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426B1 -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426B1
KR102414426B1 KR1020220029070A KR20220029070A KR102414426B1 KR 102414426 B1 KR102414426 B1 KR 102414426B1 KR 1020220029070 A KR1020220029070 A KR 1020220029070A KR 20220029070 A KR20220029070 A KR 20220029070A KR 102414426 B1 KR102414426 B1 KR 102414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oupled
pair
pilla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형
Original Assignee
(주)세인환경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인환경디자인 filed Critical (주)세인환경디자인
Priority to KR102022002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는 보행공간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기둥을 포함하는 각각의 난간기둥; 및 난간 결합수단에 의해 각 단부가 상기 난간기둥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각의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결합수단은, 상기 난간기둥에 결합되는 기둥 결합부와, 상기 기둥 결합부의 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형상의 제1 축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난간의 단부에 결합되는 난간 결합부와, 상기 제1 축 결합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난간 결합부에 형성되는 "⊂"형상의 제2 축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축 결합부와 제2 축 결합부를 연결하는 "+"형상의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연결축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로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간기둥을 기준으로 난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난간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난간을 지지하는 난간기둥을 데크로드의 외측으로 배치하여 보행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Railing structure of deck road}
본 발명은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데크로드의 경사나 평면 곡선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는 공원이나 호수 등의 산책로나 등산로 등에 나무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보행로를 말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안전하게 걸어다닐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람들의 통행으로 인하여 자연환경이나 데크로드가 설치된 공간에 서식하는 동식물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데크로드는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사람들이 자연에 좀더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장애우나 어린아이들이 안전하게 자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그 설치예가 급증하고 있다.
데크로드는 사람들이 동식물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동식물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높이로 설치되며, 한꺼번에 많은 사람이 통행하더라도 안전하도록 튼튼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전술한 데크로드에 대한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991026호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도 1a, 1b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기둥(1)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부재(2 : 난간)과, 기둥(1)과 가로부재(2)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3)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난간 구조체에 의해 기둥(1)들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기둥(1)들을 연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난간 구조체는, 연결부재가 축(볼트)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가로부재(2)가 상,하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었고, 가로부재(2)를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둥(1)은 높이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각각의 기둥(1)이 일렬로 배치되지 않고 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배치된 경우에 종래기술에 의한 연결부재(3)로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배치된 각각의 기둥(1)을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연결부재(3)가 기둥프레임(11)의 일측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큰 하중이 작용할 때 기둥프레임(11)이 파손되거나 기둥프레임(11)으로부터 연결부재(3)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데크로드에 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53729호 '데크로드시스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도 1c, 1d 참조)'가 개시된 바와 같다. 이 종래기술에 의한 데크로드는, H빔(10)의 상부에는 보행자가 밟고 다니는 데크재(11)가 스크류로 체결 설치되고, 상기 H빔(10)에 난간대(20)의 난간기둥(21)이 체결볼트(14)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데크로드는, 난간대(20)의 난간기둥(21)이 데크재(11)의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보행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99102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537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간기둥을 기준으로 난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난간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난간을 지지하는 난간기둥을 데크로드의 외측으로 배치하여 보행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는, 보행공간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기둥을 포함하는 각각의 난간기둥; 및 난간 결합수단에 의해 각 단부가 상기 난간기둥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각의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결합수단은, 상기 난간기둥에 결합되는 기둥 결합부와, 상기 기둥 결합부의 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형상의 제1 축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난간의 단부에 결합되는 난간 결합부와, 상기 제1 축 결합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난간 결합부에 형성되는 "⊂"형상의 제2 축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축 결합부와 제2 축 결합부를 연결하는 "+"형상의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연결축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로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내부기둥은 웨브와 상기 웨브의 양 단에 결합된 한 쌍의 플렌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한 쌍의 플렌지에는 상하로 긴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플렌지 상측에는 난간캡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난간 결합부는 상기 제2 축 결합부 반대측에 상기 난간의 단부가 삽입되는 난간 삽입부와, 상기 난간 삽입부에는 상기 삽입된 난간 단부와 상기 난간 삽입부를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난간기둥을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부재와 대칭 구조인 다른 제3 연결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난간기둥을 기준으로 한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기 기둥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외부기둥 중 일측 외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과, 상기 한 쌍의 외부기둥 중 타측 외부기둥과, 반대쪽의 제3 연결부재의 기둥 결합부를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난간기둥과 양측에 위치하는 난간을 한번에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행공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H빔; 및 상기 보행공간의 양 측면 외측에 상기 난간기둥이 위치하도록 상기 H빔에 결합되는 기둥 설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 설치수단은, 상기 H빔의 외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단과, 상기 한 쌍의 지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 브라켓; 및 상면 중앙에 상기 내부기둥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직립하여 마련되는 끼움 결합단과, 저면 양쪽에서 상기 지지단의 양쪽을 감싸도록 각각 직하방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단으로 이루어진 기둥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단이 상기 지지단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지지단과 상기 체결단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끼움 결합단이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끼움 결합단은 분리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기둥이 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둥 지지부재의 상면 테두리에 상기 한 쌍의 외부기둥의 하단을 둘러싸는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를 관통하는 나사가 상기 한 쌍의 외부기둥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난간기둥의 상단에는, 상기 난간기둥의 상단을 커버하기 위한 난간캡이 마련되고, 상기 난간캡은 선택적으로 솔라모듈에 의해 점등되는 엘이디 조명을 구비하며, 상기 난간캡의 저면에는, 상기 내부기둥의 상단 양쪽에 형성되는 각 걸림공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탄성을 갖는 한쌍의 걸림편이 마련되어, 상기 내부기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행공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사각각관; 상기 사각각관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각관보다 단면이 큰 지지각관; 및 양측의 상기 지지각관을 연결하는 연결각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기둥은 하단부의 외측 일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취 제거되고 절취 제거면은 상기 사각각관의 상면과 내측면에 접하여 설치되고, 하면은 상기 지지각관의 상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각각관의 내측면이면서 상기 내부기둥의 전후면과 내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외부기둥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기둥은 하면이 상기 외부기둥 지지부재의 상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난간기둥을 기준으로 난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난간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난간을 지지하는 난간기둥을 데크로드의 외측으로 배치하여 보행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종래기술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가 적용된 데크로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의 난간이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의 난간 결합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의 기둥 설치수단의 분해사시도 및 난간 결합구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의 기둥 설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가 적용된 데크로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의 난간이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의 난간 결합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의 기둥 설치수단의 분해사시도 및 난간 결합구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의 기둥 설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는, 보행공간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710)과, 상기 내부기둥(710)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기둥(720)을 포함하는 각각의 난간기둥(700); 및 난간 결합수단(420)에 의해 각 단부가 상기 난간기둥(70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각의 난간(400);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결합수단(420)은, 상기 난간기둥(700)에 결합되는 기둥 결합부(422A)와, 상기 기둥 결합부(422A)의 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형상의 제1 축 결합부(422B)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재(422); 상기 난간(400)의 단부에 결합되는 난간 결합부(442A)와, 상기 제1 축 결합부(422B)와 대응되도록 상기 난간 결합부(442A)에 형성되는 "⊂"형상의 제2 축 결합부(442B)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442); 및 상기 제1 축 결합부(422B)와 제2 축 결합부(442B)를 연결하는 "+"형상의 연결축(446);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400)은 상기 연결축(446)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로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는 보행공간의 측면에 설치되어 데크로드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난간기둥(700)은,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710)과 내부기둥(710)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기둥(7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내부에는 금속재를 사용함으로써 난간기둥(700)의 강도를 확보하고, 동시에 후술하는 기둥 설치수단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부기둥(720)은 금속재와 상이한 목재 등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보행자에게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비용이 저렴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난간기둥(700)은 난간 결합수단(420)에 의해 각각의 난간(400)과 연결된다. 난간 결합수단(420)은, 난간(400)을 난간기둥(700)을 기준으로 상,하 그리고 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데크로드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곡선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난간(400)을 난간기둥(700)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난간 결합수단(420)은, 난간기둥(700)에 결합되는 기둥 결합부(422A)와 기둥 결합부(422)의 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형상의 제1 축 결합부(422B)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재(422)와, 난간(400)의 단부에 결합되는 난간 결합부(442A)와 제1 축 결합부(422B)와 대응되도록 난간 결합부(442A)에 형성되는 "⊂"형상의 제2 축 결합부(442B)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442)와, 제1 축 결합부(422B)와 제2 축 결합부(442B)를 연결하는 "+"형상의 연결축(4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간 결합부(442A)는 상기 제2 축 결합부(442B) 반대측에 상기 난간(400)의 단부가 긴밀하게 삽입되는 일측이 개방된 통 형상의 난간 삽입부와, 상기 난간 삽입부에는 상기 삽입된 난간 단부와 상기 난간 삽입부를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난간(400)의 단부를 난간 삽입부에 삽입한 후 체결공을 이용하여 볼트나 피스를 체결함으로써, 난간(400)을 난간 결합부(442A)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2 축 결합부(422,442)는 "+"형상의 연결축(446)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난간(400)은 연결축(446)을 기준으로, 즉 난간기둥(700)을 기준으로 상, 하 및 좌,우 방향으로 각도 조절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422)는, 난간기둥(700)을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배치되는 다른 제3 연결부재(448)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난간기둥(700)을 기준으로 한쪽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재(422)의 기둥 결합부(422A)와, 난간기둥(700)과, 반대쪽의 제3 연결부재(448)의 기둥 결합부(448A)를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449)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체결볼트(449)는 난간기둥(70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양쪽의 제1,3 연결부재(422,448)를 한번에 일체로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부언하면, 체결볼트(449)는 제1 연결부재(422)의 기둥 결합부(422A)와, 한 쌍의 외부기둥(720) 중 일측 외부기둥(720)과, 내부기둥(710)과, 한 쌍의 외부기둥(720) 중 타측 외부기둥(720)과, 반대쪽의 제3 연결부재(448)의 기둥 결합부(448A)를 차례로 관통하여 한번에 일체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내부기둥(710)은 웨브와 상기 웨브의 양 단에 결합된 한 쌍의 플렌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한 쌍의 플렌지에는 상하로 긴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449)는 상기 긴 장공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쪽의 제1,3 연결부재(422,448)가 일체화되도록 연결되어 결합됨으로써 난간기둥(700)과 양쪽 난간(400)들의 결속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플렌지 상측에는 후술하는 난간캡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6을 참조하면, 상기 난간기둥(700)을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보행공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H빔(210); 상기 보행공간의 양 측면 외측에 상기 난간기둥(700)이 위치하도록 상기 H빔(210)에 결합되는 기둥 설치수단(760);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 설치수단(760)은, 상기 H빔(210)의 외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762A)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762A)의 상단에서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단(762B)과, 상기 한 쌍의 지지단(762B)을 연결하는 연결부(부호 없음)를 포함하는 지지 브라켓(762); 및 상면 중앙에 상기 내부기둥(710)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직립하여 마련되는 끼움 결합단(764A)과, 저면 양쪽에서 상기 지지단(762B)의 양쪽을 감싸도록 각각 직하방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단(764B)으로 이루어진 기둥 지지부재(764)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단(764B)이 상기 지지단(762B)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지지단(762B)과 상기 체결단(764B)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볼트(766A)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끼움 결합단(764A)이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H빔(210)의 측면은 보행공간의 측면과 일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둥 설치수단(760)은 H빔(210)의 외측에 결합되며, 난간기둥(700)은 기둥 설치수단(760)에 결합됨으로써, 난간기둥(700)과 난간은 보행공간의 바깥쪽 즉, 외측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기둥 설치수단(760)은, H빔(210)의 외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762A)와 한 쌍의 결합부(762A)의 상단에서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단(762B)과 한 쌍의 지지단(762B)을 연결하는 연결부(부호 없음)를 포함하는 지지 브라켓(762)과, 상면 중앙에 내부기둥(710)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직립하여 마련되는 끼움 결합단(764A)과, 저면 양쪽에서 지지단(762B)의 양쪽을 감싸도록 각각 직하방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단(764B)으로 이루어진 기둥 지지부재(7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기둥 설치수단(760)에 의해 양쪽의 체결단(764B)이 지지단(762B)에 설치되어 체결됨으로써 끼움 결합단(764A)이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체결볼트(766A)는, 체결볼트(766A)에 체결되는 너트(766B)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766C)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볼트(766A)에 스프링(766C)이 구비됨으로써 보행자의 이동에 의한 진동으로 인한 체결볼트(766A)의 풀림현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양쪽의 체결단(764B)이 지지단(762B)을 감싸도록 결합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체결단(764B)이 지지단(762B)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끼움 결합단(764A)은 분리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움 결합단(764A)이 분리됨으로써, 내부기둥(710)과 결합될 때 규격이 정확하지 않더라도 잘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둥 지지부재(764)의 상면 테두리에는 상기 한 쌍의 외부기둥(720)의 하단을 둘러싸는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를 관통하는 나사가 상기 한 쌍의 외부기둥(720)에 체결될 수 있다. 테두리와 나사는 외부기둥(720)의 하단부가 이탈되지 않고 잘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난간기둥(700)의 상단에는, 난간기둥(700)의 상단을 커버하기 위한 난간캡(780)이 마련될 수 있다. 난간캡(780)은 솔라모듈(784)에 의해 점등되는 엘이디 조명(78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난간캡(780)에 엘이디 조명(782)이 구비되는 경우에 야간에 데크로드를 조명할 수 있음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난간캡(780)의 저면에는, 내부기둥(710)의 상단 양쪽에 형성되는 각 걸림공(712)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786A)가 형성된 탄성을 갖는 한쌍의 걸림편(786)이 마련된다. 걸림돌기(786A)를 구비한 걸림편(786)이 난간캡(780)의 저면에 형성되므로 걸림편(786)을 내부기둥(710)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걸림돌기(786A)들이 걸림공(712)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난간캡(780)은 원터치 방식으로 내부기동(7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난간기둥(700)을 보행공간의 측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보행공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사각각관(820); 상기 사각각관(82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각관(820)보다 단면이 큰 지지각관(840); 및 양측의 상기 지지각관(840)을 연결하는 연결각관(860);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기둥(710)은 하단부의 외측 일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취 제거되고 절취 제거면은 상기 사각각관(820)의 상면과 내측면에 접하여 설치되고, 하면은 상기 지지각관(840)의 상면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내부기둥(710)은 ㄱ자 형상으로 제거된 절취면이 사각각관(820)의 상면과 내측면에 긴밀히 접하게 설치되고 하면은 지지각관(840)에 긴밀히 접하게 설치된 후 용접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내부기둥(710)은 사각각관(820) 및 지지각관(84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각각관(820)의 내측면이면서 상기 내부기둥(710)의 전후면과 내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외부기둥 지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기둥(720)은 하면이 상기 외부기둥 지지부재의 상측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내부기둥(710)이 사각각관(820)의 내측에 걸쳐서 설치됨으로써, 내부기둥(710)의 둘레에 설치되는 외부기둥의 하단은 사각각관(820)의 내측에서는 들뜨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기둥(710)을 둘러싸는 ㄷ자 형상의 외부기둥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외부기둥(720)의 하단면 전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데크로드
210 : H빔
400 : 난간
700 : 난간기둥

Claims (9)

  1. 보행공간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기둥을 포함하는 각각의 난간기둥; 및
    난간 결합수단에 의해 각 단부가 상기 난간기둥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각의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보행공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H빔; 및
    상기 보행공간의 양 측면 외측에 상기 난간기둥이 위치하도록 상기 H빔에 결합되는 기둥 설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 설치수단은,
    상기 H빔의 외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단과, 상기 한 쌍의 지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 브라켓; 및
    상면 중앙에 상기 내부기둥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직립하여 마련되는 끼움 결합단과, 저면 양쪽에서 상기 지지단의 양쪽을 감싸도록 각각 직하방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단으로 이루어진 기둥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단이 상기 지지단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지지단과 상기 체결단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끼움 결합단이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 결합수단은,
    상기 난간기둥에 결합되는 기둥 결합부와, 상기 기둥 결합부의 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형상의 제1 축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난간의 단부에 결합되는 난간 결합부와, 상기 제1 축 결합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난간 결합부에 형성되는 "⊂"형상의 제2 축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축 결합부와 제2 축 결합부를 연결하는 "+"형상의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연결축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로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기둥은 웨브와 상기 웨브의 양 단에 결합된 한 쌍의 플렌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한 쌍의 플렌지에는 상하로 긴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렌지 상측에는 난간캡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난간 결합부는 상기 제2 축 결합부 반대측에 상기 난간의 단부가 삽입되는 난간 삽입부와, 상기 난간 삽입부에는 상기 삽입된 난간 단부와 상기 난간 삽입부를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난간기둥을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부재와 대칭 구조인 다른 제3 연결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난간기둥을 기준으로 한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기 기둥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외부기둥 중 일측 외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과, 상기 한 쌍의 외부기둥 중 타측 외부기둥과, 반대쪽의 제3 연결부재의 기둥 결합부를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난간기둥과 양측에 위치하는 난간을 한번에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 지지부재의 상면 테두리에 상기 한 쌍의 외부기둥의 하단을 둘러싸는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를 관통하는 나사가 상기 한 쌍의 외부기둥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의 상단에는,
    상기 난간기둥의 상단을 커버하기 위한 난간캡이 마련되고, 상기 난간캡은 선택적으로 솔라모듈에 의해 점등되는 엘이디 조명을 구비하며,
    상기 난간캡의 저면에는, 상기 내부기둥의 상단 양쪽에 형성되는 각 걸림공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탄성을 갖는 한쌍의 걸림편이 마련되어, 상기 내부기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행공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사각각관;
    상기 사각각관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각관보다 단면이 큰 지지각관;
    양측의 상기 지지각관을 연결하는 연결각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기둥은 하단부의 외측 일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취 제거되고 절취 제거면은 상기 사각각관의 상면과 내측면에 접하여 설치되고, 하면은 상기 지지각관의 상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KR1020220029070A 2022-03-08 2022-03-08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KR102414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070A KR102414426B1 (ko) 2022-03-08 2022-03-08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070A KR102414426B1 (ko) 2022-03-08 2022-03-08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426B1 true KR102414426B1 (ko) 2022-06-29

Family

ID=8227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070A KR102414426B1 (ko) 2022-03-08 2022-03-08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42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6Y1 (ko) * 2005-08-23 2005-11-08 김병규 각도조절이 가능한 펜스연결구
KR200453729Y1 (ko) 2010-08-10 2011-05-27 (주)이레이앤엘 데크로드시스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040824B1 (ko) * 2008-07-31 2011-06-14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도로용 울타리
KR101175220B1 (ko) * 2012-01-27 2012-08-21 배대환 난간 폭 확장과 다리 미관성이 개선된 수변 데크로드
KR101876827B1 (ko) * 2017-10-27 2018-07-10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91026B1 (ko) 2018-12-11 2019-06-19 가온조경건설 주식회사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70194B1 (ko) * 2021-12-09 2022-03-04 합자회사 세가온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6Y1 (ko) * 2005-08-23 2005-11-08 김병규 각도조절이 가능한 펜스연결구
KR101040824B1 (ko) * 2008-07-31 2011-06-14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도로용 울타리
KR200453729Y1 (ko) 2010-08-10 2011-05-27 (주)이레이앤엘 데크로드시스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175220B1 (ko) * 2012-01-27 2012-08-21 배대환 난간 폭 확장과 다리 미관성이 개선된 수변 데크로드
KR101876827B1 (ko) * 2017-10-27 2018-07-10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91026B1 (ko) 2018-12-11 2019-06-19 가온조경건설 주식회사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70194B1 (ko) * 2021-12-09 2022-03-04 합자회사 세가온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283B1 (ko) 탄성결합 클립형 데크로드와 결속력 강화 확장형 난간 및 h빔 구조를 갖는 데크로드 시스템
US6409156B2 (en) Breakaway bracket
US6213452B1 (en) Railing support post
KR102348293B1 (ko) 폐타이어칩 충진 각관과 확장형 모듈난간 데크로드 시스템
KR102370194B1 (ko)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KR101861048B1 (ko) 데크로드 조립식 난간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804986B1 (ko) 상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KR102414426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US4856616A (en) Railing support clamp for scaffold
US4181292A (en) Barricade bracket
KR102447799B1 (ko) 양방향 각도 조절 가능한 십자형 안전난간
KR200421527Y1 (ko)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KR101743213B1 (ko) 지주캡 결합구조
KR102236839B1 (ko) 휀스
KR102413819B1 (ko) 폴 베이스 안전시스템
KR101808460B1 (ko) 데크로드의 조립식 난간 구조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27056B1 (ko) 조립식 안전 펜스
KR102347886B1 (ko) 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CN101868586A (zh) 具有杆定位器的帐篷
US11346124B2 (en) Fence corner support
KR101893418B1 (ko) 가로보와 지주의 결합구조
JP2829819B2 (ja) 落石等の防護柵
KR102439268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확장형 천연목재 모듈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