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014B1 -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 Google Patents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014B1
KR101283014B1 KR1020130049153A KR20130049153A KR101283014B1 KR 101283014 B1 KR101283014 B1 KR 101283014B1 KR 1020130049153 A KR1020130049153 A KR 1020130049153A KR 20130049153 A KR20130049153 A KR 20130049153A KR 101283014 B1 KR101283014 B1 KR 101283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upled
support member
fixing
ba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4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직축; 상기 수직축에 상하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 상기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에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각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발판 고정부재; 상기 발판 고정부재를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도로나 국도에 보행자가 자전거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도로를 확장시 설치가 쉽고 간단하며, 또한 견고하고 안전하다.

Description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APPARATUS FOR SUPPORTING FOOTING PIECES AND FOOTWAY-BRIDG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차도 옆에 보행자가 자전거가 다닐 수 있도록 인도교(일명, 보도교라고도 함)가 설치된다. 하지만, 지방도로나 국도의 경우 도로 폭이 좁아 별도로 보행자나 자전거가 다닐 수 있는 도로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보행자나 자전거는 위험에 노출된 채로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지방도로나 국도에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인도를 확보하게 될 경우 도로를 확장하여야 하므로 많은 건설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호수나 강을 따라 높여있는 지방도로나 국도, 또는 계곡을 따라 놓여진 좌우 굽이가 많고 경사가 있는 지방도로나 국도에 인도를 확보할 경우 식재된 가로수를 제거하고 그 위치에 토목공사를 통해 콘크리트 옹벽을 세워 도로를 확장하게 되므로 공사가 위험하고 난해할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이 길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공사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교통통제 기간이 길게 되어 차량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06319호(2011. 01. 20. 공개일)(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함)에는 도로 옆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이용하여 보행교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1580호(2010. 10. 15. 공개일)(이하, 선행기술 2이라고 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25095호(2013. 03. 11. 공개일)(이하, 선행기술 3이라고 함)에는 각각 교량의 측면에 보도교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의 경우 경사지지 않은 도로에 인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은 가능하나, 도로가 경사진 경우 가드레일 지주에 결합되어 발판을 지지하는 수평부재들이 수평 방향으로 높이 차가 발생되어 발판들이 수평부재에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굽은 도로일 경우 설치시 수평부재들의 각도조절이 쉽지 않게 된다.
선행기술 2,3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설치된 교량의 옆에 인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은 가능하나, 도로가 경사진 경우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대들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높이 차가 발생되어 발판들이 발판지지대에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도로나 국도에 보행자가 자전거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도로를 확장시 설치가 쉽고 간단한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고하고 안전한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축; 상기 수직축에 상하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 상기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에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각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발판 고정부재; 상기 발판 고정부재를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발판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은 상기 수직축의 상부에 수직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관통 결합된 힌지 볼트와, 상기 힌지 볼트에 결합되어 힌지 볼트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회전하는 상하 각회전 브라켓과, 상기 힌지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 각회전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과 베이스 지지부재에 수평각도조절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각도조절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각도조절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원형 축공 및 원호형 장공과, 상기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의 상면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형 축공에 삽입되는 축용 앵커볼트 및 상기 원호형 장공에 삽입되는 고정용 앵커볼트와, 상기 축용 앵커볼트와 고정용 앵커볼트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호형 장공은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원호형 장공들은 상기 원형 축공을 기준으로 양쪽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용 앵커볼트가 두 개이며, 상기 고정용 앵커볼트는 상기 축용 앵커볼트의 양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상부에 복수 개의 가이드 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발판 고정부재의 하면에 상기 가이드 판에 맞물려 가이드 판을 따라 각회전하는 슬라이드 판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판은 상면이 볼록 곡면이며 내부에 장공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판은 하부에 상기 가이드 판의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내부에 원형공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판의 장공과 슬라이딩 판의 원형공에 상기 고정유닛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는 균일한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판들이 결합되는 가로 수직판부와, 상기 가로 수직판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세로 수직판부와, 상기 세로 수직판부에 결합되는 수평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와 수직축 사이에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지지유닛은 한쪽 단부가 상기 수직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장공이 구비된 제1 보조바와, 한쪽 단부가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공이 구비되는 제2 보조바와, 상기 제1 보조바의 장공과 제2 보조바의 결합공에 관통되어 제1,2 보조바를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옆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상기 발판 지지장치들과; 상기 발판 지지장치들의 발판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발판들; 및 상기 발판을 발판 고정부재에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방도로나 국도 옆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행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자전거가 주행시 자전거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지지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게 되고 또한 베이스 지지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게 되고, 발판 고정부재가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고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로의 특성에 관계없이 즉, 강이나 게곡을 따라 놓인 길이나 경사진 도로 등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축을 설치할 때 토공을 오우거 등으로 시공한 후 수직축을 토공에 설치하게 되는데 토공의 정밀 시공이 어려워 수직축을 정밀하게 설치하기 어려우나, 베이스 지지부재와 발판 고정부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인도교를 설계에 따라 정밀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발판 고정부재가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고정하게 되므로 발판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발판과 발판 고정부재의 접촉면적이 넓게 되어 발판의 지지가 견고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발판의 설치 상태가 견고하고 안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수직축을 지방도로나 국도 옆에 설치하고 발판 고정부재에 발판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쉽고 빠르게 된다. 즉, 계곡을 따라 놓인 도로 옆에 인도교를 설치할 경우 도로 옆에 식재된 가로수를 제거하고 그 위치에 토목공사를 통해 콘크리트 옹벽을 세워 인도교를 설치하게 되므로 공사가 복잡하고 공사기간이 오래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은 수직축을 도로 옆에 설치한 다음 발판 고정부재에 발판을 고정시키면 된다. 이로 인하여, 공사가 간단하고 공사 기간이 짧게 되어 공사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교통 통제 기간도 짧게 되어 교통의 불편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조립식이므로 유지 보수가 쉽고 간편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를 구비한 인도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지지부재와 발판 고정부재의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를 구비한 인도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의 일실시예는 복수 개의 발판 지지장치(100)와, 복수 개의 발판 지지장치(100)들의 상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발판(200)들과, 발판(200)을 발판 지지장치(110)에 체결시키는 체결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발판 지지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수직축(110),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 베이스 지지부재(130), 발판 고정부재(140), 고정유닛(150)을 포함한다.
수직축(1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축(110)이 원통형 관인 경우 환봉 형태보다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수직축(110)의 상단부에 상면이 막힌 원통형 캡(111)이 삽입되어 상단을 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은 수직축(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은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된 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가능하게 된다.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은 수직축(110)의 상부에 수직축(11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관통 결합된 힌지 볼트(121)와, 힌지 볼트(121)에 결합되어 힌지 볼트(121)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회전하는 상하 각회전 브라켓(122)과, 힌지 볼트(121)에 체결되어 상하 각회전 브라켓(122)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123)를 포함한다. 상하 각회전 브라켓(122)은 수평으로 위치하는 사각 형태의 상판(122a)과, 상판(122a)의 양측 하면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두 개의 측판(122b)을 포함한다. 상하 각회전 브라켓(122)은 상판(122a)이 수직축(110)에 결합된 원통형 캡(111)의 상면과 접면되도록 수직축(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힌지 볼트(121)가 수직축(110) 및 측판(122b)들의 관통공을 관통하며, 그 관통된 힌지 볼트(121)에 고정너트(123)가 체결된다. 상하 각회전 브라켓(122)이 힌지 볼트(121)를 축으로 설정된 각도로 조정된 상태에서 고정너트(123)를 죄어 상하 각회전 브라켓(122)을 고정시킨다.
베이스 지지부재(130)는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에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외팔보 형태로 결합된다.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과 베이스 지지부재(130)에 수평각도조절 고정수단(16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각도조절 고정수단(160)에 의해 베이스 지지부재(130)가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부재(130)는 균일한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수직으로 위치하는 가로 수직판부(131)와, 가로 수직판부(131)의 한쪽 단부에 결합되는 세로 수직판부(132)와, 세로 수직판부(132)에 결합되는 수평판부(133)를 포함한다. 가로 수직판부(131)는 세로 수직판부(132)로 갈수록 폭이 선형적으로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 수직판부(131)는 한쪽면이 가로 수직판부(131)의 끝면에 결합된다. 수평판부(133)는 사각 형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수평 상태로 위치하여 그 한쪽 끝면이 세로 수직판부(132)의 다른 한쪽면에 결합되어 세로 수직판부(132)와 함께 기역자 형상을 이룬다.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세로 수직판부(132)와 수평판부(133)에 보강 케이스(17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보강 케이스(170)는 사각 형태의 상판(171)과, 상판(171)의 한쪽 끝 하면에 결합된 사각 형태의 사각 측판(172)과, 사각 측판(172)의 양쪽 옆에 위치하도록 상판(172)의 양쪽 끝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삼각 형태의 삼각 측판(173)을 포함한다. 상판(171)이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수평판부(133)에 접면되고 사각 측판(172)이 세로 수직판부(132)에 접면되도록 보강 케이스(170)가 베이스 지지부재(130)에 결합된다.
수평각도조절 고정수단(160)은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원형 축공(61) 및 원호형 장공(62)과,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의 상면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형 축공(61)에 삽입되는 축용 앵커볼트(63) 및 상기 원호형 장공(62)에 삽입되는 고정용 앵커볼트(64)와, 축용 앵커볼트(63)와 고정용 앵커볼트(64)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65)들을 포함한다. 원형 축공(61)과 원호형 장공(62)은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수평판부(13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축공(61)은 수평판부(133)의 가운데에 구비되고 원호형 장공(62)은 원형 축공(61)의 옆에 구비된다. 원호형 장공(62)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개의 원호형 장공(62)들은 원형 축공(61)을 기준으로 양쪽에 위치한다. 이 경우, 고정용 앵커볼트(63)가 두 개이며, 고정용 앵커볼트(64)는 축용 앵커볼트(63)의 양쪽에 위치하게 된다. 축용 앵커볼트(63)와 고정용 앵커볼트(64)는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을 구성하는 상하 각회전 브라켓(122)의 상판(122a) 상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용 앵커볼트(63)는 상하 각회전 브라켓(122)의 상판(122a) 상면 가운데 위치하며 그 한쪽 또는 양쪽에 고정용 앵커볼트(64)가 위치한다. 보강 케이스(170)가 구비될 경우 보강 케이스(170)의 상판(171)에 원형 축공(174)과 원호형 장공(들)(175)이 형성된다.
축용 앵커볼트(63)와 고정용 앵커볼트(64)가 각각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원형 축공(61)과 원호형 장공(62)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지지부재(130)를 수평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한 다음 축용 앵커볼트(63)와 고정용 앵커볼트(64)에 각각 체결된 너트(65)를 조여 베이스 지지부재(130)를 고정시킨다.
베이스 지지부재(130)가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에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발판 고정부재(140)는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각회전 가능하게 베이스 지지부재(130)에 결합된다. 발판 고정부재(140)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판(141)을 포함하며, 그 판(141)은 사각판 형상으로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길이와 상응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발판 고정부재(140)가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각회전 가능하게 베이스 지지부재(130)에 결합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 일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상부에 복수 개의 가이드 판(134)이 구비되고, 발판 고정부재(140)의 판(141) 하면에 가이드 판(134)에 맞물려 가이드 판(134)을 따라 각회전하는 슬라이드 판(142)들이 더 구비된다. 가이드 판(134)은 상면이 볼록 곡면이며 내부에 원호 형태의 장공(135)이 구비된다. 가이드 판(134)들은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가로 수직판부(131)와 수평판부(133)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판(142)은 하부에 가이드 판(134)의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43)이 구비되고 내부에 원형공(144)이 구비된다. 슬라이딩 판(142)들은 가이드 판(134)들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발판 고정부재(140)의 판(141)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슬라이딩 판(142)들에 각각 가이드 판(134)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발판 고정부재(140)를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각도를 조절한 다음 가이드 판(134)의 장공(135)과 슬라이딩 판(142)의 원형공(144)에 고정유닛(150)이 결합되어 발판 고정부재(140)를 베이스 지지부재(130)에 고정시키게 된다.
베이스 지지부재(130)와 수직축(110) 사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된 베이스 지지부재(130)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유닛(18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지지유닛(180)은 한쪽 단부가 수직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직선 형태의 장공이 구비된 제1 보조바(181)와, 한쪽 단부가 베이스 지지부재(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공이 구비되는 제2 보조바(182)와, 제1 보조바(181)의 장공과 제2 보조바(182)의 결합공에 관통되어 제1,2 보조바(181)(182)를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제1,2 보조바(181)(182)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가결합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위치가 조절되면 제1 보조바(181)의 한쪽을 수직축(110)에 고정하고 볼트와 너트를 조여 제1,2 보조바(181)(182)를 고정 결합시키게 된다.
발판들은 발판 지지장치의 발판 고정부재(140)에 체결유닛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체결유닛은 볼트와 너트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도교가 지방도로나 국도에 보행자가 안전하게 걸을 수 있도록 하거나 자전거의 운행을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도로를 따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들이 도로를 따라 도로 옆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하게 된다. 이때, 발판 지지장치들은 각각 수직축(110)을 지반에 설치하고 도로의 지형에 맞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으로 베이스 지지부재(130)의 상하 방향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도를 맞춘 다음 베이스 지지부재(13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120)을 고정하고, 베이스 지지부재(130)를 수평 방향으로 움직여 수평 방향 각도를 조절한 다음 베이스 지지부재(130)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너트(65)들로 고정한다. 그리고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발판 고정부재(140)를 기울인 다음 고정유닛(150)으로 발판 고정부재(140)를 기울인 상태로 베이스 지지부재(13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발판 지지장치(100)들을 설치하면서 발판 지지장치(100)의 발판 고정부재(140)에 발판(200)들을 설치하고 체결유닛으로 발판(200)들을 발판 고정부재(140)에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지방도로나 국도 옆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행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자전거가 주행시 자전거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지지부재(130)를 상하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또한 베이스 지지부재(130)를 수평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발판 고정부재(140)를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기울인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로의 특성에 관계없이 즉, 강이나 게곡을 따라 놓인 길이나 경사진 도로 등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축(110)을 설치할 때 토공을 오우거 등으로 시공한 후 수직축(110)을 토공에 설치하게 되는데 토공의 정밀 시공이 어려워 수직축(110)을 정밀하게 설치하기 어려우나, 베이스 지지부재(130)와 발판 고정부재(14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인도교를 설계에 따라 정밀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발판 고정부재(140)가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고정하게 되므로 발판 고정부재(140)에 고정되는 발판(200)과 발판 고정부재(140)의 접촉면적이 넓게 되어 발판(200)의 지지가 견고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발판(200)의 설치 상태가 견고하고 안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수직축(110)을 지방도로나 국도 옆에 설치하고 발판 고정부재(140)에 발판(200)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쉽고 빠르게 된다. 즉, 기존에는 계곡을 따라 놓인 도로 옆에 인도교를 설치할 경우 도로 옆에 식재된 가로수를 제거하고 그 위치에 토목공사를 통해 콘크리트 옹벽을 세워 인도교를 설치하게 되므로 공사가 복잡하고 공사기간이 오래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은 수직축(110)을 도로 옆에 설치한 다음 발판 고정부재(140)에 발판(200)을 고정시키면 된다. 이로 인하여, 공사가 간단하고 공사 기간이 짧게 되어 공사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교통 통제 기간도 짧게 되어 교통의 불편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조립식이므로 유지 보수가 쉽고 간편하게 된다.
100; 발판 지지장치 110; 수직축
120;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 130; 베이스 지지부재
140; 발판 고정부재 160; 수평각도조절 고정유닛
180; 보조 지지유닛 200; 발판

Claims (10)

  1. 수직축;
    상기 수직축에 상하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
    상기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에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각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발판 고정부재;
    상기 발판 고정부재를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발판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은 상기 수직축의 상부에 수직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관통 결합된 힌지 볼트와, 상기 힌지 볼트에 결합되어 힌지 볼트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회전하는 상하 각회전 브라켓과, 상기 힌지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 각회전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발판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과 베이스 지지부재에 수평각도조절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각도조절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지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각도조절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원형 축공 및 원호형 장공과, 상기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의 상면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형 축공에 삽입되는 축용 앵커볼트 및 상기 원호형 장공에 삽입되는 고정용 앵커볼트와, 상기 축용 앵커볼트와 고정용 앵커볼트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들을 포함하는 발판 지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장공은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원호형 장공들은 상기 원형 축공을 기준으로 양쪽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용 앵커볼트가 두 개이며, 상기 고정용 앵커볼트는 상기 축용 앵커볼트의 양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상부에 복수 개의 가이드 판들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 고정부재의 하면에 상기 가이드 판에 맞물려 가이드 판을 따라 각회전하는 슬라이드 판들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판은 상면이 볼록 곡면이며 내부에 장공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판은 하부에 상기 가이드 판의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내부에 원형공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판의 장공과 슬라이딩 판의 원형공에 상기 고정유닛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지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는 균일한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판들이 결합되는 가로 수직판부와, 상기 가로 수직판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세로 수직판부와, 상기 세로 수직판부에 결합되는 수평판부를 포함하는 발판 지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와 수직축 사이에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지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유닛은 한쪽 단부가 상기 수직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장공이 구비된 제1 보조바와, 한쪽 단부가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공이 구비되는 제2 보조바와, 상기 제1 보조바의 장공과 제2 보조바의 결합공에 관통되어 제1,2 보조바를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발판 지지장치.
  10. 도로의 옆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1 항에 따른 발판 지지장치들과;
    상기 발판 지지장치들의 발판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발판들; 및
    상기 발판을 발판 고정부재에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인도교.
KR1020130049153A 2013-05-02 2013-05-02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KR101283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53A KR101283014B1 (ko) 2013-05-02 2013-05-02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53A KR101283014B1 (ko) 2013-05-02 2013-05-02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014B1 true KR101283014B1 (ko) 2013-07-05

Family

ID=4899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153A KR101283014B1 (ko) 2013-05-02 2013-05-02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0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232B1 (ko) * 2013-12-30 2014-09-1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수변 데크로드
KR101515371B1 (ko) * 2014-07-04 2015-05-04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
KR101534016B1 (ko) * 2014-11-25 2015-07-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
KR102020392B1 (ko) * 2019-04-10 2019-09-10 누리이앤씨(주) 비탈면 점검로
KR102367426B1 (ko) * 2021-07-20 2022-02-25 주식회사 태하 경사조정블럭을 갖는 확장 인도교용 강관형 켄틸레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638B1 (ko) 2010-08-20 2011-03-03 (주)아리산업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638B1 (ko) 2010-08-20 2011-03-03 (주)아리산업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232B1 (ko) * 2013-12-30 2014-09-1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수변 데크로드
KR101515371B1 (ko) * 2014-07-04 2015-05-04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
KR101534016B1 (ko) * 2014-11-25 2015-07-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
KR102020392B1 (ko) * 2019-04-10 2019-09-10 누리이앤씨(주) 비탈면 점검로
KR102367426B1 (ko) * 2021-07-20 2022-02-25 주식회사 태하 경사조정블럭을 갖는 확장 인도교용 강관형 켄틸레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014B1 (ko)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KR101090400B1 (ko) 도로의 측변에 설치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
KR101199429B1 (ko) 설치각도와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난간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60725B1 (ko) 도로의 경사면에 설치되어지는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도로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20090057955A (ko) 조립식 확장재를 이용한 보차도 확장 시공방법
US20230349117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KR101383314B1 (ko) 항타형 인도교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75525B1 (ko)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170327B1 (ko) 슬래브를 이용한 인도 확장장치
JP2717126B2 (ja) 中央分離帯の改修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防護壁ブロック
JP3012551B2 (ja) 張り出し歩道構造
KR100592416B1 (ko)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CN113622252B (zh) 一种装配式临时路面
KR20090049900A (ko) 지주의 지지구조
JPH0544202A (ja) 橋梁高欄補修用足場構造及び橋梁高欄補修用足場の吊り金具構造
KR101018638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0611722B1 (ko) 도로 및 교량용 난간지주의 설치구조
KR101037594B1 (ko) 날개형 블록
KR101195038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48775B1 (ko) 도로 법면의 확장로
KR101467842B1 (ko)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
KR20070017085A (ko) 자유회전체와 보강앵글을 갖는 매립형 알루미늄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