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641A -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 Google Patents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641A
KR20220077641A KR1020200166779A KR20200166779A KR20220077641A KR 20220077641 A KR20220077641 A KR 20220077641A KR 1020200166779 A KR1020200166779 A KR 1020200166779A KR 20200166779 A KR20200166779 A KR 20200166779A KR 20220077641 A KR20220077641 A KR 20220077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boundary stone
bracket
ang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욱
박원균
Original Assignee
(주)신화
주식회사 가나
주식회사 가나
(주)호남엠엔씨
(주)월드티엔씨
(주)경원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 주식회사 가나, 주식회사 가나, (주)호남엠엔씨, (주)월드티엔씨, (주)경원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신화
Priority to KR102020016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641A/ko
Publication of KR2022007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2Pedestrian barriers; Barriers for channelling or controlling crow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이나 차도 또는 인도측에 설치되는 난간에 관한 것으로, 경계석과 지주 사이의 높이 및 경계석과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 또는 변경 설치할 수 있도록 경계석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주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과 상기 지주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라킷으로 구성되되, 상기 브라킷에는 상기 지주를 경계석에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될 경우, 볼트가 통과는 체결홀이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볼트에 삽입되고, 상기 경계석과 상기 브라킷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HANDRAIL WITH ADJUSTABLE HEIGHT AND ANGLE}
본 발명은 교량이나 차도 또는 인도측에 설치되는 난간에 관한 것으로, 경계석과 지주 사이의 높이 및 경계석과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 또는 변경 설치할 수 있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차도와 인도 사이 혹은 인도교 측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고,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교통 및 추락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교통 안전시설물에 속한다.
난간은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형성하기 위해 인도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방호벽 형태, 주택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울타리 형태, 공원 등지에서 녹지와 보행통로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조경휀스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설치되어 적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보도용 난간의 경우, 보행통로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기초 콘트리트에 입설되는 지주와 지주와 지주를 연결하는 가이드 레일을 기본적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지주가 기초 콘트리트에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이 받는 충격 등을 흡수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난간은 공간을 구획하는 목적외에 외부의 침입이나 충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므로, 지주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통상 바닥에는 앵커 볼트가 인서트된 콘크리트 블록을 묻고, 그 위에 앵커 볼트가 끼워지도록 지지대를 세워 체결하는 방법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때, 지주는 바닥면에 시멘트와 같이 타설되고 여기에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가이드 레일은 지주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치과정에서 앵커 볼트가 놓이는 위치나 각도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그 위에 세워지는 지주의 위치나 각도가 어긋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자연재해 또는 난간의 하중으로 인해 지반이 약해지는 문제 등으로 난간이 설치되는 바닥 또는 콘크리트 블록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난간이 기울어져 재설치를 해야 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이나 차도 또는 인도측 바닥 또는 경계석과 지주 사이의 높이 및 경계석과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 또는 변경 설치가 가능하며, 경계석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기울어진 지주를 설치 당시 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줄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도로와 인도와의 경계에 구비되는 경계석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도로와 인도와의 경계에 구비되는 경계석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주(10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200);과 상기 지주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라킷(300);으로 구성되되, 상기 브라킷(300)에는 상기 지주를 경계석에 체결수단(400)을 통해 체결될 경우, 볼트(410)가 통과는 체결홀(310);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볼트(410)에 삽입되고, 상기 경계석과 상기 브라킷(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단부 일측은 브라킷(300)에 의해 가압되고, 타측은 경계석의 설치면에 가압되어 탄성력을 유지하는 스프링(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500)은 경계석의 설치면과 브라킷(3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탄성력에 의해 경계석의 설치면과 브라킷(300)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충격이 지주(100)에 가해졌을 경우 완충작용 및 충격 후 지주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고, 지반 침하 등의 외부요인이 발생할 경우에도, 복수개의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인접하고 있는 다수개의 지주(100)에 결합되어 있는 지주(100)의 위치를 이탈시키지 않고,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주(100)가 경계석의 측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브라킷(300)에는 지주(100)의 하단이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홈(331)이 형성되는 결합구(330)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지주(100)는 상기 경계석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브라킷(300)의 체결홀(310) 각각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볼트(410)에 대응하여 너트(420)로 나사결합하여 체결하고, 각각의 너트(420)의 나사결합을 풀거나 조이는 동작으로 상기 스프링(500)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지주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브라킷(300)의 하단부에는 반구형상의 받침부(3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브라킷에는 경계석의 측면에 종측방향으로 설치될 때, 지주의 일부분이 내삽될 수 있도록 하는 관형상의 결합구가 더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는 H빔형상의 지주, 각관형상의 지주 또는 원형봉형상의 지주가 내삽될 수 있도록 결합구의 내측에 H빔형상이 지주의 함몰된 부분에 대응하는 끼움부가 더 형성되거나, 각관형상의 지주에 대응하는 각관형상이거나 또는 원형봉형상의 지주에 대응하는 원형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첫째, 교량이나 차도 또는 인도측 바닥 또는 경계석과 지주 사이의 높이 및 경계석과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 또는 변경 설치가 가능하다.
둘째, 경계석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기울어진 지주를 설치 당시 각도로 조정함으로써, 난간을 설치 당시의 각도로 유치시킬 수 있다.
셋쩨, 지주가 경계석에 고정설치 되더라도 경계석으로부터 난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지주가 H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지주가 결합구에 삽입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되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각도 높이 및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지주가 H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지주가 결합구에 삽입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되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각도 높이 및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은 교량이나 차도 또는 인도측에 설치되는 난간에 관한 것으로, 경계석(A)과 지주(100) 사이의 높이 및 경계석(A)과의 각도에 구애 받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 또는 변경 설치할 수 있도록 지주(100) 및 수평 프레임(200), 브라킷(3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주(100)는 수평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 대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지주(100)는 사각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봉이나 H빔 또는 그 외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주(100)는 바닥면 또는 경계석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지주(100)는 도로와 인도와의 경계에 설치되는 경계석(A)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주(100)는 하단이 경계석(A)의 설치 대상면에 볼트(410)과 너트(420) 같은 체결수단(40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00)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지주(1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00)은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지주(100) 사이에 결합되며, 지주(100)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00)은 바(Bar)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금속소재 및 목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프레임(200)이 지주(10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됨으로써, 보행자가 난간(10)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주(100)는 경계석(A)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하중 지지된 상태로 경계석(A)에 결합될 수 있도록 브라킷(300)이 결합될 수 있다.
브라킷(300)은 지주(1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410)이 통과될 수 있는 체결홀(310)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브라킷(300)은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으며, 지주(100)과 수직한 상태로 상면이 지주(1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킷(300)의 하면은 경계석(A)에서 지주(100)가 설치될 설치 대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브라킷(300)의 하면에는 하중이 높은 지주 구조물을 적용할 때, 경계석의 설치 대상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진 받침부(3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320)가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이 경계석의 설치 대상면과 접촉됨으로써, 경계석의 설치 대상면과 브라킷(300)이 근접한 상태에서도 무거운 하중을 갖는 지주(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체결수단(400)을 통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킷(300)의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홀(310)이 더 형성되고, 브라킷(300)의 상면과 하면을 통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체결홀(310)은 브라킷(30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2,3,4체결홀(311, 312, 313, 3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수단(400)의 볼트(410)은 ‘앙카 볼크’일 수 있으며, 일측이 경계석(A)에 일정 깊이로 삽입 고정되고, 타측이 브라킷(300)의 체결홀(310)을 관통할 수 있다. 특히, 볼트(410)은 타측이 경계석(A)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경계석(A)에 인서트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볼트(410)가 브라킷(300)의 제1,2,3,4체결홀(311, 312, 313, 314) 각각을 관통하고, 너트(420)가 각각의 볼트(410) 타측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다수개의 볼트(410)를 경계석(A)의 설치 대상면에 일정 깊이로 삽입고정시킴으로써, 지주(100)를 경계석의 상측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볼트(410)를 경계석(A)에 다수개 구비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볼트(410)가 브라킷(300)의 제1,2,3,4체결홀(311, 312, 313, 314)을 관통할 수 있도록 지주(100)을 배치할 경우, 각각의 체결홀(310)을 관통하여 돌출된 볼트들(410)에 너트(420)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지주(100)을 경계석(A)의 설치 대상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경계석(A)에 지주(100)를 결합시킬 경우, 설치 대상면과 지주(100)의 설치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지주(100)와 경계석(A) 사이에 스프링(500)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500)은 볼트(410)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단부에 브라킷(300)에 의해 일부분이 가압되고, 타측은 경계석의 설치면에 접하게 되어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프링(500)은 볼트(410)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500)은 지주(100)과 경계석(A) 사이에 위치하되, 볼트(410)에 삽입된 상태로 경계석(A)과 브라킷(300)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스프링(500)은 일예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스프링(500)은 일단이 경계석(A)의 설치면과 접촉되며, 타단은 브라킷(30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으며, 지주(100)을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스프링(500)은 경계석의 설치면과 지주(100) 사이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프링(500)이 볼트(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경계석(A)과 브라킷(300)의 사이에 구비될 경우, 브라킷(300)을 탄성지지 함으로써 경계석(A)과 브라킷(300)의 이격거리가 조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스프링(500)은 지주(10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면 상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되어 지주(100)에 탄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경계석(A)의 설치 대상면과 브라킷(300)의 조정된 이격거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500)은 지부(100)에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작용을 할 수 있으며, 충격 후 지주(100)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반 침하 등의 외부요인이 발생할 경우에도, 복수개의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인접하고 있는 다수개의 지주(100)에 결합되어 있는 지주(100)의 위치를 이탈시키지 않고,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스프링(500)의 탄성력이 지주(100)에 지속적으로 제공 되어지는 상태이므로, 각각의 볼트(410)에 결합된 너트들(420)을 풀거나 조이는 동작을 통해 지주(100)의 설치 대상면과 브라킷(3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지주(1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난간(10)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킷(300)이 결합된 지주(100)이 볼트(410) 및 너트(420)로 구성되는 체결수단(400에 의해 경계석(A)의 설치 대상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10)을 경계석(A)의 설치 대상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계석(A)의 설치 대상면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라킷(300)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너트(420)을 푸는 동작을 통해 지주(100)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다. 브라킷(300)의 각 모서리의 제1,2,3,4체결홀(311, 312, 313, 314)을 통과하는 볼트(410)들 각각에 결합되는 너트(420) 각각의 나사 결합을 푸는 동작을 수행할 경우, 브라킷(300)의 하단의 위치하는 각각의 스프링(500)의 탄성력을 통해 지주(100)이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각각의 스프링(500)을 가압하도록 너트(420)들을 조이는 동작을 수행할 경우, 지주(100)을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석(A)이 보행 블록(B)의 외측으로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난간(10)이 기울어질 경우, 제3,4홀(313, 314)에 위치하는 각각의 너트(420)을 푸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지주(100)의 각도를 설치 당시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지주(100a)를 설치 대상면을 경계석(A)의 측면으로 하여 경계석(A)의 측면에 고정시킨 상태 즉, 측면에 종측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지주(100a)의 각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경우 브라킷(300a)은 경계석에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계석의 측면방향에 브라킷(300a)이 설치될 경우, 추가적으로 관형상의 결합구(330a)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330a)는 내측에 지주(100a)의 일부분을 내삽할 수 있도록 각관형태 또는 내주면의 형상이 원형봉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도 5a를 참조하면, 브라킷(300a)이 지주(100a)와 평행한 상태로 지주(100a)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킷(300a)의 상면에 지주(100a)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31)이 형성되는 결합구(330a)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구(330a)는 지주(100a)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를 이루도록, 브라킷(300a)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구(300a)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삽입홈(331a)이 형성되기 때문에, 지주(100a)의 하단이 삽입홈(331a)으로 삽입된 상태로 브라킷(300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331a)은 지주(100a)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일 예로, 지주(100a)가 사각봉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그 지주(100a)의 형상에 대응하여 삽입홈(331a)이 직사각형으로 결합구(300a)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지주(100b)의 하단이 결합구(330b)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일 예로, 지주(100b)가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면 그 지주(100b)의 형상에 대응하여 삽입홈(331b)이 원기둥의 형상으로 결합구(300b)의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c를 참조하면, 지주(100c)의 하단이 결합구(330c)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일 예로, 지주(100c)가 H빔 형태로 형섬됨에 따라 측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는 내측홈(110)이 형성되면, 그 지주(100c)의 형상에 대응하여 삽입홈(331c)의 내측에 한 쌍의 끼움부(332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332c)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형성되는 삽입홈(331c)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부(332c)는 삽입홈(331c)의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부(332c)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삽입홈(331c)의 내측면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 형태를 갖는 지주(100c)가 결합구(330c)의 삽입홈(331c)의 내측으로 그 하단이 삽입되는 경우, 각각의 끼움부(332c)가 지주(100c) 각각의 내측홈(110c)으로 끼워짐에 따라 지주(100c)가 결합구(330c)에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을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a)를 경계석(A)의 측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너트(420a)의 나사결합을 풀거나 조이는 동작을 통해 다수개의 스프링(500a) 탄성력을 조정함으로써 지주(100a)의 각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재해 또는 장기간 난간(10)의 하중으로 인해 지반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로 인해 경계석(A)의 각도 변경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는 지주(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브라킷(300)의 모리서 각각에 구비되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난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지주 200 : 수평 프레임
300 : 브라킷 310 : 체결홀
320 : 받침부 330 : 결합구
400 : 체결수단 410 : 볼트
420 : 너트 500 : 스프링

Claims (8)

  1. 도로와 인도와의 경계에 구비되는 경계석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주(10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200);과
    상기 지주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라킷(300);으로 구성되되,
    상기 브라킷(300)에는 상기 지주를 경계석에 체결수단(400)을 통해 체결될 경우, 볼트(410)가 통과는 체결홀(310);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볼트(410)에 삽입되고, 상기 경계석과 상기 브라킷(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단부 일측은 브라킷(300)에 의해 가압되고, 타측은 경계석의 설치면에 가압되어 탄성력을 유지하는 스프링(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0)은 경계석의 설치면과 브라킷(3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탄성력에 의해 경계석의 설치면과 브라킷(300)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충격이 지주(100)에 가해졌을 경우 완충작용 및 충격 후 지주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0) 지반 침하 등의 외부요인이 발생할 경우에도, 복수개의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인접하고 있는 다수개의 지주(100)에 결합되어 있는 지주(100)의 위치를 이탈시키지 않고,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가 경계석의 측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브라킷(300)에는 지주(100)의 하단이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홈(331)이 형성되는 결합구(330)가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는 상기 경계석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브라킷(300)의 체결홀(310) 각각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볼트(410)에 대응하여 너트(420)로 나사결합하여 체결하고,
    각각의 너트(420)의 나사결합을 풀거나 조이는 동작으로 상기 스프링(500)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지주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킷(300)의 하단부에는 반구형상의 받침부(3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킷에는 경계석의 측면에 종측방향으로 설치될 때, 지주의 일부분이 내삽될 수 있도록 하는 관형상의 결합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H빔형상의 지주, 각관형상의 지주 또는 원형봉형상의 지주가 내삽될 수 있도록 결합구의 내측에 H빔형상이 지주의 함몰된 부분에 대응하는 끼움부가 더 형성되거나, 각관형상의 지주에 대응하는 각관형상이거나 또는 원형봉형상의 지주에 대응하는 원형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KR1020200166779A 2020-12-02 2020-12-02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KR20220077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79A KR20220077641A (ko) 2020-12-02 2020-12-02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79A KR20220077641A (ko) 2020-12-02 2020-12-02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641A true KR20220077641A (ko) 2022-06-09

Family

ID=8198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779A KR20220077641A (ko) 2020-12-02 2020-12-02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6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023B1 (ko) * 2023-04-25 2023-09-15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보행로가 확보되고 완충기능을 가지는 난간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023B1 (ko) * 2023-04-25 2023-09-15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보행로가 확보되고 완충기능을 가지는 난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5139A (en) Anchor for guard rail system on structural grating floors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US20100205875A1 (en) Pole assembly and mounting thereof
KR100794922B1 (ko)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KR101199429B1 (ko) 설치각도와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난간
GB2259924A (en) "Fencing"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20220077641A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CA2464641A1 (en) Temporary barrier
US5400997A (en) Adjustable anchoring base for posts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83014B1 (ko)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KR970011188A (ko) 조립식 고가도로와 그 시공방법
KR101178814B1 (ko)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KR102078285B1 (ko)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KR102347886B1 (ko) 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1265098B1 (ko) 조립형 난간
KR102032697B1 (ko) 내충격 및 내진 기능이 향상된 기둥 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조립식 난간
KR102104964B1 (ko) 안전난간 휀스지주의 수평조절장치
KR20230113432A (ko) 충격완충부재를 이용한 충격저감구조를 갖는 인도교
CN211815844U (zh) 一种市政公路工程用移动式防穿护栏
KR102365828B1 (ko) 디자인형 울타리
CA2259874A1 (en) A device for road protection and method of obtaining such a device
RU189925U1 (ru) Дорожное огражд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