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827B1 -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827B1
KR101876827B1 KR1020170141514A KR20170141514A KR101876827B1 KR 101876827 B1 KR101876827 B1 KR 101876827B1 KR 1020170141514 A KR1020170141514 A KR 1020170141514A KR 20170141514 A KR20170141514 A KR 20170141514A KR 101876827 B1 KR101876827 B1 KR 10187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rame
yoke
clip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04H2017/149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클립을 매개물로 하여 데크재를 프레임에 설치하여 피스로 인한 데크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보행 피로를 덜어줌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하고 프레임의 구조 개선을 통해 난간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에 보행로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데크재(20)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재를 고정하는 클립(30)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난간(4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지주, 보행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기 지주의 위에 고정되는 제1멍에, 좌우 폭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이웃하는 지주와 상기 제1멍에를 공유하도록 고정되는 제2멍에, 상기 제2멍에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장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2멍에는 상기 제1멍에와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데크재가 상기 클립과 장선을 통해 지지되고 상기 난간의 난간 지주가 상기 제1멍에 위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부, 상기 프레임 고정부와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와 다른 높이로 연장되며 상기 데크재에 결합되는 데크재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데크재와 체결구없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데크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난간은 저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 지주, 목재 또는 목재와 프로파일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간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는 횡부재, 상기 난간 지주의 각도조정수단 및 상기 횡부재의 각도조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난간 지주의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프레임 또는 데크재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난간 지주가 삽입 고정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저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단의 각도조정홈, 상기 고정판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각도조정홈에 끼워져 상기 포켓의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횡부재의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난간 지주에 결합되는 난간 지주 브래킷; 회전안내핀을 통해 상기 난간 지주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십자형의 조인트; 및 회전안내핀을 통해 상기 십자형의 조인트에 상기 십자형의 조인트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횡부재가 연결되는 횡부재 브래킷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의 시공 방법은, 지면 위에 프레임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 위에 클립을 설치하고 상기 클립에 데크재를 조립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가면서 클립과 데크재를 교대로 반복하여 설치하되, 상기 클립을 통해 이웃하는 데크재들을 함께 조립하여 데크재들이 상기 클립을 매개로 하여 연쇄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A BUFFER WALKING DE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본 발명은 보행 데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데크재를 이용한 보행 데크를 용이하게 시공하고 온도 변화와 수분 등으로 인한 데크재의 손상 방지와 함께 보행 피로를 덜어줄 수 있는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호수, 산 등과 같이 사람들의 원활한 보행을 요하는 산책로나 등산로에는 주변의 자연 경관에 맞춰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보행자의 보행이 어려운 지형에서 보행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므로 보행자들에게 최적의 보행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바닥데크(Deck)를 시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 들어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여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추구한다는 현상과 맞물리면서 목조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바닥데크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택, 펜션 등과 같은 개인적인 건축물에도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바닥데크의 기본적인 구조적 구성들을 살펴보면, 지형에 따라 지면에 전반적인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빔(지주)과,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멍에와, 상기 멍에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받침역할을 하는 장선과, 보행자가 보행 가능한 바닥면을 이루되 상기 장선의 상부에 나란히 안착시킨 후 나사, 못,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바닥판(데크재)으로 구성하게 된다.
도 13과 도 1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보행 데크를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로서,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종래 기술에 의한 보행 데크는, 프레임(1)과 데크재(2) 및 난간(3)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은 좌우 폭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면서 보행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지주(1a), 지주(1a) 위에 올려지면서 보행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지주(1a)들 위에 설치되는 제1멍에(1b), 좌우로 배열되는 제1멍에(1b)들을 연결하는 제2멍에(1c), 제1,2멍에(1b,1c) 위에 제2멍에(1c)와 직교하는 방향(보행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호 간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장선(1d)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레임(1)을 구성하는 자재들은 각관 등이 사용된다.
장선(1d)은 제1멍에(1b)보다 적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며, 제1멍에(1b)의 위, 제2멍에(1c)의 위(예를 들어 도면에서처럼 5개)에 설치된다.
데크재(2)는 목재를 재질로 하는 판형으로서 프레임(1)의 장선(1d) 위에 보행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깔려 피스(직결나사, 스크류 볼트 등)로 고정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난간(3)은 프레임(1)의 좌우 양측에 보행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며 저부가 프레임(1)에 고정되는 난간대 및 상기 난간대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횡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보행 데크에 따르면, 데크재(2)를 피스로 고정할 때 데크재(2)가 깨짐을 일으켜 데크재(2)의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고, 피스에 의한 고정 시 데크재(2)의 깨짐 발생이 없다 하더라도 데크재(2)는 온도 변화와 수분 등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일으키고 이 때 데크재(2)의 수축과 팽창을 잡아주지 못하고 피스를 통해 균열이 더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데크재(2)는 장선(1d) 상면에 직접 지지되기 때문에 보행자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보행자의 관절에 무리를 주고 결과적으로 보행 피로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멍에(1b) 위에 장선(1d)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멍에(1b)에 난간(3)의 저부를 고정하기 위한 여유 공간이 좁아 난간(3)의 안정성이 약하여 보행자의 추락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492132호)은 등간격으로 나란히 안착되는 목재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측에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바닥판을 각각 고정하여 수평으로 받쳐주는 사각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장선과, 상기 장선의 하측에 넓은 간격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장선을 각각 고정하여 수평으로 받쳐주는 사각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멍에 및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상기 멍에와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 블록 사이를 각각 고정하는 사각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동바리를 포함하는 목재 바닥 데크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장선 사이에 각각 끼움 설치되는 사각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 양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장선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 완충부재;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상기 제1 완충부재를 통해 상기 장선에 각각 체결하는 제1 나사; 및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바닥판 부분을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체결하는 제2 나사로 구성되며, 완충이 가능한 구조라 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데크재를 피스로 체결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49213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립을 매개물로 하여 데크재를 프레임에 설치하여 피스로 인한 데크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보행 피로를 덜어주는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와 멍에의 개선을 통해 난간을 견고하게 고정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보행로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데크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재를 고정하는 클립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지주, 보행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기 지주의 위에 고정되는 제1멍에, 좌우 폭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이웃하는 지주와 상기 제1멍에를 공유하도록 고정되는 제2멍에, 상기 제2멍에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장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2멍에는 상기 제1멍에와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데크재가 상기 클립과 장선을 통해 지지되고 상기 난간의 난간 지주가 상기 제1멍에 위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부, 상기 프레임 고정부와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와 다른 높이로 연장되며 상기 데크재에 결합되는 데크재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데크재와 체결구없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데크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난간은 저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 지주, 목재 또는 목재와 프로파일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간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는 횡부재, 상기 난간 지주의 각도조정수단 및 상기 횡부재의 각도조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난간 지주의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프레임 또는 데크재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난간 지주가 삽입 고정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저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단의 각도조정홈, 상기 고정판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각도조정홈에 끼워져 상기 포켓의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횡부재의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난간 지주에 결합되는 난간 지주 브래킷; 회전안내핀을 통해 상기 난간 지주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십자형의 조인트; 및 회전안내핀을 통해 상기 십자형의 조인트에 상기 십자형의 조인트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횡부재가 연결되는 횡부재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의 시공 방법은, 지면 위에 프레임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 위에 클립을 설치하고 상기 클립에 데크재를 조립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가면서 클립과 데크재를 교대로 반복하여 설치하되, 상기 클립을 통해 이웃하는 데크재들을 함께 조립하여 데크재들이 상기 클립을 매개로 하여 연쇄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클립이 피스 등의 체결구를 통해 프레임에 고정되어 별도의 피스없이 데크재를 클립을 통해 설치함으로써 데크재가 피스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클립이 탄성 거동을 통해 데크재로부터 전가되는 보행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의 무릎과 발목 등 관절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클립을 통해 데크재가 프레임과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원활한 배수를 유도하고 데크재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줄임으로써 데크재를 보다 제조 상태로 보호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멍에 위에 난간의 설치를 위한 여유있는 면적을 확보하여 난간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난간의 밀림으로 인한 보행자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안정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의 일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에 적용된 난간의 각도 조정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에 적용된 횡부재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가 경사지에 설치된 예를 보인 도면.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에 적용된 난간 지주 각도조정수단을 보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의 시공 공정도.
도 13과 도 14는 각각 종래 기술에 의한 보행 데크를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는, 프레임(10)과 데크재(20) 및 클립(30)을 기본 구성으로 하며 여기에 난간(40)이 부가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지주(11), 제1멍에(12), 제2멍에(13), 장선(14)으로 이루어지며 종래와 비교할 때 제2멍에(13)가 지주(11)와 제1멍에(12)에 걸쳐 고정되면서 제1멍에(12)와 제2멍에(13) 간에 높이차를 두어 장선(14)이 데크재(20)의 저면을 지지하는 높이로 설치되어 제1멍에(12)의 모든 면적을 난간(40)의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함으로써 난간(40)을 견고하게 설치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지주(11)는 다수개가 좌우 폭방향과 보행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저부가 지반에 정착된다. 지주(11)의 정착 방법은 다양하게 실시되고 예를 들어 지반에 홈을 형성하여 지주(11)의 저부를 상기 홈에 삽입한 후 몰탈을 충진하여 정착하는 방법이 있다.
제1멍에(12)는 보행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지주(11)들의 위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며, 제2멍에(13)는 좌우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양측이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주(11)와 제1멍에(12)에 함께 고정되고 예를 들어 절반씩 지주(11)와 제1멍에(12)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장선(14)은 제2멍에(13) 위에 보행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지주(11), 제1멍에(12), 제2멍에(13)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크기의 각관이고, 장선(14)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이다.
데크재(20)는 바람직하게 목재이며, 천연목재, 인조목재, 합성수지 등이 가능하다.
데크재(20)는 평면에서 볼 때 장방향의 직사각형이며 표면이 논슬립(요철) 처리된다.
데크재(20)는 클립(30)과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제1,2클립홈(21,22)이 형성된다.
제1,2클립홈(21,22)은 데크재(20)의 보행방향 양쪽 중 일측 이상(일측, 양측)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클립(30)이 결합되는 부분만 형성되거나 좌우 폭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2클립홈(21,22)은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 양측에서 클립(30)과 결합됨으로써 들뜸을 일으키지 아니한다.
제1,2클립홈(21,22)은 클립(30)과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입구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클립(30)이 쐐기식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물론, 제1,2클립홈(21,22)은 경사형으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반대로 클립(30)이 경사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클립(30)은 프레임 고정부(31), 완충부(32), 데크재 결합부(33)로 구성되며, 제1멍에(12)와 장선(14) 중 일측 이상에 설치된다.
프레임 고정부(31)는 제1멍에(12) 및 장선(14)과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나 이상의 피스(34)를 통해 제1멍에(12)와 장선(14)에 고정된다.
완충부(32)는 프레임 고정부(31)의 양측 중 일측 이상에서 벌어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데크재 결합부(33)의 탄성 거동이 가능하도록 하다.
데크재 결합부(33)는 데크재(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33a), 제1지지부(33a)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데크재(2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33b), 제2지지부(33b)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데크재(20)의 클립홈(21,21)에 삽입 결합되는 제1,2삽입부(33c,33d)로 구성된다.
제1지지부(33a)는 완충부(32)에서 각각 반대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데크재(20)를 넓은 면적으로 지지한다.
제2지지부(33b)는 일측의 제1지지부(33a)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지지부(33b)는 양측의 제1지지부(33a)에서 각각 연장 형성 즉, 2개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데크재 결합부(33)는 제1,2지지부(33a,33b)가 데크재(20)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기 때문에 데크재(20)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제1,2삽입부(33c,33d)는 제2지지부(33b)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데크재(20)를 함께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데크재(20)와 클립(30)이 교대로 반복하면서 이웃하는 데크재(20)가 클립(30)의 제1,2삽입부(33c,33d)를 통해 조립됨으로써 모든 데크재(20)들이 클립(30)을 통해 연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일체화되고, 따라서, 모든 데크재(30)들이 서로를 지지하여 데크재(20)의 부분적인 들뜸도 막아준다.
난간(40)은 난간 지주(41)와 횡부재(42)로 구성된다.
난간 지주(41)는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자연친화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구성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철재의 심재 및 상기 심재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목재느낌의 커버로 구성된다.
횡부재(42)는 목재(천연, 인조)로 이루어진 바의 형태, 와이어 등 다양한 제품이 사용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8은 횡부재(42)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목재만 사용되는 기본형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목재(42a)와 이 목재(42a)의 뒤틀림 등 변형을 막아주는 알루미늄 등의 프로파일(42b)의 조합형으로, 알루미늄의 프로파일(42b)은 십자형(도 6), 띠형이면서 목재(42a)의 양쪽(도 7), 목재(42a)의 일면(도 8)에서 결합될 수 있고, 목재(42a)와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가 구성될 수 있다.
보행 데크는 평지와 경사지(도 9 참고) 모두 설치 가능하고, 경사지의 경우 난간(40)의 각도를 보행로의 경사로 맞춰야 하며, 예를 들어, 횡부재(42)와 난간 지주(41)은 각각 각도조정수단을 통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횡부재(42)는 횡부재 각도조정수단을 매개로 하여 난간 지주(41)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각도조정수단은 난간 지주(41)에 고정되는 난간 지주 브래킷(50), 난간 지주 브래킷(50)에 회전안내핀(5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십자형 조인트(60), 십자형 조인트(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횡부재(42)가 삽입 고정되는 횡부재 브래킷(70)을 포함한다.
또한, 횡부재 브래킷(70)에서 횡부재(42)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이탈방지핀(80)을 더 포함한다.
난간 지주 브래킷(50)은 피스 등을 통해 지주(10)의 측면 고정되는 고정판(51)과, 십자형 조인트(60)가 회전안내핀(52)을 통해 상하 회전되게 결합되도록 고정판(51)에서 연장 형성되는 상하 회전 결합부(53)를 구비한다.
상하 회전 결합부(53)는 회전안내핀(52)이 체결되는 홈을 갖는 2개의 보스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구성이다.
횡부재 브래킷(70)은 횡부재(42)가 삽입되는 횡부재 결합부(71)와, 횡부재 결합부(71)에서 연장 형성되며 회전안내핀을 통해 십자형 조인트(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회전 결합부(72)를 구비한다.
좌우 회전 결합부(72)는 회전안내핀이 체결되는 홈을 갖는 2개의 보스가 상하로 배열되는 구성이다.
십자형 조인트(60)는 횡방향의 양측이 난간 지주 브래킷(50)의 상하 회전 결합부(5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하 종방향의 양측이 횡부재 브래킷(70)의 좌우 회전 결합부(72)에 회전안내핀{전술한 회전안내핀(52)과 동일한 구성}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탈방지핀(80)는 횡부재(42)에 결합되는 탄성 핀(81), 이 탄성 핀(81)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횡부재 결합부(71)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 이 걸림홈에 삽입되는 탄성 핀(81)을 공구의 삽입을 통해 가압하여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과 연통 형성되는 공구 삽입구멍(82), 탄성 핀(81)이 결합되도록 횡부재(42)에 형성되는 결합홈(83)을 포함한다.
탄성 핀(81)은 결합홈(83)에 삽입되는 결합부가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압축 이완을 통해 걸림홈(83)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편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안내핀(52)은 난간 지주 브래킷(50) 및 횡부재 브래킷(70) 각각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헤드(52a); 헤드(52a)에서 연장 형성되어 난간 지주 브래킷(50) 및 횡부재 브래킷(70) 각각을 관통하여 십자형 조인트(60)에 삽입되는 힌지 축(52b); 및 십자형 조인트(60)와 횡부재 브래킷(70)의 회전을 탄성 지지하도록 힌지 축(52b)과 십자형 조인트(60) 사이에 구비되는 마찰부재(52c)로 구성된다.
아울러, 도 10과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난간 지주(41)의 각도조정수단은, 제1멍에(12)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판(91), 고정판(91)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며 난간 지주(41)이 삽입 고정되는 포켓(90)으로 구성된다.
고정판(91)은 한 쌍의 보스(92)가 돌출 형성되어 포켓(90)을 수용한다.
포켓(90)은 상부를 향해 개방되어 난간 지주(41)의 저부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형태이며, 저부에 고정판(91)의 보스(92)의 사이에 개재되면서 회전안내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연결부가 구성된다.
난간 지주(41)은 포켓(90)의 각도 조정을 통해 각도가 조정되며, 포켓(90)의 저부에는 다단의 각도조정홈(93)이 구성된다.
다단의 각도조정홈(93)은 상기 회동연결부의 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고정판(91)에는 다단의 각도조정홈(93)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포켓(90)의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핀(94)이 구성된다.
각도고정핀(94)은 각도조정홈(93)에 끼워지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 예를 들어 고정판(91)의 보스(92)에 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각도고정핀(94)을 보스(92)의 사이에 보스(92)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상기 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시켜 설치한다.
각도고정핀(94)은 자신이 각도조정홈(93)에 끼워질 수 있고 또는 둘레부에 별도의 록킹돌기(94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도고정핀(94)에 의한 록킹력을 증대하고 작업이 용이하도록 각도고정핀(94)을 록킹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각도고정핀(94)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양측이 어느 하나의 보스(93)와 각도고정핀(94)에 지지되어 각도고정핀(94)을 탄력지지하는 코일스프링(95)이다.
포켓(90)은 난간 지주(41)의 저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즉, 난간 지주(41)의 저부에 회동연결부와 다단의 각도조정홈(93)이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프레임 설치.
지주(11), 제1멍에(12), 제2멍에(13) 및 장선(14)을 보행 데크의 설치 장소에 맞는 크기로 재단하여 설치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멍에(12)를 보행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지주(11)들 위에 고정하며, 좌우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지주(11)들 사이에 제2멍에(13)를 설치한다. 이 때, 제2멍에(13)는 장선(14)을 제1멍에(12)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하기 위한 위치에 고정된다.
제2멍에(13) 위에 하나 이상의 장선(14)을 올리고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2. 데크재와 클립 설치(도 12 참고).
전 공정을 통해 프레임(10)의 설치를 완료(보행 데크의 전체 또는 일부 구간)한 후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가면서 데크재(20)와 클립(30)을 교대로 반복하여 설치한다.
클립(30)은 제1,2삽입부(33c,33d)가 있는 부분이 뒤쪽, 제1,2삽입부(33c,33d)가 없는 쪽을 앞으로 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시작 부분과 끝부분에서는 클립(30)의 제2삽입부(33d)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2삽입부(33d)가 없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립(30)을 제1멍에(12)와 장선(14) 위에 놓고 피스(34)를 박아 제1멍에(12)에 고정한다.
클립(30)의 제1,2지지부(33a,33b)에 데크재(20)를 올리고 제1클립홈(21) 안에 제1삽입부(33c)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로써 하나의 클립(30)에 하나의 데크재(20)가 설치되며, 데크재(20)는 저부가 양쪽의 제1지지부(33a) 위에 지지되고 일측의 측면이 제2지지부(33b)에 지지됨과 아울러 제1삽입부(33c)가 제1클립홈(21)에 끼움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그 다음 위치에 클립(30)을 설치하며, 클립(30)의 프레임 고정부(31)를 피스(34)로 제1멍에(12)에 고정하는 것은 동일하고, 단 제2삽입부(33d)를 앞서 설치한 데크재(20)의 제2클립홈(22)에 끼운다. 즉, 하나의 데크재(20)는 전후 양쪽의 클립(30)들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데크재(20)와 클립(30)을 설치하여 보행로를 설치한다.
3. 난간 설치.
난간(40)의 난간 지주(41)의 저부를 제1멍에(12) 위에 놓고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물론, 난간(40)을 설치하기 위한 곳에는 데크재(20)가 없도록 한다.
난간 지주(41)들을 설치하고 난간 지주(41)들 사이에 횡부재(42)를 1단 이상으로 설치한다.
본 발명에 의해 설치된 완충형 보행 데크에 따르면, 데크재(20) 자체는 클립(30)에 끼움 조립되고 이러한 끼움 조립은 데크재(20)의 손상과 변형을 일으키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데크재(20)는 시공 과정에서 손상을 일으키지 않아 제조 상태를 장기간 유지한다.
데크재(20)가 장선(14)과 클립(3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보행자의 보행 시 하중에 의해 클립(30)의 완충부(32)가 탄성 거동하고 데크재(20)도 탄성 거동하게 되고, 따라서, 보행자의 무릎과 발목 등에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데크재(20)가 장선(14)과 지지될 뿐 제1멍에(12)와 접촉되지 않아 우천 시 빗물이 제1멍에(12)로부터 데크재(20)에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데크재(20)들 사이가 클립(30)으 제2지지부(33b)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빗물이 배수될 수 있으므로 데크재(20)를 물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10 : 프레임, 11 : 지주
12,13 : 제1,2멍에, 14 : 장선
20 : 데크재, 21,22 : 클립홈
30 : 클립, 31 : 프레임 고정부
32 : 완충부, 33 : 데크재 결합부
40 : 난간, 50 : 난간 지주 브래킷
60 : 십자형 조인트, 70 : 횡부재 브래킷
80 : 이탈방지핀, 90 : 포켓
91 : 고정판, 92 : 보스
93 : 각도조정홈, 94 : 각도고정핀
95 : 코일스프링,

Claims (13)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보행로를 따라 설치되며 보행방향 양쪽에 제1,2클립홈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데크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재를 고정하는 클립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저부가 정착되는 다수의 지주, 보행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기 지주의 위에 고정되는 제1멍에, 좌우 폭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이웃하는 지주와 상기 제1멍에를 공유하도록 고정되는 제2멍에, 상기 제2멍에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장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2멍에는 상기 제1멍에와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데크재가 상기 클립과 장선을 통해 지지되고 상기 난간의 난간 지주가 상기 제1멍에 위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난간은 저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 지주, 목재 또는 목재와 이 목재의 변형을 잡아주는 프로파일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간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는 횡부재, 상기 난간 지주의 각도조정수단 및 상기 횡부재의 각도조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난간 지주의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프레임 또는 데크재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난간 지주가 삽입 고정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저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단의 각도조정홈, 상기 고정판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각도조정홈에 끼워져 상기 포켓의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횡부재의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난간 지주에 결합되는 난간 지주 브래킷; 회전안내핀을 통해 상기 난간 지주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십자형의 조인트; 및 회전안내핀을 통해 상기 십자형의 조인트에 상기 십자형의 조인트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횡부재가 연결되는 횡부재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제1멍에와 장선 중 하나 이상의 상면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부,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양측에서 서로 벌어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 거동을 유도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와 다른 높이로 연장되며 상기 데크재에 결합되는 데크재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데크재와 체결구없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데크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데크재 결합부는 상기 완충부에서 각각 반대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데크재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제1지지부(33a), 상기 제1지지부 중 일측의 제1지지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데크재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33b), 상기 제2지지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데크재의 제1,2클립홈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1,2삽입부(33c,33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보행 데크.
  2.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보행로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데크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재를 고정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제1멍에와 장선 중 하나 이상의 상면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부,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양측에서 서로 벌어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 거동을 유도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와 다른 높이로 연장되며 상기 데크재에 결합되는 데크재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데크재와 체결구없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데크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데크재 결합부는 상기 완충부에서 각각 반대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데크재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제1지지부(33a), 상기 제1지지부 중 일측의 제1지지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데크재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33b), 상기 제2지지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데크재의 제1,2클립홈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1,2삽입부(33c,33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보행 데크.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저부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데크재에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 지주 및 상기 난간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는 횡부재로 구성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보행 데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난간 지주를 상기 프레임 또는 데크재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는 난간 지주의 각도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난간 지주의 각도조정수단은 , 상기 프레임 또는 데크재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난간 지주가 삽입 고정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저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단의 각도조정홈, 상기 고정판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각도조정홈에 끼워져 상기 포켓의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보행 데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도고정핀을 고정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보행 데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지주, 보행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기 지주의 위에 고정되는 제1멍에, 좌우 폭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이웃하는 지주와 상기 제1멍에를 공유하도록 고정되는 제2멍에, 상기 제2멍에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장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멍에는 상기 제1멍에와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데크재가 상기 클립과 장선을 통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보행 데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난간 지주에 결합되는 난간 지주 브래킷; 회전안내핀을 통해 상기 난간 지주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십자형의 조인트; 및 회전안내핀을 통해 상기 십자형의 조인트에 상기 십자형의 조인트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횡부재가 연결되는 횡부재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보행 데크.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는 하나 이상의 목재 및 상기 목재에 결합되는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보행 데크.
  11. 청구항 1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의 시공 방법으로서,
    지면 위에 프레임을 설치하되, 지주에 고정되는 제1멍에와 높이차를 두고 제2멍에를 설치하고 상기 제2멍에 위에 장선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 위에 클립을 설치하고 상기 클립에 데크재를 피스없이 끼움 조립하는 제2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난간을 설치하되, 난간 지주의 저부를 각도조정수단을 통해 상기 제1단계에서 설치한 프레임의 제1멍에 위에 고정하고 상기 난간 지주들 사이에 각도조정수단을 통해 횡부재를 설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가면서 클립과 데크재를 교대로 반복하여 설치하되, 상기 클립을 통해 이웃하는 데크재들을 함께 조립하여 데크재들이 상기 클립을 매개로 하여 연쇄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보행 데크의 시공 방법.
  12. 청구항 2에 의한 완충형 보행 데크의 시공 방법으로서,
    지면 위에 프레임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 위에 클립을 설치하고 상기 클립에 데크재를 조립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가면서 클립과 데크재를 교대로 반복하여 설치하되, 상기 클립을 통해 이웃하는 데크재들을 함께 조립하여 데크재들이 상기 클립을 매개로 하여 연쇄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보행 데크의 시공 방법.
  13. 삭제
KR1020170141514A 2017-10-27 2017-10-27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7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514A KR101876827B1 (ko) 2017-10-27 2017-10-27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514A KR101876827B1 (ko) 2017-10-27 2017-10-27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827B1 true KR101876827B1 (ko) 2018-07-10

Family

ID=6291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514A KR101876827B1 (ko) 2017-10-27 2017-10-27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82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084B1 (ko) * 2019-03-28 2020-03-04 (주)베네테크 데크 고정용 클립
KR102120173B1 (ko) * 2019-03-28 2020-06-08 (주)베네테크 원터치 클립 방식의 데크 시공방법
KR102344623B1 (ko) * 2020-12-07 2021-12-29 주식회사 플러스 알루미늄 데크패널
KR102374283B1 (ko) * 2021-10-20 2022-03-16 (주)세인환경디자인 탄성결합 클립형 데크로드와 결속력 강화 확장형 난간 및 h빔 구조를 갖는 데크로드 시스템
KR102403325B1 (ko) 2021-09-24 2022-05-30 윤소영 데크 기초 자재
KR102414426B1 (ko) * 2022-03-08 2022-06-29 (주)세인환경디자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KR102447799B1 (ko) * 2022-02-18 2022-09-27 주식회사 파크조경 양방향 각도 조절 가능한 십자형 안전난간
KR102492698B1 (ko) * 2022-02-18 2023-01-27 주식회사 파크조경 Y형 클립 데크 및 선형에 구애받지 않는 난간이 적용된 풀림방지볼트로 조립하는 교량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7362B2 (ja) * 2003-09-01 2008-07-16 有限会社キシモト 手すり及び手すり用角度調整機構
KR20140046961A (ko) * 2012-10-11 2014-04-21 주식회사 케이디우드테크 목재 데크용 연결 부재
KR20140090041A (ko) * 2013-01-08 2014-07-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형 보행통로 시설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429116B1 (ko) * 2013-10-31 2014-08-13 주식회사 디자인큐나인 휀스용 연결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7362B2 (ja) * 2003-09-01 2008-07-16 有限会社キシモト 手すり及び手すり用角度調整機構
KR20140046961A (ko) * 2012-10-11 2014-04-21 주식회사 케이디우드테크 목재 데크용 연결 부재
KR20140090041A (ko) * 2013-01-08 2014-07-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형 보행통로 시설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429116B1 (ko) * 2013-10-31 2014-08-13 주식회사 디자인큐나인 휀스용 연결조립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653737호(2014.12.08.). 1부.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117362호(2008.07.16.) 1부.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084B1 (ko) * 2019-03-28 2020-03-04 (주)베네테크 데크 고정용 클립
KR102120173B1 (ko) * 2019-03-28 2020-06-08 (주)베네테크 원터치 클립 방식의 데크 시공방법
KR102344623B1 (ko) * 2020-12-07 2021-12-29 주식회사 플러스 알루미늄 데크패널
KR102403325B1 (ko) 2021-09-24 2022-05-30 윤소영 데크 기초 자재
KR102374283B1 (ko) * 2021-10-20 2022-03-16 (주)세인환경디자인 탄성결합 클립형 데크로드와 결속력 강화 확장형 난간 및 h빔 구조를 갖는 데크로드 시스템
KR102447799B1 (ko) * 2022-02-18 2022-09-27 주식회사 파크조경 양방향 각도 조절 가능한 십자형 안전난간
KR102492698B1 (ko) * 2022-02-18 2023-01-27 주식회사 파크조경 Y형 클립 데크 및 선형에 구애받지 않는 난간이 적용된 풀림방지볼트로 조립하는 교량 구조물
KR102414426B1 (ko) * 2022-03-08 2022-06-29 (주)세인환경디자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176188B1 (ko) 데크로드 구조물
KR101010256B1 (ko) 데크로드 장치
KR101687733B1 (ko)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KR101855368B1 (ko)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08671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데크로드 구조물
KR101230336B1 (ko)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KR100878141B1 (ko) 변형방지 목재데크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1861048B1 (ko) 데크로드 조립식 난간
KR101689814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데크 구조체
KR101991026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05007B1 (ko) 난간 구조물
KR20090085188A (ko)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KR102252869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KR102393747B1 (ko) 논슬립 모듈이 적용된 y형 신축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물
KR101887183B1 (ko) 폴딩 마루틀
KR101570672B1 (ko) 난간대 각도 조절용 지주 체결구
KR102044164B1 (ko) 데크의 조립구조
KR20180002100U (ko) 데크 고정구조
KR20150134852A (ko) 목재 데크 구조물
KR102435686B1 (ko) 수직·수평 겸용 데크 고정 탄성형 클립바
KR101631566B1 (ko)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487420Y1 (ko) 멀티데크의 접합부재
KR200482083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