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470B1 - 데크로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크로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470B1
KR102264470B1 KR1020210028556A KR20210028556A KR102264470B1 KR 102264470 B1 KR102264470 B1 KR 102264470B1 KR 1020210028556 A KR1020210028556 A KR 1020210028556A KR 20210028556 A KR20210028556 A KR 20210028556A KR 102264470 B1 KR102264470 B1 KR 10226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upport
rail
insertion groov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욱
Original Assignee
(주)우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드린 filed Critical (주)우드린
Priority to KR102021002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5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데크패널이 설치되어 그 위로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크로드 시스템은, 하단이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데크패널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데크패널들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데크패널을 상기 지지레일에 고정 결합시키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데크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크패널의 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데크패널 상호간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지지레일에 결합되는 레일체결부와; 상기 레일체결부의 상부에서 양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패널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데크끼움부와; 상기 데크끼움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양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돌기부의 상단과 상기 데크끼움부의 하단 간의 거리는, 상기 삽입홈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데크끼움부 및 걸림돌기부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걸림돌기부는 상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크로드 시스템 { DECK ROAD SYSTEM }
본 발명은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데크패널이 설치되어 그 위로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차도, 인도, 교량, 계단 등에 적용되어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하거나 차량의 침범을 막는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금속제의 난간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주변환경과 어울리지 못하고 이질감을 주며, 금속이 서로 부딪히는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난간이 인도나 산책로, 공원, 산길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난간은 주로 브라켓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된다.
또한, 난간의 바닥은 복수개가 연결되는 데크패널(데크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데크패널은 지면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복수의 데크패널과 프레임은 클립에 의해 결합된다.
위와 같이 데크패널은 다양한 클립에 의해 조립 결합되는데, 종래의 클립은 데크패널을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난간의 경우 다수개의 수직지주를 가로바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가로바는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그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때, 종래에는 가로바를 상하방향으로 설치하는 구조물과, 가로바를 좌우방향으로 설치하는 구조물이 별개로 이루어져 있어,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부품도 많이 필요하였다.
등록특허 10-2105852 등록특허 10-1773040 공개특허 10-2020-014192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데크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고, 그 설치가 용이하며, 수직지주를 연결하는 가로바의 설치 각도를 쉽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크로드 시스템은,
하단이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데크패널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데크패널들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데크패널을 상기 지지레일에 고정 결합시키는 클립부재와; 상기 지지레일을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시키는 받침고정부재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데크패널들 상호간의 간극 상부에 삽입되는 슬립방지패드와; 하단이 상기 데크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장착홈이 형성된 수직지주와;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수직지주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바와; 상기 장착홈에 상하방향으로 삽입 장착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슬라이드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가로바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데크패널의 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데크패널 상호간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는 클립지지부와;
상기 클립지지부에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레일에 결합되는 레일체결부와;
상기 클립지지부에서 양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패널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데크끼움부와;
상기 데크끼움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양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돌기부의 상단과 상기 데크끼움부의 하단 간의 거리는, 상기 삽입홈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데크끼움부 및 걸림돌기부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걸림돌기부는 상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삽입되며,
상기 지지레일은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체결부는 상기 지지레일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체결홈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받침고정부재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글부재와; 머리부가 상기 체결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글부재의 측면은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레일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슬립방지패드는 상기 클립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립방지패드의 하부에는 상기 데크패널들 상호간의 간극에 삽입되어 상기 슬립방지패드를 상기 데크패널에 고정결합시키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체결부의 하면에는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체결부가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경사면은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모서리 및 측면을 타고 하강하면서 상기 레일체결부가 양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데크끼움부는 상기 클립지지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지지부는 상기 데크끼움부보다 상부에 상부지지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데크끼움부보다 하부에는 하부지지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끼움부가 상기 데크패널의 삽입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상기 데크패널의 단부의 하부는 상기 데크끼움부보다 아래에 배치된 상기 하부지지측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상기 데크패널의 단부의 상부는 상기 데크끼움부보다 위에 배치된 상기 상부지지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슬라이드바에서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관통공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관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끝단이 상기 장착홈에서 한 쌍의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기부의 상단은 상기 데크끼움부의 상단보다 위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부의 하단은 상기 데크끼움부의 하단보다 위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홈의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부는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돌기부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데크로드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데크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고, 그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의 정단면구조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의 측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를 지지파이프에 체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클립부재에 데크를 끼운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지주와 가로바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B-B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바에 체결링크의 방향을 변경하여 체결한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의 데크로드 시스템은, 받침부재(10)와, 지지레일(20)과, 데크패널(30)과, 클립부재(40)와, 받침고정부재(50)와, 슬립방지패드(60)와, 수직지주(70)와, 가로바(75)와, 슬라이드바(80), 연결브라켓(9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지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상기 받침부재(10)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레일(20)은 도 1 내지 도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레일(20)은 데크로드의 진행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길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레일(2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체결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크패널(30)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레일(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데크패널(30)의 측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31)이 형성되고,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데크패널(30) 상호간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부재(4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데크패널(30)들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데크패널(30)을 상기 지지레일(20)에 고정 결합시킨다.
상기 클립부재(40)는, 클립지지부(45)와, 레일체결부(41)와, 데크끼움부(42)와, 걸림돌기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지지부(45)는 상기 지지레일(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체결부(41)는 상기 클립지지부(45)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레일(2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체결부(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레일(20)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지지레일(2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21)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레일체결부(41)의 하면에는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체결부(41)가 상기 지지레일(20)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경사면은 상기 지지레일(20)의 상부모서리 및 측면을 타고 하강하면서 상기 레일체결부(41)가 양측방향으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한다.
상기 데크끼움부(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지지부(45)에서 양측방향으로 형성되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패널(30)의 삽입홈(31)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데크끼움부(42)는 상기 클립지지부(45)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걸림돌기부(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끼움부(42)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양측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부(43)는 상기 데크끼움부(42)에서 양단이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돌기부(43)는 양단이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40)와 상기 데크패널(30)의 결합시, 상기 데크끼움부(42) 및 걸림돌기부(43)는 상기 데크패널(30)의 삽입홈(31)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부(43)의 상단과 상기 데크끼움부(42)의 하단 간의 거리는, 상기 삽입홈(31)의 높이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부(43)의 상단은 상기 데크끼움부(42)의 상단보다 위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부(43)의 하단은 상기 데크끼움부(42)의 하단보다 위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홈(31)의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부(43)는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삽입홈(31)에 삽입된다.
즉, 상기 데크끼움부(42) 및 걸림돌기부(43)를 상기 삽입홈(31)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걸림돌기부(43)는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삽입홈(31)에 삽입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부(43)가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삽입홈(31)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데크끼움부(42) 및 걸림돌기부(43)가 상기 삽입홈(3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부(43)의 상단은 상기 삽입홈(31)에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데크끼움부(42)만 상기 삽입홈(31)에 삽입되었을 때보다 견고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부(43)의 상부에는 걸림턱(4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4)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부(43)가 상기 삽입홈(31)에 보다 강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크끼움부(42)는 상기 클립지지부(45)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클립지지부(45)는 상기 데크끼움부(42)보다 상부에 상부지지측면(45a)이 형성되고 상기 데크끼움부(42)보다 하부에는 하부지지측면(45b)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끼움부(42)가 상기 데크패널(30)의 삽입홈(3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홈(31)이 형성된 상기 데크패널(30)의 단부의 하부는 상기 데크끼움부(42)보다 아래에 배치된 상기 하부지지측면(45b)에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삽입홈(31)이 형성된 상기 데크패널(30)의 단부의 상부는 상기 데크끼움부(42)보다 위에 배치된 상기 상부지지측면(45b)에 접하여 지지된다.
상기 받침고정부재(5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레일(20)을 상기 받침부재(10)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기 받침고정부재(50)는 앵글부재(51)와 볼트(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앵글부재(51)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볼트(52)는 머리부가 상기 지지레일(2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볼트(52)의 끝단은 상기 앵글부재(51)의 측면을 관통하여 너트 체결됨으로서, 상기 앵글부재(51)는 상기 볼트(52)에 의해 상기 지지레일(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앵글부재(51)의 하부는 상기 받침부재(10)에 결합된다.
상기 슬립방지패드(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데크패널(30)들 상호간의 간극 상부에 삽입된다.
상기 슬립방지패드(60)에 의해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패드(60)는 상기 지지레일(20)에 체결되는 상기 클립부재(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슬립방지패드(60)의 하부에는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데크패널(30)들 상호간의 간극에 삽입되어 상기 슬립방지패드(60)를 상기 데크패널(30)에 고정결합시키는 끼움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지주(70)는 하단이 상기 데크패널(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수직지주(7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수직지주(70)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장착홈(71)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홈(71)은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가로바(75)는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수직지주(70)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가로바(75)의 양단에는 가로연결부재(9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바(8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홈(71)에 상하방향으로 삽입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드바(8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71)에 한개가 삽입될 수도 있고, 다수개로 절단되어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상기 장착홈(71)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바(80)에는 한 쌍의 관통공(82,83)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95)은 상기 관통공(82,83)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바(8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브라켓(95)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끝단이 상기 장착홈(71)에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된다.
상기 연결브라켓(95)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가로바(75)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공(82,83)을 관통한 상기 연결브라켓(95)은 상기 가로바(75)의 양단에 장착된 상기 가로연결부재(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관통공(82,83)은, 도 8, 도 9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관통공(82)으로 이루어거나,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관통공(8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브라켓(9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공(82)을 관통하여 결합되거나 상기 제2관통공(83)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95)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1관통공(82)을 관통하여 장착되면, 상기 가로바(75)는 상기 연결브라켓(95)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그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된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95)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2관통공(83)을 관통하여 장착되면, 상기 가로바(75)는 상기 연결브라켓(95)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그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제1관통공(82)이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바(80) 또는 상기 제2관통공(83)이 형성된 슬라이드바(80)에 상기 연결브라켓(95)을 조립한 후 상기 장착홈(71)에 삽입하게 되면, 설치 장소 등에 따라 상기 가로바(75)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 즉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80)에 상기 제1관통공(82)과 제2관통공(83)을 모두 형성하여, 상기 가로바(75)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데크로드 시스템을 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기 클립부재(40)를 이용하여 데크패널(30) 상호간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난간 휀스 구조물에서 상기 가로바(75)의 각도 조절 방향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가로바(75)의 설치 방향을 변경하면서 쉽게 조절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데크로드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받침부재,
20 : 지지레일, 21 : 체결홈,
30 : 데크패널, 31 : 삽입홈,
40 : 클립부재, 41 : 레일체결부, 42 : 데크끼움부, 43 : 걸림돌기부, 44 : 걸림턱, 45 : 클립지지부, 45a : 상부지지측면, 45b : 하부지지측면
50 : 받침고정부재, 51 : 앵글부재, 52 : 볼트,
60 : 슬립방지패드, 61 :끼움돌기,
70 : 수직지주, 71 : 장착홈, 75 : 가로바,
80 : 슬라이드바, 82 : 제1관통공, 83 : 제2관통공,
90 : 가로연결부재, 95 : 연결브라켓.

Claims (7)

  1. 하단이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데크패널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데크패널들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데크패널을 상기 지지레일에 고정 결합시키는 클립부재와; 상기 지지레일을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시키는 받침고정부재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데크패널들 상호간의 간극 상부에 삽입되는 슬립방지패드와; 하단이 상기 데크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장착홈이 형성된 수직지주와;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수직지주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바와; 상기 장착홈에 상하방향으로 삽입 장착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슬라이드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가로바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데크패널의 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데크패널 상호간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는 클립지지부와;
    상기 클립지지부에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레일에 결합되는 레일체결부와;
    상기 클립지지부에서 양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패널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데크끼움부와;
    상기 데크끼움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양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돌기부의 상단과 상기 데크끼움부의 하단 간의 거리는, 상기 삽입홈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데크끼움부 및 걸림돌기부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걸림돌기부는 상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삽입되며,
    상기 지지레일은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체결부는 상기 지지레일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체결홈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받침고정부재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글부재와; 머리부가 상기 체결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글부재의 측면은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레일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슬립방지패드는 상기 클립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립방지패드의 하부에는 상기 데크패널들 상호간의 간극에 삽입되어 상기 슬립방지패드를 상기 데크패널에 고정결합시키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체결부의 하면에는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체결부가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경사면은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모서리 및 측면을 타고 하강하면서 상기 레일체결부가 양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데크끼움부는 상기 클립지지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지지부는 상기 데크끼움부보다 상부에 상부지지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데크끼움부보다 하부에는 하부지지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끼움부가 상기 데크패널의 삽입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상기 데크패널의 단부의 하부는 상기 데크끼움부보다 아래에 배치된 상기 하부지지측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상기 데크패널의 단부의 상부는 상기 데크끼움부보다 위에 배치된 상기 상부지지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슬라이드바에서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관통공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관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끝단이 상기 장착홈에서 한 쌍의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부의 상단은 상기 데크끼움부의 상단보다 위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부의 하단은 상기 데크끼움부의 하단보다 위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홈의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부는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부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28556A 2021-03-04 2021-03-04 데크로드 시스템 KR10226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56A KR102264470B1 (ko) 2021-03-04 2021-03-04 데크로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56A KR102264470B1 (ko) 2021-03-04 2021-03-04 데크로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470B1 true KR102264470B1 (ko) 2021-06-15

Family

ID=7641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556A KR102264470B1 (ko) 2021-03-04 2021-03-04 데크로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4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551B1 (ko) * 2022-04-06 2022-06-08 최혁 회전형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2417040B1 (ko) * 2022-02-14 2022-07-05 주식회사 아라우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581185B1 (ko) * 2023-02-17 2023-09-21 (주)유에스씨 데크 조립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28B1 (ko) * 2009-04-29 2009-12-23 주식회사강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20130103041A (ko) * 2012-03-09 2013-09-23 신준수 바닥재 데크보드 구조물
KR101773040B1 (ko) 2017-01-13 2017-08-31 이윤경 목재데크 상판 연결용 클립 브라켓
KR102055652B1 (ko) * 2019-03-28 2019-12-13 (주)울림 목재와 연결철물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
KR102076734B1 (ko) * 2019-08-22 2020-02-12 경동산업(주) 데크 지지력이 증대된 장선 및 클립을 활용한 체결력과 시공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105852B1 (ko) 2019-07-29 2020-04-29 임철환 플레이트 연결용 고정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로드시스템
KR20200141926A (ko) 2020-05-18 2020-12-21 이나영 데크 체결용 클립
KR102199254B1 (ko) * 2020-04-21 2021-01-07 (주)우드린 합성목재 데크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28B1 (ko) * 2009-04-29 2009-12-23 주식회사강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20130103041A (ko) * 2012-03-09 2013-09-23 신준수 바닥재 데크보드 구조물
KR101773040B1 (ko) 2017-01-13 2017-08-31 이윤경 목재데크 상판 연결용 클립 브라켓
KR102055652B1 (ko) * 2019-03-28 2019-12-13 (주)울림 목재와 연결철물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
KR102105852B1 (ko) 2019-07-29 2020-04-29 임철환 플레이트 연결용 고정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로드시스템
KR102076734B1 (ko) * 2019-08-22 2020-02-12 경동산업(주) 데크 지지력이 증대된 장선 및 클립을 활용한 체결력과 시공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199254B1 (ko) * 2020-04-21 2021-01-07 (주)우드린 합성목재 데크 결합구조
KR20200141926A (ko) 2020-05-18 2020-12-21 이나영 데크 체결용 클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040B1 (ko) * 2022-02-14 2022-07-05 주식회사 아라우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406551B1 (ko) * 2022-04-06 2022-06-08 최혁 회전형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2581185B1 (ko) * 2023-02-17 2023-09-21 (주)유에스씨 데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470B1 (ko) 데크로드 시스템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78849B1 (ko)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KR101349948B1 (ko) 가설 인도교
US8002642B2 (en) Playset system components
US11692383B2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KR101848877B1 (ko) 교량 점검로
KR20090085188A (ko)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KR102286985B1 (ko) 난간 휀스 구조물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US20020100248A1 (en) Suspended ceiling assembly
KR101952924B1 (ko) 난간 연결장치
KR102090329B1 (ko)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KR102370076B1 (ko) 장부 맞춤형 울타리
KR100665573B1 (ko) 난간연결구조
KR102346102B1 (ko) Sos도로갓길계단
KR0132118Y1 (ko)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KR102057300B1 (ko) 개량형 조립식 안전난간
AU2017206266B2 (en) Fence assembly
KR102246719B1 (ko) 난간 연결구조
KR20220077641A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CA3146615A1 (en) Brackets for stair railings
KR200303255Y1 (ko) 교각 점검대용 난간 및 그 난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