입계단
KR101197134B1 (ko) 계단용 자전거레일
KR101075005B1 (ko) 교측보도
KR100843306B1 (ko) 교측 보도교 고정장치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07303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KR100537227B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1065015B1 (ko) 자전거도로용 펜스
KR100915804B1 (ko) 시공성이 개선된 난간
KR102447799B1 (ko) 양방향 각도 조절 가능한 십자형 안전난간
KR100585981B1 (ko) 건축물 계단 개선 구조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100606206B1 (ko) 커브길도로 설치용 차량이탈방지장치
KR102221649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1414511B1 (ko) 체결 및 고정이 용이한 표지판을 구비하는 가드레일
KR102400660B1 (ko) 안전난간의 유도용 조명장치
KR20160027702A (ko) 차량방호울타리 레일 프레임
JP2007186947A (ja) 桁裏面への作業足場の形成方法及び桁裏面の作業足場
CN216380510U (zh) 一种路灯安装用登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